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이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타이렌은 1839년 에두아르트 시몬에 의해 발견된 휘발성 액체로, 폴리스티렌 및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등 다양한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중요한 단량체이다. 자연적으로는 일부 식물과 식품에 소량 존재하며, 공업적으로는 주로 에틸벤젠을 탈수소화하여 생산한다. 스타이렌은 IARC에 의해 발암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분류되며, 신경 독성 및 자동 중합의 위험성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향족 탄화수소 - 벤젠
벤젠은 6개의 탄소 원자가 정육각형으로 배열된 방향족 탄화수소로, 높은 안정성을 가지며 유기 화합물 합성에 중요하게 사용되지만 발암물질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 방향족 탄화수소 - 페닐리튬
페닐리튬은 유기 합성에서 친핵체 및 강염기로 사용되는 유기리튬 화합물로, 디페닐수은과 리튬의 반응 등으로 합성되며 용매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갖고 공기나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여 불활성 기체 하에서 취급해야 한다. - IARC 2A군 발암 물질 - 폴리염화 바이페닐
폴리염화바이페닐(PCB)은 바이페닐 분자의 수소 원자가 염소 원자로 치환된 유기 화합물 혼합물로, 뛰어난 특성으로 과거 널리 사용되었으나, 환경 및 인체 유해성으로 현재는 생산과 사용이 금지되었으며, 오염 제거 및 관리가 주요 과제이다. - IARC 2A군 발암 물질 - 글리포세이트
글리포세이트는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제초제의 활성 성분으로, 농업, 임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장기적인 환경 및 건강 영향에 대한 우려와 안전성 논란, 저항성 잡초 문제로 사용 규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달콤한 냄새가 나는 화학 물질 - 클로로포름
클로로포름은 화학식 CHCl3을 갖는 무색의 휘발성 액체 유기 화합물로, 마취 효과가 있어 과거에 마취제로 사용되었으나 독성 문제로 현재는 냉매 생산, 유기 용매 등으로 사용되며, 발암 가능성과 유독 물질 생성 위험으로 취급에 주의가 필요하고 사용을 줄이는 추세이다. - 달콤한 냄새가 나는 화학 물질 - 벤젠
벤젠은 6개의 탄소 원자가 정육각형으로 배열된 방향족 탄화수소로, 높은 안정성을 가지며 유기 화합물 합성에 중요하게 사용되지만 발암물질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스타이렌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IUPAC 이름 | 스타이렌 (허용되는 관용명) |
체계적인 이름 | 에테닐벤젠 |
다른 이름 | 스타이렌 비닐벤젠 페닐에텐 페닐에틸렌 신나멘 스티롤 디아렉스 HF 77 스티롤렌 스티로폴 |
CAS 등록번호 | 100-42-5 |
베일슈타인 등록번호 | 1071236 |
ChemSpider ID | 7220 |
ChEBI | 27452 |
ChEMBL | 285235 |
EC 번호 | 202-851-5 |
Gmelin 등록번호 | 2991 |
RTECS | WL3675000 |
PubChem | 7501 |
KEGG | C07083 |
UNII | 44LJ2U959V |
UN 번호 | 2055 |
표준 InChI | 1S/C8H8/c1-2-8-6-4-3-5-7-8/h2-7H,1H2 |
표준 InChIKey | PPBRXRYQALVLMV-UHFFFAOYSA-N |
SMILES | c1ccccc1C=C |
속성 | |
화학식 | C8H8 |
분자량 | 104.15 g/mol |
외형 | 무색 유성 액체 |
냄새 | 달콤한 꽃향기 |
밀도 | 0.909 g/cm3 |
용해도 | 0.03% (20°C) |
녹는점 | -30 °C |
끓는점 | 145 °C |
점성 | 0.762 cP (20°C) |
굴절률 | 1.5469 |
증기압 | 5 mmHg (20°C) |
자기 감수율 | -6.82e-5 cm3/mol |
LogP | 2.70 |
상대 증기 밀도 | 3.6 |
구조 | |
쌍극자 모멘트 | 0.13 D |
위험성 | |
안전 데이터 시트 (SDS) | MSDS |
주요 위험 | 가연성, 독성, 아마도 발암성 |
인화점 | 31 °C |
NFPA 704 | NFPA-F: 3 NFPA-H: 2 NFPA-R: 2 |
GHS 신호어 | 위험 |
PEL (허용 노출 한도) | TWA 100 ppm C 200 ppm 600 ppm (3시간 동안 최대 피크 5분) |
폭발 한계 | 0.9–6.8% |
IDLH (즉시 생명 또는 건강에 위험한 농도) | 700 ppm |
LC50 (반수 치사 농도) | 2194 ppm (생쥐, 4시간) 5543 ppm (쥐, 4시간) |
REL (권장 노출 한도) | TWA 50 ppm (215 mg/m3), ST 100 ppm (425 mg/m3) |
LCLo (최저 치사 농도) | 10,000 ppm (인간, 30분) 2771 ppm (쥐, 4시간) |
관련 화합물 | |
기타 기능 그룹 | 스타이렌류 관련 방향족 화합물 |
관련 화합물 | 폴리스타이렌 스틸벤 에틸벤젠 |
2. 역사
1839년 독일의 약제사 에두아르트 시몬이 스티렌을 처음 분리한 이후, 여러 화학자들이 이 물질의 화학적 성질과 중합 반응을 연구했다. 한편, 다른 화학자들은 스토락스의 또 다른 성분인 계피산을 조사하여, 계피산이 탈카복실화되어 "시나멘"(또는 "시나몰")을 형성하며 이것이 스티렌인 것으로 보인다는 것을 발견했다.
2. 1. 초기 발견
1839년, 독일의 약제사 에두아르트 시몬은 아메리카 스위트검 나무(''Liquidambar styraciflua'')의 수지(스토락스 또는 스티락스(라틴어)라고 불림)로부터 휘발성 액체를 분리했다. 그는 이 액체를 "스티롤"(현재는 스티렌이라고 불림)이라고 불렀다.[8][9] 시몬은 스티롤이 공기, 빛 또는 열에 노출되면 점차 단단하고 고무 같은 물질로 변하는 것을 발견했고, 이를 "스티롤 산화물"이라고 불렀다.[10]2. 2. 화학적 성질 규명
1845년, 독일 화학자 아우구스트 빌헬름 폰 호프만과 그의 제자 존 버들 블라이스는 스티렌의 실험식이 C8H8임을 알아냈다.[11] 이들은 시몬이 "스티롤 산화물"(이후 "메타스티롤"로 변경)이라 명명한 물질이 스티렌과 동일한 실험식을 갖는다는 사실도 확인했다.[12] 더불어, "메타스티롤"을 건류하면 스티렌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13]2. 3. 중합 반응 발견
1865년, 독일의 화학자 에밀 에를렌마이어는 스티렌이 이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고,[14] 1866년 프랑스 화학자 마르셀랭 베르텔로는 "메타스티롤"이 스티렌의 중합체 (즉, 폴리스티렌)라고 말했다.[15]2. 4. 광학 활성 논쟁
1845년, 프랑스 화학자 에밀 코프는 계피산에서 유래한 시나멘과 스타이렌이 동일한 화합물이라고 제안했다.[16] 1866년, 에밀 에를렌마이어는 "시나몰"과 스타이렌이 모두 비닐벤젠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17] 그러나 계피산에서 얻은 스타이렌은 스토락스 수지를 증류하여 얻은 스타이렌과 달라 보였는데, 후자는 광학 활성을 가졌다.[18] 결국 1876년, 네덜란드 화학자 반트호프는 스토락스 수지를 증류하여 얻은 스타이렌의 광학 활성이 오염 물질 때문임을 밝혀냈다.[19]3. 자연적 존재
스타이렌은 알팅기아과 Liquidambar 나무의 수지인 스토라액스 발삼(상업적으로는 종종 "스타이락스"로 판매됨)에서 이름을 따왔다. 스타이렌은 계피, 커피 원두, 발삼 나무, 땅콩 등 일부 식물과 식품에 소량으로 자연적으로 존재하며,[7] 콜 타르에서도 발견된다.
4. 산업적 생산
스타이렌은 주로 에틸벤젠에서 생산되며,[20] 전 세계 에틸벤젠 생산량의 대부분은 스타이렌 생산에 사용된다. 따라서 두 생산 공정은 통합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에틸벤젠은 벤젠과 에텐 사이의 프리델-크래프츠 반응으로 만들어지는데, 초기에는 염화 알루미늄 촉매가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제올라이트가 사용된다.
에틸벤젠의 탈수소 반응은 흡열 반응이자 가역 반응이다.
2016년 일본의 스티렌 모노머 생산량은 194만 7843톤, 공업 소비량은 7만 3896톤이다.[62]
4. 1. 에틸벤젠 탈수소화
에틸벤젠의 탈수소 반응을 통해 스타이렌을 생산한다. 이 반응은 산화 철(III) 촉매 위에서 최대 600 °C의 과열된 증기를 사용하여 진행된다.[21] 이 반응은 흡열 반응이며 가역 반응으로, 일반적인 수율은 88~94%이다.생성된 에틸벤젠/스타이렌 혼합물은 증류를 통해 정제한다. 두 화합물은 끓는점 차이가 상압에서 9 °C에 불과하여 일련의 증류탑을 사용해야 한다. 이 과정은 에너지 집약적이며, 스타이렌이 열에 의해 폴리스타이렌으로 중합되는 경향 때문에[22] 시스템에 중합 방지제를 지속적으로 첨가해야 하는 추가적인 어려움이 있다.
오늘날에는 경제적인 이유로, 공업적으로 에틸벤젠을 철 촉매 등으로 탈수소화하는 방법 외에는 다른 방법은 사용되지 않는다.
4. 2. 에틸벤젠 하이드로퍼옥사이드 경유 (POSM/SMPO 공정)
에틸벤젠은 산소와 반응하여 에틸벤젠 하이드로퍼옥사이드를 형성한다. 이 하이드로퍼옥사이드는 이후 프로필렌을 프로필렌 옥사이드로 산화시키는 데 사용되며, 부산물로 1-페닐에탄올이 생성된다. 1-페닐에탄올을 탈수시켜 스타이렌을 얻는다.[62]4. 3. 기타 산업적 경로
열분해 가솔린에서 스티렌을 추출하는 방법은 제한적인 규모로 수행된다.[20]톨루엔과 메탄올을 반응시켜 스티렌을 생산하는 방법은 기존 공정보다 저렴한 원료를 사용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공정은 메탄올의 경쟁적인 분해로 인해 낮은 선택성 문제를 겪어왔다.[23] Exelus Inc.는 자체 개발한 제올라이트 촉매를 사용하여 400~425°C 및 대기압에서 상업적으로 실행 가능한 선택성을 갖는 공정을 개발했다고 주장한다. 이 공정을 통해 스티렌과 에틸벤젠의 약 9:1 혼합물이 얻어지며, 전체 스티렌 수율은 60% 이상인 것으로 보고된다.[25]
벤젠과 에테인을 반응시키는 또 다른 스티렌 제조 경로도 연구 개발 중이다. 이 공정은 스남프로게티(Snamprogetti)와 다우(Dow)에 의해 개발되고 있다. 에테인은 에틸벤젠과 함께 탈수소화 반응기에 공급되며, 이 반응기에는 스타이렌과 에틸렌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촉매가 사용된다. 탈수소화 반응 생성물은 냉각 및 분리 과정을 거치며, 에틸렌 스트림은 알킬화 장치로 재순환된다. 이 공정은 방향족 화합물의 비효율적인 회수, 다량의 중합체 및 타르 생성, 그리고 수소와 에테인의 비효율적인 분리 등 기존 공정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개발 중이다.
과거에는 에틸벤젠을 염소화한 후 탈염화수소로 올레핀을 만들거나, 에틸벤젠을 산화시킨 아세토페논을 환원시킨 페닐카비놀을 거쳐 탈수 반응으로 올레핀을 만드는 방법 등도 있었지만, 현재는 경제적인 이유로 촉매에 의한 탈수소화 방법 외에는 이용되지 않는다.
차세대 스티렌 제조법으로 톨루엔과 메탄올에 염기성 제올라이트 촉매를 작용시키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63]
5. 실험실 합성
실험실에서는 신남산의 탈카복실화를 통해 스타이렌을 제조할 수 있다.[27] 스타이렌은 처음 이 방법으로 제조되었다.[28]
6. 생합성
일부 식물, 세균, 곰팡이는 계피산 탈탄산 효소를 통해 계피산으로부터 스타이렌을 합성한다.[64] 대장균을 이용해 포도당으로부터 스타이렌을 대량 합성하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64] 또한, 계피 등 계피산을 포함하는 식품에서 효모에 의해 스타이렌이 생성되어 석유 냄새가 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65]
7. 용도
스타이렌은 주로 중합 반응을 통해 다양한 고분자 화합물의 원료로 사용된다.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타이렌(ABS), 스타이렌-부타디엔(SBR) 고무, 스타이렌-부타디엔 라텍스, SIS(스타이렌-이소프렌-스타이렌), S-EB-S(스타이렌-에틸렌/부틸렌-스타이렌), 스타이렌-디비닐벤젠(S-DVB), 스타이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SAN), 불포화 폴리에스터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재료는 고무, 플라스틱, 단열재, 유리 섬유, 파이프, 자동차 및 보트 부품, 식품 용기, 카펫 뒷면 등 다양한 제품에 사용된다.
7. 1. 폴리스티렌
라디칼 중합으로 얻어지는 폴리스티렌은 열가소성 수지로, 폴리에틸렌, 폴리염화 비닐과 함께 중요한 합성 수지이다. 폴리스티렌은 투명 용기로 사용되며, 발포 스티롤은 식료품 보온 용기나 완충재로 널리 쓰인다. 또한, 폴리스티렌 수지는 프라모델 성형 재료로 ABS 수지와 함께 중요한 소재이다.7. 2.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BR)
스타이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인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BR)는 타이어, 신발 밑창 등 다양한 고무 제품에 사용된다.[1]7. 3. 기타 고분자 화합물
스타이렌은 비닐기를 가지고 있어 중합 반응을 통해 다양한 고분자 화합물을 생성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중요한 제품으로는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스타이렌-부타디엔(SBR) 고무, 스타이렌-부타디엔 라텍스, SIS(스타이렌-이소프렌-스타이렌), S-EB-S(스타이렌-에틸렌/부틸렌-스타이렌), 스타이렌-디비닐벤젠(S-DVB), 스타이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SAN), 불포화 폴리에스터 등이 있다. 이러한 재료는 고무, 플라스틱, 단열재, 유리 섬유, 파이프, 자동차 및 보트 부품, 식품 용기, 카펫 뒷면 등에 사용된다.스타이렌은 주로 중합용 단량체(모노머)로 이용되며, 이온 중합, 배위 중합 등으로 생성되는 공중합체(코폴리머)로서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를 시작으로 엘라스토머, 열경화성 수지, 에멀젼 등 많은 합성 수지의 원료로도 이용된다.[1]
라디칼 중합으로 얻어지는 폴리스티렌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에틸렌, 폴리염화 비닐과 함께 중요한 합성 수지이다. 폴리스티렌은 투명 용기로, 폴리스티렌 폼(발포 스티롤)은 식료품 보온 용기나 완충재로 사용된다. 또한, 폴리스티렌 수지는 프라모델 성형 재료로 ABS 수지와 함께 중요한 소재이다.[2]
8. 안전성 및 유해성
스타이렌은 IARC에서 발암성 가능성이 있는 물질(그룹 2B)로 분류했으며, GHS 분류에서는 발암, 생식 능력 또는 태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위험 유해성 정보가 있다.[48][49] 그러나 ACGIH에서는 발암성이 없는 물질(A4)로 분류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소방법에 따라 인화성 물질인 위험물 제4류로 지정되어 있으며, 작업 환경 관리 농도는 20ppm이다. 2012년 10월 1일부터 시행된 개정 여성 규칙에 따라 규제 대상 물질이 되었으며, 노동 안전 위생법상 제2류 물질 특별 유기 용제 등으로도 지정되어 있다.
액체 또는 기체 상태의 순수한 스타이렌은 외부 개시제 없이도 자발적으로 폴리스티렌으로 중합되는 자동 중합 반응을 일으킨다. 100°C에서 시간당 약 2%의 속도로 자동 중합되며, 온도가 높을수록 속도가 빨라진다. 자동 중합 반응은 발열 반응이므로 열 폭주로 인한 폭발 위험이 있어, 중합 억제제를 지속적으로 첨가하여 제어해야 한다.[22][29][30][31][32]
대한민국 노동법은 스타이렌의 작업 환경 관리 농도를 20ppm으로 규정하고 있다.[1] 스타이렌 취급 작업장에서는 적절한 환기 시설을 갖추고, 개인 보호 장비를 착용해야 한다. 노동 안전 위생법의 제2류 물질특별 유기 용제 등에도 지정되어 있다.[1]
8. 1. 발암성
국제 암 연구 기관(IARC)은 스타이렌을 "인간에게 발암 가능성이 있는 물질(Group 2B)"로 분류하고 있다.[48][49] 미국 국립 독성 프로그램(NTP)은 스타이렌을 "인간 발암 물질로 합리적으로 예상되는 물질"로 분류하고 있다.[39][40][47]여러 연구에서 스타이렌 노출과 암 발생 위험 증가 사이의 연관성이 보고되었지만, 명확한 인과 관계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통계 평가 서비스(STATS)의 한 저자는 과학 문헌 검토를 통해 "이용 가능한 역학적 증거는 스타이렌 노출과 어떤 유형의 인간 암 사이에도 인과 관계를 뒷받침하지 않는다"고 결론 내렸다.[41][42] 그러나 덴마크 연구원들은 스타이렌에 대한 직업적 노출과 암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강화된 플라스틱 산업에서 주로 스타이렌에 대한 노출과 신경계 퇴행성 질환 및 췌장암 사이의 가능한 연관성은 주목할 가치가 있다"고 결론 내렸다.[43] 2012년, EPA 네트워크(덴마크 EPA)는 스타이렌 데이터가 스타이렌에 대한 암 우려를 뒷받침하지 않는다고 결론 내렸다.[44]
미국 환경 보호청(EPA)은 스타이렌에 대한 암 분류는 없지만,[45] 통합 위험 정보 시스템(IRIS) 프로그램의 대상이 되어 왔다.[46]
일본에서는 소방법에 의해 위험물 제4류(인화성이 있는 물질)로 지정되어 있으며, 노동 안전 위생법의 제2류 물질특별 유기 용제 등에도 지정되어 있다. 작업 환경의 관리 농도는 20ppm이다.
8. 2. 기타 유해성
스타이렌은 여러 자료에서 눈, 피부 접촉, 섭취 및 흡입 시 "알려진 발암 물질"로 간주된다.[20][33][34][35] 미국 환경 보호청(EPA)은 스타이렌을 "위장관, 신장 및 호흡기에 대한 유해 물질로 의심된다"고 설명했다.[37][38]스타이렌의 신경독성[50] 특성 또한 연구되었으며, 보고된 영향에는 시력[51] (이후 연구에서 재현할 수 없었지만[52])과 청력 기능에 미치는 영향이 포함된다.[53][54][55][56] 쥐에 대한 연구는 상반된 결과를 낳았지만,[54][55] 역학적 연구에서는 청력 문제를 유발하는 소음과의 상승 작용을 관찰했다.[57][58][59][60]
국제 암 연구 기관은 스타이렌을 "인간에게 발암성이 있을 가능성이 높음"으로 간주한다.[48][49]
일본에서는 소방법에 의해 위험물 제4류(인화성이 있는 물질)로 지정되어 있다. 작업 환경의 관리 농도는 20ppm이다. 2012년 10월 1일 시행된 개정 여성 규칙에서 규제의 대상 물질이 되었으며, 노동 안전 위생법의 제2류 물질 특별 유기 용제 등에도 지정되어 있다.
8. 3. 자동 중합
액체 또는 기체 상태의 순수한 스타이렌은 외부 개시제 없이도 자발적으로 폴리스티렌으로 중합된다.[29] 이것을 ''자동 중합''이라고 한다. 100°C에서 시간당 약 2%의 속도로 자동 중합되며, 더 높은 온도에서는 이보다 더 빠르게 중합된다.[22] 자동 중합 반응은 발열 반응이므로 자기 가속이 가능하며, 열 폭주의 실제 위험이 있어 폭발로 이어질 수 있다. 예로는 2019년 유조선 ''스톨트 그로엔랜드''의 폭발,[30] 필립스 석유 회사(Phillips Petroleum Company)에서 발생한 1999년과 2000년의 폭발, 그리고 2020년 여러 명의 사망자를 낸 비사카파트남 가스 누출을 야기한 스타이렌 탱크의 과열 등이 있다.[31][32] 자동 중합 반응은 중합 억제제를 지속적으로 첨가해야만 제어할 수 있다.8. 4. 작업 환경 관리
대한민국 노동법은 스타이렌의 작업 환경 관리 농도를 20ppm으로 규정하고 있다.[1] 스타이렌 취급 작업장에서는 적절한 환기 시설을 갖추고, 개인 보호 장비를 착용해야 한다. 노동 안전 위생법의 제2류 물질특별 유기 용제 등에도 지정되어 있다.[1]참조
[1]
웹사이트
7501#section=IUPAC-Name
https://pubchem.ncbi[...]
[2]
서적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Blue Book)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3]
웹사이트
Styrene
https://www.chemsrc.[...]
[4]
간행물
PGCH
[5]
간행물
IDLH
[6]
웹사이트
New Process for Producing Styrene Cuts Costs, Saves Energy, and Reduces Greenhouse Gas Emissions
http://www1.eere.ene[...]
US Department of Energy
[7]
논문
Determination of styrene in selected foods
http://agris.fao.org[...]
1994
[8]
문서
"Ueber den flüssigen Storax (Styrax liquidus)"
https://babel.hathit[...]
1839
[9]
웹사이트
Die ätherischen Öle nach ihren chemischen Bestandteilen unter Berücksichtigung der geschichtlichen Entwicklung
https://books.google[...]
Veit & Co.
1907
[10]
문서
Styrol
1839
[11]
논문
On styrole, and some of the products of its decomposition
https://books.google[...]
1845
[12]
문서
On styrole, and some of the products of its decomposition
1845
[13]
문서
Styrol
1845
[14]
문서
"Ueber Distyrol, ein neues Polymere des Styrols"
https://babel.hathit[...]
1865
[15]
문서
"Sur les caractères de la benzine et du styrolène, comparés avec ceux des autres carbures d'hydrogène"
https://archive.org/[...]
1866
[16]
웹사이트
"Recherches sur l'acide cinnamique et sur le cinnamène"
http://gallica.bnf.f[...]
1845
[17]
문서
Studien über die s.g. aromatischen Säuren
https://babel.hathit[...]
1866
[18]
논문
Sur les états isomériques du styrolène
https://babel.hathit[...]
1867
[19]
문서
"Die Identität von Styrol und Cinnamol, ein neuer Körper aus Styrax"
1876
[20]
간행물
Styrene
[21]
논문
Iron Oxide Catalysts for Dehydrogenation of Ethylbenzene in the Presence of Steam
2006-12-13
[22]
논문
The Mechanism of the Self-Initiated Thermal Polymerization of Styrene. Theoretical Solution of a Classic Problem
2005-02
[23]
논문
Alkylation on synthetic zeolites: III. Alkylation of toluene with methanol and formaldehyde on alkali cation exchanged zeolites
[24]
웹사이트
Welcome to ICIS
http://www.icis.com/[...]
2018-05-01
[25]
뉴스
Chemical & Engineering News
2007-03-19
[26]
웹사이트
CHEMSYSTEMS.COM
http://www.chemsyste[...]
2018-05-01
[27]
간행물
Phenylethylene (Styrene)
[28]
논문
"Ueber die Additionsproducte der Zimmtssaure" in "Untersuchungen über die ungesättigten Säuren. I. Weitere Beiträge zur Kenntniß der Fumarsäure und Maleïnsäure" Rudolph Fittig, Camille Petri
[29]
논문
Oxidation of Unsaturated Compounds. I. The Oxidation of Styrene
1956-03
[30]
웹사이트
Report on the investigation of the cargo tank explosion and fire on board the chemical tanker Stolt Groenland
https://assets.publi[...]
e UK Marine Accident Investigation Branch
[31]
뉴스
Vizag Gas Leak Live News: Eleven dead, several hospitalised after toxic gas leak from LG Polymers plant
https://economictime[...]
2020-05-07
[32]
뉴스
Hundreds in hospital after leak at Indian chemical factory closed by lockdown
https://www.theguard[...]
2020-05-07
[33]
웹사이트
Material Safety Data Sheet Styrene (monomer) MSDS
http://www.sciencela[...]
MSDS
2010-11-01
[34]
웹사이트
OPPT Chemical Fact Sheets (Styrene) Fact Sheet: Support Document (CAS No. 100-42-5)
http://www.epa.gov/c[...]
US EPA
1994-12
[3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atsdr.cdc[...]
2008-04-06
[36]
논문
Metabolism and toxicity of styrene
http://ehis.niehs.ni[...]
[37]
웹사이트
EPA settles case against Phoenix company for toxic chemical reporting violations
http://yosemite.epa.[...]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8-02-11
[38]
웹사이트
EPA Fines California Hot Tub Manufacturer for Toxic Chemical Release Reporting Violations
http://yosemite.epa.[...]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8-02-11
[39]
뉴스
Government Says 2 Common Materials Pose Risk of Cancer
https://www.nytimes.[...]
2011-06-11
[40]
웹사이트
12th Report on Carcinogens
https://ntp.niehs.ni[...]
National Toxicology Program
2011-06-11
[41]
웹사이트
STATS: Styrene in the Crosshairs: Competing Standards Confuse Public, Regulators
http://stats.org/sto[...]
2012-09-24
[42]
간행물
Epidemiologic Studies of Styrene and Cancer: A Review of the Literature
http://journals.lww.[...]
2009-11
[43]
논문
Exposure to styrene and chronic health effects: mortality and incidence of solid cancers in the Danish reinforced plastics industry.
1995-05
[4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composite[...]
Danish EPA 2011 review
2012-02-15
[45]
웹사이트
Styrene (CASRN 100-42-5) | Region | US EPA
http://www.epa.gov/i[...]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9-10-18
[46]
웹사이트
EPA IRIS track styrene page
http://cfpub.epa.gov[...]
2018-05-01
[47]
웹사이트
Styrene entry in National Toxicology Program's Thirteenth Report on Carcinogens
http://ntp.niehs.nih[...]
2018-05-01
[48]
논문
Carcinogenicity of quinoline, styrene, and styrene-7,8-oxide
2018
[49]
웹사이트
After 40 years in limbo: Styrene is probably carcinogenic
https://www.scienced[...]
2020-03-31
[50]
논문
Neurotoxic effects of styrene: further evidence
1990-01
[51]
논문
Assessment of the peripheral, central,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function in styrene workers
1991
[52]
논문
Occupational styrene exposure, colour vision and contrast sensitivity: a cohort study with repeated measurements
2009-03-29
[53]
논문
Impact of noise or styrene exposure on the kinetics of presbycusis
2011-10
[54]
논문
Combined effects of noise and styrene on hearing: comparison between active and sedentary rats
2005-04
[55]
논문
Neuropharmacological and cochleotoxic effects of styrene. Consequences on noise exposures
2014-07
[56]
서적
Occupational exposure to chemicals and hearing impairment
University of Gothenburg
2010
[57]
논문
Ototoxic effects of occupational exposure to styrene and co-exposure to styrene and noise
2003-01
[58]
논문
A multicenter study on the audiometric findings of styrene-exposed workers
2011-10
[59]
논문
Otoacoustic emission sensitivity to exposure to styrene and noise
2013-11
[60]
웹사이트
Preventing hearing loss caused by chemical (ototoxicity) and noise exposure. SHIB 03-08-2018: DHHS (NIOSH) Publication No. 2018-124
https://www.cdc.gov/[...]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and the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61]
문서
SIGMA-ALDRICH
https://www.sigmaald[...]
[62]
문서
経済産業省生産動態統計年報 化学工業統計編
https://www.meti.go.[...]
[63]
간행물
Styrene Breakthrough
2007
[64]
논문
Styrene biosynthesis from glucose by engineered E. coli
[65]
웹사이트
酵母による食品の変敗と防止技術
http://www.mac.or.jp[...]
2012-12-23
[66]
서적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Blue Book)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67]
웹인용
Styrene
https://www.chemsrc.[...]
[68]
문서
0571
[69]
문서
Styre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