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피다우로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피다우로스는 사로니코스 만에 위치한 항구 도시로, 아테네에서 남서쪽으로 약 65k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고대 그리스 시대에는 독립적인 도시 국가였으며, 아스클레피오스, 즉 의술의 신을 숭배하는 아스클레피에이온이 있어 의료 중심지로 번영했다. 에피다우로스 유적에는 오늘날까지 사용되는 고대 극장이 있으며, 1988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스클레피오스 -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의술과 치유의 신인 아스클레피오스의 상징으로, 뱀 한 마리가 감겨 있는 형태로 의료 기관 및 단체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카두케우스와 혼동되기도 한다.
  • 아스클레피오스 - 땅꾼자리
    땅꾼자리는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부터 알려진 별자리로, 뱀을 움켜쥔 의술의 신 아스클레피오스를 묘사하며, 케플러 초신성 관측과 천문류초 기록을 통해 천문학 발전에 기여하고, 라스알하게, 바너드 별 등을 포함한다.
  • 펠로폰네소스주의 관광지 - 미케네
    미케네는 아르골리스 지방의 고대 유적지로, 미노아 문명의 영향을 받아 에게 문명의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아가멤논 왕의 도시로도 알려져 있고 청동기 시대 붕괴와 함께 쇠퇴했으나 후대 그리스 문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펠로폰네소스주의 관광지 - 테게아
    테게아는 고대 아르카디아의 도시로, 아르카디아 동남부에 위치하여 키누리아, 아르고스, 라코니아 등과 경계를 이루었으며, 아테나 알레아 신전을 중심으로 종교적 중심지 역할을 하고 스파르타와의 투쟁, 펠로폰네소스 동맹 활동 등 역사적 사건의 중심에 있었다.
  • 아르골리다현 - 미케네
    미케네는 아르골리스 지방의 고대 유적지로, 미노아 문명의 영향을 받아 에게 문명의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아가멤논 왕의 도시로도 알려져 있고 청동기 시대 붕괴와 함께 쇠퇴했으나 후대 그리스 문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아르골리다현 - 아르고스
    아르고스는 펠로폰네소스 반도 북동부에 위치한 고대 그리스의 도시 국가로, 기원전 7,000년 전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스파르타와의 경쟁과 쇠퇴, 여러 제국의 지배를 거쳐 그리스 왕국에 속하게 되었고, 농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며, 다양한 유적과 박물관을 보유한 관광 도시이다.
에피다우로스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위치그리스 펠로폰네소스 아르골리다 현
설명그리스의 도시 및 세계유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명칭아스클레피오스 신전, 에피다우로스
유네스코 ID491
등재 연도1988년
분류 기준문화 (i, ii, iii, iv, vi)
면적1,393.8 ha
완충 구역3,386.4 ha
에피다우로스 전경
에피다우로스 전경
기본 정보
라틴어 표기또는
행정 구역
국가그리스
광역 행정 구역펠로폰네소스
아르골리다 현
지방 자치체에피다우로스
인구 통계
2021년 인구 (지방 자치체)7,030명
지방 자치체 면적340.4 km²
2021년 인구 (기초 자치 단체)3,418명
기초 자치 단체 면적160.6 km²
2001년 인구 (시)9,275명
시 면적338.1 km²
2001년 인구 (기초 자치 단체)4,471명
2011년 인구1,932명
인구 밀도24명/km²
광역 인구8,115명
추가 정보
우편 번호210 59

2. 지리

에피다우로스는 사로니코스 만에 접한 항구 도시로, 수도 아테네의 남서쪽 약 65km, 코린토스의 동남쪽 약 40km, 현도 나플리오의 동쪽 30km에 위치한다. 현재는 팔레아 에피다브로스(Παλαιά Επίδαυρος Αργολίδας|팔레아 에피다우로스 아르골리다스el)('구 에피다우로스'라는 뜻)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1700명 정도의 인구가 있다.

20세기 말 이후 두 차례의 지자체 통폐합을 거쳐 해안에서 내륙까지 넓은 면적을 가지게 되었다. 2011년에는 서쪽에 인접한 아스클레피이오 시와 합병하였다.

에피다우로스 유적(아스클레피오스의 성소)은 팔레아 에피다브로스에서 약 8km 남서쪽으로 떨어진 내륙에 있으며, 2010년까지는 아스클리피이오 시(‘아스클레피오스 신전’ 아스클레페이온에서 유래된 지명)에 속해 있었다.

에피다우로스 시에 포함된 1,000명 이상의 주요 집락과 인구는 다음과 같다(2001년 인구 조사 기준).

지역인구
리구리오Λυγουριό|리구리오el2,678명
팔레아 에피다브로스Παλαιά Επίδαυρος|팔레아 에피다우로스el1,733명
네아 에피다브로스Νέα Επίδαυρος|네아 에피다우로스el1,127명


2. 1. 위치

사로니코스 만에 접한 항구 도시로, 수도 아테네의 남서쪽 약 65km, 코린토스의 동남쪽 약 40km, 현도 나플리오의 동쪽 30km에 위치한다. 현재는 파레아 에피다브로스(Παλαιά Επίδαυρος Αργολίδαςel)(‘구 에피다우로스’라는 뜻)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1700명 정도의 인구가 있다.

자치 단체로의 에피다우로스 도시는 20세기 말 이후 두 차례의 지자체 통폐합을 거쳐 해안에서 내륙까지 큰 면적을 가진다. 2011년의 통폐합은 서쪽에 인접한 아스클레피이오 시와 합병했다.

에피다우로스 유적(아스클레피오스의 성소)은 파레아 에피다브로스에서 약 8km 남서쪽으로 떨어진 내륙에 있다. 2010년까지 아스클리피이오 시(‘아스클레피오스 신전’ 아스클레페이온에서 유래된 지명)에 속해 있었다. 실제로 이전 아스쿠리피이오의 도시 중심이었던 리구리오 쪽이 팔라이아 에피다브로스보다 에피다우로스 유적에 가까우며, 유적 마을 리구리오의 약 4km 남동쪽에 있다.

2. 2. 주요 지역

사로니코스 만에 접한 항구 도시인 에피다우로스는 수도 아테네의 남서쪽 약 65km, 코린토스의 동남쪽 약 40km, 현도 나플리오의 동쪽 30km에 위치한다. 현재는 팔레아 에피다브로스(Παλαιά Επίδαυρος Αργολίδαςel)('구 에피다우로스'라는 뜻)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1700명 정도의 인구가 있다.

20세기 말 이후 두 차례의 지자체 통폐합을 거쳐 해안에서 내륙까지 큰 면적을 가진다. 2011년의 통폐합은 서쪽에 인접한 아스클레피이오 시와 합병했다.

에피다우로스 유적(아스클레피오스의 성소)은 팔레아 에피다브로스에서 약 8km 남서쪽으로 떨어진 내륙에 있다. 2010년까지는 아스클리피이오 시(‘아스클레피오스 신전’ 아스클레페이온에서 유래된 지명)에 속해 있었다. 실제로 이전 아스쿠리피이오의 도시 중심이었던 리구리오 쪽이 팔라이아 에피다브로스보다 에피다우로스 유적에 더 가깝고, 유적은 리구리오의 약 4km 남동쪽에 있다.

에피다우로스 시에 포함된 1,000명 이상의 주요 집락은 다음과 같다(인구는 2001년 인구 조사 기준).

지역인구
리구리오Λυγουριόel2,678명
팔레아 에피다브로스Παλαιά Επίδαυροςel1,733명
네아 에피다브로스Νέα Επίδαυροςel1,127명



시역 최대의 집락은 '''리구리오'''이며, 에피다우로스 시의 청사도 이곳에 있다. 팔레아 에피다브로스에서 서쪽으로 약 11km, 나플리오로 향하는 도중에 위치한 내륙 마을이며, 에피다우로스 유적에도 가깝다. '''네아 에피다브로스'''("신 에피다우로스"라는 의미)는 팔레아 에피다브로스에서 북쪽으로 약 5.5km 떨어진 해안가 마을로, "제1회 국민 회의"(1821년)가 개최된 곳이며, 근대 그리스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3. 역사

에피다우로스는 아르고스로부터 독립되어 있었으며, 로마 시대까지 아르고리스에 포함되지 않았다. 에피다우로스는 주변 지역과 함께 에피다우리아라고 불리는 작은 영토를 형성했다. 에피다우로스에 의해 건립되었거나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치유의 신인 아스클레피오스가 태어난 곳으로 여겨졌다.[13]

3. 1. 고대-중세

고대 그리스 시대에 에피다우로스는 독립적인 도시 국가였으며, 에피다우로스 주변 지역은 에피다우리아(Epidauria)라고 불렸다. 아르고스에 속하게 된 것은 고대 로마 시대에 들어서부터이다.

전승에 따르면, 아폴로의 아들이자 명의인 아스클레피오스가 태어난 곳이라고 전해진다.[13] 원래 이 지역에서는 아폴로 말레아타스(Apollo Maleatas영어) (아폴로와 영웅 말레아타스가 습합된 신격)가 숭배되었으며, 언덕 위의 신전도 아폴로 말레아타스에게 바쳐진 것이었다. 미케네 문명 기원전 13세기경, 티린스와 에피다우로스를 잇기 위해 건설된 아르카디코 다리 (별칭 카잘마 다리. 에피다우로스 시역에 포함된 아르카디코Αρκαδικό Αργολίδαςel에 소재)는, 현재에도 사용되는 다리 중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다리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아폴로 말레아타스 신앙이 쇠퇴한 기원전 6세기경, 아스클레피오스를 숭배하는 사람들이 이곳을 성역으로 삼았다.

에피다우로스의 아스클레피에이온 (아스클레피오스의 성역)은 고전기 그리스 세계에서 가장 축복받은 의료 중심지가 되어, 많은 환자들이 치유를 기원하며 모여들었다. 올바른 치료법을 찾기 위해, 환자들은 enkoimeteria라는 큰 침실에서 하룻밤을 보냈다. 꿈속에 신이 나타나 환자가 병을 치료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고 한다. 성역 유적에서는 160개의 방이 있는 게스트 하우스가 발견되었다. 유적 주변에는 치료에 사용되었을지도 모르는 몇몇 광천이 존재한다.

아스클레피에이온은 에피다우로스에 번영을 가져다주었고, 기원전 4세기 ~ 기원전 3세기에는 기념적인 건축물의 건설과 확장 등, 야심찬 건축 계획이 실시되었다. 유명한 야외 극장과, 의식을 거행할 때의 연회장, 욕장, 경기장 등이다. 명성은 헬레니즘 시대에도 이어졌다.

고대 그리스 세계에는 에피다우로스라는 이름을 가진 마을이 다른 두 곳이 있었다. 하나는 달마티아의 에피다우로스, 다른 하나는 라코니아의 에피다우로스 리메라(Επίδαυρος Λιμηράel)이다.

기원전 87년, 로마의 장군 술라에 의해 성역이 약탈당했다. 기원전 67년에는 해적이 약탈을 감행했다. 서기 2세기경에는 로마 제국 아래에서 번영을 되찾았지만, 395년에는 고트족에 의해 습격당했다.

기독교가 도입되면서, 그리스 신들에 대한 신앙은 쇠퇴하거나 금지되었고, 델포이의 신탁도 행해지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에피다우로스는 "치유의 성역"으로서 5세기 중반까지 기독교인들에게 숭배받았다.

3. 2. 근현대

그리스 독립 전쟁 중인 1821년 12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네아에피다우로스(당시 명칭은 피아다)에서 제1회 국민 회의가 개최되었다. 당시 펠로폰네소스와 중앙 그리스에서 조직되어 있던 3개의 독립파 임시 정부 지도자들이 모인 이 회의에서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의 그리스 독립 선언과 동시에 임시 헌법(Greek Constitution of 1822)이 채택되었다. (그리스 제1공화국 참조)

네아 에피다우로스에 있는 제1회 국민회의 기념비

4. 에피다우로스 고고학 유적

에피다우로스 유적은 그리스 신화의 의술의 신 아스클레피오스를 모시는 성역으로, 항구 도시 에피다우로스에서 8km 떨어진 내륙에 있다. 현재 그리스에서 가장 잘 보존된 극장 유적이 남아 있으며, 1988년 세계유산에 "에피다우로스의 고고학 유적"으로 등록되었다.

서기 395년 고트족의 성역 습격 이후, 기독교가 도입되고 신탁이 금지된 후에도 에피다우로스 성역은 5세기 중반까지 기독교 치료 중심지로 알려져 있었다.[6]

4. 1. 아스클레피에이온

에피다우로스는 치료 성역(''아스클레피에이온'')과 도시에서 약 8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아스클레피오스의 성역, 그리고 오늘날까지 사용되는 극장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에피다우로스에서 아스클레피오스 숭배는 기원전 6세기에 확인되었는데, 이는 언덕 꼭대기에 있던 더 오래된 아폴론 말레아타스 성역이 더 이상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지 못했을 때였다. 이곳은 아픈 사람들이 치료받기를 희망하며 찾아오던, 고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치료 중심지였다. 그들은 질병에 대한 적절한 치료법을 찾기 위해 큰 수면실인 ''엔코이메테리아''에서 밤을 보냈다. 꿈속에서 신은 그들에게 건강을 되찾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직접 조언해 주곤 했다. 성역 안에는 160개의 객실을 갖춘 손님 숙소(''카타고기온'')가 있었다. 근처에는 치유에 사용되었을지도 모르는 광천수도 있다.[6]

아스클레피오스는 고대 시대의 가장 중요한 치유 신으로, 성역에 번영을 가져왔다. 이는 기원전 1세기의 전반기에 술라가 제1차 미트리다테스 전쟁 중에 약탈하면서 광범위한 피해를 입을 때까지 번성했다. 서기 124년 하드리아누스의 방문 이후 부활하여 그 이후 수세기 동안 새로운 번영을 누렸다.[6]

전승에 따르면, 아폴로의 아들이자 명의인 아스클레피오스가 태어난 곳이라고 전해진다.[13] 원래 이 지역에서는 아폴로 말레아타스 (아폴로와 영웅 말레아타스가 습합된 신격)가 숭배되었으며, 언덕 위의 신전도 아폴로 말레아타스에게 바쳐진 것이었다. 미케네 문명기원전 13세기경, 티린스와 에피다우로스를 잇기 위해 건설된 아르카디코 다리 (별칭 카잘마 다리. 에피다우로스 시역에 포함된 아르카디코에 소재)는, 현재에도 사용되는 다리 중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다리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아폴로 말레아타스 신앙이 쇠퇴한 기원전 6세기경, 아스클레피오스를 숭배하는 사람들이 이곳을 성역으로 삼았다.

에피다우로스의 아스클레피에이온 (아스클레피오스의 성역)은 고전기 그리스 세계에서 가장 축복받은 의료 중심지가 되어, 많은 환자들이 치유를 기원하며 모여들었다. 올바른 치료법을 찾기 위해, 환자들은 enkoimeteria라는 큰 침실에서 하룻밤을 보냈다. 꿈속에 신이 나타나 환자가 병을 치료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고 한다. 성역 유적에서는 160개의 방이 있는 게스트 하우스가 발견되었다. 유적 주변에는 치료에 사용되었을지도 모르는 몇몇 광천이 존재한다.

아스클레피에이온은 에피다우로스에 번영을 가져다주었고, 기원전 4세기 ~ 기원전 3세기에는 기념적인 건축물의 건설과 확장 등, 야심찬 건축 계획이 실시되었다.

4. 2. 극장

에피다우로스 고대 극장


에피다우로스 유적에서 가장 유명한 건축물은 고대 극장이다. 1만 5000명의 관객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와 좌우 대칭의 아름다움은 2세기 그리스의 지리학자 파우사니아스를 감탄하게 했다.

이 극장은 기원전 4세기에 폴리클레이토스 더 영거(폴리클레이토스의 아들)에 의해 설계되었다. 원래 34단이었던 좌석은 로마 시대에 21단이 추가되었다. 그리스 극장 건축의 통례로 (로마 극장과 대조적으로) 스케네 뒤에 펼쳐진 자연 경관은 극장의 필수적인 부분이었다.

이 극장은 뛰어난 음향 효과를 가지고 있다. 무대 정면(프로세니움 또는 스케네)에서 낭독하는 목소리는 음향 기기로 증폭하지 않아도 모든 관객에게 뚜렷하게 들을 수 있다.[7] 그러나 현장 측정 결과, 이러한 주장은 다소 완화되었다. 대부분의 소리가 실제로 전체적으로 감지될 수 있지만, 명료성은 보장되지 않으며, 특히 발성의 경우 좋은 투사가 필요하다.[8] 음향 특성은 물리적 형태뿐만 아니라 건설 재료로 인해 발생한다. 석회암 좌석의 열은 군중의 웅성거림과 같은 저주파 소리를 걸러내고 무대의 고주파 소리를 증폭시킨다.[9]

현재도 여름철 연극, 오페라 등 공연이 열리고 있다.

4. 3. 기타 시설

에피다우로스 고대 극장 외에 에피다우로스 시에는 자체적인 극장이 있었는데, 1990년부터 발굴되어 보존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밝혀졌다. 기원전 4세기에 건설된 이 극장은 약 2,000석 규모였다. 현재는 복원되어 일반에 공개되었으며, 이는 그리스 전역의 140개 고대 경기장을 조사하는 고대 극장 보존 및 개선 계획의 일환이다.[6]

5. 문화

에피다우로스는 아스클레피온 신앙으로 번영을 누렸고, 이를 바탕으로 극장을 비롯한 여러 기념비적인 건축물을 건설했다.

5. 1. 건축

에피다우로스 유적에서 가장 유명한 건축물은 고대 극장이다. 1만 5000명의 관객을 수용할 수 있는 거대한 규모와 좌우 대칭의 아름다움은 2세기 그리스의 지리학자 파우사니아스를 감탄시켰다.

이 극장은 기원전 4세기에 폴리클레이토스 더 영거(폴리클레이토스의 아들)에 의해 설계되었다. 좌석은 당초 34단이었지만, 로마 시대에 21단이 추가되었다. 그리스의 극장 건축의 통례로 (로마 극장과 대조적으로) 스케네(Skene) 뒤에 펼쳐진 자연 경관은 극장의 일부였다.

이 극장은 뛰어난 음향 효과를 가지고 있다. 무대 정면(스케네 또는 프로시니엄)에서 낭독하는 목소리를 전 관객에게 전달하기 위해 음향 기기에 의한 증폭은 필요하지 않으며 뚜렷하게 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현재도 여름철 연극, 오페라 등 공연이 열리고 있다.

아스클레피온이 가져온 번영은 에피다우로스가 시민 기념물을 건설할 수 있게 했으며, 여기에는 파우사니아스가 대칭성과 아름다움에 감탄한 거대한 극장, 오늘날에도 드라마 공연에 사용되는 의례적인 ''헤스티아토레이온'' (연회장), 팔레스트라가 포함되었다. 에피다우로스 고대 극장은 기원전 4세기에 폴리클레이토스 더 영거에 의해 설계되었다. 원래 34열이었던 좌석은 로마 시대에 21열이 더 추가되었다. 그리스 극장 (로마 극장과 반대로)의 일반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케네'' 뒤의 울창한 풍경은 극장 자체의 필수적인 부분이며 가려져서는 안 된다. 최대 14,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이 극장은 오랫동안 뛰어난 음향으로 명성이 높았으며, 증폭되지 않은 말소리가 무대 앞 또는 ''스케네''에서 모든 14,000명의 관객에게 거의 완벽하게 전달될 수 있었다고 한다. 이는 좌석에 관계없이 가능했으며, 종종 투어 가이드가 이야기하는 내용이다.[7] 그러나 현장 측정 결과, 이러한 주장은 다소 완화되었다. 대부분의 소리가 실제로 전체적으로 감지될 수 있지만, 명료성은 보장되지 않으며, 특히 발성의 경우, 좋은 투사가 필요하다.[8] 이는 이 측면의 전문가로 명성이 높았던 그리스 배우들에게는 문제가 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7] 음향 특성은 물리적 형태뿐만 아니라 건설 재료로 인해 발생한다. 석회암 좌석의 열은 군중의 웅성거림과 같은 저주파 소리를 걸러내고 무대의 고주파 소리를 증폭시킨다.[9]

6. 국제 관계

1988년 5월 26일, 에피다우로스는 일본 효고현 단바사사야마시와 자매 도시 제휴를 맺었다.[14][15]

6. 1. 자매 도시

에피다우로스는 다음과 같은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국가도시맺은 날짜
日本|일본일본어단바사사야마시 (효고현)1988년 5월 26일



1988년 5월 26일, 구 니시키정(현 단바사사야마시의 일부)과 구 팔레아 에피다우로스 마을이 자매 도시 제휴를 맺었다. 니시키정은 '건강과 복지의 마을' 건설을 추진하면서 의학의 신 아스클레피오스를 상징으로 삼고, 유서 깊은 팔레아 에피다우로스와 제휴했다.[14][15]

참조

[1] 웹사이트 ΦΕΚ A 87/2010, Kallikratis reform law text http://www.et.gr/ido[...] Government Gazette
[2] 웹사이트 Sanctuary of Asklepios at Epidaurus https://whc.unesco.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22-11-12
[3] 웹사이트 Epidaurus https://www.worldhis[...] 2012
[4] 서적 The early age of Greece. Volume 1 https://www.worldcat[...] 2014
[5] 웹사이트 Ἐπίδαυρος (Epidaurus) https://en.wiktionar[...] 2021-09-15
[6] 서적 Roman Peloponnese III: Society, Economy and Culture under the Roman Empire: Continuity and Innovation Kentron Hellēnikēs kai Rōmaikēs Archaiotētos 2010
[7] 뉴스 Whisper it – Greek theatre's legendary acoustics are a myth https://www.theguard[...] 2017-10-16
[8] 간행물 Project Ancient Acoustics Part 2 of 4 : large-scale acoustical measurements in the Odeon of Herodes Atticus and the theatres of Epidaurus and Argos https://pure.tue.nl/[...] 2016-07
[9] 간행물 Acoustic diffraction effects at the Hellenistic amphitheater of Epidaurus: Seat rows responsible for the marvelous acoustics 2007-04
[10] 웹사이트 Resurrecting the ancient little theater of Epidaurus https://www.ekathime[...]
[11] 웹사이트 Population & housing census 2001 (incl. area and average elevation) https://web.archive.[...]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2015-09-21
[12] 웹사이트 에피다우로스 유적 http://www.visitgree[...]
[13] 간행물 医学発祥の地エピダウルス -アスクレピウス- 関西医科大学医学会 1964
[14] 웹사이트 姉妹都市情報 http://www.city.sasa[...] 篠山市 2012-02-28
[15] 웹사이트 姉妹提携情報 http://www.clair.or.[...] 자치체국제화협회 2012-0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