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는 중화인민공화국 쓰촨성 서북부에 위치한 자치주이다. 1955년 아바 티베트족 자치주로 개칭되었고, 1987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2008년 쓰촨 대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었으며, 2009년 이후 아바현 응아바 진에서 티베트인 분신 사건이 다수 발생하여 인권 문제가 제기되었다. 자치주 내에는 민산 산맥이 솟아 있고, 민강 등 양쯔강 수계의 강이 발원하며, 티베트 불교 사찰과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주자이거우 등 관광 자원이 풍부하다. 주요 민족은 티베트족, 한족, 창족이며, 관광업, 수력 발전, 광업이 주요 산업이다.
기원전 316년, 진나라가 현재의 쑹판현 지역에 전저도를 설치했다.[1]한나라 시대에는 문산군이 설치되었다.[1] 송나라 때는 무주 통화군, 위주 유천군이 설치되었다.[1]
원나라 때 토사 제도가 시작되었고,[2] 명나라 때는 무주, 위주, 쑹판위가 설치되었으며,[2]청나라는 무주, 이번청, 쑹판청, 무공청을 설치했다.[2]
2. 2. 근현대
1935년부터 1936년까지 중국 공농 홍군이 대장정 도중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 경내에 16개월이나 머물렀으며, 각급 소비에트 정부 및 소수 민족 혁명 정권을 수립했다.[3]
1953년 쓰촨성 장족 자치구가 성립되었고, 1955년에 아바 티베트족 자치주(阿壩藏族自治州)로 개칭, 1987년에는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阿壩藏族羌族自治州)로 다시 개칭했다.[4]
2008년5월 12일 쓰촨 대지진으로 주 내의 넓은 범위에서 큰 피해를 입었다. 특히 자치주 남쪽 원촨현에서 발생한 이 지진으로 자치주에서 20,258명이 사망하고 45,079명이 부상당했으며 7,696명이 실종되었다.[5][6]
2009년 이후, 아바현 응아바진에서 티베트인 분신 사건이 다수 발생하여 인권 문제가 제기되었다.[7]2009년부터 2019년까지 티베트 전체 분신 156건 중 60건 이상이 응아바에서 발생했다.[8]
3. 지리
쓰촨성 서북부에 위치하고, 청두 평원에 가깝다. 북쪽은 칭하이성, 간쑤성과 접하며, 서쪽과 남쪽은 각각 청두시, 몐양시, 더양시, 야안시,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와 접한다. 자치주 내에는 해발 4000m에서 5000m 이상에 달하는 민산 산맥이 솟아 있으며, 민강 등 양쯔강 수계의 다수의 큰 강이 발원하여 남쪽으로 흐른다. 북부에서는 황허강 수계의 강이 초원을 흐른다. 민강과 그 지류인 대도하의 발원지는 아바에 위치해 있다.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에 있는 쓰촨 주자이황룽 공항의 택시 요금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는 서쪽에 홍원 공항, 동쪽에 쓰촨 주자이황룽 공항이 있다. ''주자이거우 기차역''은 주자이거우현의 읍에서 북서쪽으로 떨어진 곳에 건설 중이다. 이 철도는 청두와 란저우 사이를 운행할 예정이다.
청두에 가까워 경제 상태는 비교적 좋은 편이다. 2003년 생산총액(GNP)은 51.72억위안이었다. 관광업, 수력발전, 광업이 주요 산업이다. 일본에서 사용되는 수지(樹脂)용 금속 실리콘의 대부분은 이 자치주에서 생산된다. 여러 세계 유산이 있어 국내외에서 많은 관광객이 찾아와 관광업도 활발하다.
8. 관광
워룽 국가급 자연 보호구(원촨현) - 1980년에 설립된 자이언트 판다 보호 구역으로, 중국 자이언트 판다 보호 연구 센터가 위치해 있다.
쓰촨 자이언트 판다 보호구역은 자이언트 판다의 서식지로 2006년에 세계유산에 등록되었는데, 총 7개의 자연 보호구역 중 워룽 자연 보호구역, 차오포 자연 보호구역, 쓰구냥산 자연 보호구역의 3개 자연 보호구역과, 총 9개의 풍경 명승구 중 쓰구냥산 풍경 명승구, 미아뤄 풍경 명승구의 2개 풍경 명승구가 이곳에 속해 있다.
Songpan Bridge
키르티 곰파
Aerial panorama of Waqie Talin 瓦切塔林 in Hongyuan county.
Aerial perspective of the Songpan Ancient City walls and fort. October 202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