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싼먼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싼먼현은 중화인민공화국 저장성 타이저우시에 속하는 현이다. 청나라 말기 이탈리아의 싼먼만 조차 요구를 거부한 역사적 사건으로 알려져 있으며,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다. 1906년 남전청으로 시작하여 1940년 싼먼현으로 개칭되었고, 1949년 저장성에서 가장 먼저 해방된 현이 되었다. 1958년 폐지되었다가 1962년 재설치되었으며, 현재 10개 진, 4개 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싼먼 게는 이 지역의 특산물이며, 뱀섬, 무쯔 해변, 두바오장 사찰 등의 명소가 있다. 주민들은 우어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이저우시 (저장성)의 행정 구역 - 원링시
    원링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저장성 타이저우시에 속한 현급시로, 온난 습윤 기후에 제조업이 발달했으며, 1994년 현급시로 승격되었다.
  • 타이저우시 (저장성)의 행정 구역 - 자오장구
    자오장구는 중화인민공화국 저장성 타이저우시에 위치하며, 하이먼구에서 시작하여 하이먼시를 거쳐 타이저우시 설치와 함께 구로 변경되었고, 8개의 가도와 1개의 진으로 구성되어 있다.
  • 저장성의 현 - 쑹양현
    쑹양현은 저장성 리수이시에 있는 현으로, 후한 시대에 설치, 폐지를 거쳐 재설립되었으며, 여러 개의 진, 향, 민족향으로 구성되어 취닝 철도와 리닝 고속도로를 통해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저장성의 현 - 윈허현
    윈허현은 중국 저장성 남서부에 위치한 1452년 설치된 현으로, 태평양 전쟁 기간 저장성 정부 소재지였으며 현재 여러 가도, 진, 향으로 구성되어 온난 습윤 기후의 산악 지형에서 쌀농업과 버섯 재배, 건조 과일 가공업이 활발하다.
싼먼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타이저우 내 산먼현의 위치
타이저우 내 산먼현의 위치
기본 정보
현 이름산먼현 (三门县)
로마자 표기Sānmén Xiàn
위치중국 저장성 타이저우시
면적1,103.82 km² (육지: 1,103.8 km², 물: 407 km²)
인구 (2020년)379,500명
시간대중국 표준시 (UTC+8)
우편 번호317100
행정 구역 코드
행정 구역 코드331022
역사
설치1906년
연혁1906년: 남톈팅 (南田庁)
1912년: 남톈현 (南田县)
1912년: 산먼현 (三门县)
기타
웹사이트산먼현 공식 웹사이트
추가 정보 (참고)
한국어 표기삼문현
일본어 표기サンメン

2. 역사

신석기 시대부터 현재의 싼먼현 지역에 사람이 살기 시작했다. 1940년 싼먼현이 설치된 후 태주에 속했다. 1949년 2월 17일 싼먼은 해방되었고, 저장성에서 처음으로 해방된 현이 되었다. 1954년 5월 22일 녕파 관할로 변경되었다가 1957년 7월 태주로 복귀했다. 1983년 5월, 녕해현 사리(沙柳) 공사를 싼먼현으로 편입했다. 1994년 8월, 국무원은 태주 시 건설을 승인했고, 싼먼현은 태주시 관할이 되었다.

1906년(광서제 32년) '''남전청'''이 설치되었고, 1912년(중화민국 2년) '''남전현'''으로 개편되었으며, 1940년 '''싼먼현'''으로 개칭되었다. 1958년 폐지되어 린하이현과 샹산현에 편입되었으나, 1962년 재설치되었다.

2. 1. 고대 ~ 근대

신석기 시대부터 현재의 싼먼현 지역에 사람이 살기 시작했다. 하(夏), 상(商), 주(周) 시대에는 오월(Ouyue)의 땅이었다. 춘추 시대에는 오나라에 속했다가 기원전 306년, 초나라월나라를 멸망시키면서 초나라의 땅이 되었다. 진나라 때는 중앙 복건현(福建縣)에 속했다. 한나라 회제(惠帝) 3년(기원전 192년)에는 동구국(東甌國)에 속했다. 한나라 소제(昭帝) 원년(기원전 85년)에는 삼현이 영강현(臨海縣)에 속했다. 동한 광무제(光武帝) 시대(서기 25년)에는 삼현이 장현(章縣)에 속했다. 삼국 시대(서기 222–252년)에는 임해현(臨海縣)에 속했고 삼현은 해안현으로, 영강현에 속했다. 오나라 소제(少帝) 태평(太平) 2년(서기 257년), 동쪽으로 임해현에 속해 삼현은 해안현이 되었다.

수나라 때에는 현을 주로 폐지하고 현을 주(州)로 변경하여, 현을 폐지하고 해로 주를 변경하여 삼현은 해안현이 되었고, 여주(麗州)에 속했다. 수나라 양제(煬帝) 시대(서기 605년)에는 주를 현으로 변경하여, 삼현은 영가현(永嘉縣)에 속했다. 당나라 당고조(唐高祖) 무덕(武德) 원년(서기 618년)에는 임해현이 해로 주가 되었고, 무덕 4년(서기 621년)에는 삼현이 해주(海州)에 속했다. 무덕 5년(서기 622년)에는 해주를 태주(台州)로 변경하고, 태주에 삼현이 속했다. 당 태종 정관(貞觀) 원년(서기 627년)에는 태주가 강남도(江南道)에 속했다. 당 헌종(憲宗) 건원(乾元) 원년(서기 785년)에는 태주 임해현이 부활했고, 절강동로(浙江東路)에 속했다.

송나라 인종(仁宗) 희녕(熙寧) 7년(서기 1074년)에는 양절로(兩浙路)를 양절동로(兩浙東路)와 양절서로(兩浙西路)로 나누고, 해안사(沿海司)로, 영해(寧海)와 두 현이 태주에 속했다. 원나라 원세조(元世祖) 지정(至元) 14년(서기 1277년)에는 태주를 태주로 변경하고, 절강동행선(浙江東行省)에 속했다. 명나라 시대에는 현(縣)의 지방 행정 구역이 변경되었고, 태주로(台州路)를 주부(州府)로 변경했다.

청나라는 명나라를 계승하여, 가흥(嘉興), 호주(湖州), 녕파(寧波), 소흥(紹興), 금화(金華)와, 엄주(嚴州)의 4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삼현은 영해 두 현에 속했고, 절강 녕파 소흥로(浙江寧波紹興路)에 속했다.

청나라 말기, 중국은 이탈리아가 산먼만(싼먼현)을 넘겨달라는 요구를 포기하도록 강요했다.[1][2] 이탈리아는 독일 제국이 1898년 자오저우만에서 확보한 조차와 유사하게 산먼만에 해군 석탄 보급 기지를 임대해 줄 것을 요구했고, 이를 통해 저장성에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했다. 러시아 제국미국은 이탈리아의 요구에 반대했지만, 주중 이탈리아 대사는 이 지역을 점령할 기회라고 믿었다. 영국 정부는 미온적이었지만, 이탈리아가 무력을 사용하지 않는 한 승인했다. 그러나 중국은 1899년 3월 4일에 이탈리아의 요구를 즉시 거부했고, 3월 10일 이탈리아가 최후통첩을 다시 제시했으나 중국은 또다시 거부했다. 결국 이탈리아는 최후통첩을 철회했고, 19세기 말 중국에서 영토적 목표를 달성하는 데 실패한 최초이자 유일한 서구 열강이 되었다.

1906년(광서제 32년)에 설치된 '''남전청'''을 전신으로 한다. 1912년(중화민국 2년)에 '''남전현'''으로 개편, 1940년 (민국 29년)에 '''싼먼현'''으로 개칭되었다.

2. 2. 근대 ~ 현대

청나라 말기, 중국은 이탈리아가 싼먼만(싼먼현)을 할양하라는 요구를 거부하고 이를 포기하도록 압력을 가했다.[1][2] 이탈리아는 싼먼만을 해군 석탄 보급 기지로 임대하여 저장성에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다. 러시아 제국미국은 이탈리아의 요구에 반대했지만, 주중 이탈리아 대사는 이 지역을 점령할 기회라고 믿었다. 영국 정부는 미온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이탈리아가 무력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승인했다. 그러나 영국은 중국 주재 영국 대표가 이탈리아가 무력 없이는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고 조언했다는 사실을 이탈리아에 알리지 않았다. 1899년, 이탈리아는 중국 정부에 요구를 전달했지만 즉시 거부당했다. 이후 최후통첩을 다시 제시했지만, 중국은 다시 거부했다. 결국 이탈리아는 최후통첩을 철회했고, 19세기 말 중국에서 영토적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유일한 서구 열강이 되었다. 이는 아도와 전투에서 에티오피아 제국에 패배한 이탈리아에게 큰 굴욕이었다.

1906년(광서제 32년) '''남전청'''이 설치되었고, 1912년(중화민국 2년) '''남전현'''으로 개편되었으며, 1940년(민국 29년) '''싼먼현'''으로 개칭되었다. 1958년 폐지되어 린하이현과 샹산현에 편입되었으나, 1962년 재설치되었다.

1940년 싼먼현 설치 후 태주에 속했다. 1949년 2월 17일 싼먼은 해방되었고, 저장성에서 처음으로 해방된 현이 되었다. 1954년 5월 22일 녕파 관할로 변경되었다가 1957년 7월 태주로 복귀했다. 1983년 5월, 녕해현 사리(沙柳) 공사를 싼먼현으로 편입했다. 1994년 8월, 국무원은 태주 시 건설을 승인했고, 싼먼현은 태주시 관할이 되었다.

2. 3. 청나라 말기 이탈리아 조차 요구 사건

청나라 말기, 중국은 이탈리아산먼만을 조차하려는 요구를 거부했다.[1][2]

이탈리아는 독일 제국이 1898년 자오저우만에서 확보한 것과 유사하게 산먼만을 해군 석탄 보급 기지로 임대해 줄 것을 청나라에 요구했다. 이탈리아는 산먼만을 통해 저장성에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했다. 러시아 제국미국은 이탈리아의 요구에 반대했지만, 주중 이탈리아 대사 레나토 데 마르티노는 이 지역을 점령할 기회라고 믿었다. 영국 정부는 이탈리아의 움직임에 미온적이었지만, 이탈리아가 무력을 사용하지 않는 한 승인했다. 그러나 영국은 중국 주재 영국 대표가 이탈리아가 무력을 사용하지 않고는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고 조언했다는 것을 이탈리아 외무 장관 펠리체 나폴레오네 카네바로에게 알리지 않았다.

카네바로는 1899년 겨울 데 마르티노에게 이탈리아의 요구를 중국 정부에 전달하도록 했지만, 중국은 1899년 3월 4일에 이를 즉시 거부했다. 3월 8일, 카네바로는 데 마르티노에게 이 요구를 최후통첩으로 다시 제시하고 장갑순양함 마르코 폴로와 방호순양함 엘바가 만을 점령하도록 승인했다. 로마 주재 영국 대사가 이탈리아의 무력 사용을 영국이 지지하지 않는다는 점을 상기시키자, 카네바로는 두 순양함 사용 승인을 취소하는 반대 명령을 내렸지만, 데 마르티노는 함선을 사용할 최초 승인을 받기 전에 그 반대 명령을 받았다. 데 마르티노는 반대 명령을 해독할 수 없었고, 1899년 3월 10일에 이탈리아 최후통첩을 중국에 다시 제시했고, 중국은 즉시 이에 따르기를 거부했다.

이탈리아는 최후통첩을 철회했고, 19세기 말에 중국에서 영토적 목표를 달성하는 데 실패한 최초이자 유일한 서구 열강이 되었다. 이 실패는 1896년 아도와 전투에서 에티오피아 제국에 패배한 데 여전히 앙심을 품고 있던 이탈리아에게 당혹감을 안겨주었다.

3. 지리

싼먼현은 북동쪽, 동쪽, 남동쪽의 세 면이 바다와 접해 있으며, 총 해역 면적은 481.7km2로 싼먼현 전체 면적의 31.9%를 차지한다. 북쪽으로는 닝하이현의 바다와 연결되고, 동쪽으로는 샹산현의 해역과, 남쪽으로는 린하이시의 바다와 인접해 있다. 해안 산지는 해안선 방향으로 더욱 수직 또는 사선으로 뻗어 있다. 해안선 길이는 167km이며, 연안을 따라 시내, 펄강 유람, 강 옆의 정자, 머리 아오 강, 백강, 화차오 시내, 산 시내 및 기타 시내들이 바다로 흘러든다.

4. 기후

싼먼 현은 아열대 몬순 기후로, 여름은 길고 겨울은 건조하고 춥다. 봄은 짧고 강수량이 풍부하며, 남부 저장성과 같이 뚜렷한 4계절과 온화한 날씨가 특징이다. 여름에는 습하고 겨울에는 약간의 습도와 함께 추워진다. 1월과 같은 연중 최저 월평균 기온은 약 5.3°C이며, 7월의 최고 월평균 기온은 약 27.9°C이다. 연평균 기온은 일반적으로 16.6°C이며, 무상 기간은 242일이다. 계절 분포는 봄과 가을을 거쳐 연중 발생하며, 여름은 4개월 이상 지속되는 반면 겨울은 보통 약 2개월 지속된다.[5]

해양 몬순의 영향으로 강수량이 풍부하며, 연평균 강수량은 약 1645.3mm이고, 연간 강수량 변동이 커서 연간 차이가 최대 1200mm에 달한다. 연간 강수량 변화는 두 번의 우기와 두 번의 상대적으로 반대되는 건기, 즉 쌍봉형 분포를 보이며, 3월부터 6월까지가 첫 번째 우기이다. 7월은 비교적 강수량이 적은 시기이고, 8월부터 9월까지는 태풍 계절이며, 10월과 2월이 두 번째 기간으로, 상대적으로 적은 비가 내린다. 산악 지대의 강수량이 가장 풍부하며, 싼먼 현은 폭풍의 중심지로 연평균 강수량은 약 1700mm이다. 연평균 일조 시간은 일반적으로 1863.7시간이다.[5]

싼먼 현의 기후(1981-2010년 평균, 1991-2020년 극값)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10.812.315.721.525.828.733.532.528.724.619.113.7
평균 최저 기온 (°C)2.33.97.011.816.921.024.524.321.015.79.83.7
역대 최고 기온 (°C)25.430.133.335.235.838.840.638.935.935.230.727.5
역대 최저 기온 (°C)-7.6-5.5-4.02.08.312.218.819.112.52.5-2.5-6.3
평균 상대 습도 (%)737576777983808282787772

[5]

싼먼 현의 기후(1991-2020년 평균, 1981-2010년 극값)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11.313.317.222.726.429.234.133.329.325.019.613.7
평균 기온 (°C)6.38.011.516.621.224.728.928.324.719.614.48.4
평균 최저 기온 (°C)3.04.57.612.317.421.624.924.821.415.910.94.8
역대 최고 기온 (°C)25.430.133.335.235.838.840.638.935.935.230.727.5
역대 최저 기온 (°C)-7.6-5.5-4.02.08.312.218.819.112.52.5-2.5-6.3
평균 강수량 (mm)62.575.4105.9115.9139.6252.6191.8292.7224.096.580.668.9
평균 상대 습도 (%)747675757984788080767873
평균 강수일수 (≥ 0.1 mm)11.613.115.114.616.218.214.116.714.47.411.010.3
평균 일조 시간98.295.3125.2140.1131.7101.2207.2182.9132.7151.7109.1113.9
평균 상대 일조율 (%)303034363124494536433436
평균 적설일수2.21.40.30.10000000.10.8

[3][4]

5. 행정 구역

싼먼현은 10개의 진과 4개의 향을 관할한다.

진(鎭)향(鄕)


6. 특산물

싼먼 게는 이 곳에서 맛볼 수 있는 특별한 요리 중 하나로, 중국에서 맛있는 맛으로 잘 알려져 있다.[1] 이 게의 인기는 싼먼에서 게를 홍보하기 위해 사용되는 "싼먼 게, 세계를 누비다"라는 말을 만들어냈다.[1]

7. 명소

싼먼 현에는 섭반도, 목소 해변, 두바오장 사찰과 같은 유명한 명소가 있다.

8. 언어

싼먼 현 주민들은 이 지역 고유의 언어인 우어를 사용한다.

참조

[1] 서적 The boxer rebellion: the dramatic story of China's war on foreigners that shook the world in the summer of 1900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USA 2011-03-04
[2] 서적 Marinelli & Andornino 2013 https://books.google[...]
[3]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25
[4] 웹사이트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25
[5] 웹인용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Data Service Center 2022-1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