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독립선언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독립선언서는 1918년 조소앙이 기초한 독립 선언문으로, 일본과의 병합 무효와 육탄혈전을 통한 독립 쟁취를 주장한다. 정의를 통해 독립군을 촉구하고, 개인의 희생을 통해 민족 부활을 강조하며, 육탄혈전으로 독립을 완성할 것을 촉구한다. 기미독립선언보다 먼저 발표된 최초의 독립선언이며, 연해주 지역 독립운동가들을 중심으로 무장투쟁을 선언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김교헌, 김규식, 김좌진, 조소앙, 이승만, 안창호 등 39인의 독립운동가들이 연서자로 참여했다.
조소앙이 기초한 무오독립선언서는 한일병합조약이 사기와 강박으로 이루어져 무효임을 선언하고, 무력 투쟁을 통한 독립 쟁취 의지를 담고 있다.[1]
1919년 2월 (또는 1918년 11월), 만주 길림에서 독립운동가 39명의 명의로 독립선언서가 발표되기 전, 만주와 연해주는 항일 독립운동의 중심지였다. 해외 각지에서 활동하던 독립운동가들이 이 지역으로 집결하여 독립 의지를 결집하였다.[2]
무오독립선언은 1919년 3·1 운동에 앞서 발표된 '''최초의 독립선언'''이다.[2] 해외 독립운동가들의 통합된 독립 의지를 보여주며,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본에 대해 결사항전과 강력한 무장투쟁을 선언했다. 이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의 초석이 되었다. 참여 인사들 대부분은 독립운동과 임시정부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고, 이탁 외에는 변절자가 없다. 또한, 독립 선언에 그치지 않고 노령에서 대한국민의회, 상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성에서 한성임시정부 등의 망명정부를 수립하는 구체적 행동으로 연결되었다.
1919년 2월, 만주, 연해주, 중국, 미국 등 해외 각지에서 활동하던 독립운동가 39인이 대한독립선언서(무오독립선언)에 서명하였다. 이 선언은 한국 독립운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참여한 인물들의 면면 또한 주목할 만하다.
2. 무오독립선언서
2. 1. 핵심 내용
조소앙(본명 조용은)이 기초한 선언서에는 사기와 강박으로 이루어진 일본과의 병합(한일병합조약)은 무효이며, 육탄혈전으로라도 독립을 쟁취할 것이라는 내용이 담겨있다.[1]
우리 대한은 완전한 자주독립과 신성한 평등복리로 우리 자손 여민(黎民: 백성)에 대대로 전하게 하기 위하여, 여기 이민족 전제의 학대와 억압을 해탈하고 대한 민주의 자립을 선포한다.[1] 정의는 무적의 칼이니 이로써 하늘에 거스르는 악마와 나라를 도적질하는 적을 한 손으로 무찌르라. 이로써 5천년 조정의 광휘(光輝)를 현양(顯揚)할 것이며, 이로써 2천만 백성[赤子]의 운명을 개척할 것이니, 궐기[起]하라 독립군! 제[齊]하라 독립군![1]
천지로 망(網)한 한번 죽음은 사람의 면할 수 없는 바인즉, 개·돼지와도 같은 일생을 누가 원하는 바이리오. 살신성인하면 2천만 동포와 동체(同體)로 부활할 것이니 일신을 어찌 아낄 것이며, 집안이 기울어도 나라를 회복되면 3천리 옥토가 자가의 소유이니 일가(一家)를 희생하라![1]
아 우리 마음이 같고 도덕이 같은 2천만 형제자매여! 국민본령(國民本領)을 자각한 독립임을 기억할 것이며, 동양평화를 보장하고 인류평등을 실시하기 위한 자립인 것을 명심할 것이며, 황천의 명령을 크게 받들어(祇奉) 일절(一切) 사망(邪網)에서 해탈하는 건국인 것을 확신하여, 육탄혈전(肉彈血戰)으로 독립을 완성할지어다.[1]
3. 무오독립선언의 배경
이러한 배경 속에서 신규식은 여운형 등과 함께 신한청년당을 조직하여 3·1 운동을 주도하였다. 조소앙은 일본 도쿄로 건너가 유학생인 백관수, 이광수 등을 지도하여 2·8 독립 선언을 발표하도록 하였다. 신규식은 곽경, 선우혁 등을 국내의 손병희, 이승훈 등에게 밀파하여 3·1 운동 참여를 요청하였다.
4. 무오독립선언의 의의
5. 무오독립선언 연서자 39인
김교헌, 김규식, 김동삼, 김좌진, 조소앙, 이동녕, 이승만, 안창호, 신채호 등 주요 독립운동가들이 대거 포함되었다. 이들은 대부분 공화주의를 지향했으며, 대종교, 기독교 등 다양한 종교를 믿었다. 서로군정서, 북로군정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등 다양한 독립운동 단체에서 활동한 이들의 참여는 선언의 무게를 더했다.
이들 외에도 이종탁[4], 임방[4]과 같이 가명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인물, 훗날 변절한 이탁, 재만 한인 대지주 최병학도 서명에 참여했다.
5. 1. 연서자 명단 및 특징
이름 | 생년 | 몰년 | 출신 지역 | 종교 | 정치이념 | 운동계열 | 당시 활동지역 | 건국훈장 훈격 | 서훈 년도 | 비고 |
---|---|---|---|---|---|---|---|---|---|---|
김교헌 | 1868 | 1923 | 경기 수원 | 대종교 | 공화주의 | 북로 | 만주 | 독립장 | 1977 | - |
김규식 | 1882 | 1950 | 경기 양주 | - | 공화주의 | 북로군정서 | 만주 | 독립장 | 1963 | [3] |
김동삼 | 1878 | 1937 | 경북 안동 | 대종교 | 공화주의 | 서로, 임정 | 만주 | 대통령장 | 1962 | - |
김약연 | 1868 | 1942 | 함북 회령 | 기독교 | - | 북간도국민회 | 만주 | 독립장 | 1977 | - |
김좌진 | 1889 | 1930 | 충남 홍성 | 대종교 | 공화주의 | 북로 | 만주 | 대한민국장 | 1962 | - |
김학만 | 1884 | 1931 | 함남 단천 | - | - | 연해주 | 노령 | 애국장 | 2012 | - |
정재관 | 1880 | 1930 | 황해 황주 | 기독교 | 공화주의 | 미주, 노령 | 미주 | 애국장 | 1990 | - |
조용은 | 1887 | 1958 | 경기 파주 | - | 공화주의 | 임정 | 만주 | 대한민국장 | 1988 | 일명 조소앙 |
여준 | 1862 | 1932 | 경기 용인 | 대종교 | 공화주의 | 서로 | 만주 | 독립장 | 1968 | - |
유동열 | 1879 | 1950 | 평북 박천 | - | 공화주의 | 임정 | 만주 | 대통령장 | 1989 | - |
이광 | 1879 | 1966 | 충북 청주 | - | 공화주의 | 만주, 상해 | 중국 본토 | 독립장 | 1963 | - |
이대위 | 1878 | 1928 | 평남 평양 | 기독교 | 공화주의 | 미주 | 중국 본토 | 독립장 | 1995 | - |
이동녕 | 1869 | 1940 | 충남 천원 | 대종교 | 공화주의 | 서로, 임정 | 노령(러시아) | 대통령장 | 1962 | - |
이동휘 | 1872 | 1935 | 함남 단천 | 기독교 | 공화주의 | 임정 | 노령(러시아) | 대통령장 | 1995 | - |
이범윤 | 1856 | 1940 | 경기 고양 | - | 복벽주의 | 북로 | 만주 | 대통령장 | 1962 | - |
이봉우 | 1873 | 1921 | 경남 동래 | - | 공화주의 | 간도 | 만주 | 독립장 | 1980 | - |
이상룡 | 1858 | 1932 | 경북 안동 | 대종교 | 공화주의 | 서로, 임정 | 만주 | 독립장 | 1962 | - |
이세영 | 1869 | 1938 | 충남 청양 | - | 복벽주의 | 만주 | 만주 | 독립장 | 1963 | - |
이승만 | 1875 | 1965 | 황해 평산 | 기독교 | 공화주의 | 미국, 임정 | 미주 | 대한민국장 | 1949 | - |
이시영 | 1869 | 1953 | 한성 | - | 공화주의 | 서로, 임정 | 만주 | 대한민국장 | 1949 | - |
이종탁[4] | - | - | 경상도 | - | - | 서로 | 만주 | - | - | 가명 추정 |
이탁 | 1872 | - | 평북 정주 | - | 공화주의 | 서로 | 만주 | - | - | 본명 이용화(李溶華), 변절 |
문창범 | 1872 | 1938 | 함북 경원 | - | 공산주의 | 만주, 임정 | 노령(러시아) | 대통령장 | 1990 | - |
박성태 | 1873 | - | 한성 | 대종교 | 공화주의 | 북로 | 만주 | - | - | - |
박용만 | 1881 | 1928 | 강원 철원 | 기독교 | 공화주의 | 미주 | 미주 | 대통령장 | 1995 | - |
박은식 | 1859 | 1925 | 황해 황주 | - | 공화주의 | 임정 | 중국 본토 | 대통령장 | 1962 | - |
박찬익 | 1884 | 1949 | 경기 파주 | 대종교 | 공화주의 | 임정 | 만주 | 독립장 | 1963 | - |
손일민 | 1884 | 1940 | 경남 밀양 | - | 공화주의 | 임정 | 만주 | 애국장 | 1990 | - |
신정 | 1879 | 1922 | 충북 고령 | 대종교 | 공화주의 | 임정 | 중국 본토 | 대통령장 | 1962 | 본명 신규식 |
신채호 | 1880 | 1936 | 충남 대덕 | - | 공화주의 | 연해주, 계몽 | 중국 본토 | 대통령장 | 1962 | - |
안정근 | 1885 | 1949 | 황해 신천 | 카톨릭 | 공화주의 | 중로, 임정 | 만주 | 독립장 | 1987 | 안중근의 친동생 |
안창호 | 1878 | 1938 | 평남 강서 | 기독교 | 공화주의 | 연해주, 미주 | 미주 | 대한민국장 | 1962 | - |
임방[4] | - | - | - | - | - | - | 만주 | - | - | 가명 추정 |
윤세복 | 1881 | 1960 | 경남 밀양 | 대종교 | 공화주의 | 대종교 | 만주 | 독립장 | 1962 | 본명 윤세린 |
조욱 | 1875 | 1948 | 한성 | 대종교 | 공화주의 | 임정 | 만주 | 대통령장 | 1962 | 본명 조성환 |
최병학 | - | - | - | - | - | 간도 | 만주 | - | - | 재만 한인 대지주 |
한흥 | 1888 | 1959 | 함남 신흥 | - | 공화주의 | 신간회 | 국내 | 독립장 | 1968 | - |
허혁 | 1851 | 1939 | 경북 선산 | - | - | 부민단 | 만주 | 애국장 | 1991 | 본명 허겸[5], 허위의 중형 |
황상규 | 1890 | 1941 | 경남 밀양 | - | 공화주의 | 북로, 임정 | 만주 | 독립장 | 1963 | - |
대한독립선언서에 서명한 39인은 대부분 공화주의 이념을 지향했으며, 대종교, 기독교 등 다양한 종교적 배경을 가졌다. 이들은 서로군정서, 북로군정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등 다양한 독립운동 단체에서 활동하였다. 이탁을 제외한 대부분의 연서자들은 변절 없이 독립운동에 헌신하였다.
5. 2. 참여자로 추정되는 인물
나우(羅愚)[6], 정안립(鄭安立)[6], 정신(鄭信)[6], 서상용(徐相庸)[6], 서일(徐一)[6], 신팔균(申八均)[6] 등이 추가로 참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이름 | 출신 지역 | 당시 활동 지역 | 비고 |
---|---|---|---|
나우 | 평남 용강 | - | 본명 나순응(羅順膺) |
정안립 | 충북 진천 | 만주 | 정영택 |
정신 | 함남 홍원 | 만주 | - |
서상용 | 함북 길주 | 노령 | - |
서일 | 함북 경원 | 노령 | 본명 서기학(徐夔學) |
신팔균 | 충북 진천 | 만주 | 일명 신동천(申東川) |
6. 무오독립선언에 대한 평가
기미독립선언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으나, 무오독립선언은 독립운동사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한다. 무오독립선언 연서자들의 높은 순국 비율은 이들의 치열한 독립 투쟁 의지를 보여준다. 무오독립선언은 민족 자결주의와 민주 공화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자주독립 국가 건설을 위한 굳건한 의지를 보여준 역사적 사건이다.
기미독립선언에 참여한 민족대표 33인 중 조국 광복을 본 사람은 15명이었지만, 이들보다 평균 연령이 5세 적은 무오독립선언 연서자 39명 중에서는 불과 11명만이 광복을 맞이했다. 이는 무오독립선언 연서자들이 조국 광복을 위해 얼마나 치열하게 투쟁했는지를 보여준다.
7. 영향
1919년 2월 (또는 1918년 11월), 조소앙은 일본 도쿄로 건너가 2·8 독립 선언에 영향을 주었다.[2] 2·8 독립 선언은 유학생인 백관수, 이광수등이 참여 하였다. 신규식은 동제사 요원인 곽경, 선우혁 등을 국내의 손병희, 이승훈 등에게 밀파하여 3월 1일 독립혁명 거사에 참여하도록 밀서 등을 통해 동참을 요청하였다. 당시 한성(=서울)에서 손병희 등 종교인 대표 33인의 기미독립선언과 함께 3·1 운동이 전국적으로 일어났으며, 그 이전에 동경에서 2.8 학생 독립선언을 한 600여명의 학생들 중에서 약 390여 명이 일시에 귀국하여 각자의 고향에서 3.1 독립혁명을 일으켰다. 신규식의 지도를 받은 여운형은 1918년 신한청년당을 조직하여 3.1 혁명을 주도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다음백과 독립운동가 조소앙(趙素昻)
https://100.daum.net[...]
[2]
서적
이야기 독립운동사
청아출판사
1994-11-07
[3]
웹사이트
김규식(金奎植) 관련 정보
[4]
웹사이트
이종탁, 임방 관련 정보
[5]
웹사이트
허겸
http://gumi.grandcul[...]
[6]
웹사이트
나우, 정안립, 정신, 서상용, 서일, 신팔균 관련 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