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심환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환지는 1730년에 태어나 1802년에 사망한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1771년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 정조 즉위 후 홍문관 부수찬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정조와는 정치적 노선을 달리했으나, 정조 사후에는 순조를 보필하며 영의정에 올랐다. 신유사옥을 주도하여 천주교를 탄압하고, 정조가 중용했던 세력을 제거하는 등 벽파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다. 사후에는 정조의 치적을 파괴한 역적으로 단죄되었으나, 고종 때 복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대호군 - 심온
    심온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태종 때 중용되어 세종 즉위 후 영의정에 올랐으나 역모 혐의로 사사된 후 문종 때 복권되었으며, 드라마에서 재조명되기도 했다.
  • 조선의 대호군 - 심효생
    심효생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조선 개국공신 3등에 책록되고 이조전서와 예문관 대제학을 역임했으며, 왕실과 인척관계를 맺었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 등과 함께 숙청되었다.
  • 노론 벽파 - 조엄 (조선)
    조엄은 조선 후기 문신이자 학자로, 영조의 탕평책을 지지하며 요직을 역임했고, 일본 통신사로 고구마를 들여왔으며, 저서로 《해사일기》와 《해행총재》가 있으나, 홍국영의 모함으로 유배되어 생을 마감했다.
  • 노론 벽파 - 조문명
    조문명은 김창협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숙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참의를 역임했으며, 경종실록 편찬과 이인좌의 난 진압에 기여하여 분무공신에 책록되고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영조의 탕평책에 앞장선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 조선 순조 - 영온옹주
    영온옹주는 조선 순조와 숙의 박씨의 외동딸이자 효명세자의 이복 여동생으로, 11세에 옹주로 책봉되었으나 병약하여 13세에 요절하였으며 효명세자의 깊은 슬픔을 자아냈다.
  • 조선 순조 - 수빈 박씨
    수빈 박씨는 조선 정조의 후궁이자 순조의 생모로, 정순왕후의 주도로 간택되어 정조와 혼인 후 온화한 성품으로 칭송받았으며, 순조 즉위 후 외척으로서 세도정치를 주도하였다.
심환지
기본 정보
이름심환지
원래 이름沈煥之
심환지 영정(보물 1480호)
출생일1730년
출생지조선 한성부
사망일1802년 10월 18일
사망지조선 경기도 포천군 포천면 별장
사인노환으로 병사
별명자는 휘원(輝元), 호는 만포(晩圃), 시호는 문충(文忠)
본관청송
국적조선
종교유교(성리학)
배우자안동 김씨 부인
자녀심능종(양자)
부모심진(부), 거창 신씨 부인(모)
형제심형지(아우)
친인척심약(숙부), 김원선(사위), 심태현(조부), 심연(재종질)
학력
학력1771년 정시문과 병과 급제
정치 경력
임기1800년 7월 4일 ~ 1802년 10월 18일
정당노론 벽파
군주정조 이산, 순조 이공
직책조선국 의정부 영의정

2. 생애

2. 1. 생애 초기

심환지는 1730년 명문가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교리를 지내고 좌찬성에 추증된 심태현(沈泰賢)이고 아버지는 의정부 영의정추증된 심진(沈鎭)이며, 어머니는 대사간을 지낸 신무일(愼無逸)의 딸 증 정경부인 거창신씨이다. 부인은 부사 김이복(金履福)의 딸 정경부인 (신)안동김씨이다.[1]

1762년 소과 진사시험에 합격하고 1771년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였다.[1] 이후 여러 관직을 지내고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이 되었다. 그 뒤 여러 벼슬을 거쳐 1777년 정조 즉위 후 홍문관 부수찬(弘文館副修撰)으로 전임되었다.[1] 관료 생활 초기 성리학적 대의명분에 입각한 의리(義理)와 공의(公議)를 중시하여, 언관으로 지내며 의리와 공의를 강조하는 격렬한 언론을 펼쳐 여러 차례의 유배와 귀양살이를 겪기도 하였다.[1] 초년의 심환지는 김귀주와 친하게 지내는 사이였으므로, 홍국영과는 사이가 좋지 않았다.[1] 그 후 홍국영이 몰락하자, 요직에 올라 김종수, 유언호 등과 함께 활동하였다.

2. 2. 정치 활동

1779년 홍문관부수찬으로 경연검토관(經筵檢討官)을 겸하였다. 곧 접위관(接慰官)으로 옮겼다가 다시 홍문관부교리(弘文館副校理)로 옮겼다.[1] 1784년 세자시강원문학(世子侍講院文學)을 겸하였고, 곧 승진하여 세자시강원필선(世子侍講院弼善)이 되었다. 1787년 충청도암행어사로 나가 민생을 시찰하고 돌아왔고, 그해 대사성(大司成)이 되었다.[1]

이후 당상관으로 승진, 1789년 사간원대사간, 1790년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 1791년 이조참의(吏曹參議)로 전임되었다. 1792년 가선대부 형조참판으로 승진하였으나 그해 평택안핵어사(平澤按覈御史)로 있던 김희채(金熙采)의 탄핵(彈劾)으로 김갑도(金甲島)에 위리안치되었다.

1793년 풀려나 복직되었고, 그해 이조참판, 승정원도승지, 규장각제학을 역임했다. 그해 다시 성균관대사성이 되었으며, 대사성으로 비변사제조를 겸했다.[1] 1794년 외직인 능주목사(綾州牧使)로 나갔다가 다시 돌아와 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에 제수되었다. 이어 규장각제학(奎章閣提學)으로 옮겼다.[1]

1795년 병조판서로 승진되었다. 이후 홍문관제학(弘文館提學)에 임명되었고, 지경연사(知經筵事)를 겸하였다. 그해 사헌부대사헌(司憲府大司憲)에 제수되었다가 다시 예조판서(禮曹判書), 형조판서(刑曹判書)를 거쳐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를 지내고 이조판서(吏曹判書)가 되었다. 이 기간 중 그는 벽파의 선봉장을 자처하여 남인계열의 채제공(蔡濟恭)·이가환(李家煥), 소론 계열의 서명선(徐命善) 등에 대한 비판과 공격, 탄핵에 앞장섰다.[1]

1795년 의정부우의정(議政府右議政)으로 승진, 1796년 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을 거쳐 1797년 행 대호군(大護軍)으로 전임되었다. 의정부우참찬(議政府右參贊), 1798년 의정부 우의정(議政府右議政)이 되었다. 1799년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겸하였고, 경모궁도제조(景慕宮都提調)를 겸하였으며, 의정부 좌의정(議政府左議政)으로 자리를 옮겼다.

2. 3. 순조 즉위 초반의 정치활동

심환지는 1800년 세자의 사부가 되어 세자시강원부(世子侍講院傅)를 겸하였다.

같은 해 정조가 갑자기 사망하자 정순왕후의 신임을 바탕으로 순조 즉위 초반 의정부 영의정(議政府領議政)에 올라 원상(院相)으로서 정무를 보며 내분을 수습하였다. 이어 정순왕후(貞純王后)의 수렴청정으로 남인소론시파가 몰락하고 벽파(僻派)가 집권하게 되었다.

심환지는 천주교에 대한 반대의사를 표명, 1802년 천주교 탄압을 이용하여 남인계열과 시파를 정치적으로 제거한 신유사옥을 주관하였다.[1][2] 이후 정조가 설정한 왕권 중심 군사적 구도의 핵심이며, 시파세력인 김조순(金祖淳) 계열이 진출, 장악하고 있던 장용영(壯勇營)을 혁파하였다.[1] 또한 김관주(金觀柱), 정일환(鄭日煥) 등 노론 강경파를 등용하여 남인, 소론노론 시파 등 반대파에 대한 공격과 탄압에 앞장서게 했으며, 권유(權裕)를 대사헌에 임명하는 등 같은 노론이면서도 시파에 속했던 김조순 등에 대한 공격을 유도, 지휘하였다.[1] 신유박해시파(時派)에 대대적 타격을 가하고 남인을 공격할 목적으로 천주교신봉자 교도에 대한 박해와 처벌에 가담했다.

2. 4. 사후

심환지는 1802년 10월 18일에 72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그 해 순조는 심환지에게 문충(文忠)이라는 시호를 내렸고, 대왕대비가 승지(承旨)를 보내어 예로써 치제(致祭)하였다.[1] 그러나 정순왕후 사후 노론 시파였던 김조순이 집권하면서 정조의 치적을 파괴한 역적으로 단죄되었다.

1806년 무고한 인명을 살해하고 순원왕후의 대혼(大婚)을 방해했다는 죄목으로 관직(官職)을 추탈 당하였다.[1]

고종 즉위 후, 1864년 7월에 복권되었다.[3]

3. 정조와의 관계

심환지는 노론 벽파(僻派)의 거두로 정조와 정치적으로 대립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2009년 2월에 발견된 어찰집(御札帖, 심환지와 정조가 나누었던 비밀 편지 모음)을 통해 밝혀진 사실에 의하면, 정조는 각종 현안이 있을 때마다 비밀 편지로 심환지와 미리 상의했으며, 때로는 서로 '각본'을 짜고 정책을 추진할 정도로 측근으로 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4] 정조는 그를 싫어하면서도, 다른 정승, 재상, 중신들에 대한 뒷담을 편지로 보냈고, 심지어는 욕설, 육두문자를 순화해서 편지로 보냈는데 그는 이에 대해 꼬박꼬박 응답했다. 그러나 당시 시국은 그를 김종수보다도 극단적인 인물로 비난, 매도했다.

4. 평가

심환지는 생전에는 불의에 타협하지 않고 진솔하며 원칙적이고 청렴하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정조와 정치적 노선을 달리하였으나 타협을 거부하였다.

그러나 사후 성격이 교활하다는 악평을 들었다. 정조 사후 그가 추진한 정책을 전부 되돌려버림으로써, 자신의 사후 4년 뒤 정조의 치적을 파괴한 역적으로 단죄되기도 하였다. 또한 신유박해를 주도하여 많은 사람들을 희생시켰고, 정적 제거에 앞장서 정치적 혼란을 야기했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정조 사후에는 정조의 개혁 정책을 후퇴시켰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4. 1. 긍정적 평가

심환지는 생전에 불의에 타협하지 않고 진솔하며 원칙적이고 청렴하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정조와 정치적 노선을 달리하였으나 타협을 거부하였다.

4. 2. 부정적 평가

심환지는 신유박해를 주도하여 많은 사람들을 희생시켰고, 정적 제거에 앞장서 정치적 혼란을 야기했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정조 사후에는 정조의 개혁 정책을 후퇴시켰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생전에는 불의에 타협하지 않고 진솔하며 원칙적이고 청렴했다는 평가도 있었으나, 성격이 교활하다는 악평을 받았다. 정조와 정치적 노선을 달리하며 타협을 거부했고, 정조 사후 그가 추진한 정책을 전부 되돌려버렸다. 이로 인해 자신의 사후 4년 뒤에는 정조의 치적을 파괴한 역적으로 단죄되기도 하였다.

5. 기타

심환지는 남인 정약용을 미워하면서도 그의 능력을 인정하여 특별 대우했다. 정약용을 추국하면서 "혼우(婚友)라도 믿을 수 있어야지"라고 중얼거린 것을 정약용이 여유당전서에 기록했다. 정약용의 둘째 아들 정학유1800년 초, 예조판서 심각의 손자 심오(沈澳)의 딸과 결혼했는데, 심오의 9대조 할아버지 심달원은 심환지의 10대조 할아버지 심연원의 친동생이었다. 심연원의 손자 심의겸과 그 후손들은 서인이 되었지만, 퇴계 이황의 문하생 고봉 기대승의 문하에서 수학한 심달원의 후손들은 그대로 동인, 남인 당원이 되었다.

6. 가족 관계

증조부 심속(沈速)은 증 영의정을 지냈고, 조부 심태현(沈泰賢)은 증 좌찬성, 아버지 심진(沈鎭)은 증 영의정을 지낸 명문가 출신이다. 어머니는 증 정경부인 거창신씨이다. 외조부 신무일(愼無逸)은 대사간을 역임했다. 동생으로는 심찬지(沈燦之), 심위지(沈위之), 심형지(沈炯之)가 있고, 심찬지는 심약(심진의 동생)에게 출가하였다. 부인은 정경부인 안동김씨이고, 장인은 김이복(金履福)이다.

장녀는 전주 이씨 이의헌에게, 차녀는 청풍 김씨 김원선에게 출가하였다. 양자 심능종(沈能種)은 생부 심찬지의 아들이며, 손자 심의요(沈宜堯)와 심의순(沈宜純)이 있다. 심의순은 심능경(심위지의 아들)에게 양자로 출가하였다. 자세한 가족 관계는 심이지 문서를 참조한다.

7. 심환지가 등장한 작품

7. 1. 영화

영화 영원한 제국에서 최종원이 심환지 역을 연기했다.

7. 2. TV 드라마

1989년 MBC 조선왕조 오백년 파문에서는 문회원이 연기하였다. 1994년 KBS 역사의 라이벌 9화에서는 이원종이 연기하였다. 2000년 KBS 소설 목민심서에서는 임혁이 연기하였다.

2007년부터 2008년까지 방영된 MBC 이산에서는 조경환이 심환지와 비슷한 가상 인물 최석주를 연기하였다. 같은 해 CGV에서 방영된 정조암살미스터리 8일에서는 박찬환이 심환지 역을 맡았다. 2021년 MBC 옷소매 붉은 끝동에서는 김병춘이 연기하였다.

7. 3. 뮤지컬

참조

[1] 웹사이트 심환지 - Daum 백과사전 http://enc.daum.net/[...]
[2] 문서 남인과 천주교
[3] 문서 1864년 영의정 복관 및 문충공 시호 교지
[4] 뉴스 정조 '막후정치' 입증 비밀편지 발굴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