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쓰허위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쓰허위안(四合院)은 중국 전통 건축 양식 중 하나로, 사방이 건물로 둘러싸인 안뜰을 특징으로 한다. 2,0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베이징의 문화적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쓰허위안은 북쪽 건물인 안채를 중심으로 동서 측면 건물, 남쪽의 맞은편 건물로 구성되며, 풍수지리 사상에 따라 건물 배치와 문의 위치가 결정된다. 현대에는 주택 부족 문제로 인해 여러 가구가 함께 거주하거나, 호텔, 기념관 등으로 활용되기도 하며,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계기로 재개발되면서 많은 수가 철거되었다. 현재는 일부가 문화 유산으로 보존되어 있으며, 루쉰, 마오둔 등 저명 인사들의 기념관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건축 - 유리와
    기와는 지역과 시대에 따라 형태와 특징이 다양하며, 건축물의 지붕을 덮는 재료로 사용되어 건물을 보호하고 미적 가치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 중국의 전통 건축 - 중국 정원
    중국 정원은 독자적인 조경 양식으로,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추구하며 이상적인 세계를 구현하고자 하고, 역사적으로 발전해 한국과 일본 정원에도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전통 건축 - 강 (난방)
    캉은 중국 북부에서 유래한 전통 난방 방식이자 주거 시설로, 아궁이 열을 캉 내부에 축적시켜 바닥을 데워 실내를 따뜻하게 유지하며, 한국의 온돌과 유사하고 현대 기술과 디자인을 접목하여 발전하고 있다.
쓰허위안
개요
전형적인 쓰허위안의 평면도
전형적인 쓰허위안의 평면도
유형주거 건축
위치중국, 특히 베이징
구성 요소정방향 집, 동쪽 측면 집, 서쪽 측면 집, 후면 집
역사적 시대원나라 - 청나라
명칭 및 어원
명칭쓰허위안 (四合院)
어원"사방이 막힌 안뜰"을 의미
네 채의 집이 안뜰을 둘러싸는 구조에서 유래
특징
건축적 특징폐쇄적이고 독립적인 구조
외부와의 차단
안뜰을 중심으로 한 생활
상징적 의미가족의 화합과 안정
사회적 지위와 부의 상징
지역적 차이베이징: 표준적인 쓰허위안 형태
다른 지역: 기후, 재료, 문화에 따라 다양한 변형 존재
역사
기원원나라 시대로 거슬러 올라감
발전명나라청나라 시대를 거치면서 발전
현대적 변화도시화로 인한 감소
보존 노력과 새로운 활용 시도
구조
주요 구성 요소정방향 집 (正房): 북쪽에 위치, 가장 중요
동쪽 측면 집 (东厢房)
서쪽 측면 집 (西厢房)
후면 집 (后罩房): 북쪽 경계에 위치
안뜰 (院子): 건물들로 둘러싸인 개방된 공간
문 (大门): 남동쪽 방향에 위치
방의 용도정방향 집: 가족 구성원의 위계에 따라 방 배정
동쪽/서쪽 측면 집: 자녀 또는 하인 거주
후면 집: 하인 거주 또는 창고
건축 자재주로 나무, 벽돌, 기와 사용
지역에 따라 다른 재료 사용
문화적 중요성
가족 생활가족 구성원 간의 유대 강화
사회적 지위쓰허위안의 크기와 장식이 사회적 지위를 반영
전통 문화 보존중국 전통 문화와 가치관을 보존하는 역할
현대의 쓰허위안
보존 노력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보존 노력 진행 중
새로운 활용호텔, 레스토랑, 카페 등으로 활용
현대적인 생활 공간으로 재해석
문제점노후화된 시설
유지 보수 비용
사생활 보호 문제
참고 문헌

2. 명칭

사합원(四合院)은 사방이 건물로 둘러싸인 안뜰이다. 영어로는 '''안뜰집'''으로 번역되며, 드물게는 '''중국 사각형'''으로도 나타난다.

3. 역사

서주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면, 쓰허위안은 2,0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다.[1] 이는 중국 건축의 뛰어난 기본적 특징을 보여준다. 중국 전역에 존재하며, 대부분의 중국 건축 양식의 전형이 된다. 쓰허위안은 또한 베이징의 문화적 상징이자 옛 삶의 방식에 대한 창구 역할을 한다.[6]

베이징의 쓰허위안은 요나라 시대에 기본적인 구조가 형성되었으며, 그 후 금나라, 원나라, 명나라, 청나라 시대를 거쳐 현재와 같은 구성을 갖추게 되었다.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 지어진 베이징의 쓰허위안 주택은 약 100년 전 청나라가 붕괴된 이후 최근의 재개발로 인해 많이 사라졌다. 그 과정에서, 한 채의 쓰허위안에 중정을 둘러싸고 여러 세대가 함께 거주하는 '다자위안'이 등장했다. 또한, 청나라 시대까지 귀족이나 부유한 일족이 살았던 큰 저택은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에 국가 기관 직원의 주택으로 할당되었는데, 이러한 크고 품격있는 쓰허위안을 '선자다위안'이라고 한다. 베이징 쓰허위안의 중간은 넓은 정원이며, 안에서는 꽃을 심고 돌을 놓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사과해당을 심고, 큰 물항아리에서 금붕어를 키우는 것은 좋은 상징으로 여겨졌다.

현대 베이징의 인구 급증은 주택 문제를 도시의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로 만들었다. 오늘날 쓰허위안은 일반적으로 여러 가족이 거주하는 주택 단지로 사용되며, 안뜰은 추가 생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많은 쓰허위안의 생활 환경은 매우 열악하며, 개인 화장실이 있는 곳은 거의 없다. 1990년대에 베이징에서는 급속한 경제 발전으로 인해 오래된 도시 건물을 체계적으로 철거했고, 많은 쓰허위안이 과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철거되어 현대식 아파트 단지로 대체되었다.[2]

마오둔 기념관


라오 셔 기념관


고급 사합원의 예


순친왕부의 큰 정문

4. 구조 (베이징 쓰허위안 기준)

쓰허위안은 실용적이고 견고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겨울철 중국 북부의 거친 바람을 막기 위해 북서쪽 벽은 다른 벽보다 높게 지어졌다. 처마는 아래로 휘어져 가 곡선을 따라 흐르도록 하였고, 지붕은 여름에는 그늘을, 겨울에는 따뜻함을 유지하도록 능선 모양으로 만들어졌다.[2]

쓰허위안은 공간, 편안함, 조용함 및 사생활을 제공한다. 벽은 먼지와 폭풍으로부터 보호하고 보안을 제공하며, 식물, 바위, 과 함께 정원과 야외 거실 역할을 한다. 베란다는 안뜰을 여러 공간으로 나누어 가족 구성원들이 화목한 분위기에서 이야기를 나눌 수 있게 한다.[2]

도시 개발로 파괴되어 가는 쓰허위안(四合院) 폐허(윈난성 쿤밍시 우화 구)

4. 1. 건물 배치

쓰허위안의 건물 배치는 풍수지리의 영향을 받아 정해진다. 지방에 따라 안뜰의 넓이, 벽의 두께 등이 다르다.

쓰허위안의 네 건물은 남북 및 동서 축을 따라 배치된다. 북쪽에 위치하고 남쪽을 향하는 건물은 안채(正房|zhèngfáng중국어)라고 한다. 안채에 인접하고 동서 방향을 향하는 건물은 측면 건물(廂房|xiāngfáng중국어)이라고 한다. 북쪽, 동쪽 및 서쪽 건물은 아름답게 장식된 통로(抄手游廊|chāoshǒu yóuláng중국어)로 연결된다. 이 통로는 낮에는 햇빛을 가리고, 밤에는 안뜰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시원한 공간을 제공한다. 북쪽을 향하는 건물은 맞은편 건물(倒座房|dàozuòfáng중국어)이라고 한다. 안채 뒤에는 종종 별도의 뒷 건물(后罩房|hòuzhàofáng중국어)이 있는데, 전통적인 쓰허위안에서 2층 건물을 지을 수 있는 유일한 장소이다.

입구는 보통 진홍색으로 칠해져 있으며 구리 문 손잡이가 달려 있고, 일반적으로 남동쪽 모서리에 있다. 사생활 보호를 위해 문 안에는 영벽(影壁|yǐngbì중국어)이 있다. 미신에 따르면 사악한 영으로부터 집을 보호한다고 한다. 한 쌍의 돌 사자가 종종 문 밖에 놓여 있다. 일부 대형 쓰허위안 건물에는 두 개 이상의 층의 안뜰과 개인 정원이 딸려 있다. 이는 고대 시대의 부와 지위의 상징이다.[2]

안뜰 주택은 오행의 전통적인 개념과 팔괘의 점술에 따라 지어졌다. 문은 "바람" 모서리인 남동쪽 모서리에 만들어졌으며, 안채는 ""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북쪽에 지어졌는데, 이는 불을 막는 요소라고 한다.

단순한 안뜰의 레이아웃은 전통적인 중국 도덕과 유교 윤리를 나타낸다. 베이징에서 단일 안뜰의 네 건물은 서로 다른 양의 햇빛을 받는다. 북쪽의 주 건물은 가장 많은 햇빛을 받아 소유자 또는 가족 가장의 거실침실 역할을 한다. 동쪽 및 서쪽 측면 건물은 햇빛을 덜 받아 자녀 또는 덜 중요한 가족 구성원의 방 역할을 한다. 남쪽 건물은 햇빛을 가장 적게 받으며(쓰허위안의 벽에 의해 가장 그늘지게 됨) 일반적으로 접견실 및 하인의 거주지 또는 가족이 휴식을 취하거나 식사를 하거나 공부를 하기 위해 모이는 곳으로 사용된다. 뒷 건물은 미혼 과 여성 하인을 위한 것이다. 미혼 소녀는 대중에게 직접 노출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쓰허위안에서 가장 외딴 건물을 사용했다.

더 자세하고 더 계층화된 유교 질서가 고대 중국에서 따랐다. 북쪽의 안채는 가족의 맏이, 즉 가족의 가장, 일반적으로 조부모에게 할당되었다. 안채에 충분한 방이 있으면 중앙 방이 조상 숭배를 위한 사당 역할을 한다. 가장에게 첩이 있으면 아내는 안채의 동쪽 끝에 있는 방에 거주하고, 첩은 안채의 서쪽 끝에 있는 방에 거주한다. 가족의 장남과 그의 아내는 동쪽 측면 건물에 거주하고, 차남과 그의 아내는 서쪽 측면 건물에 거주한다. 손자가 다 자라면 남쪽에 있는 맞은편 건물에 거주한다. 미혼 딸은 항상 안채 뒤에 있는 뒷 건물에 거주한다.

쓰허위안에서 장례식이 열릴 때, 관의 위치는 고인의 지위에 따라 다르지만, 모든 관은 고인의 머리가 남쪽을 향하고 발이 북쪽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고인이 가장이거나 그의 아내인 경우, 관은 안채의 중심선에 놓인다. 고인이 가장의 첩인 경우, 그녀의 관은 안채에 남아 있지만, 중심에 놓일 수 없다. 고인이 젊은 남성인 경우, 그의 관은 안뜰의 중심선에 놓인다. 고인이 젊은 여성인 경우, 그녀의 관은 안뜰에 놓이지만, 중심선에 놓일 수 없다.

고대부터 쓰허위안은 실용적이고 견고한 엔지니어링 구조였다. 북서쪽 벽은 일반적으로 겨울에 중국 북부를 가로질러 부는 거친 바람으로부터 내부 건물을 보호하기 위해 다른 벽보다 높다. 처마는 아래로 휘어져 가 직선으로 떨어지기보다는 곡선을 따라 흐른다. 지붕은 여름에는 그늘을 제공하고 겨울에는 따뜻함을 유지하도록 능선 모양으로 되어 있다.

쓰허위안은 공간, 편안함, 조용함 및 사생활을 제공한다. 쓰허위안 벽은 먼지와 폭풍으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보안을 제공한다. 식물, 바위 및 과 함께, 마당은 또한 정원이자 야외 거실 역할을 한다. 베란다는 안뜰을 서로 멀지 않은 여러 크고 작은 공간으로 나눈다. 가족 구성원은 여기서 서로 이야기를 나누며 화목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쓰허위안(四合院) 모형. 사진 오른쪽 아래가 동남쪽 방향이며, 대문이 있다.


쓰허위안(四合院)의 "원(院)"은 중정(뜰)을 뜻하며, 중정을 중앙에 두고 중정 중앙에 "십(十)"자 모양의 통로를 만들어 그 동서남북 끝에 각각 한 채씩 건물을 배치한다.[15] 그래서 쓰허위안(四合院)이라고 불리게 되었다.[16] 북쪽에 위치한 곳이 "정방(正房)"으로 안채에 해당하며, 주인 부부가 거주한다.[16] 따라서 지붕도 다른 건물보다 높다.[16] 동쪽에 위치한 곳이 "동상방(東廂房)"이다. 동쪽의 옆방으로, 주인의 부모나 장남이 거주한다.[15] 서쪽에 위치한 곳이 "서상방(西廂房)"이다.[16] 서쪽의 옆방으로, 차남이 거주한다. 남쪽에 위치한 곳이 "도좌방(倒坐房)"으로, 역방향의 방이다. 요리사가 거주하며, 부엌과 변소가 설치된다.[16] 이들 4채의 건물은 각각 독립적으로 지어져 있으며, 중앙의 십자 통로를 통과해야만 방문할 수 있다.[16] 쓰허위안(四合院)의 대문(표문, 表門)은 후퉁을 향하고 있으며, 외부에서 온 손님은 대문(표문)으로 들어가 좁은 통로를 지나, 영벽(影壁)에 부딪혀 왼쪽으로 꺾어 앞뜰로 나간다.[16] 앞뜰은 중정과 "수화문(垂花門)"(짧은 기둥 장식의 문)으로 구획되어 있다.[16] 앞뜰을 향하고 있는 곳이 도좌방(倒坐房)이다. 정방(正房)이 쓰허위안(四合院)의 북쪽, 즉, 주역의 팔괘에서 말하는 "감(坎)"에 해당한다. 대문(표문)은 동남쪽 모서리 방향에 있으므로, 팔괘에서 말하는 "손(巽)"에 해당한다.[16] 이 "감택손문(坎宅巽門)"의 배치가 풍수적으로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여겨진다.[16]

4. 2. 연결 통로 및 출입구

쓰허위안의 건물은 일반적으로 남북 및 동서 축을 따라 배치된다. 북쪽에 위치하고 남쪽을 향하는 건물은 안채(正房|zhèngfáng중국어)라고 한다. 안채에 인접하고 동서 방향을 향하는 건물은 측면 건물(廂房|xiāngfáng중국어)이라고 한다. 북쪽, 동쪽, 서쪽 건물은 아름답게 장식된 통로(抄手游廊|chāoshǒu yóuláng중국어)로 연결된다. 이 통로는 낮에는 햇빛을 가리는 역할을 하고, 밤에는 안뜰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시원한 공간을 제공한다. 북쪽을 향하는 건물은 맞은편 건물(倒座房|dàozuòfáng중국어)이라고 한다. 안채 뒤에는 종종 별도의 뒷 건물(后罩房|hòuzhàofáng중국어)이 있는데, 전통적인 쓰허위안에서 2층 건물을 지을 수 있는 유일한 장소이다.

입구는 보통 진홍색으로 칠해져 있으며 구리 문 손잡이가 달려 있고, 일반적으로 남동쪽 모서리에 있다. 사생활 보호를 위해 문 안에는 영벽(影壁|yǐngbì중국어)이 있다. 미신에 따르면 영벽은 사악한 영으로부터 집을 보호한다고 한다. 한 쌍의 돌 사자가 종종 문 밖에 놓여 있다.

쓰허위안(四合院)의 "원(院)"은 중정(뜰)을 뜻하며, 중정을 중앙에 두고 중정 중앙에 "십(十)"자 모양의 통로를 만들어, 그 동서남북 끝에 각각 한 채씩 건물을 배치한다.[15] 그래서 쓰허위안이라고 불리게 되었다.[16] 동쪽에 위치한 곳은 "동상방(東廂房)"으로, 주인의 부모나 장남이 거주한다.[15] 서쪽에 위치한 곳은 "서상방(西廂房)"으로, 차남이 거주한다.[16] 남쪽에 위치한 곳은 "도좌방(倒坐房)"으로, 역방향의 방이다.[16] 이들 4채의 건물은 각각 독립적으로 지어져 있으며, 중앙의 십자 통로를 통과해야만 방문할 수 있다.[16] 쓰허위안의 대문(표문, 表門)은 후퉁을 향하고 있으며, 외부에서 온 손님은 대문으로 들어가 좁은 통로를 지나, 영벽에 부딪혀 왼쪽으로 꺾어 앞뜰로 나간다.[16] 앞뜰은 중정과 "수화문(垂花門)"(짧은 기둥 장식의 문)으로 구획되어 있다.[16]

4. 3. 안뜰 (院子)

쓰허위안의 건물 배치는 풍수지리의 영향을 받아 정해져 있으며, 지방에 따라 안뜰의 넓이와 벽의 두께 등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네 건물은 남북 및 동서 축을 따라 배치된다. 북쪽에 위치하고 남쪽을 향하는 건물은 안채(正房|정방중국어)라고 불리며, 안채에 인접하고 동서 방향을 향하는 건물은 측면 건물(廂房|상방중국어)이라고 한다. 북쪽, 동쪽, 서쪽 건물은 아름답게 장식된 통로(抄手游廊|초수유랑중국어)로 연결되어 낮에는 햇빛을 가리고 밤에는 안뜰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북쪽을 향하는 건물은 맞은편 건물(倒座房|도좌방중국어)이라고 하며, 안채 뒤에는 종종 별도의 뒷 건물(后罩房|후조방중국어)이 있는데, 이곳은 전통적인 쓰허위안에서 2층 건물을 지을 수 있는 유일한 장소이다.[2]

입구는 보통 진홍색으로 칠해져 있으며 구리 문 손잡이가 달려 있고, 일반적으로 남동쪽 모서리에 있다. 문 안에는 사생활 보호를 위해 영벽(影壁|영벽중국어)이 있으며, 미신에 따르면 사악한 영으로부터 집을 보호한다고 한다. 한 쌍의 돌 사자가 문 밖에 놓이기도 한다. 일부 대형 쓰허위안에는 두 개 이상의 층으로 된 안뜰과 개인 정원이 딸려 있기도 했다.[2]

안뜰 주택은 오행 사상팔괘의 점술에 따라 지어졌다. 문은 "바람" 모서리인 남동쪽 모서리에 만들어졌으며, 안채는 ""에 속하는 북쪽에 지어져 불을 막는 요소로 여겨졌다.

단순한 안뜰의 레이아웃은 전통적인 중국 도덕과 유교 윤리를 나타낸다. 베이징의 쓰허위안에서 각 건물은 햇빛을 받는 양이 다르다. 북쪽의 주 건물은 가장 많은 햇빛을 받아 소유자 또는 가족 가장의 거실침실로 사용된다. 동쪽 및 서쪽 측면 건물은 자녀 또는 덜 중요한 가족 구성원의 방으로 사용된다. 남쪽 건물은 햇빛을 가장 적게 받으며, 접견실, 하인의 거주지, 또는 가족 구성원들이 모이는 장소로 사용된다. 뒷 건물은 미혼 과 여성 하인을 위한 공간으로, 미혼 여성은 대중에게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가장 외딴 건물을 사용했다.

더 자세한 유교 질서에 따르면, 가족의 맏이는 북쪽 안채에 거주하고, 안채에 충분한 방이 있으면 중앙 방은 조상 숭배를 위한 사당으로 사용된다. 첩이 있는 경우, 아내는 안채 동쪽 끝 방에, 첩은 서쪽 끝 방에 거주한다. 장남과 그의 아내는 동쪽 측면 건물, 차남과 그의 아내는 서쪽 측면 건물에 거주하며, 손자가 다 자라면 남쪽 맞은편 건물에, 미혼 딸은 항상 안채 뒤 뒷 건물에 거주한다.

쓰허위안에서 장례식이 열릴 때, 관의 위치는 고인의 지위에 따라 달라지지만, 모든 관은 머리가 남쪽을, 발이 북쪽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고인의 지위에 따라 관은 안채 또는 안뜰의 중심선에 놓이거나, 중심선에서 벗어나 배치된다.

쓰허위안은 실용적이고 견고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북서쪽 벽은 겨울철 중국 북부의 거친 바람을 막기 위해 다른 벽보다 높게 지어졌다. 처마는 아래로 휘어져 가 곡선을 따라 흐르도록 하고, 지붕은 여름에는 그늘을, 겨울에는 따뜻함을 유지하도록 능선 모양으로 되어 있다.

쓰허위안은 공간, 편안함, 조용함, 그리고 사생활을 제공한다. 벽은 먼지와 폭풍으로부터 보호하고 보안을 제공하며, 식물, 바위, 과 함께 정원과 야외 거실 역할을 한다. 베란다는 안뜰을 여러 공간으로 나누어 가족 구성원들이 화목한 분위기에서 이야기를 나눌 수 있게 한다.

전통적인 쓰허위안의 안뜰에는 나무가 빠질 수 없다.[17] 관습에 따르면, 안채를 향해 좌우 대칭으로 나무를 심었다.[18] 심는 나무로는 "상수리나무, 버드나무, 느릅나무, 회화나무는 집에 들이지 않는다"(, 버들, , )는 것이 철칙으로 여겨졌다. 이는 각 나무의 이름이나 모양, 특징이 불길한 의미를 연상시킨다는 믿음 때문이었다.[18]

4. 4. 유교적 질서 반영

쓰허위안의 배치는 전통적인 중국 도덕과 유교 윤리를 반영한다. 베이징의 쓰허위안에서 단일 안뜰의 네 건물은 서로 다른 양의 햇빛을 받는다. 북쪽의 주 건물(안채, 正房)은 가장 많은 햇빛을 받아 소유자 또는 가족 가장의 거실침실로 사용된다. 동쪽 및 서쪽 측면 건물(廂房)은 햇빛을 덜 받아 자녀 또는 덜 중요한 가족 구성원의 방으로 사용된다. 남쪽 건물(倒座房)은 햇빛을 가장 적게 받으며, 주로 접견실 및 하인의 거주지, 또는 가족이 휴식을 취하거나 식사를 하거나 공부를 하는 곳으로 사용된다. 안채 뒤에 있는 뒷 건물(后罩房)은 미혼 과 여성 하인을 위한 공간이다. 미혼 여성은 대중에게 직접 노출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쓰허위안에서 가장 외딴 건물을 사용했다.[2]

더 자세하고 계층화된 유교 질서가 고대 중국에서 쓰허위안 배치에 반영되었다. 북쪽의 안채는 가족의 가장 연장자인 조부모에게 할당되었다. 안채에 충분한 방이 있으면 중앙 방은 조상 숭배를 위한 사당 역할을 했다. 가장에게 첩이 있으면, 정실 부인은 안채의 동쪽 끝 방에, 첩은 서쪽 끝 방에 거주했다. 장남과 그의 아내는 동쪽 측면 건물, 차남과 그의 아내는 서쪽 측면 건물에 거주했다. 손자가 다 자라면 남쪽에 있는 맞은편 건물에 거주했다. 미혼 딸은 항상 안채 뒤에 있는 뒷 건물에 거주했다.[2]

쓰허위안에서 장례식이 열릴 때, 관의 위치는 고인의 지위에 따라 달랐다. 모든 관은 고인의 머리가 남쪽을 향하고 발이 북쪽을 향하도록 배치되었다. 고인이 가장이거나 그의 아내인 경우, 관은 안채의 중심선에 놓였다. 고인이 가장의 첩인 경우, 그녀의 관은 안채에 남아 있지만, 중심에 놓일 수 없었다. 고인이 젊은 남성인 경우, 그의 관은 안뜰의 중심선에 놓였다. 고인이 젊은 여성인 경우, 그녀의 관은 안뜰에 놓이지만, 중심선에 놓일 수 없었다.[2]

쓰허위안의 "원(院)"은 중정(뜰)을 뜻하며, 중정을 중앙에 두고, 중정 중앙에 "십(十)"자 모양의 통로를 만들어, 그 동서남북 끝에 각각 한 채씩 건물을 배치하는 구조이다.[15] 북쪽에 위치한 정방(正房)은 안채에 해당하며, 주인 부부가 거주하고 지붕도 다른 건물보다 높다.[16] 동쪽의 동상방(東廂房)은 주인의 부모나 장남이, 서쪽의 서상방(西廂房)은 차남이 거주한다.[15][16] 남쪽의 도좌방(倒坐房)은 요리사가 거주하며, 부엌과 변소가 설치된다.[16]

5. 각 지방의 쓰허위안 특징

지방에 따라 뜰의 넓이, 벽의 두께 등이 다르다. 간쑤성, 칭하이성과 같이 황사가 심한 북서부 지역에서는 뜰의 담이 더 높다. 쓰허위안의 형태도 변경되었는데, 중국 북서부에서는 쓰허위안의 남북 길이가 동서 길이보다 훨씬 더 긴 반면, 쓰촨성과 같은 다른 성에서는 그 반대이다. 중국 남부에서는 여러 층으로 집을 짓는다. 동북 지방은 토지가 풍부하지만 날씨가 추워서 햇빛 노출을 늘리기 위해 뜰을 넓고 크게 만들고, 담 안쪽에 더 많은 개방 공간을 둔다. 베이징, 동북 지방 등 추운 지방에서는 일조량을 확보하기 위해 뜰을 넓게 만들고, 지붕과 벽을 두껍게 한다. 산시 성 등에서는 서쪽 햇볕을 피하기 위해 동서 방향의 폭을 좁게, 남북 방향의 폭을 길게 한다.

6. 현대의 쓰허위안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계기로 한 도시 정비 및 재개발로 인해 많은 쓰허위안이 철거되었다. 그러나 최근 중국의 대규모 계획 주거 단지에서는 빌라 상품으로 현대적인 형태의 쓰허위안이 개발되기도 한다. 이러한 새로운 쓰허위안은 베이징의 신규 주택 개발 지역에 위치해 있다.[7][8]

베이징 역사 지구에서는 2005년 이후 마당 개념을 사용하여 현대적인 쓰허위안이 건설되었다. 겉모습은 전통적인 베이징 주택의 특징을 따르고 있지만, 현대적인 기술과 재료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전통적인 회색 벽돌 대신 콘크리트 블록과 '가짜' 벽돌 외관을 사용하고, 나무 창틀과 들보 대신 플라스틱 코팅된 재료를 사용한다.

2017년 산시성 시골에서 오래된 안뜰 주택의 확장으로 지어진 현대식 안뜰 주택

6. 1. 보존 및 활용

현재 쓰허위안은 건물을 분할하여 한 세대나 여러 세대가 공동 거주를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일반적으로 견학을 할 수는 없지만, 일부 유명인이 거주하였던 곳은 기념관으로 꾸며져서 참관이 가능하다. 아파트나 호텔로 사용되는 것도 있다.[1] 1990년대 베이징에서는 급속한 경제 발전으로 인해 오래된 도시 건물을 체계적으로 철거했고, 많은 쓰허위안이 과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철거되었고, 현대식 아파트 단지로 대체되었다.[2]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때문에 재개발이 진행되어 대부분 해체되기도 하였다.

베이징시 문화유산 관리국에 따르면, 문화 및 역사 보존 지역에는 500개 이상의 역사적인 쓰허위안(四合院)이 중요한 문화 유적으로 보존되어 있다.[4] 이 중 다수는 공공 박물관이며, 보존된 역사적인 쓰허위안에는 루쉰 기념관, 궈모뤄 기념관, 마오둔 기념관, 메이란팡 기념관, 라오서 기념관 등이 있다. 2008년 유엔 인간 정주 계획의 연구에 따르면 베이징에는 약 40만 채의 주거용 쓰허위안이 남아 있다.[5]

쓰허위안의 판매 시장 또한 최근 몇 년 동안 호황을 누리고 있다.[6] 2005년 보고서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7,000~9,000채의 주거용 쓰허위안이 판매 시장에 나와 있으며, 많은 곳의 가격은 일반적으로 평방미터당 7000CNY~10000CNY이다.[6] 그러나 가격은 지역과 시장에 따라 다르다. 2009년 둥청구와 시청구의 주거용 쓰허위안의 경우 가격이 평방미터당 40000CNY까지 올라갈 수 있다. 호우하이 및 스차하이 지역 근처의 쓰허위안의 경우 가격이 평방미터당 100000CNY~150000CNY까지 올라갈 수 있다. 2005년 스차하이 지역 근처의 2,000m2 쓰허위안이 4000만위안(600만달러)에 판매되었다.[6]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된 이후, 한 가구가 하나의 쓰허위안을 차지하는 경우는 급격히 줄었다.[18] 21세기에 들어와 완전한 형태로 볼 수 있는 쓰허위안은 학교나 관공서 등의 공공 시설이나 호텔 등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18] 하나의 쓰허위안을 여러 세대가 공유하는 경우가 주류를 이룬다.[18]

6. 2. 현대적 변용

오늘날 쓰허위안은 건물을 분할하여 한 세대나 여러 세대가 공동으로 거주하는 형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견학이 어렵지만, 일부 유명 인사가 거주했던 곳은 기념관으로 꾸며져 참관이 가능하다. 아파트나 호텔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으로 인해 재개발이 진행되어 대부분 해체되고 있다.[4]

베이징시 문화유산 관리국에 따르면, 문화 및 역사 보존 지역에는 500개 이상의 역사적인 쓰허위안이 중요한 문화 유적으로 보존되어 있다.[4] 이 중 다수는 공공 박물관이며, 보존된 역사적인 쓰허위안에는 루쉰 기념관, 궈모뤄 기념관, 마오둔 기념관, 메이란팡 기념관, 라오서 기념관 등이 있다. 유엔 인간 정주 계획의 2008년 연구에 따르면 베이징에는 약 40만 채의 주거용 쓰허위안이 남아 있다.[5]

최근 몇 년 동안 쓰허위안의 판매 시장은 호황을 누리고 있다.[6] 2005년 보고서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7,000~9,000채의 주거용 쓰허위안이 판매 시장에 나와 있으며, 많은 곳의 가격은 평방미터당 7,000~10,000위안(7000CNY~10000CNY)이다.[6] 그러나 가격은 지역과 시장에 따라 다르다. 2009년 둥청구와 시청구의 주거용 쓰허위안의 경우 가격이 평방미터당 40,000위안(40000CNY)까지 올라갈 수 있다. 호우하이 및 스차하이 지역 근처의 쓰허위안의 경우 가격이 평방미터당 100,000~150,000위안(100000CNY~150000CNY)까지 올라갈 수 있다. 2005년 스차하이 지역 근처의 2000m2 쓰허위안이 4000만위안에 판매되었다.[6]

최근 중국의 대규모 계획 주거 단지에서는 빌라 상품으로 현대적인 형태의 쓰허위안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쓰허위안은 베이징의 신규 주택 개발 지역에 위치해 있다.[7][8] 베이징 역사 지구에서는 2005년 이후 마당 개념을 사용하여 현대적인 쓰허위안이 건설되었으며, 표면적으로는 전통적인 베이징 주택의 많은 특징을 따르고 있지만, 전통적인 세심하게 놓인 넓은 회색 중국 벽돌 대신 현대적인 기술과 '가짜' 벽돌 외관의 콘크리트 블록, 천연 나무 래커로 칠해진 전통적인 나무 창틀과 들보 대신 플라스틱 코팅된 창틀과 들보를 사용한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한 가구가 하나의 쓰허위안을 차지하는 경우는 급격히 줄었다.[18] 21세기에 들어와 완전한 형태로 볼 수 있는 쓰허위안은 학교나 관공서 등의 공공 시설이나 호텔 등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18] 하나의 쓰허위안을 여러 세대가 공유하는 경우가 주류를 이룬다.[18]

7. 저명인이 거주한 쓰허위안

저명 인사가 거주했던 쓰허위안은 참관이 가능하다.



1919년 루쉰(본명: 저우수런)은 고향 사오싱 신타이먼에 있던 저우 일족의 저택이 매물로 나오자 베이징 내성 서북구 신제커우 바다오완 11번지의 쓰허위안을 구입하여 루쉰의 어머니, 동생 저우쭤런, 막내 동생 저우젠런과 그 가족과 함께 거주했다.[9][19] 이 쓰허위안은 남북 63m, 동서 26m, 부지 50평 정도의 2진식 쓰허위안이었다.[20] 이 쓰허위안은 적어도 1990년대 말까지 일반 시민이 거주했으며, 그가 작품을 썼던 서재가 그대로 남아 있었다(베이징시 시청구 신제커우 바다오완 11번지).[19]

참조

[1] 서적 Vernacular dwellings Springer, original from the [[University of Virginia]]
[2] 웹사이트 Courtyard (Siheyuan) http://www.chinadail[...] 2004-01-14
[3] 웹사이트 Experience Beijing's Siheyuan hotels http://www.chinadail[...] 2007-03-07
[4] 웹사이트 From Hutong to 'New-Tong' http://www.btmbeijin[...] 2008-09-01
[5] 서적 Best practices on social sustainability in historic districts https://books.google[...] UNESCO
[6] 웹사이트 Siheyuan: Old Beijing Style Appeals to Many http://www.btmbeijin[...] 2006-04-14
[7] 웹사이트 Home Buyers Hot for Traditional Siheyuan http://china.org.cn/[...] China.org.cn 2005-03-20
[8] 웹사이트 Chinese-style villas emerge in market http://www.chinadail[...] 2004-09-24
[9] 문서 藤井(2011年)74ページ
[10] 웹사이트 四合院的历史沿革 2ページ https://zhuanlan.zhi[...] 2021-12-08
[11] 문서 樋口(2015年11月)103ページ
[12] 문서 樋口(2015年12月)103ページ
[13] 문서 大矢 (2005年) 27ページ
[14] 문서 大矢 (2005年) 27ページ
[15] 문서 竹内(2009年)116ページ
[16] 문서 竹内(2009年)117ページ
[17] 문서 多田(2013年)92ページ
[18] 문서 多田(2013年)93ページ
[19] 문서 上村(1999年)34ページ
[20] 문서 藤井(2011年)75ペー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