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슬픈 열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슬픈 열대》는 클로드 레비스트로스가 유럽을 떠나 신세계와 열대 지방을 여행하며 브라질 원주민 부족들과 함께 생활한 경험을 담은 책이다. 9부 3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주민들의 심성, 사고방식, 사회조직, 생활양식, 종교, 예술 등을 섬세하게 재현하여 문명과 미개의 이분법적 구분을 비판하고, 서구 합리성을 넘어선 의미의 범주를 보여준다. 이 책은 레비스트로스의 여행 경험과 성찰을 통해 인류학적 통찰을 제시하며, 서구 중심적 사고에 대한 비판, 환경 파괴와 전통 문화의 단절, 세계화 시대의 문화적 문제 등을 다룬다. 출판 당시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구조주의의 기틀을 마련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5년 책 - 고지엔
    고지엔은 신무라 이즈루가 편찬하고 이와나미 쇼텐에서 발행한 일본의 대표적인 국어 사전으로, 방대한 어휘와 상세한 해설로 권위를 인정받지만 역사 인식 관련 논쟁도 있었다.
  • 1955년 책 - 유란시아서
    유란시아서는 1955년 출판된 종교적, 철학적 서적으로 우주의 기원, 하느님의 본성, 인간의 역사와 미래, 예수의 생애와 가르침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익명의 천상 존재들이 저술했다고 주장하지만 저작권, 과학적, 표절 의혹 등 비판도 존재하며 추종자들을 형성하고 있다.
  • 기행문 - 대당서역기
    대당서역기는 당나라 승려 현장이 인도를 여행하고 돌아와 기록한 기행문으로, 중앙아시아와 인도 아대륙의 여러 국가들의 지리, 문화, 종교, 풍습 등을 기록하여 역사학, 고고학, 불교학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서유기의 모티브가 되기도 하였다.
  • 기행문 - 동방견문록
    《동방견문록》은 마르코 폴로가 서아시아, 중앙아시아를 거쳐 원나라에 체류하며 보고 들은 내용을 기록한 탐험 보고서로, 여러 지역의 풍물과 산물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대항해시대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내용의 진정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 회고록 - 수용소 군도
    《수용소 군도》는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이 소련의 강제 노동 수용소 굴라그의 역사, 운영, 수감자 삶, 사회적 영향 등을 다룬 작품으로, 굴라그 시스템 전반의 실태를 폭로하여 서방 세계에서 논쟁을 일으켰고, 공산주의 국가들의 과거사 청산에 영향을 미친 전체주의 체제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중요한 문학 작품이다.
  • 회고록 - 소소한 이야기
    《소소한 이야기》는 알퐁스 도데의 유년 시절부터 작가로 성공하기까지의 초기 시절을 회상하는 반자전적 작품이며, 얀 마텔이 어린 시절 가장 기억에 남는 책으로 꼽을 만큼 시대를 초월하여 독자들에게 감동을 주고, 1938년에는 영화로 제작되기도 했다.
슬픈 열대 - [서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슬픈 열대의 첫 번째 판 표지
슬픈 열대의 첫 번째 판 표지
원제Tristes Tropiques
저자클로드 레비-스트로스
삽화가(정보 없음)
번역가존 러셀
국가프랑스, 브라질
언어프랑스어
시리즈Collection Terre humaine
주제인류학
출판1955년 (Librairie Plon, 프랑스어)
미디어 유형인쇄
페이지 수404 (1961년 영어판)
ISBN2-266-11982-6

2. 내용

슬픈 열대》는 총 9부 3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레비스트로스가 유럽을 떠나 신세계와 열대 지방을 방문하고 브라질 원주민 부족들과 함께 생활하며 겪은 경험과 성찰을 상세하게 다룬다. 이 책은 가장 원시적인 가장 자연적인 상태의 삶을 사는 네 개의 미개인 부족과 함께 지내면서 그들의 심성과 사고방식, 사회조직과 생활양식, 종교의례, 예술상징 등을 섬세하게 재현하고, 이를 통해 그들이 본질에서는 문명인과 다를 바 없으며 오히려 서구의 합리성을 넘어선 더 넓은 ‘의미의 범주’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11] 여기서 그는 서구의 ‘문명’과 비서구의 ‘미개’를 별개의 것으로 논하던 종래의 습관을 벗어나서 이 둘이 하나의 체계 속에서 관계를 맺고 있음을 발견하는 탁월한 시각을 갖게 되고, 문명과 미개가 모두 서구인의 욕망이 발명한 상상의 실체에 불과하다는 것을 발견한다.[11]

각 부의 제목은 다음과 같다:


  • 제1부 여행의 종말
  • 제2부 여행의 단장
  • 제3부 신세계
  • 제4부 토지와 인간
  • 제5부 카두베오족
  • 제6부 보로로족
  • 제7부 남비콰라족
  • 제8부 투피-카와히브족
  • 제9부 회귀

2. 1. 구성

이 책은 9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36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11]

제1부에서 3부까지는 레비-스트로스가 유럽을 떠나 신세계와 열대 지방을 방문한 것에 대한 성찰을 상세히 다루며, 그의 첫인상과 이후 방문을 비교하고, 상파울루 대학교 설립 당시 교수로 재직했던 경험들을 이야기한다.

제4부 '지구와 그 거주자들'은 남아메리카 정착촌의 발전에 대한 지리적 분석과 함께, 인도와 현재 파키스탄, 방글라데시의 사회 구조에 대한 부록을 제시한다.

제5부에서 8부까지는 각각 브라질 원주민 문화 집단인 카두베오족(구아이쿠루) , 보로로족, 남비콰라족, 그리고 투피-카와히브족에 초점을 맞추면서, 그 외 많은 주제들을 다룬다. 이 책은 가장 원시적인 가장 자연적인 상태의 삶을 사는 네 개의 미개인 부족과 함께 지내면서 그들의 심성과 사고방식, 사회조직과 생활양식, 종교의례, 예술상징 등을 섬세하게 재현하고, 이를 통해 그들이 본질에서는 문명인과 다를 바 없으며 오히려 서구의 합리성을 넘어선 더 넓은 ‘의미의 범주’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11] 여기서 그는 서구의 ‘문명’과 비서구의 ‘미개’를 별개의 것으로 논하던 종래의 습관을 벗어나서 이 둘이 하나의 체계 속에서 관계를 맺고 있음을 발견하는 탁월한 시각을 갖게 되고, 문명과 미개가 모두 서구인의 욕망이 발명한 상상의 실체에 불과하다는 것을 발견한다.[11]

제9부 '귀환'은 책의 마지막 부분으로, 특히 인류학의 본질과 목적, 여행이 정신에 미치는 영향, 세계 문화 속에서 불교이슬람교의 역할, 인류의 우주 속 위치와 우리와 세상, 그리고 서로 간의 연결에 대한 성찰을 담고 있다.

2. 2. 주요 내용 (한국적 관점)

레비스트로스는 서구 중심적 사고에서 비롯된 '문명'과 '미개'의 이분법적 구분을 비판하고, 비서구 사회의 문화와 사고방식이 서구의 합리성 못지않은 가치와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강조한다.[11] 그는 문명과 미개가 모두 서구인의 욕망이 발명한 상상의 실체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11] 이는 전통적으로 서구 문명을 동경하고 발전 모델로 삼아온 한국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한, 레비스트로스는 개발과 발전이라는 명목하에 파괴되는 환경과 사라져가는 전통 문화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한다. 이는 급속한 경제 성장을 경험하면서 환경 파괴와 전통 문화 단절이라는 문제를 겪은 한국 사회에 경종을 울리는 메시지이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환경 문제와 전통 문화 보존에 대한 관심이 높다.

레비스트로스는 여행과 관광을 통해 전 세계가 하나의 '단일 문화'로 수렴되는 현상에 대해 우려를 표한다. 이는 세계화 시대에 한국 사회가 고민해야 할 문제, 즉 전통 문화를 보존하고 고유한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세계와 소통하는 방법에 대한 중요한 화두를 던진다.

3. 문체 및 스타일

"나는 여행과 탐험가를 싫어한다"라는 첫 문장은 반어법으로 유명하다. 이 책은 대체로 매우 반성적이며, 때로는 대화체에 가까운 유연한 문체를 사용한다.[2] 텍스트 구조는 매우 복잡하여 수많은 장소, 시간, 아이디어를 연결한다. 예를 들어, 1부 "여행의 종말"은 1935년 레비스트로스의 첫 브라질 여행, 1941년 뉴욕으로의 프랑스 탈출, 그리고 이후 남아메리카 방문을 기억을 모방한 스타일로 연결한다.

레비스트로스는 요점을 강조하기 위해 표면적으로 다양한 실체나 아이디어를 자주 연결한다. 고대 인더스 문명 도시와 20세기 중반 미국의 도시를 비교하는 것이 그 예시이다.[3]

이 작품은 '잃어버린' 신세계를 애도하는 시적인 어조를 유지하면서도, 인류학자의 '객관적인 관찰자'로서의 이상화된 지위에 대한 양가성을 드러낸다.[4][5] 레비스트로스는 환경에 대한 개발의 영향, 여행관광을 통한 세계의 '축소', 그리고 그 결과로 나타나는 '단일 문화'의 출현에 대한 평가를 제공한다.

4. 비평 및 영향

《슬픈 열대》는 출판 당시 좋은 평가를 받았다.[6] 공쿠르 상 주최측은 《슬픈 열대》가 논픽션이라는 이유로 레비스트로스에게 상을 수여할 수 없었던 것을 아쉬워했다.[6] 조르주 바타유는 호의적인 서평을 썼고,[7] 수전 손택은 이 책을 20세기의 '위대한 책' 중 하나로 꼽았다.[8]

남경태는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언어학적 사상을 이어받아 구조주의의 기틀을 확립한 인물로 레비스트로스를 평가했다.[12] 그러나 레비스트로스 본인은 자신을 구조주의자로 불리는 것을 부정하며, 미셸 푸코의 작업과의 유사성도 찾지 못했다고 언급했다. 김광억은 《슬픈 열대》를 단순한 여행기가 아니라, 서구 지식의 면밀한 분석을 동반한 진지한 참회록으로 평가했다.[11]

5. 한국어 번역

원작은 프랑스어이며, 이후 한국어, 영어 등 많은 언어로 번역되었다.

6. 관련 자료

6. 1. 영상


  • 다큐멘터리 52': "슬픈 열대"에 관하여 1991 - 슈퍼 16 필름

6. 2. 레비스트로스 저작

참조

[1] 서적 Tristes Tropiques Atheneum 1955
[2] 문서 Tristes Tropiques
[3] 문서 Tristes Tropiques
[4] 문서 Tristes Tropiques
[5] 문서 Tristes Tropiques
[6] 위키백과 Claude Lévi-Strauss
[7] 간행물 'Un livre humain, un grand livre' Critique 1956-02
[8] 웹사이트 A Hero of our Time https://www.nybooks.[...] 1963-11-28
[9] 웹사이트 クロード・レヴィ=ストロースが100歳の誕生日 http://www.ambafranc[...] 在日フランス大使館
[10] 서적 文学の墓場〜20世紀文学の最終目録〜 角川書店 2003
[11] 웹인용 김광억, “슬픈열대-클로드 레비스트로스” http://www.donga.com[...] 2009-06-04
[12] 서적 철학 들녘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