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리아 에우도키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일리아 에우도키아는 400년경 아테네에서 태어난 동로마 제국의 황후이자 시인이다. 본명은 아테나이스였으며, 고전 문학과 수사학을 배우며 성장했다.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와 황제의 누이 풀케리아의 시녀가 된 후 테오도시우스 2세와 결혼하여 '아우구스타' 칭호를 받았다. 예루살렘 순례 이후 궁정을 떠나 문학 활동에 전념했으며, 호메로스의 시구를 인용하여 기독교적 내용을 담은 서사시인 '호메로스 켄토' 등을 저술했다. 동방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추대되었으며, 축일은 8월 13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60년 사망 - 저거안주
5세기 북량의 군주 저거안주는 저거무휘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라 선선 점령 후 고창으로 근거지를 옮겨 하서왕으로 봉해졌으나, 유연의 공격으로 사망하며 북량 멸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401년 출생 - 테오도시우스 2세
테오도시우스 2세는 408년부터 450년까지 동로마 제국을 통치한 황제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섭정 시대를 거쳐 누이 풀케리아의 영향력 아래 통치했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대학교 설립과 테오도시우스 법전 제정 등의 내정 성과와 훈족과의 굴욕적인 평화협정, 신학 논쟁에 대한 미흡한 대처로 평가가 엇갈리다 사냥 중 낙마 사고로 사망하여 동로마 제국의 권력 재편을 초래했다. - 401년 출생 - 레오 1세 (동로마 제국)
레오 1세는 아스파르에 의해 동로마 황제로 추대되어 권력 투쟁 끝에 그를 제거하고 서로마 제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으나 반달 왕국 원정 실패 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의 대관식을 거행한 최초의 황제이다. - 5세기 시인 - 유랴쿠 천황
유랴쿠 천황은 456년 즉위한 제21대 일본 천황으로, 권력 투쟁 후 강력한 군사력을 기반으로 왕권을 확립하고 주변 소왕국들을 복속시키려 했으며, 유송과의 외교, 양잠업 장려 등의 정책을 펼쳤으나 잦은 처형으로 비판받았고, 능묘는 다니비 타카와시하라릉이며, 그의 기록은 《일본서기》와 《고사기》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지만 신화와 전설을 포함하고 있어 신뢰성 논쟁이 있으며, '왜왕 무(武)'와 동일인물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5세기 시인 - 칼리다사
칼리다사는 고대 인도의 산스크리트어 작가로,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으며, 그의 삶과 출생지에 대한 여러 추측이 존재하지만, 대표작들은 산스크리트 문학의 정수로 평가받고 서구 문학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자연 묘사와 인간 심리 묘사로 유명하다.
아일리아 에우도키아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아테나이스 |
칭호 | 아우구스타 |
재위 기간 | 421년–450년 |
생애 | |
출생 | 년, 아테네 |
사망 | 460년 10월 20일, 예루살렘 |
배우자 | 테오도시우스 2세 |
자녀 | |
자녀 | 리키니아 에우도키시아 플라킬라 아르카디우스 |
아버지 | 레온티우스 |
2. 생애
아테네의 철학자 레온티우스의 딸 아테나이스로 태어나 고전 문학과 수사학을 공부했다. 아버지 사후 상속 재산을 거의 받지 못해 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가서 테오도시우스 황제에게 호소했는데, 황제의 누이 풀케리아의 눈에 띄어 시녀가 되었다. 이후 테오도시우스 2세의 아내로 추천되었다.
세례를 받고 기독교로 개종하면서 아테나이스에서 아일리아 리키니아 에우도키아로 이름을 바꾸었다. 421년 테오도시우스 2세와 결혼, 딸 리키니아 에우독시아를 낳고 아우구스타로 선포되었다. 에우도키아는 형제들을 트라키아나 일리리쿰의 집정관 등으로 임명했다.
438년부터 439년까지 예루살렘으로 순례를 떠났는데, 황후로서 호화로운 장비를 갖추었다고 전해진다. 예루살렘에서 돌아온 후 풀케리아와 갈등을 겪었다. 440년 테오도시우스 2세의 친구 파울리누스가 황제가 에우도키아에게 준 사과를 다시 황후가 파울리누스에게 주었다는 부정행위와 관련된 일화로 인해 실각하자, 에우도키아는 다시 예루살렘으로 가서 그곳에서 여생을 보냈다.
2. 1. 초기 생애와 결혼
400년경 아테네에서 그리스 철학자 레온티우스의 딸로 태어났으며, 본명은 아테나이스였다.[3][4][5][6] 아테네 아카데미에서 수사학, 문학, 철학 등 고전 교육을 받으며 성장했다.[8][9] 아버지 레온티우스는 그녀에게 소크라테스의 절제에 대한 지혜를 가르쳤고, 그녀가 위대한 운명을 맞이할 것이라고 예측했다.[9]420년에 아버지가 사망하면서 남긴 유언으로 인해 상속 재산을 거의 받지 못하고 100개의 동전만을 받게 되었다.[9] 이에 불만을 품은 아테나이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가서 황제에게 정의를 요구하기로 결심했다.[10]

테오도시우스 황제의 누이 풀케리아는 아테나이스의 미모와 지성, 세련됨에 감탄하여 그녀를 시녀로 발탁했다.[12] 풀케리아는 테오도시우스 2세에게 아테나이스를 아내로 추천했고, 테오도시우스 2세는 그녀에게 즉시 사랑에 빠졌다.[12]
아테나이스는 기독교로 개종하고 '아일리아 리키니아 에우도키아'로 개명한 후, 421년 6월 7일에 테오도시우스 2세와 결혼했다.[13][14] 결혼 후, 테오도시우스 2세는 그녀의 오빠들인 게시우스와 발레리우스를 각각 일리리쿰 프라이토리아 현의 장관과 관청의 장관으로 임명하며 중용했다.[15]
2. 2. 황후 시절
422년, 딸 리키니아 에우독시아를 출산했다.[19] 리키니아 에우독시아는 태어날 때부터 사촌이자 서로마 제국 황제인 발렌티니아누스 3세와 약혼했으며, 437년 10월 29일에 결혼했다.[19] 423년 1월 2일, 남편 테오도시우스 2세에 의해 아우구스타로 선포되었다.[20]에우도키아는 콘스탄티노플에 최초의 성 폴리옥투스 교회를 건축했는데, 그녀의 증손녀 아니키아 율리아나가 6세기에 대대적으로 확장하고 장식했다.
438년부터 439년까지 예루살렘으로 순례를 떠났다.[17] 순례 중 안티오크에서 헬레니즘 양식으로 원로원에서 연설하고, 건물 수리를 위한 자금을 배분했다.[5][24] 안티오크 시민들은 그녀를 기리기 위해 쿠리아와 박물관에 그녀의 조각상을 세웠다.[25][26][27] 테오도시우스 2세를 설득하여 안티오크의 성벽을 확장하고,[28] 이교도와 유대인을 보호하는 정책을 펼치도록 영향을 미쳤다.[28] 콘스탄티노플의 교육 개편 및 확장에 힘썼다.[29]
2. 3. 말년과 죽음
443년경, 에우도키아는 정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은 채 궁궐을 떠났다. 한 소문에 따르면, 에우도키아는 말년에 간통 혐의로 궁정에서 추방되었다고 한다. 테오도시우스 2세는 그녀가 오랫동안 친구이자 궁정 고문이었던 파울리누스와 불륜 관계를 맺고 있다고 의심했다.[17] 요안니스 말랄라스의 기록에 따르면, 테오도시우스 2세는 에우도키아에게 매우 큰 프리기아 사과를 선물했다. 어느 날 파울리누스는 황제에게 똑같은 사과를 보여주었는데, 황제가 그것을 에우도키아에게 선물했다는 사실을 몰랐다. 테오도시우스는 그 사과를 알아보고 에우도키아를 추궁했고, 에우도키아는 그것을 먹었다고 맹세했다. 에우도키아가 거짓말을 하자 황제는 그녀가 파울리누스와 사랑에 빠져 그에게 자신의 사랑의 상징으로 자신이 준 것과 같은 사과를 주었다고 믿게 되었다. 테오도시우스는 파울리누스를 처형했고, 에우도키아는 당황하여 443년에 궁정을 떠나기로 결심했다.[24]
에우도키아는 443년경 예루살렘으로 돌아와 여생을 보냈다. 예루살렘에서 그녀는 저술 활동에 집중했다. 그녀는 시리아 기독교의 단성설파 반란(453)에 관여했지만, 결국 풀케리아와 화해하고 동방 정교회에 다시 받아들여졌다. 그녀는 문학에 마지막 몇 년을 바치며 460년 10월 20일 예루살렘에서 정교회 신자로 사망했다.[3] 그녀는 예루살렘에 자신이 직접 지은 교회 중 하나인 성 스테파노 교회에 묻혔고,[33] 현대의 예루살렘 성 스테파노 대성당이 그 자리에 서 있다. 황후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황실 법정으로 돌아가지 않았지만 "그녀는 황실의 위엄을 유지하고 상당한 에우에르게티즘 프로그램을 수행했다."[35]
3. 문학 활동
에우도키아는 고전 교육을 바탕으로 기독교적 주제의 서사시를 주로 썼다. 421~422년 페르시아 전쟁에서 로마의 승리를 기념하는 6보격 시를 썼으나 전해지지 않는다.[17] '성 키프리아누스의 순교'라는 세 권 분량의 서사시를 썼으며, 약 900행이 남아있다.[17] 이 시는 기독교 처녀 유스타가 마법사 키프리아누스를 신앙으로 물리친 이야기다. 키프리아누스는 유스타를 유혹하려다 실패하고 기독교로 개종하여 주교가 되며, 유스타는 여집사가 되어 유스티나라는 새 이름을 얻는다.[37] 이 이야기는 허구지만, 에우도키아와 유스타 모두 기독교로 개종하고 권력을 잡은 뒤 이름을 바꿨다는 점에서 비슷하다.
에우도키아는 하맛 가데르 온천에 대한 시도 남겼으며,[17] 호메로스의 시구를 빌려 성경 이야기를 재구성한 '호메로스 켄토'를 썼다. 2,344행의 이 켄토는 현존하는 호메로스 켄토 중 가장 길다.[37] 창세기와 신약성서의 예수 그리스도 이야기를 호메로스 풍으로 재구성하여, 자신의 기독교 신앙과 고전 교육 배경을 융합했다.
3. 1. 하맛 가데르 시

내 삶에서 많은 경이로움을 보았네, 무수히 많았지,
그러나 고귀한 클리바누스여, 그 입이 아무리 많다 해도,
하찮은 인간으로 태어난 당신의 위대함을 누가 선포할 수 있으리요? 하지만 오히려
당신을 새로운 불타는 바다,
찬가이자 부모, 달콤한 물의 공급자로 불러야 마땅하네.
당신으로부터 천 배의 물결이 솟아나니, 여기 하나, 저기 하나,
이쪽은 펄펄 끓고, 저쪽은 차갑고 미지근하네.
네 배나 되는 샘으로 당신의 아름다움을 쏟아붓네.
인디안과 마트로나, 레펜티우스, 거룩한 엘리야,
선한 안토니누스, 이슬 맺힌 갈라티아, 그리고
히기에이아 본인, 크고 작은 따뜻한 목욕탕 모두,
진주, 고대의 클리바누스, 인디안과 다른
마트로나, 강한, 수녀, 그리고 족장의.
고통받는 자들에게 당신의 강력한 힘은 항상 영원하네.
그러나 나는 지혜로 명성이 자자한 신에 대해 노래하리라.
말하는 인간의 이익을 위해.[39]
시 위에는 십자가 두 개로 둘러싸인 "황후 에우도키아의"라는 구절이 새겨져 있다. 이 제목 행은 본문 비문을 새긴 후에 추가되었기 때문에, 이 시가 실제로 에우도키아가 쓴 것인지에 대한 의문을 남긴다. 클리바누스는 뜨거운 물의 근원에게 주어진 이름이다. 시는 클리바누스의 자질과 그의 많은 샘("천 배의 물결")을 칭찬한 후, "네 배로 네 개" 즉, 16개의 서로 다른 목욕 단지를 열거하는데, 그 중 14개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는 히기에이아 (건강의 이교 여신), 다양한 이교 개인 이름, 선지자를 언급하는 "거룩한 엘리야", 그리고 두 명의 기독교인(수녀와 족장)이 포함된다.[40]
3. 2. 호메로스 켄토
아일리아 에우도키아가 지은 호메로스의 켄토는 그녀의 작품 중 가장 널리 알려지고, 현대 학자들에게 가장 많이 연구되는 시이다. 에우도키아의 켄토는 현존하는 호메로스 켄토 중 가장 길며, 총 2,344행으로 구성되어 있다.[37] 이 작품은 에우도키아가 아테네에서 받은 고전 교육을 바탕으로, 창세기와 신약성서에 나오는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 이야기를 담아낸 서사시이다. 이를 통해 에우도키아가 누구이며, 무엇을 믿었는지를 뚜렷하게 보여준다. 에우도키아의 작품 중 가장 많이 남아있는 부분은 파트리키우스라는 사람이 쓴 미완성 시를 바탕으로 한 아담과 이브에 관한 2354행이다.[6]마크 어셔는 에우도키아가 성경적 해석을 표현하기 위해 호메로스적 주제를 선택한 이유를 분석했다. 어셔에 따르면, 에우도키아는 성경과 관련된 인간의 경험을 전달하고자 했다. 그녀는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의 주제를 사용했는데, 이는 "복음 이야기를 전달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담고 있었기 때문이다. 에우도키아가 위대함, 고통, 진실성, 기만, 아름다움, 고통, 슬픔, 인식, 이해, 두려움, 경이로움 등을 표현해야 할 때마다, 그녀의 기억 속에 적절한 호메로스 구절이 떠올랐다."[41] 에우도키아의 호메로스 시는 동로마 제국의 기독교 여성, 그리고 황후로서의 그녀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그녀의 고전 교육 배경은 시에 명확히 드러나며, 이는 두운법의 사용 가능성에서 엿볼 수 있는 그녀의 문학적 재능을 보여준다.[42] 그녀는 고전 그리스 문학 공부에 대한 애정을 자신의 기독교 신념과 연결하는 데 주력했다.
4. 유산
에우도키아는 동방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추대되었으며, 축일은 8월 13일이다.
안토니오 비발디의 오페라 ''아테나이데''는 에우도키아와 테오도시우스 2세의 결혼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다.
주디 시카고의 설치 미술 작품 ''디너 파티''에서 테오도라의 자리에 연관된 ''헤리티지 플로어''에 있는 999명의 이름 중 하나로 묘사되어 있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대한민국의 진보 진영에서는 에우도키아가 보여준 고전 문화와 기독교 신앙의 융합, 교육에 대한 헌신, 그리고 소외된 이들을 위한 정책 등을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참조
[1]
서적
[2]
서적
[3]
백과사전
Eudocia: Byzantine empress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4]
서적
[5]
서적
[6]
논문
"In Her Own Words: The Life and Works of Aelia Eudocia."
2022-12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백과사전
Aelia Eudocia (Wife of Theodosius II) [Note #1]
http://www.roman-emp[...]
University of Ottawa
[12]
서적
[13]
백과사전
Aelia Eudocia (Wife of Theodosius II)
http://www.roman-emp[...]
University of Ottawa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Eudocia Augusta
W. Wiegand, Ferdinand Gregorovius, Charles Diehl, Arthur Ludwich
[31]
웹사이트
Roman Emperors - DIR Aelia Eudocia
https://www.roman-em[...]
[32]
서적
[33]
백과사전
Aelia Eudocia (Wife of Theodosius II) [Note #17]
http://www.roman-emp[...]
University of Ottawa
[34]
뉴스
"St. Stephen's {{sic|Mona|stary|hide=y}} – The brothers' work"
http://www.jpost.com[...]
2009-09-14
[35]
서적
[36]
서적
[37]
서적
[38]
논문
Odyssean Mediations in Eudocia’s Martyrdom of St Cyprian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논문
Homeric' Acrostics. Eudocia, Homerocentones (I), 452–455, 942–946
[43]
웹사이트
Eudocia
http://www.brooklynm[...]
Brooklyn Museum
2016-06-25
[44]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