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티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티어는 프랑스어를 기반으로 하는 크리올 언어로, 서아프리카 언어와 아메리카 토착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현대에는 영어의 영향도 받는다. 17세기와 18세기 프랑스 식민지였던 생도맹그에서 프랑스어와 아프리카 언어의 접촉으로 형성되었으며, 노예들이 의사소통을 위해 불완전한 프랑스어를 사용하면서 아이티어가 탄생했다. 1987년 헌법에 의해 프랑스어와 함께 국어로 지정되었으며, 아이티 국내뿐 아니라 아이티 이민자들이 거주하는 지역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아이티어는 간략화된 문법 구조와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어휘를 가지며, 속담과 다양한 표현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티의 언어 - 프랑스어
프랑스어는 프랑스를 포함한 전 세계 29개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로망스어군 언어로, 속라틴어가 갈리아어 및 프랑크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국제기구 공용어로서 외교 무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현재 문화, 경제, 교육, 특히 아프리카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 프랑스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차고스 크리올
- 프랑스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기아나 크리올
기아나 크리올은 프랑스령 기아나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며, 프랑스어, 캉 방언 등의 영향을 받아 서인도 제도의 크리올과 어휘를 공유하지만 차이점을 보이며, 프랑스어 알파벳을 기반으로 표기된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아이티어 | |
---|---|
기본 정보 | |
국가 | 아이티 |
민족 | 아이티인 |
화자 수 | 1315만 7800명 |
시기 | 2020년 |
계통 | 크레올 언어 |
어족 | 프랑스어 크레올 |
하위 어족 | 카리브해 프랑스어 |
표준화 기구 | 아이티 크레올 아카데미 |
문자 | 라틴 문자 (아이티 크레올 문자) |
국가 | 아이티 |
소수 언어 | 바하마, 쿠바, 도미니카 공화국, 코스타리카 |
ISO 639-1 | ht |
ISO 639-2 | hat |
ISO 639-3 | hat |
Glottolog | hait1244 |
Glottolog 명칭 | Haitian |
Linguasphere | 51-AAC-cb |
IETF | ht |
![]() | |
언어학적 정보 |
2. 역사
아이티어는 17세기와 18세기, 프랑스 식민지였던 생도맹그에서 프랑스어와 서아프리카 언어들의 접촉으로 형성되었다.[1] 당시 생도맹그는 담배, 면화, 사탕수수 플랜테이션 농업 중심지였으며, 많은 아프리카 노예들이 강제로 이주당했다.[20]
1690년경 생도맹그의 경제는 설탕 생산으로 전환되었고,[32][19] 이는 노예 무역 증가로 이어졌다. 18세기에는 약 80만 명의 서아프리카인이 생도맹그로 노예로 끌려왔다.[20] 노예 인구 증가에 따라 프랑스어 사용 식민주의자들의 비율은 감소했다.
노예들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했기에 의사소통을 위해 프랑스어를 배우려 했지만, 정규 교육을 받지 못해 불완전한 프랑스어를 사용했다.[4] 이 과정에서 프랑스어 어휘와 서아프리카 언어의 문법 구조가 결합된 새로운 언어, 즉 아이티어가 탄생하였다. 특히, 다호메이 왕국(지금의 베냉) 출신 노예들이 많았기 때문에 아이티어는 퐁베어의 문법 구조를 따르는 경향이 있다.[19]
초기 아이티어는 프랑스어와 의사소통이 어려울 정도로 문법 구조와 음운 체계가 달랐다.[1]
19세기 말, 아이티어 문학 작품들이 등장하면서 문자로 기록되기 시작했다. 1940년대에는 언어 표준화 시도가 있었으며, 1979년에는 표기법이 표준화되고 법률로 지위가 격상되었다.[34] 1987년 아이티 헌법은 아이티어를 프랑스어와 함께 국어로 격상시켰다.[36]
2. 1. 성립 배경
아이티어는 17세기와 18세기, 프랑스 식민지였던 생도맹그에서 프랑스어와 서아프리카 언어들의 접촉으로 형성되었다.[1] 당시 생도맹그는 담배, 면화, 사탕수수 플랜테이션 농업 중심지였으며, 많은 아프리카 노예들이 강제로 이주당했다.[20] 노예들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의사소통을 위해 프랑스어를 배우려고 노력했지만, 정규 교육을 받지 못해 불완전한 프랑스어를 사용하게 되었다.[4] 이 과정에서 프랑스어 어휘와 서아프리카 언어의 문법 구조가 결합된 새로운 언어, 즉 아이티어가 탄생하였다. 특히, 다호메이 왕국(지금의 베냉) 출신 노예들이 많았기 때문에 아이티어는 퐁베어의 문법 구조를 따르는 경향이 있다.[19]1697년 공식적으로 프랑스 식민지로 인정되기 직전인 1690년경, 생도맹그의 경제는 설탕 생산으로 전환되었다.[32][19] 설탕 작물은 더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했고, 이는 노예 무역 증가로 이어졌다. 18세기에는 약 80만 명의 서아프리카인이 생도맹그로 노예로 끌려왔다.[20] 노예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식민주의자들의 비율은 감소했다.
2. 2. 발전 과정
초기 아이티어는 프랑스어와 의사소통이 어려울 정도로 문법 구조가 달랐으며, 음운 체계도 프랑스어와 차이를 보였다.[1] 17세기와 18세기에 생도맹그 식민지에서 다양한 니제르콩고어 화자와 프랑스 식민지 개척자들이 섞인 환경에서 발달했다.[32]한 이론에 따르면 아이티어는 1680년에서 1740년 사이에 발달했다.[18][19][20] 17세기 동안 프랑스와 스페인 식민주의자들은 섬에서 담배, 면화, 사탕수수를 생산했다.[20] 1690년경, 프랑스 식민지 생도맹그프랑스어가 1697년에 공식적으로 인정되기 직전에 경제가 더욱 결정적으로 설탕 생산으로 전환되었다.[32][19] 설탕 작물은 훨씬 더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했고, 이로 인해 노예 거래가 증가했다. 18세기에는 약 80만 명의 서아프리카인이 노예로 끌려와 생도맹그로 보내졌다.[20] 노예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식민주의자들의 비율이 감소했다.
식민지에 있던 많은 아프리카 노예들은 니제르콩고어족 언어를 사용하는 지역, 특히 서아프리카의 그베어군과 중앙 타노어군과 같은 콰어족 화자와 중앙 아프리카의 반투어족 화자에서 왔다.[19]
고전 프랑스어(français classique프랑스어)와 오일어|italic=no프랑스어(노르만어, 푸아투어 방언|italic=no프랑스어와 생통주 방언|italic=no프랑스어 방언, 갈로어 및 피카르어)는 17세기와 18세기 동안 생도맹그|italic=no프랑스어뿐만 아니라 누벨 프랑스와 프랑스령 서아프리카에서도 사용되었다.[4][22] 노예들은 공통적인 의사 소통 수단이 없었고, 그 결과 서로 소통하기 위해 프랑스어를 배우려고 노력했지만, 대부분 정규 교육을 받지 못했다. 아프리카인들의 끊임없는 거래와 노예화로 인해 이 언어는 프랑스어와 점점 더 달라졌다. 이 언어는 또한 공동체의 다른 구성원들에게도 전파되었고 현재 아이티에서 태어난 사람들의 대다수가 사용하게 되었다.[4]
19세기 말, 아이티어 문학 작품들이 등장하면서 아이티어는 문자로 기록되기 시작했다. 오스왈드 뒤랑|italic=no프랑스어의 Choucoune|italic=yes프랑스어과 조르주 실뱅|italic=no프랑스어의 Cric? Crac!|italic=noht과 같은 아이티 크리올어로 쓰인 문학 작품이 이미 존재했다. 펠릭스 모리소-르루아|italic=no프랑스어 역시 아이티 크리올어 작품에 영향을 미친 작가였다.
1940년대 초, 엘리 레스코|italic=no프랑스어 대통령 재임 기간에 언어 표준화 시도가 이루어졌다. 미국의 언어학 전문가 프랭크 로바크와 아일랜드 감리교 선교사 H. 오먼드 맥코넬은 표준화된 아이티어 표기법을 개발했다. 표기법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도 있었지만, 전반적으로는 호응을 얻지 못했다.[33]
1979년, 아이티어의 표기법이 표준화되었고, 같은 해 법률에 의해 아이티어의 지위가 격상되었다.[34] 국립 교육 연구소프랑스어는 아이티어에 대한 공식 표기법을 확립했으며, 이후 20년 동안 약간의 수정이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하이픈(-)과 아포스트로피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35][49] 남아있는 유일한 강세 표시는 è프랑스어와 ò프랑스어의 그라브 악센트이다.[49]
1987년 아이티 헌법은 아이티어를 프랑스어와 함께 국어로 격상시켰다.[36]
3. 음운
프랑스어가 12모음 체계인 데 비해 아이티어는 7모음 체계로 단순화되었다. 탈락된 모음은 대부분 원순모음이며, 이들 탈락한 원순모음은 비원순모음으로 바뀌었다. /y/ -> /i/, /ø/ -> /e/, /u/ -> /ɯ/, /o/ -> /ɤ/
4. 정서법
아이티어는 26자의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발음대로 쓰는 표음주의를 따른다. 프랑스어에서 사용되는 악상떼귀와 같은 보조 기호를 사용하지만, 주로 사용되는 것은 악상떼귀(`)이다.[32] [ɯ]로 발음되는 철자 ou같은 것은 프랑스어 정서법과 같다.
아이티어의 자음, 모음, 반모음은 다음과 같다.
b | ch | d | f | g | h | j | k | l |
---|---|---|---|---|---|---|---|---|
[b] | [ʃ] | [d] | [f] | [ɡ] | [x] | [ʒ] | [k] | [l] |
m | n | ng | p | r | s | t | v | z |
[m] | [n] | [ŋ] | [p] | [ɣ] | [s] | [t] | [v] | [z] |
ui |
---|
[ɥi] |
w | y |
---|---|
[w] | [j] |
a | e | è | i | o | ò | ou |
---|---|---|---|---|---|---|
[a] | [e] | [ɛ] | [i] | [ɤ] | [ʌ] | [ɯ] |
an | en | on | oun |
---|---|---|---|
[ã] | [ɛ̃] | [ɤ̃] | [ɯ̃] |
1940년대 초, 엘리 레스코 대통령 재임 기간에 언어 표준화 시도가 있었다. 미국의 언어학 전문가 프랭크 로바크와 아일랜드 감리교 선교사 H. Ormonde McConnell은 표준화된 아이티어 표기법을 개발했지만, 전반적으로는 호응을 얻지 못했다.[33]
1979년에 아이티어의 표기법이 표준화되었다.[34] 같은 해, 아이티어는 1979년 9월 18일 법률에 의해 지위가 격상되었다. 국립 교육 연구소는 아이티어에 대한 공식 표기법을 확립했으며, 이후 20년 동안 약간의 수정이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하이픈 (-)과 아포스트로피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35] 남아있는 유일한 강세 표시는 è|에프랑스어와 ò|오프랑스어의 그라브 악센트이다.[49]
아이티어는 고유 명사 및 외래어를 제외하고 매우 규칙적인 철자를 가진 음소 표기법을 사용한다. 공식 표준 표기법에 따르면 아이티어는 32개의 기호로 구성된다.[47] 문자 c|c영어와 u|u영어는 항상 다른 문자와 연관되어 있으며, 아이티어 알파벳에는 q|q영어 또는 x|x영어가 없다.[49]
아이티어 표기법에는 묵음이 없다. 모든 소리는 항상 동일하게 표기되지만, 예외는 다음과 같다.[48]
- 모음이 억음 부호 (`)를 가지고 n|n영어 앞에 오는 경우, 비모음 대신 구두 모음이 된다.
- 단어에서 모음이 바로 뒤따르는 경우, 비모음을 나타내는 이중자는 구두 모음 뒤에 n|n영어이 오는 소리로 발음된다.
- 이중 모음 /ɥi/|/ɥi/영어는 극히 드물다.
아이티 크레올어에 대한 최초의 기술적 표기법은 1940년 아일랜드 감리교 선교사인 H. 오먼드 맥코넬과 프림로즈 맥코넬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후 프랭크 로벅의 도움을 받아 수정되었고, 이는 맥코넬-로벅 표기법으로 알려지게 되었다.[49][50]
맥코넬-로벅 표기법은 아이티 엘리트층으로부터 상당한 비판을 받았다. 아이티 학자 찰스 프레스와는 맥코넬-로벅 표기법이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엘리트층만 사용하는 전설 원순 모음을 규정하지 않았다는 점을 비판했다.[49] 또 다른 비판은 k|k영어, w|w영어, y|y영어 문자의 광범위한 사용에 대한 것으로, 프레스와는 이들이 "너무 미국적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49] 표기법의 "미국적인 모습"에 대한 이러한 비판은 많은 교육받은 아이티인들이 공유했으며, 이는 또한 개신교와의 연관성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졌다.[49] 프레스와의 마지막 비판은 "비음 모음을 표시하기 위해 붙임표를 사용하는 것"이 프랑스어에서 비음이 표현되는 방식과 다르게 처리되어 프랑스어 학습을 저해할 것이라는 우려였다.[49]
표기법의 제정은 본질적으로 관련된 사람들의 언어 이데올로기를 표현한 것이었으며, 경쟁 집단 간의 정치적, 사회적 긴장을 야기했다. 이러한 긴장의 상당 부분은 프랑스어가 우월하다는 많은 사람들의 이데올로기에 기인했다.[49] 이 표기법 논쟁은 아이티 국가 정체성에 대한 개념을 통일하려는 시도로 귀결되었다. k|k영어와 w|w영어는 앵글로색슨적이고 미국의 제국주의적처럼 보였지만, c|c영어와 ou|ou영어는 프랑스 식민주의를 상징했다.[51]
아이티가 여전히 프랑스의 식민지였을 때, 프랑스 정부의 칙령은 종종 프랑스 어휘 기반 크리올어로 작성되어 노예들에게 낭독되었다.[52] 아이티 크리올어의 최초의 문서는 1757년 백인 크리올 농장주 뒤비비에 드 라 마호티에르가 쓴 ''리제트 키테 라 플렌''이라는 시에서 프랑스 어휘를 사용하여 작성되었다.[52][53]
20세기 후반에 아이티 크리올어의 철자가 표준화되기 전에는 철자가 다양했지만, 발음과 복잡한 관계를 가진 언어인, 구어체 아이티 크리올어를 프랑스어로 표기하는 데 기반을 두었다.
5. 문법
아이티어의 문법 체계는 프랑스어에 비해 매우 간략화되어 있다. 동사는 시제와 인칭에 따라 변화하지 않으며, 명사의 문법적 성도 없어졌다. 따라서 형용사가 명사 성에 맞추어 변화하는 문법성의 일치도 없다. 어순은 프랑스어와 같지만, 동사와 형용사의 복잡한 순서도 최소화되었다. 문법 표지(명사 복수형 표시나 소유격 따위)는 접미사를 붙이거나 띄어쓰기로 나타낸다. 자주 쓰는 말은 줄어드는 경향이 있어서 한 글자로 나타내기도 한다. (mwenht(나)는 mht로, ouht(너, 당신)은 wht로 줄임)[26][27]
아이티어는 퐁베어와 문장 구조가 유사하다.[30] 다음은 프랑스어, 퐁베어, 아이티어, 한국어의 문장 구조 비교이다.
프랑스어 | 퐁베어 | 아이티어 | 한국어 |
---|---|---|---|
Ma bécane프랑스어 | Keke che (keke = 자전거 / che = 나(의)) | Bekàn mwenht (bekàn = 자전거 mwen = 나(의)) | 내 자전거 |
Mes bécanes프랑스어 | Keke che le | Bekàn mwen yoht | 내 자전거(들) |
아이티어와 프랑스어는 발음이 비슷하고 많은 어휘를 공유하지만, 의미가 다른 동족어도 있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에서 "자주"를 뜻하는 단어는 fréquent프랑스어이지만, 아이티어의 동족어 frekanht은 '무례한, 버릇없는, 건방진'을 의미하며 보통 사람을 지칭한다.[28]
아이티어는 프랑스어와 달리 동사가 활용되지 않으며,[4] 음운 체계도 다르지만, 음성 구조는 유사하다.[26] 구문 구조 역시 아이티어와 프랑스어의 유사점 중 하나이지만, 아프리카 기층 언어의 세부 사항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26]
아이티어와 프랑스어는 모두 의미 변화를 겪었다. 17세기에 단일 의미를 가졌던 단어가 양쪽 언어에서 변경되거나 대체되었다.[4] 예를 들어 "Ki jan ou rele?ht"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는 프랑스어 "Comment vous appelez‑vous ?프랑스어"에 해당하지만, 일반적인 프랑스어 화자는 이 구절을 이해하지 못한다. 이 구절의 모든 단어는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지만, 현대 프랑스어에서 동사 héler프랑스어("부르다")는 appeler프랑스어로 대체되었고, 그 의미는 "손짓하여 세우다"로 축소되었다.[4]
아이티어는 매우 분석어적인 언어이다. 동사는 시제나 인칭에 따라 활용되지 않으며, 문법적 성이 없으므로 형용사와 관사는 명사에 따라 활용되지 않는다. 주요 어순은 프랑스어와 영어와 마찬가지로 주어-동사-목적어이다.
문법적 특징은 주요 단어에 yoht와 같은 특정 표시를 추가하여 나타낸다. 이러한 표시가 접사인지 구두점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49]
아이티어에는 6개의 대명사가 있으며, 각각 단수와 복수가 있다. 모두 프랑스어 어원을 가지고 있다.[54] 직접 목적어와 간접 목적어의 차이는 없다.
정관 명사는 yoht라는 단어가 뒤따를 때 복수가 되며, 불특정 복수 명사는 표시되지 않는다. 소유는 소유된 대상 뒤에 소유자 또는 소유 대명사를 위치시켜 나타낸다.
아이티어에는 주어를 보어와 연결하는 동사 seht와 문장 끝에 위치하는 yeht가 있다. "나는 ~가 되고 싶다"는 vinht을 사용한다. 아이티어에는 상태 동사가 있으며, "to be" 동사가 형용사 뒤에 올 때 암묵적이지 않다. 동사 "to have"는 genyenht이며, "있다" 또는 "있다들"의 의미도 갖는다. "알다"와 "할 줄 알다"는 konnenht이다. Fèht는 "하다" 또는 "만들다"를 의미한다. 동사 kapabht는 "할 수 있다"를 의미한다.
아이티어에는 활용이 없다. 현재 비진행형 시제에서, 기본적인 동사 형태는 상태 동사에 사용된다. 기본적인 동사 형태가 동사 표지 없이 사용될 때는 일반적으로 과거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된다. 다른 문법적 시제의 경우, 특별한 "시제 표지" 단어가 동사 앞에 위치한다.
시제 표지 | 시제 | 주석 |
---|---|---|
teht | 단순 과거 | 프랑스어 été프랑스어 ("been")에서 유래 |
t apht | 과거 진행형 | teht와 apht의 조합, "was doing" |
apht | 현재 진행형 | apht와 aht와 함께, 대명사는 거의 항상 단축형을 사용(m apht, l apht, n apht, y apht 등). 18세기 프랑스어 être après프랑스어에서 유래, 진행형 |
aht | 미래 시제 | 사용에 몇 가지 제한. 프랑스어 avoir à프랑스어 ("to have to")에서 유래 |
pralht | 가까운 또는 확실한 미래 시제 | "going to"로 번역. 프랑스어 pour aller프랑스어 ("going to")의 축약형 |
taht | 조건부 미래 | teht와 aht의 조합 ("will do") |
단어 paht는 동사 및 모든 시제 표지 앞에 와서 동사를 부정한다.
6. 어휘
아이티어 어휘의 절대다수는 프랑스어에서 유래했다. 일부 단어는 프랑스어의 관사와 명사가 융합되어 한 단어가 된 경우가 있는데, 이는 다른 크리올 언어에서도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 'la lune'(달)은 아이티어 'lalin'이 되었고, 'les oiseaux'(새)는 'zwazo'가 되었다.[13][14]
아프리카어와 아메리카 토착어에서 차용된 어휘도 존재하며, 주로 동식물 이름이나 지명 등에 남아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Ayti: 나라 이름 아이티는 토착 타이노어이다.
- anasi(거미): 아난테어에서 유래했다.
- marasa(쌍둥이): 키콩고어에서 유래했다.
- zombi(좀비, 유령): 키콩고어에서 유래했다.
많은 사물, 과일 및 동물의 이름이 "아이티화"되었거나 발음이 비슷한 타이노족의 영향을 받은 단어들이 있다. 많은 도시, 장소 또는 유적지의 공식 이름은 타이노족 단어의 번역이다.
타이노족 | 아이티 크레올어 | 의미 |
---|---|---|
아이티, 아티 | 아이티, 아이티 | 국가와 섬의 이름 |
고나이보 | 고나이프, 또는 고나이브 | 아르티보니트의 가장 큰 도시이자 수도 |
야구아나 | 레오간, 레오간 | 포르토프랭스 남쪽 해안 도시이자 사라구아의 카시카트 수도 |
구아나보 | 고나브, 고나브 또는 라고나브 | 히스파니올라의 가장 큰 위성 섬이자 타이노족의 마지막 피난처 |
자티보니코 | 라티보니트 또는 아르티보니트 | 히스파니올라에서 가장 긴 강이자 아이티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데파르트망이다. 타이노족 언어에서 이 단어는 "신성한 물"을 의미한다. |
카나리 | 칸나리 | 물을 시원하게 유지하는 점토 항아리 |
아마니-이 | 아마니-이 | 생마르크와 유명한 해변의 별명 |
마메이 | 마메이, 또는 아브리코 | 아브리코의 별명 |
티부론 | 티비원 | 같은 단어는 남부 반도(또는 티부론 반도라고도 함)의 해안 도시인 "티부론"과 도시 근처의 강을 의미한다. |
마부야 | 마부야 | 이구아나 |
마비 | 마비 | 서인도 제도에서 모비로 알려진 쓴맛의 음료 |
바하쿠 | 바야쿠 | 북극성, 새벽, 별과 관련된 부두 로아 |
상표 이름이 보통명사화된 어휘도 상당수 존재한다.
- 코닥(kodak): 카메라 제조사 이름이 '카메라'라는 뜻으로 쓰인다.
- 질렛(jilèt): 면도기 제작사 이름이 '면도기'라는 뜻으로 쓰인다.
- 이글루(igloo): 에어컨 제조사 이름이 '에어컨'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프랑스어에서 유래했지만 원래 의미와 다르게 사용되는 단어도 있다.
- nèg (프랑스어 negre): 흑인뿐 아니라 일반적인 사람을 가리킨다.
- blan (프랑스어 blanc): '외국인', '이방인'이라는 뜻으로, 꼭 백인만을 가리키지 않는다.
아이티 크레올어는 새롭거나 오래된 개념과 현실을 설명하기 위해 새로운 단어를 만들고 차용한다. 영어에서 차용되어 "뒤로 움직이다"를 의미하는 fè bakht 등이 그 예이다.
아이티 크레올어 | 기원 | 영어 |
---|---|---|
ablado[62] | hablador|links=noes | 말하는 사람 |
anasi | ananseak | 거미 |
annanna | ananastnq; also used in French | 파인애플 |
Ayiti | Ahatti|lit=mountainous land|links=notnq | 아이티("산악 지대") |
bagay | bagage|links=no|lit=baggage프랑스어 | 것 |
bannann | banane|links=no|lit=banana프랑스어 | 바나나/플랜테인 |
bekàn | bécane|links=no프랑스어 | 자전거 |
bokit[9] | bucket | |
bòkò | bokonofon | 마법사 |
Bondye | bon dieu|links=no|lit=good God프랑스어 | 신 |
chenèt | quénette|links=no프랑스어 (프랑스령 앤틸리스) | 앞니 사이의 간격 |
chouk | chuk|lit=to pierce, to pokeff | 찌르다 |
dekabès | dos cabezas|lit=two heads|links=noes | 도미노 게임에서 두 머리가 나오는 승리 |
dèyè | derrière|links=no프랑스어 | 뒤 |
diri | du riz|links=no|lit=some rice프랑스어 | 쌀 |
èkondisyone | 에어컨 | 에어컨 |
Etazini[63] | États-Unis|links=no프랑스어 | 미국 |
fig | figue|links=no|lit=fig프랑스어 | 바나나[64] |
je | les yeux|links=no|lit=the eyes프랑스어 | 눈 |
kannistè[9] | canister | 양철 캔 |
kay | la cahutte|links=no|lit=the hut프랑스어 | 집 |
kle | clé|links=no|lit=key프랑스어 | 열쇠, 렌치 |
kle kola | clé|links=no|lit=key프랑스어 | 병따개 |
cola | ||
kònfleks | 콘플레이크 | 아침 시리얼 |
kawotchou | caoutchouc|links=no|lit=rubber프랑스어 | 타이어 |
lalin | la lune|links=no|lit=the moon프랑스어 | 달 |
li | lui|links=no프랑스어 | 그, 그녀, 그를, 그녀를, 그것을 |
makak | macaque|links=no프랑스어 | 원숭이 |
manbo | mambukg or nanbo|links=nofon | 부두교 여사제 |
marasa | mapassa|links=nokg | 쌍둥이 |
matant | ma tante|links=no|lit=my aunt프랑스어 | 이모, 나이든 여성 |
moun | monde|links=no|lit=world프랑스어 | 사람들, 사람 |
mwen | moi|links=no|lit=me프랑스어 | 나, 나를, 나의, 나 자신 |
nimewo | numéro|links=no|lit=number프랑스어 | 번호 |
oungan | houngan|links=nofon | 부두교 사제 |
piman | piment|links=no프랑스어 | 매우 매운 고추 |
pann | pendre|links=no|lit=to hang프랑스어 | 옷걸이 |
podyab | pauvre diable|links=no프랑스어 or pobre diablo|links=noes | 불쌍한 녀석 |
pwa | pois|links=no|lit=pea프랑스어 | 콩 |
sapat[62] | zapato|links=noes; savatte|links=no프랑스어 | 샌들 |
seyfing | 서핑 | 해상 서핑 |
tonton | tonton|links=no프랑스어 | 삼촌, 나이든 남자 |
vwazen | voisin|links=no프랑스어 | 이웃 |
zonbi | 콩고: nzumbi | 영혼 없는 시체, 살아있는 시체, 유령, 좀비 |
zwazo | les oiseaux|links=no|lit=the birds프랑스어 | 새 |
7. 사회언어학적 특징
아이티어와 프랑스어는 모두 아이티의 공용어이지만, 프랑스어는 종종 상위 언어로, 아이티어는 사회에서 이 두 언어 간의 이중 언어 관계에서 하위 언어로 간주된다.[28] 즉, 이중 언어 사용이 가능한 아이티 인구의 소수에게는 이 두 언어의 사용이 사회적 상황에 크게 좌우된다. 표준 프랑스어는 공공 장소, 특히 공식적인 상황에서 더 많이 사용되는 반면, 아이티어는 일상 생활에서 더 많이 사용되며 일반적인 대화에서 자주 들을 수 있다.[41]
아이티에는 공식적이든 비공식적이든 아이티어만 사용하는 인구가 많다. 이브 데장에 따르면, 프랑스어는 아이티 농민(인구의 80% 이상이 농업에 종사)이 가족 모임에서 사망한 구성원을 추도하거나, 가족의 루아 또는 부두교 영혼을 숭배하거나, 가톨릭 신부에게 세례, 결혼 또는 장례 미사를 요청하거나, 의사, 간호사 또는 치과 의사와 상담하거나, 사망 또는 출생 신고를 위해 공무원을 방문하는 매우 격식 있는 상황에서는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는다.[42]
대부분의 학교에서 프랑스어는 여전히 선호되는 교육 언어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올어는 공립학교에서 더 많이 사용되는데,[43] 크레올어를 사용하는 일반 가정의 아이들이 대부분 공립학교에 다니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교육 시스템은 프랑스어 중심이었다. 엘리트 계층의 자녀를 제외하고 많은 학생들이 프랑스어를 배우는 것이 매우 어려웠고 따라가기 힘들어 학교를 중퇴해야 했다. 1978년 베르나르 개혁은 초등학교 1~4학년에서 크레올어를 교육 언어로 도입하려 했지만, 개혁은 전반적으로 성공적이지 못했다.[44] 크레올어 사용은 증가했다. 2010년 지진 이후, 기초 교육은 무상으로 제공되었고 단일 언어 사용 대중에게 더 접근성이 높아졌다. 2010년대에 정부는 크레올어 사용을 확대하고 학교 시스템을 개선하려는 시도를 했다.[45][46]
8. 사용 현황
아이티어는 아이티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 캐나다, 쿠바, 도미니카 공화국 등 아이티 이민자들이 거주하는 지역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특히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아이티 이민자들을 위한 공공 서비스 및 정보 제공에 아이티어가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마이애미-데이드군은 영어와 스페인어 외에 아이티어로 된 소통 자료를 발송하며, 보스턴 지하철 시스템과 지역 병원 및 의료 사무소에서도 영어와 함께 아이티어로 공지를 게시한다.[77] HBN은 북미 유일의 아이티어 텔레비전 네트워크이며, 마이애미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 지역들에는 각각 6개 이상의 아이티어 AM 라디오 방송국이 있다.[78]
미국과 바하마의 많은 대학에서 아이티어와 아이티 문화를 가르치고 있다. 뉴욕 시립 대학교 요크 칼리지는 아이티어 부전공을 제공하며,[79] 인디애나 대학교의 앨버트 발드먼은 미국 최초의 아이티어 연구소를 설립했다.[80] 캔자스 대학교 로렌스는 브라이언트 프리먼이 설립한 아이티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매사추세츠 대학교 보스턴, 플로리다 국제 대학교,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은 매년 아이티어 여름 연구소를 통해 세미나와 강좌를 제공한다. 브라운 대학교, 마이애미 대학교, 툴레인 대학교, 듀크 대학교[81] 또한 아이티어 강좌를 제공하며, 컬럼비아 대학교와 뉴욕 대학교는 2015년부터 공동으로 강좌를 제공하고 있다.[82][83] 시카고 대학교는 2010년에 아이티어 강좌를 개설했다.[84]
2015년 기준, 뉴욕시 교육부는 시내 K-12 학교에서 2,838명의 아이티어 사용 영어 학습자 (ELL)를 집계했는데, 이는 시 전체 ELL의 7번째로 흔한 모국어이자 브루클린 ELL의 5번째로 흔한 모국어였다.[85] 뉴욕시 학교 내 아이티어 사용 학생 수가 많기 때문에, 이들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조직이 설립되었다. 예를 들어, 브루클린에 위치한 플람보얀과 그란 시멘 산트 킬튀렐은 옹호 활동, 문해력 향상 프로젝트, 문화/예술 활동을 통해 교육과 아이티 문화를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86]
쿠바에서는 스페인어 다음으로 아이티어가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며,[87][88] 30만 명 이상의 아이티 이민자가 이 언어를 사용한다. 아이티어는 쿠바에서 소수 언어로 인정받고 있으며, 상당수의 쿠바인들이 유창하게 구사한다. 이들 대부분은 아이티에 가본 적이 없지만, 지역 사회에서 아이티어를 배운 것이다. 아바나에는 아이티어 라디오 방송국이 운영되고 있다.[88]
도미니카 공화국에서는 2012년 기준으로 45만 명 이상의 아이티인[89]이 아이티어를 사용하지만, 현지인들은 사용하지 않는다. 아이티에서 온 서류 미비 이민자들의 인구 때문에 100만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는 추정도 있다.[90]
2009년 기준으로 최대 8만 명의 아이티인이 바하마에 거주하는 것으로 추정되며,[91] 그 중 약 2만 명이 아이티어를 사용한다. 아이티어는 영어와 바하마 크리올어 다음으로 세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다.[92]
9. 속담
아이티 문화에서 속담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아이티어에는 다양한 속담과 표현이 존재한다.[67]
- Sak vid pa kanpe|삭 비드 파 칸페|금강산도 식후경 (직역: 빈 가방은 서지 못한다)ht
- Pitit tig se tig|피티트 티그 세 티그|부전자전 (직역: 새끼 호랑이도 역시 호랑이다)ht
- Ak pasyans wa wè tete foumi|아크 파시안스 와 웨 테테 푸미|불가능은 없다 (직역: 참고 기다리면 개미 머리가 보일 것이다)ht
- Bay kou bliye, pòte mak sonje|바이 쿠 블리예, 포테 마크 손제|때린 주먹은 잊어버리고 맞은 흉터는 기억한다ht
- Bèl dan pa di zanmi|벨 단 파 디 잔미|웃는 낯짝이라고 다 친한 것은 아니다ht
- Bèl entèman pa di paradi|벨 엔테르만 파 디 파라디|잘 꾸민 장례식이 천국행을 보장해주진 않는다ht
- Sa k rive koukouloulou a ka rive kakalanga tou|사 크 리베 쿠쿨룰루 아 카 리베 카칼랑가 투|칠면조한테 일어나는 일은 수탉한테도 일어난다ht
- Kreyòl pale, kreyòl konprann|크레욜 팔레, 크레욜 콩프란|크리올로 말한 것은 잘 이해된다ht
- Fanm pou yon tan, maman pou tout tan|판므 푸 욘 탄, 마망 푸 투 탄|마누라는 한 때, 어머니는 언제나ht
- Li pale fransè|리 팔레 프란세|그는 사기꾼이다 (직역: 그는 프랑스어를 말한다)ht
- Nèg di san fè, Bondye fè san di|네그 디 산 페, 본디에 페 산 디|사람은 하지 않고 말하며 신은 말하지 않고 하신다ht
- Nèg rich se milat, milat pòv se nèg|네그 리치 세 밀라트, 밀라트 포브 세 네그|부유한 검둥이는 물라토, 가난한 물라토는 검둥이ht
- Pale fransè pa di lespri ou|팔레 프란세 파 디 레스프리 우|프랑스어를 쓴다고 네가 똑똑하다는 보장은 없다ht
- Wòch nan dlo pa konnen doulè wòch nan solèy|워치 난 들로 파 코넨 둘레 워치 난 솔레이|물 속의 바위가 땡볕아래 바위의 고통을 알랴ht
- Si ou bwè dlo nan vè, respekte vè a|시 우 브웨 들로 난 베, 레스펙테 베 아|유리잔으로 물을 마셨으면 유리잔에게 고마워하라ht
10. 예시
아이티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인사'''
아이티어 | 한국어 |
---|---|
A demen! | 내일 봐! |
A pi ta! | 나중에 봐! |
Adye! | 안녕! (영구적인 이별) |
Anchante! | 만나서 반가워! (Enchanté|앙샹떼프랑스어) |
Bon apre-midi! | 좋은 오후! |
Bòn chans! | 행운을 빌어! |
Bòn nui! | 안녕히 주무세요! |
Bonjou! | 좋은 하루! / 좋은 아침! |
Bonswa! | 좋은 저녁! |
Dezole! | 미안! |
Eskize m! | 실례합니다! |
Kenbe la! | 힘내! (비공식적) |
Ki jan ou rele? / Ki non ou? / Ki non w? / Kòman ou rele? | 이름이 뭐에요? |
Mwen rele / Non m se. | 내 이름은... |
Ki jan ou ye? | 어떻게 지내세요? |
Ki laj ou? / Ki laj ou genyen? | 나이가 어떻게 되세요? |
Kòman ou ye? | 어떻게 지내세요? |
Kon si, kon sa | 그저 그래요 |
Kontinye konsa! | 계속 해! |
M ap boule | 잘 지내요 (비공식적) |
M ap kenbe | 잘 견디고 있어요 (비공식적) |
M ap viv | 잘 지내요 |
Mal | 별로에요 |
Men wi | 물론이지 |
Mèsi | 감사합니다 |
Mèsi anpil | 정말 감사합니다 |
Mwen byen | 잘 지내요 |
Mwen dakò | 동의합니다 |
Mwen gen an | 저는...살입니다 |
Mwen la | 그저 그래요 (비공식적) |
N a wè pita! | 나중에 봐! |
Orevwa! | 안녕! (임시적인 이별) |
Pa mal | 나쁘지 않아요 |
Pa pi mal | 그렇게 나쁘지 않아요 |
Padon! | 실례합니다! / 미안! / 별로에요! |
Padone m! | 저를 용서하세요! / 용서해주세요! |
Pòte w byen! | 안녕히 가세요! |
Sa k ap fèt? | 무슨 일이야? / 무슨 일 있어? (비공식적) |
Sa k pase? | 무슨 일 일어나고 있어? / 무슨 일 있어? (비공식적) |
Tout al byen | 모두 잘 돼요 |
Tout bagay anfòm | 모든 게 괜찮아요 |
Tout pa bon | 모두 잘 되지 않아요 |
'''대명사'''
아이티어에는 주어, 2인칭, 3인칭의 6개의 대명사가 있으며, 각각 단수와 복수가 있다. 모두 프랑스어 어원을 가지고 있다.[54] 직접 목적어와 간접 목적어의 차이는 없다.
아이티어 | 한국어 |
---|---|
mwen | 나 |
m | mwen의 단축형 |
ou | 당신 |
w | ou의 단축형 |
li | 그, 그녀, 그것 |
l | li의 단축형 |
nou | 우리 |
n | nou의 단축형 |
yo | 그들, 그녀들 |
y | yo의 단축형 |
'''수사'''
아이티어 | 한국어 |
---|---|
en | 1 |
de | 2 |
twa | 3 |
kat | 4 |
senk | 5 |
sis | 6 |
sèt | 7 |
uit | 8 |
nèf | 9 |
dis | 10 |
10. 1. 인사
아이티어 | 한국어 |
---|---|
A demen! | 내일 봐! |
A pi ta! | 나중에 봐! |
Adye! | 안녕! (영구적인 이별) |
Anchante! | 만나서 반가워! (Enchanté|앙샹떼프랑스어) |
Bon apre-midi! | 좋은 오후! |
Bòn chans! | 행운을 빌어! |
Bòn nui! | 안녕히 주무세요! |
Bonjou! | 좋은 하루! / 좋은 아침! |
Bonswa! | 좋은 저녁! |
Dezole! | 미안! |
Eskize m! | 실례합니다! |
Kenbe la! | 힘내! (비공식적) |
Ki jan ou rele? / Ki non ou? / Ki non w? / Kòman ou rele? | 이름이 뭐에요? |
Mwen rele / Non m se. | 내 이름은... |
Ki jan ou ye? | 어떻게 지내세요? |
Ki laj ou? / Ki laj ou genyen? | 나이가 어떻게 되세요? |
Kòman ou ye? | 어떻게 지내세요? |
Kon si, kon sa | 그저 그래요 |
Kontinye konsa! | 계속 해! |
M ap boule | 잘 지내요 (비공식적) |
M ap kenbe | 잘 견디고 있어요 (비공식적) |
M ap viv | 잘 지내요 |
Mal | 별로에요 |
Men wi | 물론이지 |
Mèsi | 감사합니다 |
Mèsi anpil | 정말 감사합니다 |
Mwen byen | 잘 지내요 |
Mwen dakò | 동의합니다 |
Mwen gen an | 저는...살입니다 |
Mwen la | 그저 그래요 (비공식적) |
N a wè pita! | 나중에 봐! |
Orevwa! | 안녕! (임시적인 이별) |
Pa mal | 나쁘지 않아요 |
Pa pi mal | 그렇게 나쁘지 않아요 |
Padon! | 실례합니다! / 미안! / 별로에요! |
Padone m! | 저를 용서하세요! / 용서해주세요! |
Pòte w byen! | 안녕히 가세요! |
Sa k ap fèt? | 무슨 일이야? / 무슨 일 있어? (비공식적) |
Sa k pase? | 무슨 일 일어나고 있어? / 무슨 일 있어? (비공식적) |
Tout al byen | 모두 잘 돼요 |
Tout bagay anfòm | 모든 게 괜찮아요 |
Tout pa bon | 모두 잘 되지 않아요 |
10. 2. 대명사
아이티어에는 주어, 2인칭, 3인칭의 6개의 대명사가 있으며, 각각 단수와 복수가 있다. 모두 프랑스어 어원을 가지고 있다.[54] 직접 목적어와 간접 목적어의 차이는 없다.아이티어 | 한국어 |
---|---|
mwen | 나 |
m | mwen의 단축형 |
ou | 당신 |
w | ou의 단축형 |
li | 그, 그녀, 그것 |
l | li의 단축형 |
nou | 우리 |
n | nou의 단축형 |
yo | 그들, 그녀들 |
y | yo의 단축형 |
10. 3. 수사
아이티어 | 일본어 |
---|---|
en | 1 |
de | 2 |
twa | 3 |
kat | 4 |
senk | 5 |
sis | 6 |
sèt | 7 |
uit | 8 |
nèf | 9 |
dis | 10 |
참조
[1]
Glottolog
[2]
웹사이트
Exploring the Possibilities for the Emergence of a Single and Global Native Language
https://books.google[...]
Language Arts & Disciplines
2020-10-11
[3]
웹사이트
"Cérémonie de lancement d'un partenariat entre le Ministère de l'Education Nationale et de la Formation Professionnelle et l'Académie Créole"
https://web.archiv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Haiti
2015-07-08
[4]
간행물
Creole: The National Language of Haiti
https://web.archive.[...]
2002
[5]
웹사이트
A Creole Solution for Haiti's Woes
https://www.nytimes.[...]
2014-08-01
[6]
서적
Prétendus Créolismes: Le Couteau dans l'Igname
https://books.google[...]
Editions du CIDIHCA
1995
[7]
간행물
The "Real" Haitian Creole: Ideology, Metalinguistics, and Orthographic Choice
https://www.jstor.or[...]
1994
[8]
서적
Transparency and Language Contact: The Case of Haitian Creole, French, and Fongbe
Journal of Pidgin and Creole Languages
[9]
간행물
History of Haitian-Creole: From Pidgin to Lingua Franca and English Influence on the Language
http://fmuniv.edu/wp[...]
2011
[10]
서적
The Story of French
St. Martin's Press
2008
[11]
간행물
Against Creole exceptionalism
http://web.mit.edu/~[...]
2003
[12]
서적
The Haitian Creole Language: History, Structure, Use, and Education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0-06-22
[13]
웹사이트
Creole
http://etymonline.co[...]
[14]
웹사이트
Créolologie haïtienne: latinité du créole d'Haïti : créole étudié dans son contexte ethnique, historique, linguistique, sociologique et pédagogique. Volume 1 of Livre du maître
https://books.google[...]
Impr. Le Nata
2020-10-11
[15]
서적
America's Irresistible Attraction: Beyond the Green Card
https://books.google[...]
Trafford Publishing
2020-10-11
[16]
서적
Lenition and Contrast: The Functional Consequences of Certain Phonetically Conditioned Sound Changes
Routledge
2004
[17]
웹사이트
Indo‑European Languages: Italic Family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14
[18]
웹사이트
Haitian Creole chapter from the book: Languages and Dialects in the U.S.: Focus on Diversity and Linguistics (pp.180–195)
https://www.research[...]
Routledge
2023-11-24
[19]
서적
Creole Genesis and the Acquisition of Grammar: The Case of Haitian Creol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20]
서적
Pidgins, Creoles and mixed languages: an introduction
http://webcat1.libra[...]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5
[21]
간행물
Theories of Creole Genesis, Sociohistorical Considerations, and the Evaluation of Evidence: The Case of Haitian Creole and the Relexification Hypothesis
1996
[22]
서적
Issues in the Study of Pidgin and Creole Languages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04
[23]
서적
The Road to Louisiana: The Saint-Domingue Refugees, 1792–1809
Center for Louisiana Studies, University of Southwestern Louisiana
[24]
서적
Manuel des habitans de Saint-Domingue
[25]
서적
La Nouveauté No. 38
1825-10-08
[26]
서적
Haitian Creole: Grammar, Texts, Vocabulary
https://books.google[...]
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1953
[27]
서적
Français aux Etats-Unis (1990–2005): migration, langue, culture et économie
Peter Lang International Academic Publishers
2007
[28]
서적
Haitian Creole : structure, variation, status, origin
Equinox
[29]
간행물
Relexification in Creole Genesis: The Case of Demonstrative Terms in Haitian Creole
1997
[30]
서적
Substrata Versus Universals in Creole Genesis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1986
[31]
문서
2018-07
[32]
서적
Comparative Creole Syntax: Parallel Outlines of 18 Creole Grammars
Battlebridge
2007
[33]
간행물
Language, Society, and Development: Dialectic of French and Creole Use in Haiti
1981
[34]
웹사이트
"Haïti: Loi du 18 septembre 1979"
http://www.axl.cefan[...]
Université Laval
[35]
서적
Yon koudèy sou pwoblèm lekòl Ayiti
http://potomitan.inf[...]
2007
[36]
서적
Literacy in School and Society: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989
[37]
논문
French and underdevelopment, Haitian Creole and development: Educational language policy problems and solutions in Haiti
http://users.clas.uf[...]
2012
[38]
웹사이트
"La Constitution de 1987, Article 5"
http://sdn.mefhaiti.[...]
2015-07-31
[39]
서적
Open Gate: An Anthology of Haitian Creole Poetry
https://archive.org/[...]
Curbstone Press
2001-04
[40]
논문
Linguists' most dangerous myth: The fallacy of Creole Exceptionalism
http://web.mit.edu/l[...]
2005
[41]
논문
Diglossia in Haiti: A Comparison with Paraguayan Bilingualism
1977-03
[42]
논문
Diglossia revisited: French and Creole in Haiti
1983
[43]
논문
Creole Languages
https://search.credo[...]
2019-10-23
[44]
서적
World Education Encyclopedia: A Survey of Educational Systems Worldwide
https://archive.org/[...]
Gale Group
2002
[45]
뉴스
Haitian schools expand use of Creole language
https://www.usnews.c[...]
2013-02-06
[46]
논문
French and underdevelopment, Haitian Creole and development
http://users.clas.uf[...]
2015-07-31
[47]
서적
The Haitian Creole Language: History, Structure, Use, and Education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2
[48]
논문
Le statut des voyelles nasales en Créole haïtien
2002
[49]
논문
The 'Real' Haitian Creole: Ideology, Metalinguistics, and Orthographic Choice
http://journals.ling[...]
1992-09
[50]
서적
Dictionary of Irish Biogra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51]
논문
Signs of Identity, Signs of Discord: Glottal Goofs and the Green Grocer's Glottal in Debates on Hawaiian Orthography
2002
[52]
서적
Studies in French Applied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2017-09-04
[53]
서적
Beyond the Slave Narrative: Politics, Sex, and Manuscripts in the Haitian Revolution
https://books.google[...]
Liverpool University Press
2017-09-04
[54]
간행물
Les formes des pronoms personnels de l'haïtien et leur place en comparaison avec celles du français
https://getd.libs.ug[...]
2005
[55]
서적
Pawòl Lakay: Haitian-Creole Language and Culture for Beginner and Intermediate Learners
Educa Vision
2011
[56]
서적
J'apprends le créole haïtien
https://books.google[...]
"{{lang|fr|Faculté de Linguistique Appliquée, Université d'État d'Haïti}} and {{lang|fr|Éditions Karthala}}"
2002
[57]
서적
J'apprends le créole haïtien
https://books.google[...]
"{{lang|fr|Faculté de Linguistique Appliquée, Université d'État d'Haïti}} and {{lang|fr|Éditions Karthala}}"
2002
[58]
논문
À propos de la syntaxe des pronoms objets en créole haïtien : points de vue croisés de la morphologie et de la diachronie
http://www.persee.fr[...]
2000
[59]
문서
The nasalization of the Haitian Creole determiner La in non-nasal contexts: a variationist sociolinguistic study
2019
[60]
서적
Guide to Learning Haitian Creole
https://archive.org/[...]
Educa Vision
2004
[61]
서적
Recent Development in Creole Studies
Max Niemeyer Verlag
2003
[62]
서적
Worldmark Encyclopedia of Cultures and Daily Life: Americas
https://books.google[...]
2017-02-01
[63]
서적
Haitian Creole–English Dictionary
https://www.yumpu.co[...]
Dunwoody Press
2015-11-13
[64]
서적
Dictionnaire étymologique des créoles français d'Amérique
https://www.uni-bamb[...]
Buske
2018
[65]
서적
The Big Truck That Went By: How the World Came to Save Haiti and Left Behind a Disaster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ress
2013
[66]
논문
Vignettes from Jakzi
http://haitimarycare[...]
2013
[67]
논문
Metaphors as Contextual Evidence for Engaging Haitian Clients in Practice: A Case Study
https://www.research[...]
2011
[68]
웹사이트
Civic Heraldry of Haiti
http://ngw.nl/int/ca[...]
2015-09-06
[69]
서적
Rara!: Vodou, Power, and Performance in Haiti and Its Diaspor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2
[70]
논문
"''Nou Mande Jistis!'' (We Demand Justice!): Reconstituting Community and Victimhood in Raboteau, Haiti"
2008
[71]
서적
Haitian–English Medical Phraseology
http://kuscholarwork[...]
Institute of Haitian Studies, University of Kansas
1997
[72]
간행물
Undeclared War on Haiti's Poor
http://eurekastreet.[...]
2006-07-11
[73]
서적
Libération du vaudou dans la dynamique d'inculturation en Haïti
Gregorian & Biblical Press
1999
[74]
간행물
Toward a Politico-Theology of {{not a typo|Relational|it|y}}: Justice as Solidarity and the Poor in Aristide's Theological Imagination
https://www.academia[...]
2014
[75]
간행물
The Double Weakness of Girls: Discrimination and Sexual Violence in Haiti
2008
[76]
서적
Haitian Creole–English Dictionary
https://www.yumpu.co[...]
Dunwoody Press
2015-09-07
[77]
웹사이트
enfòmaysyan sou tit iv – haitian creole
https://cdn.mbta.com[...]
2018-08-09
[78]
웹사이트
Haitian Radio Stations
http://bonpounou.com[...]
2015-10-30
[79]
웹사이트
Creole (Minor)
http://www.york.cuny[...]
York College
2014
[80]
웹사이트
Creole Institute History
https://frit.indiana[...]
[81]
웹사이트
Schedule of Classes, Fall 2015
https://registrar.du[...]
Duke University
2015-07-31
[82]
웹사이트
Elementary Haitian Kreyol
http://www.columbia.[...]
Columbia University
2015-08-30
[83]
웹사이트
Institute of Latin American Studies: CU–NYU Consortium Courses: Spring 2016
http://ilas.columbia[...]
Columbia University
2015-11-04
[84]
웹사이트
College of Liberal Arts and Sciences
https://clas.uchicag[...]
2017-01-18
[85]
웹사이트
English Language Learner Demographics Report for the 2015–16 School Year
http://schools.nyc.g[...]
New York City Department of Education
2018-07-19
[86]
간행물
Myths and Realities: A History of Haitian Creole Language Programs in New York City
[87]
웹사이트
Haitian and Creole Culture in Cuba
http://cubajournal.c[...]
Cuba Journal
2017-02-07
[88]
웹사이트
Haiti in Cuba
http://www.afrocubaw[...]
[89]
웹사이트
Primera Encuesta Nacional de Inmigrantes en la República Dominicana
http://countryoffice[...]
Oficina Nacional de Estadística
2015-06-17
[90]
뉴스
Illegal Haitians deported
http://dr1.com/news/[...]
2015-07-31
[91]
웹사이트
Bahamas outlook clouds for Haitians
http://news.bbc.co.u[...]
2009-09-20
[92]
웹사이트
Ethnologue – Bahamas (18th ed.)
https://www.ethnolog[...]
[93]
웹사이트
Carnegie Mellon releases data on Haitian Creole to hasten development of translation tools
http://esciencenews.[...]
2015-07-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