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 커뮤니케이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각 커뮤니케이션은 기호, 신호, 심볼, 그림, 도표, 그래프 등을 활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이다.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역사는 올더스 헉슬리, 막스 베르트하이머, 쿠르트 코프카, 볼프강 쾰러 등의 연구를 통해 발전해왔으며, 개인적, 역사적, 기술적, 윤리적, 문화적, 비판적 관점에서 이미지를 분석한다.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구성 요소로는 계층 구조, 색상, 형태, 음영, 질감, 전경-배경, 균형 등이 있으며, 시각 리터러시, 기호학, 소셜 미디어, 문화, 정치, 경제, 과학 및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특히 정치에서는 주장, 의제 설정, 극화, 감정, 이미지 구축, 동일시, 문서화, 사회적 상징, 수송, 모호성 기능을 수행하며, 경제학에서는 그래프와 차트, 과학 및 의학에서는 시각적 요소가 정보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론정보학 -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은 정보 전달을 의미하며, 다양한 매개체를 통해 개인, 집단, 국가 간에 발생하고, 학문 분야에 따라 정의가 다르며, 여러 모델과 언어적/비언어적 요소를 포함하는 인간 의사소통과 다른 생물 종 및 시스템에서의 의사소통 방식을 다학제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 언론정보학 - 의미 (철학)
의미(철학)는 단어, 기호, 아이디어 등의 의미를 다루는 철학의 한 분야이며, 진리, 정합성, 구성주의, 합의, 실용주의 등의 이론을 통해 의미를 설명하고, 20세기 분석철학에서는 언어 사용과 발화 행위, 대화의 협력 원리 등을 통해 의미를 탐구한다. -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는 광고, 패션, 게임, 영화,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아이디어를 기획하고 실행하며 팀을 이끄는 역할을 한다. -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 광고 캠페인
광고 캠페인은 조직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련의 마케팅 활동이며,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타겟 시장에 도달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전략을 활용한다. - 광 통신 - 다크 파이버
다크 파이버는 통신 사업자가 사용하지 않는 비어있는 광섬유 케이블을 의미하며, 케이블 설치 비용 절감을 위해 수요보다 더 많은 광섬유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 광 통신 - 횃불
횃불은 나무 막대기에 인화성 물질을 감아 만든 도구로, 고대부터 조명, 신호, 의식, 상징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자유, 계몽, 희망과 같은 긍정적인 의미와 죽음, 애도의 의미를 동시에 지닌다.
시각 커뮤니케이션 | |
---|---|
시각 커뮤니케이션 | |
정의 | 시각적 요소를 사용하여 아이디어를 전달하는 과정 |
활용 분야 | 간판 타이포그래피 그림 그래픽 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 산업 디자인 광고 애니메이션 전자 자원 |
관련 분야 | 시각 디자인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디자인 |
주요 요소 | 시각적 기호 (기호, 아이콘, 이미지, 그래픽) |
의미 전달 방법 | 이미지, 색상, 타이포그래피, 레이아웃 등 다양한 시각적 요소의 조합 |
목적 | 정보 전달, 설득, 감정 표현, 미적 즐거움 제공 |
고려 사항 | 대상 청중, 메시지의 명확성, 문화적 맥락 |
장점 | 언어 장벽 극복, 즉각적인 이해, 강력한 인상 |
단점 | 오해의 가능성, 문화적 해석의 차이 |
예시 | 교통 표지판, 광고 포스터, 웹사이트 디자인 |
발전 방향 | 기술 발전과 함께 새로운 형태의 시각 커뮤니케이션 등장 (예: 가상 현실, 증강 현실) |
핵심 개념 | 시각적 문법, 기호학, 인지 심리학 |
디자인 원칙 | 균형, 대비, 강조, 통일성, 리듬 |
정보 디자인 | 정보의 시각적 표현을 통해 이해를 돕는 디자인 분야 |
사용자 경험 (UX) 디자인 | 사용자의 시각적 경험을 최적화하는 디자인 분야 |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 시각적 요소를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 디자인 분야 |
광고 디자인 | 시각적 요소를 통해 제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하는 디자인 분야 |
편집 디자인 | 잡지, 책 등의 시각적 레이아웃을 디자인하는 분야 |
전시 디자인 | 전시 공간의 시각적 요소를 디자인하는 분야 |
환경 디자인 | 환경의 시각적 요소를 디자인하는 분야 |
공공 디자인 | 공공 공간의 시각적 요소를 디자인하는 분야 |
인터랙티브 디자인 |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시각적 요소를 디자인하는 분야 |
2.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역사와 주요 인물
시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논의는 수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8] 훌륭한 시각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은 청중의 이해도를 측정하는 것을 기반으로 평가하는데, 이는 미학에 대한 보편적인 합의가 없기 때문이다.[9] 이메일 등 텍스트 매체를 통한 시각 커뮤니케이션은 아스키 아트, 이모티콘, 디지털 이미지 등으로 표현된다. 시각 커뮤니케이션은 사람들이 정보를 소통하고 공유하는 데 가장 중요한 방법 중 하나가 되었다.[10] '시각적 프레젠테이션'은 텍스트나 이미지와 같은 시각적 매체를 통해 정보를 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웹 디자인과 그래픽 지향적 사용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11]
올더스 헉슬리, 막스 베르트하이머, 쿠르트 코프카, 볼프강 쾰러 등은 시각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한 인물들이다.
2. 1. 주요 인물
올더스 헉슬리는 시각 커뮤니케이션과 시각 관련 이론의 탐구자로 잘 알려져 있다.[12] 10대 시절 질병으로 시력을 거의 잃은 경험은 그의 접근 방식에 영향을 주었다. 그의 작품에는 과학 발전의 비인간적인 측면을 다룬 ''멋진 신세계''와 ''보는 기술''과 같은 중요한 소설들이 있다. 그는 "보기"를 감지, 선택, 인식의 합으로 묘사했으며, "더 많이 볼수록 더 많이 알게 된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막스 베르트하이머는 게슈탈트 심리학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게슈탈트는 독일어로 '형태' 또는 '모양'을 의미한다. 게슈탈트 심리학 연구는 모양이나 색상의 유사성, 연속성, 근접성에 따라 시각적 요소를 묶어 단순하게 보는 것에 중점을 둔다. 닫힘과 그림-배경 원리 또한 추가적인 법칙으로, 연구된 이미지에서 집중적으로 다루어진다.[13]
쿠르트 코프카와 볼프강 쾰러 또한 초기 시각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들이다.[14]
3. 이미지 분석
이미지는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요소이며, 그 의미는 주관적이고 다층적이다. 이미지 분석은 이미지에 담긴 의미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이미지는 폴 마틴 레스터가 제시한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주요 관점에서 분석될 수 있다.[15]
3. 1. 이미지 분석의 여섯 가지 관점 (폴 마틴 레스터)
- '''개인적 관점:''' 시청자가 이미지를 볼 때 자신의 개인적인 생각에 따라 의견을 제시하는 것을 말한다. 개인적인 반응은 시청자의 생각과 가치관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이는 때때로 문화적 가치와 충돌할 수 있으며, 발신자의 의도와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 '''역사적 관점:''' 이미지에 대한 시각은 미디어 사용의 역사에서 비롯될 수 있다. 시대에 따라 이미지는 다양한 (새로운) 미디어의 사용으로 인해 변경되어 왔다. 예를 들어, 포토샵과 같은 컴퓨터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편집한 결과는 수작업으로 제작되고 편집된 이미지와 비교할 때 상당히 다르다.[15]
- '''기술적 관점:''' 이미지의 시각이 빛의 사용, 위치, 그리고 이미지의 표현에 의해 영향을 받을 때를 말한다. 적절한 조명, 위치, 표현 방식의 사용은 이미지의 시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현실보다 이미지를 더 좋게 보이게 할 수 있다.[15]
- '''윤리적 관점:''' 이미지 제작자, 시청자, 그리고 이미지 자체는 이미지에 대해 도덕적, 윤리적으로 책임져야 한다. 이 관점은 정언 명법, 공리주의, 쾌락주의, 중용, 황금률, 무지의 장막의 여섯 가지 범주로 분류된다.[15]
- '''문화적 관점:''' 상징화는 이 관점에서 중요한 정의이다. 문화적 관점은 상징의 정체성을 포함한다. 이미지와 관련된 단어의 사용, 이미지 속 영웅의 사용 등은 이미지의 상징화이다. 문화적 관점은 기호학적 관점으로 볼 수 있다.[15]
- '''비판적 관점:''' 시청자가 이미지를 비판할 때이며, 비록 개인이 비판을 하더라도, 비판은 사회의 이익을 위해 이루어진다. 이런 점에서 이 관점은 개인적 관점과 다르다.[15]
4.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구성 요소
시각 커뮤니케이션은 텍스트, 그래픽, 비디오와 같은 시각적 요소를 통해 아이디어, 태도, 가치를 전달하는 활동이다.[8] 훌륭한 시각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은 청중의 이해도를 기반으로 평가된다.[9] 이메일과 같은 텍스트 매체에서 시각 커뮤니케이션은 아스키 아트, 이모티콘, 디지털 이미지 등으로 표현된다.[10] '시각적 프레젠테이션'은 텍스트나 이미지와 같은 가시적인 매체를 통해 정보를 실제로 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분야의 최근 연구는 웹 디자인과 그래픽 지향적 사용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11] 시각 보조 자료(예: 웹사이트, 소셜 미디어, 포스터 등)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1. 주요 구성 요소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구성 요소는 정보를 더 흥미롭고 설득력 있게 전달하도록 돕는다. 다음은 시각적으로 소통하기 위한 기본 요소들이다.- '''계층 구조'''는 청중이 시각 자료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도록 돕는 중요한 원칙이다. 웹사이트, 소셜 미디어, 포스터와 같은 시각 보조 자료는 청중이 따라갈 수 있는 시작점을 제공한다. 색상, 형태, 음영, 질감, 전경-배경, 균형과 같은 요소들이 계층 구조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11]
- '''색상'''은 시각적 소통에서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요소이다. 색상은 감정과 경험을 연결한다. 가산 색상 모델과 감산 색상 모델은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정보를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된다.[11] 가산 색상 모델(RGB)은 빨강, 녹색, 파랑을 사용하여 어두운 색에서 밝은 색으로 표현하며, 감산 색상 모델(CMYK)은 청록색, 자홍색, 노란색, 검정을 사용하여 밝은 색에서 어두운 색으로 표현한다.[18]
- '''형태'''는 기호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기본 요소이다. 형태는 유기적 형태와 기하학적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유기적 형태는 자연물(곡선 포함)을 묘사하는 반면, 기하학적 형태는 사람이 만든 형태(삼각형, 사각형, 타원, 원 포함)이다.[11]
- '''음영'''은 색상의 명암 차이를 의미하며, 특정 요소를 강조하는 데 사용된다.
- '''전경-배경'''은 긍정적 공간(전경)과 부정적 공간(배경)의 관계를 통해 특정 요소를 강조한다.
5. 시각 리터러시 (Visual Literacy)
시각 리터러시(visual literacy) 또는 시각적 역량은 세상을 이해하기 위해 시각적으로 인지하는 것을 이해하고 처리하는 능력으로 정의되는 경우가 많다. 시각 리터러시는 시력이 있는 사람들에게 삶의 중요한 측면으로 나타났다. 시력 자체의 기능은 사람의 환경을 둘러싼 선, 모양, 색상을 의미를 담을 수 있는 응집력 있는 그림으로 변환하기 위해 함께 작동해야 하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19] 이러한 메커니즘은 사람의 눈이 시청자가 보는 것을 이해하고, 정보를 뇌로 전달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보내는 과정에서 인체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시각적 지능은 가르쳐지는 것이 아니라 관찰되는 것이다. 또한 이 기술은 손상될 때까지 종종 인식되지 않는다고 언급된다.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것을 처리하는 이 행위는 빠르게 일어나며 시청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 밝혀졌다.[20]
시각 리터러시가 시청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태도, 가치관, 신념, 문화적 관점과 같은 삶의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21] 학자들은 대중 기술 미디어의 등장과 함께 사회와 문화가 이미지에 의해 지배되는 방식을 지적했다. 영화, 텔레비전, 소셜 미디어와 같은 문화에서 시각적 요소가 지배적이면서, 이제 다양한 회사에서 광고에 사용하고 있다.[22] 대통령 및 정치 후보자들도 캠페인을 시각적으로 홍보하기 위해 미디어에 의존한다. 이러한 광고가 일상생활에 많이 존재하면서, 이 콘텐츠의 시청자는 이를 인지하지 못한 채 영향을 받을 수 있다.[20]
6. 기호와 상징 (Semiotics and Semiology)
시각 커뮤니케이션은 기호, 신호, 상징뿐만 아니라 그림, 도표, 그래프 등에서도 나타난다. 시각 커뮤니케이션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다른 커뮤니케이션 수단에 덧붙여 사용될 수도 있다.
6. 1. 기호학 (Semiotics)
기호학은 사회 내에서 의미를 전달하는 기호와 시각적 요소에 대한 연구이다.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호는 기호를 구성하는 숨겨진 시스템과 기능도 포함한다. 로고, 몸짓, 이모티콘과 같은 기술적 기호는 문화에서 사용되는 기호의 몇 가지 예이다.[23]기호학(semiology)은 시각 언어로서의 기호와 상징, 그리고 그 배열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의미를 생성하기 위해 배열될 수 있는 기호의 예시로는 현대 영어 알파벳을 구성하는 26개의 문자가 있으며, 이를 사용하여 구두로 전달할 수 있는 텍스트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기호학에서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알파벳을 생성하는 기호는 문자 언어나 구두 언어의 알파벳보다 더 추상적이다. 영어 알파벳과 비교했을 때, 시각적 알파벳은 정지된 그래픽의 구성 요소와 영화를 비교하는 것처럼 시각적 요소를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채널 때문에 여전히 연구되고 있다.[24] 기호학 분야 내의 또 다른 연구 범주는 시각적 기호의 해석이 기호의 시각적 구성 요소를 해석하는 사람의 경험에 어떻게 의존하는가에 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해석체라고 한다.[25]
시각 이미지와 제스처를 언어로서 연구하는 것은 크게 두 가지 학파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학자들은 찰스 샌더스 퍼스와 그의 후계자들, 그리고 페르디낭 드 소쉬르이다. 퍼스의 학파는 기호 자체의 연구보다는 해석자가 특정 기호에 부여하는 의미에 중점을 둔다. 그의 연구는 시각 커뮤니케이션에서 기호의 실용성, 의미론 및 구조에 초점을 맞춘다.[23] 반면 소쉬르는 기호의 구조와 가치, 그리고 언어 체계 내에서 다른 기호들과의 관계에 주로 집중했다. 소쉬르가 이끈 학파는 구조주의의 부상에 기여했으며, 이후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여러 학자들에 의해 개발된 이론에도 영향을 미쳤다.[25]
6. 2. 기호학 (Semiology)
기호학(semiology)은 기호와 상징, 그리고 그 배열을 시각 언어로서 연구하는 분야이다. 의미를 생성하기 위해 배열될 수 있는 기호의 집합, 즉 알파벳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언어의 특징을 갖는다. 현대 영어 알파벳 26자는 구두로 전달 가능한 텍스트 메시지를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알파벳의 예시이다. 그러나 기호학에서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알파벳을 구성하는 기호는 문자 언어나 구두 언어의 알파벳보다 더 추상적이다.[24]영어 알파벳과 비교했을 때, 시각적 알파벳은 정지된 그래픽의 구성 요소와 영화처럼 시각적 요소를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채널 때문에 여전히 연구되고 있다.[24] 시각적 기호의 해석은 기호를 보는 사람의 경험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를 일반적으로 해석체(interpretant)라고 한다.[25]
시각 이미지와 제스처를 언어로서 연구하는 것은 크게 두 가지 학파로 나뉜다. 찰스 샌더스 퍼스와 그의 후계자들, 그리고 페르디낭 드 소쉬르가 대표적이다. 퍼스의 학파는 기호 자체의 연구보다는 해석자가 특정 기호에 부여하는 의미에 중점을 두며, 시각 커뮤니케이션에서 기호의 실용성, 의미론 및 구조에 초점을 맞춘다.[23] 반면 소쉬르는 기호의 구조와 가치, 그리고 언어 체계 내에서 다른 기호들과의 관계에 주로 집중했다. 소쉬르가 이끈 학파는 구조주의의 부상에 기여했으며, 이후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여러 학자들에 의해 개발된 이론에도 영향을 미쳤다.[25]
6. 3. 기호학 이론
기호학은 사회 내에서 의미를 전달하는 기호와 시각적 요소에 대한 연구이다.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호는 기호를 구성하는 숨겨진 시스템과 기능도 포함한다. 로고, 몸짓, 이모티콘과 같은 기술적 기호는 문화에서 사용되는 기호의 몇 가지 예이다.[23]시각 이미지와 제스처를 언어로서 연구하는 것은 크게 두 가지 학파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학자들은 찰스 샌더스 퍼스와 그의 후계자들, 그리고 페르디낭 드 소쉬르이다. 퍼스의 학파는 기호 자체의 연구보다는 해석자가 특정 기호에 부여하는 의미에 중점을 둔다. 그의 연구는 시각 커뮤니케이션에서 기호의 실용성, 의미론 및 구조에 초점을 맞춘다.[23] 반면 소쉬르는 기호의 구조와 가치, 그리고 언어 체계 내에서 다른 기호들과의 관계에 주로 집중했다. 소쉬르가 이끈 학파는 구조주의의 부상에 기여했으며, 이후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여러 학자들에 의해 개발된 이론에도 영향을 미쳤다.[25]
7.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활용
시각 커뮤니케이션은 다양한 분야에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이해를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소셜 미디어
소셜 미디어는 텍스트와 이미지를 결합하여 메시지를 빠르고 간편하게 전달하는 효과적인 의사소통 수단이다. 유튜브, 인스타그램, 스냅챗과 같이 시각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하는 플랫폼뿐만 아니라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플랫폼도 시각적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27] 시각적 이미지는 텍스트에 대한 설명을 보충하거나, 독자적인 의미를 전달하여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현실을 보여주거나 조작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27]
시각 커뮤니케이션과 소셜 미디어의 관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 새로운 장르와 관행: 플랫폼에 따라 공유되는 시각적 요소(사진, GIF 등)의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새로운 장르가 형성되고, 이는 정체성 표현과 소속감 형성에 활용된다.[28]
- 정체성 구축: 시각 자료는 개인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활용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의미가 변화될 수 있다.[28]
- 일상의 공적/사적 통속적 관행: 개인적인 공간에서 게시된 시각 자료라도 온라인을 통해 대중과 상호작용하게 되므로 공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28]
- 트랜스미디어 유통, 전용, 통제: 시각적 요소는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유통되고, 편집되어 다른 플랫폼에 게시될 수 있으며, 이는 원본 출처에 대한 인식 문제를 야기한다.[28]
문화시각 문화는 서로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이 보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시각적 이미지를 교환하며 소통하는 것을 의미한다.[29] 특히 고맥락 문화와 저맥락 문화의 차이는 시각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고맥락 문화는 함축적인 의미를 담은 시각 자료에 의존하는 반면, 저맥락 문화는 직접적인 의미를 담은 시각 자료와 텍스트 설명을 함께 사용한다.[30]
정치정치에서 시각 커뮤니케이션은 주요 소통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텔레비전의 사용 증가와 함께 시청자들은 시각 자료에 더욱 의존하게 되었으며, 뉴스 보도에서는 정치인의 발언(사운드 바이트)보다 짧은 비디오(이미지 바이트)가 더 많이 사용된다.[32]
정치에서 시각 자료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32]
- 주장 기능: 이미지와 아이디어를 연결하여 정치인의 성격이나 의도를 명확히 전달한다.
- 의제 설정 기능: 뉴스 가치가 있는 사진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고 여론을 형성한다.
- 극화 기능: 특정 정책을 시각적으로 옹호한다. (예: 미셸 오바마의 채소 정원 가꾸기)
- 감정 기능: 시각 자료는 감정적 반응을 유발하며, 동영상은 정지 이미지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친다.[33]
- 이미지 구축 기능: 후보자의 배경, 성격, 태도 등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한다.
- 동일시 기능: 정치인과 청중 간의 유사성을 부각하여 투표에 영향을 미친다.
- 문서화 기능: 특정 사건 발생에 대한 증거를 제공한다.
- 사회적 상징 기능: 국기, 군인, 스포츠 경기 등 감정적인 힘을 가진 상징물을 사용하여 애국심을 고취한다.
- 수송 기능: 시청자를 다른 시간이나 장소로 이동시켜 감정에 호소한다.
- 모호성 기능: 논쟁의 여지가 있는 주장을 다양한 의미로 해석할 수 있도록 한다.
경제경제학은 그래프와 차트를 통해 복잡한 아이디어를 명확하게 표현하고,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며, 시간 경과에 따른 추세를 시각화한다.[36] 경제학자들은 주로 시계열 그래프를 사용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특정 변수의 변화를 측정한다.[38]
과학 및 의학과학 및 의학 분야는 보어의 원자 모형이나 NASA의 지구 사진과 같이 시각 자료를 활용하여 비전문가에게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이해를 돕는다.[6] 그래프와 슬라이드는 데이터와 과학적 개념을 나타내며, 사진은 의사가 질병의 징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39]
하지만 시각 자료는 정보 이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비전문 독자는 과학 언어와 시각 자료의 통합, 대상 독자의 이해 수준 파악의 어려움 등의 문제를 겪을 수 있다.[6]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 중심 설계를 통해 시각 자료의 효율성을 높이고, 대학 교육 과정에서 시각적 문해력을 강화하여 과학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를 양성해야 한다.[39]
7. 1. 시각 보조 자료 (Visual Aids)
시각 보조 자료(視覺補助, 영어: visual aid)는 청중이 정보를 쉽게 이해하도록 돕고, 발표를 효과적으로 만드는 데 사용되는 자료를 말한다. 발표 자료부터 프레젠테이션 소프트웨어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 장단점이 있으므로 발표 내용과 청중에 적합한 것을 선택해야 한다.[16][17] 시각 보조 자료를 부적절하게 사용하면 오히려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사전에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7. 1. 1. 시각 보조 자료의 종류
- '''칠판 또는 화이트보드''' : 저렴하고 유연하지만, 혼란이나 지루함을 유발할 수 있으며, 발표자의 시간과 주의를 빼앗을 수 있다.[16]
- '''포스터 보드''' : 차트, 그래프, 그림 등을 표시할 수 있지만, 전문성이 부족해 보일 수 있고, 종이가 구부러지거나 넘어질 수 있다.[16]
- '''유인물''' : 발표 후에도 정보를 보관할 수 있어 기억에 도움이 되지만, 주의를 산만하게 할 수 있다. 발표자는 참조 직전에 유인물을 배포해야 하며, 짧은 강의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17][16]
- '''비디오 발췌''' : 주의를 끌 수 있지만, 실제 연설을 대체할 수 없다. 발표자는 말할 수 없고, 발표 내용이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으므로, 짧은 클립만 보여주는 것이 좋다.[16]
- '''프로젝션 장비''' : 슬라이드 프로젝터(구식), 오버헤드 프로젝터(불편함), 컴퓨터 프로젝터(기술적 문제 발생 가능성)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16]
- '''컴퓨터 보조 프레젠테이션 (프레젠테이션 소프트웨어)''' : 긴 프레젠테이션에 유용하지만,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하고 기술적 문제 발생 가능성이 있다.[16]
- '''실물''' : 실제 대상을 보여주어 이해를 돕는다. (예: 매듭 발표에서 로프 사용)
- '''모형''' : 실물을 사용할 수 없을 때 대체하여 사용한다.
- '''그래프''' : 막대 그래프, 선 그래프, 원 그래프, 산점도 등을 통해 양적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 '''지도''' : 지리적 정보를 시각적으로 전달한다.
- '''표''' : 데이터를 세로와 가로 열로 정리하여 정보를 명확하게 전달한다.
- '''사진/그림/도해''' :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여 이해를 돕는다.
7. 2. 소셜 미디어
소셜 미디어는 가장 효과적인 의사 소통 방법 중 하나이다. 텍스트와 이미지의 통합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메시지를 더 빠르고 간단하게 전달한다. 잠재적인 단점은 인터넷 접속이 필요하고 문자 수와 이미지 크기에 대한 특정 제한으로 인해 접근이 제한될 수 있다는 것이다.[26] 유튜브, 인스타그램, 스냅챗과 같이 시각적 이미지 중심 플랫폼의 부상과 더불어, 페이스북과 트위터도 문자로 작성된 게시물 외에 더 많은 시각적 이미지를 플랫폼에 통합했다.[27] 시각적 이미지는 구두 또는 서면 텍스트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을 하거나, 개별적인 의미(대개 모호한 의미를 포함)를 생성하는 두 가지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의미는 상호 작용을 통해 우연한 우정을 형성하고 현실을 보여주거나 조작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주요 플랫폼들은 사용자가 사진이나 비디오를 편집하거나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멀티 모달 플랫폼을 구축하여 시각적 이미지에 집중하고 있다.[27]
시각 커뮤니케이션과 소셜 미디어의 관계를 분석할 때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주제가 나타난다.
- '''새로운 장르와 관행:''' 다양한 시각적 요소의 공유는 플랫폼을 기반으로 사회적으로 허용되는 시각적 요소 (예: 사진 또는 GIF)의 새로운 배열 또는 장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장르는 정체성의 자기 표현, 온라인 커뮤니티의 다양한 하위 그룹에 대한 소속감을 느끼는 데 사용된다.[28]
- '''정체성 구축:''' 장르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시각 자료를 사용하여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한다. 시각적 요소는 공유한 사람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의미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시각적 요소가 동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시각 자료를 통제 불가능하게 만드는데, 그 사람이 특정 정체성이 아닌 진화한 사람으로 자신을 식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28]
- '''일상적인 공공/사적 통속적 관행:''' 이 주제는 공공 또는 사적이라고 간주되는 것을 해독하는 어려움을 제시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집에서 사생활을 게시할 수 있지만, 게시물은 온라인 대중과 상호 작용한다.[28]
- '''트랜스미디어 유통, 전용, 통제:''' 트랜스미디어 유통은 다양한 유형의 미디어를 통해 시각적 요소가 유통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미지와 같은 시각적 요소는 한 플랫폼에서 가져와 편집하여 원래 출처를 인식하지 않고 다른 플랫폼에 게시할 수 있다. 이는 전용 및 소유권 개념을 제기하며, 사용자가 다른 사람의 작품을 전용할 수 있다면 해당 사용자의 작품도 전용될 수 있다는 생각을 인식하게 할 수 있다.[28]
7. 3. 문화
서로 다른 문화권의 구성원들은 보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시각적 이미지 교환에 참여할 수 있다. 시각 문화라는 용어는 모든 문화가 동등하다고 느끼게 하여 모든 삶의 포괄적인 측면을 만든다.[29] 시각 문화를 커뮤니케이션에서 고려할 때, 이는 모든 문화 간의 가치, 특히 고맥락 및 저맥락의 개념에 의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고맥락적인 문화는 함축적이고 내포적인 의미를 가진 시각적 요소에 크게 의존한다. 그러나 저맥락적인 문화는 직접적인 의미를 가진 시각적 요소에 의존하며 텍스트 설명에 더 많이 의존한다.[30]7. 4. 정치
정치에서 시각 커뮤니케이션은 주요 소통 수단이 되었고, 대화와 텍스트는 부차적인 수단이 되었다. 이는 시청자들이 시각 자료에 더 의존하게 되면서 텔레비전 사용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사운드 바이트는 정치인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기술이지만, 뉴스 보도에서는 이미지 바이트(짧은 비디오)가 사운드 바이트(정치인의 발언)보다 더 많이 사용된다(25.1%).[32]7. 4. 1. 정치에서 시각 자료의 10가지 기능
정치에서 시각 자료는 주요 소통 수단으로 자리 잡았으며, 정치인들은 다음과 같은 10가지 기능을 위해 시각 자료를 활용한다.[32]- '''주장 기능:''' 이미지와 아이디어 간의 연관성을 통해 정치인의 성격이나 의도를 주장한다. 시각 이미지는 모호한 메시지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데 도움을 준다.[32]
- '''의제 설정 기능:''' 뉴스 가치가 있는 사진을 제작하여 메시지를 전달한다. 의제 설정 이론에 따르면, 미디어가 특정 문제의 중요성을 부각하면 공공 의제도 그에 따라 중요하게 인식된다.[32]
- '''극화 기능:''' 특정 정책을 옹호하기 위해 시각 자료를 활용한다. 예를 들어, 미셸 오바마는 채소 정원을 가꾸는 모습을 보여주며 영양 섭취의 중요성을 홍보했다.[32]
- '''감정 기능:''' 시각 자료는 감정적 반응을 유발하며, 연구에 따르면 동영상은 정지 이미지보다 더 큰 감정적 영향을 미친다.[33] 논리와 감정은 상호 작용하여 이미지가 감정적 흥분뿐만 아니라 논리적 사고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34][35]
- '''이미지 구축 기능:''' 유권자에게 후보자의 배경, 성격, 태도 등에 대한 첫인상을 심어준다. 후보자는 가족, 종교, 불우한 공동체와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이미지를 통해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다.[32]
- '''동일시 기능:''' 정치인과 청중 간의 유사성을 형성하여 투표에 영향을 미친다. 유권자는 자신과 유사점을 가진 후보자에게 투표할 가능성이 높다.[32]
- '''문서화 기능:''' 특정 사건 발생에 대한 증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정치인의 사진은 특정 사건에 참석했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될 수 있다.[32]
- '''사회적 상징 기능:''' 국기, 군인, 스포츠 경기 등 감정적 힘을 가진 상징물을 사용하여 애국심 등을 고취한다. 자유의 여신상, 러시모어 산 등도 감정적 힘을 지닌 상징물로 활용된다.[32]
- '''수송 기능:''' 시청자를 과거 또는 이상화된 미래와 같은 다른 시간이나 장소로 이동시켜 감정에 호소한다.[32]
- '''모호성 기능:''' 논쟁의 여지가 있는 주장을 다양한 의미로 해석할 수 있도록 한다. 시각적 주장은 다른 상징에 비해 덜 엄격한 기준이 적용된다.[32]
7. 5. 경제
경제학은 그래프와 차트와 같은 시각적 요소의 토대 위에 구축되어 왔다.[36] 경제학자들은 다른 분야에서와 마찬가지로 복잡한 아이디어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그래프를 사용한다. 그래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추세를 시각화하는 과정을 단순화하며, 둘 이상의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관계는 변수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지 또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37] 경제학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그래프는 시간 경과에 따른 특정 변수의 변화를 측정하는 시계열 그래프이다. 시계열 그래프는 X축에 시간을, Y축에 변화하는 변수를 포함한다.[38]7. 6. 과학 및 의학
과학 및 의학 분야는 비전문가에게 정보를 설명하기 위해 시각 커뮤니케이션을 활용한다. 보어의 원자 모형에서 NASA의 지구 사진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시각적 요소는 과학 및 의학에 대한 이해를 돕는 도구 역할을 했다.[6] 그래프 및 슬라이드는 데이터와 과학적 개념을 나타낸다. 이러한 그래프를 통해 나타난 패턴은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결정하기 위해 데이터와 연관되어 사용된다. 사진은 의사가 질병의 가시적인 징후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39]그러나 시각적 요소를 사용하면 정보 이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비전문 독자에게는 두 가지 주요 장애물이 있다. 첫째, 일상적인 과학 언어에서 시각적 요소가 잘 통합되지 않는다. 둘째, 대상 독자를 잘못 식별하고 그들의 이해 수준에 맞게 조정하지 못한다.[6]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 과학 커뮤니케이터가 사용자 중심 설계, 즉 설계 중심에 사용자를 두는 것이다. 이 설계는 사용자에게만 초점을 맞춰 최소한의 스트레스로 최대한의 효율성으로 시각적 요소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39] 또 다른 해결책은 대학 기반 프로그램과 같은 곳에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에서 대학은 과학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사람들에게 시각적 문해력을 도입하여 과학 및 의학에 대한 이해를 돕는 시각적 요소를 정확하게 해석, 분석, 평가 및 설계할 수 있는 졸업생을 배출하는 데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39]
참조
[1]
웹사이트
Subject Week
https://www.aubg.edu[...]
aubg.edu
2020-11-21
[2]
간행물
Visual Semiotics Theory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04-12-13
[3]
서적
Handbook of Visual Communication
http://dx.doi.org/10[...]
2004-12-13
[4]
학술지
Diagrams
https://www.academia[...]
[5]
웹사이트
7 Paramount Components of Visual Communication
https://www.infograp[...]
Infographic Design Team - Infographics Design - Data Visualization
2021-01-27
[6]
학술지
The Hippocratic Oath, Effect Size, and Utility Theory
http://mdm.sagepub.c[...]
2009-05
[7]
서적
In the company of others : an introduction to communi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8]
웹사이트
The Power of Visual Communication
https://www.pwc.com.[...]
2017-04
[9]
문서
Communication design: principles, methods, and practice
2004
[10]
웹사이트
Why Visual Communication is So Important in Content Marketing
https://blog.markgro[...]
2019-11-21
[11]
서적
A guide to visual presentation
Rockport Publishers
2015-09-15
[12]
서적
The Visual Imperative: Creating a Visual Culture of Data Discovery
Morgan Kaufmann
2016
[13]
학술지
Symmetry as a grouping cue for numerosity perception
2022-08-24
[14]
웹사이트
Kurt Koffka {{!}} Gestalt Theory, Perception & Psycholog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11-07
[15]
서적
Visual Communication: Images with Messages
Thomson Wadsworth
2006
[16]
서적
In the company of others : an introduction to communi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7]
웹사이트
Using Visual Aids Effectively
http://www.hawaii.ed[...]
University of Hawaiʻi Maui College Speech Department
2012-03-19
[18]
웹사이트
Color Theory: Additive and Subtractive Colors
https://blog.thepape[...]
2017-03-24
[19]
서적
Visual Intelligence: How We Create What We See
W. W. Norton & Company
2000-02-22
[20]
서적
Visual intelligence: perception, image, and manipulation in visual communic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7
[21]
서적
Visual "literacy": image, mind, and reality
Westview Press
2009
[22]
간행물
Introduction: Sol Worth and the Study of Visual Communication
http://dx.doi.org/10[...]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81-12-31
[23]
웹사이트
Semiotics
https://search.credo[...]
2001
[24]
서적
Semiotics
http://dx.doi.org/10[...]
Routledge
2022-04-27
[25]
서적
Semiotics of Visual Language
http://dx.doi.org/10[...]
Indiana University Press
2021-02-15
[26]
서적
In the company of others : an introduction to communi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27]
학술지
Introduction to Visual Communication in the Age of Social Media: Conceptual,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Challenges
2017-12-21
[28]
학술지
Special Issue: Social media and the visual
2016-08
[29]
웹사이트
The Cultural Functions Of Visual Communication Media Essay
https://www.ukessays[...]
[30]
학술지
Toward A Framework for Intercultural Visual Communication A Critical Review and Call for Research
https://connexionsjo[...]
2014
[31]
학술지
Nature and culture in visual communication: Japanese variations on Ludus Naturae
https://www.degruyte[...]
2016-09-09
[32]
학술지
The Visual Image and the Political Image: A Review of Visual Communication Research in the Field of Political Communication
2012-04
[33]
학술지
Roll 'em!: The effects of picture motion on emotional responses
1998-01
[34]
서적
Visual Intelligence: Perception, Image, and Manipulation in Visual Communication
SUNY Press
1997
[35]
학술지
The primes of our times?: An examination of the 'power' of visual images
2002-08
[36]
논문
A picture is worth a thousand words (at least): The effective use of visuals in the economics classroom
2014-09
[37]
웹사이트
The 45-Degree Line of Economics Definition
https://bizfluent.co[...]
2021-01-30
[38]
웹사이트
Using Graphs and Charts to Show Values of Variables
https://2012books.la[...]
2021-01-30
[39]
논문
Visual Vaccinology – The Importance of Visual Communication
2013-09
[40]
웹인용
Subject Week
https://www.aubg.edu[...]
2020-1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