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통 (양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통(蕭統)은 남북조 시대 양나라 무제의 장남으로, 총명함과 문학적 재능으로 이름을 떨쳤다. 3세에 《논어》와 《효경》을 읽고, 5세에 《오경》을 모두 독파할 정도로 총명했으며, 502년 황태자에 책봉되었다. 성인이 된 후에는 국정에 참여하여 백성에게 어진 정치를 펼쳤고, 3만 권의 장서를 소장하며 문인들과 교류하며 《문선》을 편찬했다. 531년 뱃놀이 중 사고로 사망했으며, 사후 소명황태자로 추시되었다. 이후 손자인 소동이 황제가 되면서 소명황제로 추숭되었고, 셋째 아들 소찰이 후량을 건국한 후 고종으로 추숭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01년 출생 - 호스로 1세
    호스로 1세는 사산 제국의 샤한샤로, '좋은 평판을 가진 자'라는 뜻을 가지며, 뛰어난 통치력과 개혁, 중앙 집권 체제 구축, 활발한 대외 활동, 학문 장려 등으로 사산 제국의 번영을 이끈 '철인 군주'로 알려져 있다.
  • 남북조 시대의 황태자 - 소대기
    소대기는 양나라 건문제의 아들로, 후경의 난에서 활약 후 황태자에 책봉되었으나 폐위되어 살해당했으며, 사후 애황태자로 추증된 비극적인 인물이다.
  • 남북조 시대의 황태자 - 소방구
    소방구는 중국 남북조 시대 양나라 원제 소역의 아들로 남안후에 봉해졌고 황태자가 되었으나 강릉 함락 때 소찰에 의해 원제와 함께 살해되어 민회태자로 추증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소방거라는 화재 진압 도구의 이름으로도 쓰였다.
  • 양 (남조)의 불교 신자 - 심약
    심약은 남조 시대 송, 제, 양나라를 섬긴 문인이자 관료로서, 강남 호족 출신으로 경릉팔우의 일원이었으며, 궁체시의 선구자이자 사성팔병설을 주창하여 영명체와 근체시 발전에 기여했고, 양나라 건국 공신이자 역사서 편찬자이다.
  • 양 (남조)의 불교 신자 - 진패선
    진패선은 남조 양나라의 장군으로 후경의 난을 평정하고 정권을 장악하여 진나라를 건국한 초대 황제이며, 짧은 재위 기간 동안 국가 기틀을 다지고 북제의 침공을 막아내는 등 군사적 역량을 발휘했다.
소통 (양나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삼재도회에 나오는 소통의 초상
삼재도회에 나오는 소통의 초상
칭호양나라의 황태자
소통(蕭統)
시호소명황제(昭明皇帝)
묘호고종(高宗)
출생501년 10월
사망531년 5월 7일 (향년 29세 추정)
부친소연(蕭衍)
모친정령광
배우자채황후(508 - 531)
공황태후
자녀소환, 유장안왕
소우, 하동무환왕
소찰, 서량 선제
소피, 무창왕
소건, 의양왕
추존 황제 시호소명황제(昭明皇帝)
추존 황제 묘호고종(高宗)
생애
즉위 (황태자)천감(天監) 2년 음력 11월 10일 (503년 12월 24일)
폐위 (황태자)(사망) 중대통(中大通) 3년 음력 4월 6일 (531년 5월 7일)

2. 생애

502년 11월에 황태자에 책봉되었다. 어렸을 때부터 총명하여 3살 때 이미 《논어》와 《효경》을 읽었고, 5살 때엔 《오경》을 모두 읽었다고 전해진다.

531년 배를 타고 연못을 유람하던 중 시녀가 장난으로 배를 흔들어 물에 빠지는 사고를 당했고, 그해 음력 4월 6일에 31세로 사망하였다. 사후 '''소명황태자'''(昭明皇太子)로 추시됐다.

552년 손자인 소동이 황제로 즉위한 뒤 소통을 '''소명황제'''(昭明皇帝)로 추숭했다. 이후 555년 셋째 아들인 소찰후량을 세우고 황제로 즉위한 뒤 또한 소명황제로 추숭했고, 묘호를 더하여 '''고종'''(高宗)이라 했다.

무제의 황태자로서 성인이 된 후에는 국정에 참여하여 백성들에게 어진 정치를 펼쳤으며, 뛰어난 문인들을 모아 각종 명문을 모은 문선을 편찬하는 등 문장가로서도 이름을 알렸다.

장서 3만 권을 소유했다고 전해지는 소통은, 강릉의 원제서위에 의해 멸망했을 때 장서도 함께 잿더미가 되었다.

그 후, 셋째 아들 소찰이 강릉에서 서위 정권에 의해 후량천자로 즉위했을 때, 소통에게 '''고종소명제'''라는 시호가 추증되었다.

2. 1. 어린 시절

501년 겨울, 소통은 훗날 양나라를 건국하는 소연의 아들로 태어났다. 당시 소연은 남제의 장군으로, 황제 소보권에 대한 내전에서 승리를 눈앞에 두고 있었다. 소통은 소연의 세력 기반인 샹양에서 소연의 후궁 딩링광(丁令光)에게서 태어났다.[4] 502년 소연은 남제를 멸망시키고 양나라를 건국하여 무제가 되었으며, 신하들의 요청으로 소통은 황태자에 책봉되었다.[4] 소통은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3세에 《논어》와 《효경》을 읽고, 5세에 《오경》을 독파했다고 전해진다.

506년, 소통은 태자의 거처인 융푸궁(永福省)에 거처했지만, 부모님을 그리워하여 무제는 며칠에 한 번씩 융푸궁에서 며칠을 보냈다. 508년 5월 17일,[5] 소통은 채씨(蔡氏)와 혼인하였다.[6]

2. 2. 성년 이후

515년 5월에 관례 의식을 치르고 성인이 된 소통은 국정에 참여하여 백성에게 어진 정치를 펼쳤으며, 문장가로서도 명성을 떨쳤다. 3만여 권의 장서를 소장하여 주변에는 항상 유명한 문인들이 모였다. 소통은 문인들과 함께 여러 유명한 문장을 모은 《문선》을 편찬했고, 《금강경》을 32분(分)으로 편집하였다.[8]

무제가 독실한 불교도였기 때문에 소통 또한 불교도가 되어 경전을 열심히 공부했고, 종종 불교 승려들을 궁궐로 초청하여 설법을 듣고 불교 교리에 대해 논의했다. 관례를 치른 후, 무제는 점차 소통에게 더 많은 국사를 처리하게 하여 제국의 일상적인 운영에 덜 관여하게 되었다.

522년 12월 9일,[8] 소통의 숙부인 시싱왕 소단(蕭憺)이 사망했다. 관례상 태자는 숙부의 상을 치르지 않았지만, 소통은 이 관습이 불효라고 생각하여 관리들에게 이 문제를 논의하도록 요청했다. 관리 유효초(劉孝綽)가 한 달간의 상을 치르도록 제안했고, 소통은 이에 동의하여 양나라의 선례로 만들었다.

이 기간 동안 소통과 다른 사람들은 고대 시와 문헌을 모아 『문선(文選)』("정제된 문학 선집")을 편찬했는데, 이 책은 훗날 그의 시호인 "소명(昭明)"을 따서 『소명문선(昭明文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책은 보존되지 않았다면 사라졌을 많은 고대 문헌을 보존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중요한 작품이다.

526년 말, 정비 채씨가 병에 걸리자 소통은 그녀를 극진히 간호했다. 527년 1월 3일, 채씨가 사망하자[9] 소통은 큰 슬픔에 빠져 음식을 거부했다. 무제가 자신의 몸을 해쳐서는 안 되며 아직 아버지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위로한 후에야 소통은 을 먹기 시작했지만, 그 외의 음식은 먹지 않았다. 당시 소통은 상당히 비만했지만, 정비의 상을 치르는 동안 체중이 많이 줄었다.

2. 3. 죽음

531년 소통은 배를 타고 연못을 유람하던 도중 시녀가 장난으로 배를 흔들어 물에 빠지는 사고를 당했다.[3] 이 사고와 더불어, 어머니 정비의 장지를 찾는 과정에서 벌어진 왁스 거위 사건으로 인해 굴욕감을 느끼고 건강이 악화되었다.[6] 결국 같은 해 음력 4월 6일에 31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하였다.[3]

소통의 어머니 정비의 장지를 찾는 과정에서, 한 지주가 환관 위삼부(俞三副)를 매수하여 무제에게 그 땅이 황제에게 행운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설득했다. 무제는 그 땅을 사들여 정비를 매장했으나, 한 도교 승려가 소통에게 그 땅이 맏아들에게 불운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소통은 왁스 거위 등을 묻어 불운을 막으려 했다. 훗날 소통의 측근이었던 포묘지(鮑邈之)가 앙심을 품고 소통을 위해 주술을 행했다고 무제에게 고발하면서 왁스 거위 사건이 드러났다. 무제는 분노했으나, 재상 서면의 조언으로 조사를 중단하고 도교 승려만 처형했다. 소통은 이 사건으로 인해 심한 굴욕감을 느꼈다.[6]

병약한 상황에서도 소통은 무제가 걱정할까 염려하여 직접 아버지에게 상소를 올렸다. 소통이 죽은 후, 무제는 직접 장례식에 참석하고 황제에게 걸맞은 묘에 그를 매장했다.[7]

3. 사후

531년 음력 4월 6일, 소통은 배를 타고 연못을 유람하던 중 시녀가 장난으로 배를 흔들어 배가 전복되어 물에 빠지는 사고를 당했고, 그 후 병을 얻어 31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1] 사후 소명황태자(昭明皇太子)로 추시됐다.[1]

552년 소통의 손자인 소동이 황제로 즉위한 뒤 소통을 소명황제(昭明皇帝)로 추숭했다.[1] 555년에는 셋째 아들인 소찰후량을 세우고 황제로 즉위하여 소통을 소명황제로 추숭하고 묘호를 고종(高宗)이라고 했다.[1] 한편, 소통이 소장했던 3만 권의 장서는 강릉의 원제가 서위에 의해 멸망할 때 잿더미가 되었다.[2]

4. 평가

司馬光|사마광중국어은 소통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8]

司馬光|사마광중국어은 소통이 성인의 의복을 착용한 후부터 황제가 조정의 정사를 맡기고 백관의 업무를 처리하게 하였는데, 소통은 잘못된 것을 분별하고 온전히 방면하며 너그럽게 용서하고 무리를 화합시켰으며, 기뻐하고 화를 내는 것을 드러내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또한 책을 읽고 문장을 짓는 것을 좋아하고 훌륭한 인재를 가까이 하였으며, 20여 년 동안 소리와 음악을 기르지 않았다고 한다. 장마와 폭설 때에는 가난한 사람들을 구제하도록 하였고, 효성스럽고 공손한 천성을 지녔다고 평가했다.[8]

5. 문학적 유산

소통은 60권으로 구성된 문학 선집인 《문선》을 편찬하여 문학사에 큰 업적을 남겼다.[10] 《문선》은 현전하지 않는 많은 고대 문헌들을 보존하고 있는데, 그중 29권은 초기 고전 중국 시가의 주요 자료인 《십구수》를 보존하고 있다.[10] 소통은 《십구수》를 익명 작품으로 간주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쉬링이 그의 《옥대신영》에서 주장했음에도 불구하고 현대 학계의 지지를 받고 있다.[11]

소통은 3만 권의 장서를 소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주변에는 뛰어난 문인들이 모여들었다. 소통은 이들의 도움을 받아 《문선》을 편찬하였다. 소통 사후, 그의 장서는 강릉의 원제가 서위에 의해 멸망했을 때 소실되었다.

6. 가족 관계

6. 1. 조부모와 부모

6. 2. 후비

봉호시호이름(성씨)재위년도생몰년도비고
황태자비소덕황후(昭德皇后)채씨(蔡氏)(추존)[17]
보림(保林)원황태후(元皇太后)공씨(龔氏)(추존)? ~ 562년[19]

6. 3. 황자

소통의 황자 정보는 다음과 같다.

순서봉호시호이름생몰년도생모비고
1예장군왕(豫章郡王)안(安)소환? ~ 541년소덕황후 채씨[20] [21]
2하동군왕(河東郡王)무환(武桓)소예519년 ~ 550년[22]
3양왕(梁王)소찰519년 ~ 562년원태후 공씨[23] 후량 초대 황제 선제.
4무창군왕(武昌郡王)소속? ~ 546년
5의양군왕(義陽郡王)소감? ~ 537년


6. 4. 황녀

소통의 첫째 딸은 여릉공주(廬陵公主)로, 이름은 알려지지 않았다. 여릉공주는 왕선(王㳬)과 결혼했다.[4]

참조

[1] 서적 Book of Liang
[2] 서적 Book of Liang
[3] 서적 Book of Liang
[4] 서적 Book of Liang
[5] 서적 Book of Liang
[6] 서적 Nan Shi
[7] 서적 Book of Liang
[8] 서적 Book of Liang
[9] 서적 Book of Liang
[10] 서적 Davis
[11] 서적 Davis
[12] 서적 Book of Liang
[13] 서적 Book of Liang
[14] 서적 Liang Shu
[15] 서적 Book of Liang
[16] 서적 양서
[17] 문서 금화경비(金華敬妃)/경황후(敬皇后)
[18] 문서 예장왕(豫章王) 소동(蕭棟)에 의해 황후로 추존되었으며, 후량 건국 후에 소덕황후로 재추존하였음.
[19] 문서 사후 황태후로 추존됨.
[20] 문서 화용공(華容公)
[21] 문서 제3대 황제 예장왕(豫章王) 소동(蕭棟)의 아버지. 소동 즉위 후 안황제로 추존됨.
[22] 문서 지강현공(枝江縣公)
[23] 문서 악양군왕(岳陽郡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