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비아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도비아어는 발트어파에 속했던 언어로, 요트빙기아어, 야트빙기아어, 수도비아어 등으로 불리며, 수도비아 지역에 거주했던 부족들의 언어였다. 수도비아어는 고대 프로이센어와 매우 유사하여 상호 이해가 가능했으며, 서발트어파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된다. 14세기 튜턴 기사단에 의해 정복된 후 사멸되었으며, 현재는 지명과 일부 텍스트를 통해 그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발트어군 - 갈린디아어
갈린디아어는 과거 갈린디아인들이 사용했던 사멸된 발트어의 일종으로, 서갈린디아어와 동갈린디아어로 나뉘며, 어원에 대해서는 외부인, 수계 지명, 강력한 자들이라는 세 가지 가설이 있다. - 서발트어군 - 고대 프로이센어
고대 프로이센어는 서부 발트어에 속하는 인도유럽어의 일종으로, 18세기 초에 사멸되었으나 언어학자들의 부활 운동을 통해 웹사이트, 온라인 사전 등이 제작되었으며, 1545년, 1545년, 1561년에 출판된 세 권의 교리문답서가 주요 문헌으로 남아있다. - 유럽의 사어 - 노른어
노른어는 8~9세기 노르드인이 오크니 제도와 셰틀랜드 제도에 정착하며 고대 서노르드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15세기부터 쇠퇴, 18~19세기 초 소멸했지만 현재는 일부 단어와 니노른어 형태로 남아있다. - 유럽의 사어 - 리보니아어
리보니아어는 발트해 연안의 리보니아인들이 사용했던 핀우그리아어족에 속하는 멸종된 언어로, 역사적 요인으로 쇠퇴하여 마지막 원어민 화자 사망 후 멸종되었으나, 현재 라트비아 대학교 리보니아 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부활을 위한 연구와 교육이 진행 중이다.
수도비아어 | |
---|---|
개요 | |
다른 이름 | 야트빙기아어, 야트빙어 |
사용 지역 | 요트빙기아 |
사멸 시기 | 17세기 경? |
언어 분류 |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발트-슬라브어파 |
어군 | 발트어군 |
하위 어군 | 서발트어군 |
언어 코드 | |
ISO 639-3 | xsv |
Glottolog | sudo1236 |
Glottolog 이름 | Sudovian |
2. 명칭
수도비아어는 요트빙기아어, 야트빙기아어 또는 수도비아어로 불린다. 이러한 이름들은 해당 지역에 거주했던 최남단 및 최북단 부족에서 유래되었다. 독일인들은 프로이센인들로부터 "수도비아"라는 이름을 알게 되면서 최북단 부족의 이름만을 알게 되었고, 남쪽의 폴란드인들은 자신들을 야트빙기아라고 부르는 부족을 만났다. 독일인과 폴란드인 모두 이 지역의 모든 발트해 거주민을 지칭하는 용어로 일반화했다.[2]
수도비아어는 발트어파에 속하는 인도유럽어족 언어였다. 수도비아어의 발트어파 내 분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제안이 있다.
그들이 거주했던 지역은 수도비아, 요트바, 다이나비아 또는 폴렉시아로 불린다.
3. 분류
역사적 자료에 따르면 수도비아어는 고대 프로이센어와 매우 유사하여 상호 이해가 가능했는데, 예를 들어 최초의 고대 프로이센어 교리서(1545년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인쇄, 최초의 발트어 서적)의 서문에서는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Die Sudawen aber wiewol ihre rede etwas nyderiger wissen sich doch inn diese preüßnische sprach : wie sie alhie im Catechismo gedruckt ist auch wol zuschicken und vernemen alle wort.|그러나 수도비아인들은 비록 그들의 언어가 다소 낮지만, 이 프로이센어를 이해하며, 교리서에 인쇄된 대로, 그들은 잘 표현하고 모든 단어를 이해한다.de
대부분의 언어학자들은 서발트어의 희귀한 자료의 유사점 외에도, 수도비아어가 서발트어파에 속한다는 결론을 내린다. 수도비아어는 고대 프로이센어와 함께 이후 고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반면 대부분의 동발트어는 핀어와 더 많은 접촉을 했다.
4. 역사
프톨레마이오스는 기원후 2세기에 수도비아와 인접한 갈린디아를 두 개의 발트 부족 또는 국가로 언급하며, ''와 '' (Γαλίνδαιgrc, Σουδινοίgrc)로 기록했다.[2]
14세기 페터 폰 뒤스부르크는 저서 ''프루시아 연대기''에서 수도비아와 그 주민들을 '수도비테스'라고 언급하며, 프루시아 부족 중 하나로 열거했다.[2] 13세기 말, 1,500명에서 1,600명의 수도비아인들이 튜턴 기사단에 의해 강제로 삼비아로 이주되었다.[11] 이후 수도비아어는 사멸되었고, 사용자는 점차 독일, 리투아니아, 슬라브 민족에게 흡수되었다.[2]
요한 폴리안더는 1535년 프로이센 쾨니히스베르크 근처에 살던 수도비아인에 대해 기록했다. 그는 수도비아인들이 삼비아인들과 고립되어 살았으며, 부족 내에서만 결혼했고, 이웃 프루시아인들과의 결혼은 "요청하더라도" 허용하지 않았다고 전한다.
크리스토프 하르트노흐는 1684년에 삼비아에 여전히 수도비아인이 존재한다고 보고했다.[12]
5. 음운론
수도비아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른 발트어와 비교했을 때, , , , , , 그리고 는 비구개음화되었다. , , , 그리고 는 부분적으로 비구개음화되었다. 와 는 각각 와 로 변화했다.
두 개의 이중 모음이 확인되었다:
고대 프로이센어와 마찬가지로 수도비아어는 원시 발트어 를 보존했지만, 동부 발트어군에서는 로 바뀌었다.
6. 문법
수도비아어는 다른 발트어에서 사라진 많은 고대 특징을 보존한 것으로 보인다. 어휘집에 있는 언어는 프로토 발트어 단수 중성 격 어미(프러시아어와 마찬가지로)를 유지하여 세 개의 성을 가졌다.[1]
이 언어는 문법 격으로 주격, 호격(Kails naussen gnigethe.|"Kails naussen gnigethe." 형식xsv), 대격, 속격, 여격, 처격의 6가지 격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법을 가진 복잡한 형태론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중세 발트어군에서 사라진 많은 고대 특징을 보존한 옛 발트어의 방언이었다.
7. 수도비아어 자료
폴란드 북동부, 벨라루스 북서부, 리투아니아의 지명에서 수도비아어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13] 슬라브족은 요트빙기아 영토를 점령했고, 현재의 폴란드 북동부 비아위스토크와 수와우키, 벨라루스 흐로드나(구 그로드노)를 중심으로 인구가 유입되었다. 지에텔라 방언(Дзятлава|댜틀라바be, Дятлово|댜틀로보ru, Zietil|지에틸yi, Zdzięcioł|즈지엥치오우pl)과[14][15][16] 리투아니아 드루스키닝카이 방언은 수도비아어의 영향을 받았다.[18][19]
''수도비아인의 삼비아(Sambija)반도에 있는 수도비아인, 그들의 염소 축성 의식과 의례에 대한 진실한 묘사''에는 몇몇 수도비아어 구절이 있다.[1]
1978년, 벨라루스의 비아찰라우 지나우[22]는 비아워비에자 숲 노비 드보르(벨라루스어: ) 마을의 한 노인에게서 "나레브의 이교 방언"(Pogańskie gwary z Narewupl)이라는 제목의 작은 필사본이 들어있는 가톨릭 기도서를 구입했다. 이 필사본에는 215개 단어 분량의 요트빙어-폴란드어 사전이 포함되어 있었다.[25] 직마스 징케비치우스는 이 언어에 대해 세 가지 해석을 제시했다.[23]
7. 1. 지명
폴란드 북동부, 벨라루스 북서부, 리투아니아의 지명에서 수도비아어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13]7. 2. 다른 언어에서의 증거
요트빙기아 영토는 후에 슬라브족에 의해 점령되었고, 현재의 폴란드 북동부의 비아위스토크와 수와우키, 그리고 인근의 벨라루스 흐로드나(구 그로드노)를 중심으로 인구가 유입되었다. 발트어의 일부 요소는 벨라루스와 우크라이나 영토에서 여전히 유지되고 있는데, 이는 토착 인구의 희소성과 리투아니아 난민의 재정착 때문이다. 지에텔라 방언(Дзятлава|댜틀라바be, Дятлово|댜틀로보ru, Zietil|지에틸yi, Zdzięcioł|즈지엥치오우pl)은 특히 흥미로운 대상이었다.[14][15][16] 카즐라우스크는 방언(지에텔라, 라즈디자이)과 브레트쿠나스의 저작에서 발견된 단어 ''mėnas'' ("달") (여격 단수 ''mënui'')가 -s 어간 접미사를 가진 명사의 잔재라고 제안했다.[17] 리투아니아의 드루스키닝카이 방언 역시 수도비아어의 영향을 받았다.[18][19]7. 3. 단편적인 텍스트
''수도비아인의 삼비아(Sambija)반도에 있는 수도비아인, 그들의 염소 축성 의식과 의례에 대한 진실한 묘사''(Hieronymus Maletius가 16세기 중반에 저술)에는 몇몇 수도비아어 구절이 있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텍스트가 고대 프로이센어를 나타낸다고 보지만, 노르베르타스 밸리우스는 이를 진정한 수도비아어로 간주한다.[1]- Beigeite beygeyte peckolle|xsv
- Kails naussen gnigethe|xsv
- Kails poskails ains par antres|xsv (건배 구호)
- Kellewesze perioth, Kellewesze perioth|xsv
- Ocho Moy myle schwante Panike|xsv
7. 4. 폴란드-요트빙기아어 어휘집
1978년, 벨라루스의 비아찰라우 지나우[22]가 비아워비에자 숲 깊숙한 곳에 있는 노비 드보르(벨라루스어: ) 마을의 한 노인에게서 가톨릭 기도서를 구입했는데, 그 책에는 "나레브의 이교 방언"(Pogańskie gwary z Narewupl)이라는 제목의 작은 필사본이 들어 있었다. 이 필사본에는 215개 단어 분량의 요트빙어-폴란드어 사전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가톨릭 사제[25]가 현지인들에게 그들의 모국어로 설교하기 위해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이 언어에 대해 직마스 징케비치우스는 세 가지 해석을 제시했다.[23]
- 리투아니아어의 강한 영향을 받은 요트빙어 방언
- 강력한 요트빙어 기층 위에 있는 리투아니아어 단어
- 사전 편찬자는 리투아니아어와 요트빙어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없었고, 둘 다의 단어를 포함했을 수 있다.
일부 학자들은 위조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지만, 그렇지 않다는 강력한 징후가 있다.[26]
참조
[1]
컨퍼런스
Grammatical Incompatibility of 2 Main Prussian "Dialects" as Implication of Different Phonological Systems
https://klc.vdu.lt/p[...]
2001
[2]
서적
Foundations of Baltic languages
Vilniaus universitetas
2014
[3]
서적
Slawische Namenforschung, Vorträge auf der II. Arbeitskonferenz
Akademie Verlag
[4]
간행물
Jotvingiai
[5]
서적
Lietuvių kalbos kilmė
Mokslas
[6]
서적
Kalba ir senovė
Švietimo Ministerijos leidinys
[7]
서적
Festschrift Bezzenberger
Vandenhoek & Ruprecht
[8]
citation
Catechiſmus jn Peüßniſcher ſprach
Hans Weinreich
[9]
서적
Old Prussian Written Monuments: Text and Comments
http://donelaitis.vd[...]
Lithuanian's World Center for Advancement of Culture, Science and Education
[10]
서적
The Balts
Thames and Hudson
1963
[11]
간행물
Sūduvių knygelė – vakarų baltų religijos ir kultūros šaltinis. I dalis: formalioji analizė
https://etalpykla.li[...]
[12]
서적
Alt- und Neues Preussen oder Preussischer Historien Zwey Theile
Hallervorden
1684
[13]
서적
Encyclopaedia of Religion and Ethics
Charles Scribner's Sons
1917
[14]
서적
Zietelos Šnektos žodynas
Mokslo ir enciklopedijų leidybos institutas
1998
[15]
서적
Zietelos Šnektos tekstai. I dalis
Lietuvių kalbos institutas
2005
[16]
간행물
Concerning the Influence of the Western Balts on the Accentuation System of Western Lithuanian Dialects
Instytut Slawistyki Polskiej Akademii Nauk
[17]
서적
Lietuvių Kalbos Istorinė Gramatika
Mintis
[18]
서적
Druskininkų tarmės žodynas
Mokslas
[19]
서적
Lietuvių kalbos dialektologija
Mokslo ir enciklopedijų leidykla
[20]
간행물
Review. Baltų religijos ir mitologijos šaltiniai 2
http://www.elibrary.[...]
[21]
서적
Uvod u indoeuropsku lingvistiku : pregled jezikâ i poredbena fonologija
Matica hrvatska
[22]
웹사이트
Terra Sudorum. At one time scattered between the Neman and Western Bug Rivers, the Yotvingian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several Eastern European nations
http://ukrainianweek[...]
The Ukrainian Week
2012-11-24
[23]
서적
Балто-славянские исследования
http://www.inslav.ru[...]
Наука
[24]
서적
Балто-славянские исследования
Наука
[25]
문서
Possibly the priest was a native Belarusian, since some words in the "Polish" part were actually Belarusian
[26]
간행물
"The Pagan dialects from Narew" in the light of Yatvingian onomastic remnants
http://www.baltistu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