맨위로가기

선량공 필리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프 3세는 1396년 프랑스 디종에서 태어났으며, 1419년 부르고뉴 공작이 되었다. 그는 잉글랜드와 동맹을 맺고 잔 다르크를 생포하여 잉글랜드에 넘겼으나, 아라스 조약으로 동맹이 깨졌다. 필리프는 영토 확장을 위해 노력하여 여러 지역을 병합했으며, 예술과 문학을 후원하여 부르고뉴 악파의 발전에 기여했다. 그는 세 번 결혼하여 세 아들을 두었으며, 많은 서자를 두었다. 필리프는 황금 양모 기사단의 단장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르고뉴파 - 장 1세 드 부르고뉴 공작
    장 1세 드 부르고뉴 공작은 14세기 후반에 태어나 15세기 초반에 암살당한 부르고뉴 공작으로, 아버지의 뒤를 이어 공작이 되었고, 어머니로부터 여러 백국을 상속받았으며, 오를레앙 공작과의 권력 다툼과 암살, 그리고 아르마냐크파와의 내전, 도팽과의 회담 중 암살당한 사건으로 백년 전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림뷔르흐 공작 - 빌럼 1세
    빌럼 1세는 네덜란드와 룩셈부르크의 통치자였으며, 나폴레옹 몰락 후 네덜란드 연합 왕국의 초대 국왕으로 즉위하여 경제 발전을 추진했으나 벨기에 독립을 인정하고 퇴위 후 사망했다.
  • 림뷔르흐 공작 - 림뷔르흐 공국 (중세)
    림뷔르흐 공국은 11세기 초 랭부르 마을에서 시작하여 중세 시대에 존재했던 정치적 실체로서, 림부르크 성 건설 후 공국으로 인정받았으나 상속 전쟁, 여러 지배를 거쳐 분할되어 현재 벨기에와 네덜란드 림뷔르흐 주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 홀란트 백작 - 카를 5세
    카를 5세는 1500년에 태어나 1558년에 사망한 합스부르크 왕가의 인물로, 스페인과 신성 로마 제국을 포함한 광대한 영토를 통치했으며, 프랑스와의 전쟁, 종교 개혁, 오스만 제국과의 갈등 등 복잡한 문제에 직면했다.
  • 홀란트 백작 - 샤를 1세 드 부르고뉴 공작
    샤를 1세 드 부르고뉴 공작은 '용담공'으로도 불리며 1467년부터 1477년까지 부르고뉴 공국을 통치하며 프랑스에 대항하여 독립을 추구하고 영토 확장에 힘썼으나 낭시 전투에서 전사하여 야망이 좌절되었다.
선량공 필리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선량공 필리프
출생일1396년 7월 31일
출생지부르고뉴 디종
사망일1467년 6월 15일 (70세)
사망지부르고뉴령 네덜란드 플랑드르 브뤼허
작위[[파일:Crown of a Duke of France.svg|가운데|30px|link=부르고뉴 공작]]부르고뉴 공작
재위1419년 10월 9일–1467년 6월 15일
전임자용맹공 장
후임자용담공 샤를
배우자미셸 드 발루아
아르투아의 본
이자벨 드 아비스
자녀용담공 샤를
다비 드 부르고뉴
앙토니 드 부르고뉴
왕가발루아부르고뉴 가문
아버지용맹공 장
어머니마르가레테 폰 바이에른

2. 어린 시절

필리프 드 발루아부르고뉴는 1396년 7월 31일 프랑스 디종에서 느베르 백작 장(후대에 '용맹공 장'이라 알려진 부르고뉴 공작)과 바이에른의 마르가레테 (1363년-1424년)의 넷째 자녀이자 장자로 태어났다. 그는 프랑스 국왕 장 2세 (1319년–1364년)의 증손자이며, 그가 살던 시절 국왕이던 샤를 6세 (1368년–1422년)의 오촌 조카였다. 1405년 1월 28일, 8세의 필리프는 왕자령이던 샤롤레 백작으로 임명되었고, 같은 날 육촌 관계이자 샤를 6세의 딸인 9세의 프랑스의 미셸 (1395년–1422년)과 약혼했다. 이들은 1409년 6월에 혼인했다.

3. 초기 통치 및 잉글랜드와 동맹

1419년 용맹공 장 암살 사건 이후, 필리프는 부르고뉴 공국과 플랑드르, 아르투아, 프랑슈콩테 백작이 되었다.[1] 그는 아버지의 암살 배후로 샤를을 지목하고 아르마냐크-부르고뉴 내전을 계속했으며, 이는 백년전쟁과 얽히게 되었다. 1420년 트루아 조약을 통해 헨리 5세와 동맹을 맺었고, 1423년에는 여동생 안과 베드포드 공작 존의 혼인으로 잉글랜드와의 동맹을 더욱 강화했다.

1430년 콩피에뉴에서 잔 다르크를 생포하여 잉글랜드에 넘겼으나, 1435년 아라스 조약을 체결하여 트루아 조약을 무효화하고 샤를 7세를 프랑스 왕으로 인정하면서 잉글랜드와의 동맹은 깨졌다. 필리프가 아라스 조약을 체결한 이유 중 하나는 프랑스 최고 공작으로서 인정받고 싶은 욕구 때문이었을 수도 있다.

1439년 샤를과의 동맹이 깨진 후, 필리프는 1440년 프랑스 귀족들의 반란(프라게리)을 지원하고 루이 11세에게 은신처를 제공했다.

3. 1. 잔 다르크 포획과 매각

1430년 5월 23일, 리니 백작이 지휘하는 필리프의 군대는 콩피에뉴 공방전에서 잔 다르크를 생포했다.[1] 필리프는 잔 다르크를 잉글랜드에 팔아넘겼고, 잔 다르크는 친부르고뉴파 성직자들이 진행한 이단 재판을 받고 화형당했다.

4. 영토 확장

필리프 3세는 적극적으로 영토를 확장했다. 1429년에 나뮈르를 부르고뉴 영토에 포함시켰다.[1] 1432년에는 낚시 바늘과 대구 전쟁에서 에노 여백작 자클랜에게 승리하여 에노, 홀란트, 프리슬란트, 제일란트를 획득했다.[1] 1430년에는 친척인 생폴의 필리프가 사망하자 브라반트, 림뷔르흐 공국, 안트베르펜 변경백국을 상속받았다.[1] 1443년에는 룩셈부르크 여공작 보헤미아의 엘리사베트에게서 룩셈부르크를 매입했다.[1]

1456년, 필리프 3세는 자신의 사생아 다비드를 위트레흐트 주교로, 조카 루이 드 부르봉을 리에주 주교후로 선출되게 하여 이 지역들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했다.[1]

5. 프랑스와의 관계

필리프는 1419년 용맹공 장 암살 사건 이후 부르고뉴 공작이자 플랑드르, 아르투아, 프랑슈콩테 백작이 되었다.[1] 그는 도팽이자 처남인 샤를을 암살 모의 혐의로 고발했다. 이 사건 때문에 아르마냐크-부르고뉴 내전을 계속했고, 이는 백년전쟁과 얽히게 되었다. 1420년, 필리프는 트루아 조약에 따라 헨리 5세와 동맹을 맺었다. 1423년에는 그의 여동생 안과 헨리 6세의 섭정 베드포드 공작 존의 혼인으로 잉글랜드와의 동맹이 강화되었다.

1430년, 필리프의 군대는 콩피에뉴에서 잔 다르크를 생포하여 잉글랜드에 팔아넘겼다. 그러나 1435년, 필리프는 아라스 조약을 체결하여 샤를 7세를 프랑스 왕으로 인정하고 잉글랜드와의 동맹을 파기했다. 그는 프랑스 최고 공작으로 인정받고 싶어했을 수도 있다.

샤를 7세와 그의 후계자들은 부르고뉴국을 왕권 강화의 장애물로 여겨 지속적으로 부르고뉴를 약화시키려 했다. 필리프는 1439년에 샤를 7세와의 동맹을 깨고, 다음 해 프랑스 귀족들의 반란(프라게리)을 지원하며 루이 11세에게 은신처를 제공했다.

6. 궁정 생활과 예술 후원

필리프 3세의 궁정은 당대 유럽에서 가장 화려한 곳 중 하나로 손꼽혔다. 그는 기사도 정신을 중시하여 1430년 황금양모 기사단을 창설했는데, 이 기사단은 유럽 전역에서 가장 명망 높은 기사단 중 하나가 되었다.[1] 그는 브뤼셀, 브뤼주, 등 여러 궁전을 오가며 호화로운 연회와 축제를 열었고, 마상 시합도 자주 개최했다.

예술과 문학에 대한 후원도 활발했다. 부르고뉴 악파가 발전하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질 뱅슈아, 로버트 머튼, 기욤 뒤파이 등 당대 유명한 작곡가들이 그의 궁정에서 활동했다. 얀 판 에이크, 로히어르 판 데르베이던과 같은 뛰어난 화가들도 그의 후원을 받았다. 특히 얀 판 에이크는 1428년 필리프의 명을 받아 포르투갈로 가서 이자벨라 공주의 초상화를 그리기도 했다.

로히어르 판 데르베이던의 1447–48년 세밀화. 필리프는 장 보클랭이 쓴 '에노의 역사'를 전달받으면서 화려한 샤프롱을 쓰고 있으며, 옆에는 아들인 샤를과 재상인 니콜라 롤랭이 있다.


로히어르 판 데르베이던의 공방에서 나온 포르투갈의 이자벨의 초상 (1445년–1450년경작)


필리프는 채색필사본 수집에도 열심이어서, 그의 궁정 도서관에는 600여 권의 필사본이 소장되어 있었다고 한다. 이는 당시 개인 소장으로는 매우 큰 규모였다. 그의 궁정은 당대 유행을 선도하는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부르고뉴의 사치품은 유럽 전역에서 인기를 끌었다.

7. 가문과 자녀

필리프 3세는 세 번 결혼했다. 첫 번째 부인은 프랑스의 미셸이었는데, 1409년 6월에 결혼했지만 둘 사이에는 영아 때 사망한 딸 아녜스 외에 자녀가 없었고, 미셸은 1422년에 사망했다.[1] 1424년에는 느베르 백작 필리프 2세의 미망인 아르투아의 본과 두 번째로 결혼했지만, 본은 결혼 1년 만에 사망했고 이들 사이에도 자녀가 없었다.[1]

1430년, 필리프 3세는 포르투갈의 이자벨과 세 번째 결혼을 했다. 이자벨은 포르투갈 국왕 주앙 1세의 딸이었다. 이 결혼을 통해 세 아들이 태어났다.

이름출생사망비고
부르고뉴의 앙토니1430년 9월 30일1432년 2월 5일샤롤레 백작
부르고뉴의 조스1432년 4월 24일1432년 5월 6일 이후샤롤레 백작
부르고뉴의 샤를1433년 11월 10일1477년 1월 5일필리프 3세의 뒤를 이어 부르고뉴 공작이 됨



필리프 3세는 여러 정부를 두었고, 기록에 따르면 최소 18명의 서자가 있었다. 주요 서자들은 다음과 같다.


  • 부르고뉴의 서자 코르네유: '부르고뉴의 대서자'로 알려졌으며, 베베런의 영주이자 룩셈부르크총독이었다.
  • 부르고뉴의 서자 앙토니: 코르네유가 죽은 뒤 '부르고뉴의 대서자'로 알려졌으며, 라로슈의 백작이자 베베런의 영주였다.
  • 부르고뉴의 마리: 샤르니 백작 피에르 드 보프레몽과 결혼했다.
  • 부르고뉴의 서자 다비드: 위트레흐트 주교였다.
  • 부르고뉴의 서자 안: 부르고뉴 여공 마리의 가정 교사였으며, 클레베의 아돌프와 결혼했다.
  • 부르고뉴의 라파엘: 헨트의 성 바보 수도원의 수도원장이었다.
  • 부르고뉴의 보두앵: 팔레스의 영주였다.
  • 부르고뉴의 서자 필리프: 위트레흐트 주교이자 네덜란드제독이었다.
  • 부르고뉴의 서자 장: 브뤼주의 대성당 참사회장이었다.

8. 서훈

황금 양모 기사단 단장이자 기사였다.[1] 오를레앙 공국의 산미치광이 기사단 기사이기도 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