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오 1세 (동로마 제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오 1세는 457년부터 474년까지 동로마 제국을 통치한 황제이다. 트라키아 출신으로 로마 군대에서 경력을 쌓았으며, 아스파르에 의해 황위에 올랐으나, 점차 아스파르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통치를 시도했다.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에 의해 대관식을 거행한 최초의 황제였으며, 이사우리아인과의 동맹을 통해 아스파르 가문을 제거하고 황권을 강화했다. 서로마 제국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으나, 반달족과의 전쟁에서 실패하여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다. 레오 1세는 외손자 레오 2세를 후계자로 지명하고 이질로 사망했다. 그는 베리나와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74년 사망 - 레오 2세 (동로마 제국)
레오 2세는 레오 1세의 외손자이자 제논의 아들로, 레오 1세에 의해 후계자로 지명되어 동로마 제국의 황제가 되었으나 7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그의 아버지 제논이 뒤를 이었으며,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여러 추측을 낳았다. - 401년 출생 - 테오도시우스 2세
테오도시우스 2세는 408년부터 450년까지 동로마 제국을 통치한 황제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섭정 시대를 거쳐 누이 풀케리아의 영향력 아래 통치했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대학교 설립과 테오도시우스 법전 제정 등의 내정 성과와 훈족과의 굴욕적인 평화협정, 신학 논쟁에 대한 미흡한 대처로 평가가 엇갈리다 사냥 중 낙마 사고로 사망하여 동로마 제국의 권력 재편을 초래했다. - 401년 출생 - 아일리아 에우도키아
철학자 레온티우스의 딸로 태어나 고전 교육을 받고 기독교로 개종 후 동로마 제국의 황후가 된 아일리아 에우도키아는 문학 활동 장려와 예루살렘 순례 등으로 제국에 영향을 미쳤으나, 만년에 궁정을 떠나 예루살렘에서 여생을 보내며 저술 활동에 집중했고 동방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 레오가 - 아나스타시우스 1세
아나스타시우스 1세는 491년부터 518년까지 동로마 제국을 통치한 황제로서, 검소한 통치와 대외 위협 대응, 화폐 및 행정 개혁을 추진했으나 종교적 갈등과 반란으로 불안정한 통치를 겪다가 후계자를 정하지 못하고 사망했다. - 레오가 - 율리우스 네포스
율리우스 네포스는 474년부터 475년까지 서로마 제국 황제였으며, 오레스테스의 반란으로 달마티아로 망명한 후 480년 암살당할 때까지 황제 지위를 유지했다.
레오 1세 (동로마 제국) | |
---|---|
기본 정보 | |
![]() | |
로마자 표기 | Flavius Valerius Leo |
별칭 | 레오 마켈레스 (그리스어: Μακέλλης) |
호칭 | 성 레오 대제 레오 대제 (그리스어: ὁ Μέγας) 레오 소제 (그리스어: ὁ Μικρός) |
재위 | 457년 2월 7일 – 474년 1월 18일 |
즉위일 | 457년 2월 7일 |
선대 황제 | 마르키아누스 |
후대 황제 | 레오 2세 |
서방 황제 | 마요리아누스 (457–461) 리비우스 세베루스 (461–465) 안테미우스 (467–472) 올리브리우스 (472) 글리케리우스 (473–474) |
출생 | 401년경 |
출생지 | 다키아 아우렐리아나, 동로마 제국 |
사망일 | 474년 1월 18일 (향년 73세) |
사망지 | 콘스탄티노폴리스 |
배우자 | 베리나 |
자녀 | 아리아드네 레온티아 이름 미상 아들 |
왕조 | 레오 왕조 |
종교 | 칼케돈 기독교 |
정식 명칭 | 라틴어: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플라비우스 레오 아우구스투스 그리스어: Αὐτοκράτωρ καῖσαρ Φλάβιος Λέων αὐγουστος |
성인 칭호 | 성 레오 대제, 정교회 성인 |
축일 | 1월 20일 |
숭배 | 동방 정교회 |
성인으로서의 칭호 | 거룩하고 올바른 믿음의 로마 황제 |
상징 | 황제 복장 |
기타 | |
국가 | 로마 제국 |
위치 | 동방 |
별명 | 그리스어: ὁ Θρᾷξ 라틴어: Magnus 그리스어: ὁ Μέγας 그리스어: ὁ Μικρός |
참고 | "마켈레스"(Μακέλλης)는 아스파르와 그의 아들을 살해한 것에서 유래되었다. |
관련 링크 | Ὁ Ἅγιος Λέων Μακέλλης ὁ Μέγας Μεγασ Συναξαριστης |
2. 생애
레오 1세는 401년 트라키아 또는 다키아 아우렐리아나 속주에서 태어나 로마 군대에서 복무하며 코메스 레이 밀리타리스 계급까지 올랐다. 457년 마르키아누스 황제가 후계자 없이 죽자, 막후 실력자였던 아스파르 가문의 집사였던 레오는 아스파르에 의해 황제로 추대되었다.
457년 2월 7일, 레오는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 아나톨리우스에게서 공식적으로 제관을 받았다. 이는 로마 제국 역사상 처음 있는 일로, 이후 황제는 대주교가 집전하는 대관식을 거행하는 전통이 확립되었다.
아스파르는 레오를 꼭두각시 황제로 내세워 권력을 누리려 했으나, 레오는 이사우리아 출신의 제논을 등용하여 아스파르를 견제했다. 레오는 이사우리아인들과 동맹을 맺고 아스파르를 제거했는데, 그 대가로 딸을 이사우리아인 지도자 타라시코디사(후일 제논)와 결혼시켜야 했다.
레오는 서로마 제국에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461년 마요리아누스가 리키메르에게 살해되고 리비우스 세베루스가 서로마 황제로 추대되자 이를 승인하지 않았다. 467년 마르키아누스의 사위 안테미우스를, 474년에는 율리우스 네포스를 서로마 황제로 임명했다.
468년, 레오는 서로마 제국의 안테미우스와 연합하여 반달왕국의 가이세리크를 공격하기 위해 대규모 원정을 감행했다. 처남 바실리스쿠스에게 함대 1,113척과 약 10만 명의 병력을 맡겼으나, 바실리스쿠스의 지휘 잘못으로 원정은 대실패로 끝나 동로마 제국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472년 레오는 외손자 레오 2세를 카이사르로, 473년에는 아우구스투스로 승격시켜 후계자로 삼았다. 레오 1세는 474년 1월 18일 이질로 사망했다.
2. 1. 출신 및 초기 경력
레오 1세는 401년 트라키아 또는 다키아 아우렐리아나 속주에서 트라코-로마 가문에서 태어났다.[12] 요한 말라스는 그가 베시안 혈통이라고 믿었다.[13] 그는 로마 군대에서 복무하여 코메스 레이 밀리타리스 계급까지 올랐다.[7]2. 2. 황제 즉위와 아스파르 가문과의 관계
레오는 정통파 그리스도교인이었고 당시 막후의 실력자인 아스파르 집안의 집사였는데, 457년 마르키아누스 황제가 후계자 없이 죽자 아스파르에 의해 황제로 추대되었다.[7] 457년 2월 7일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인 아나톨리우스에게서 공식적으로 제관을 받았는데, 이것은 로마 제국에서 처음 있는 일이었다. 이후 황제는 대주교가 집전하는 대관식을 거행해야 했다.[14]아스파르는 레오를 꼭두각시 황제로 내세워 자신의 권력을 누리려 하였으나, 레오는 곧 그와 투쟁하였다. 레오는 아스파르의 권력 배경인 게르만족 군부를 대신하여 이사우리아 출신의 제논을 등용하고 아스파르를 견제했다.[7]
471년 레오는 아스파르를 궁정에서 죽이는 데 성공하고 자신의 황권을 강화했다.
2. 3. 이사우리아인과의 동맹과 아스파르 가문 숙청
레오 1세는 아스파르의 권력 기반인 게르만족 군부를 견제하고자 이사우리아 출신의 제논을 등용했다. 레오는 이사우리아인들과 동맹을 맺고 아스파르를 제거할 수 있었는데, 그 대가로 레오의 딸을 이사우리아인들의 지도자 타라시코디사(후일 제논으로 즉위)와 결혼시켜야 했다.[7] 469년, 아스파르는 제논을 암살하려 했으나 실패했다.[16] 471년, 아스파르와 그의 아들 아르다부르는 레오에 대한 음모에 연루되어 궁정 환관들에게 레오의 명령으로 살해되었다.[17]2. 4. 서로마 제국과의 관계
레오 1세는 서로마 제국에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했다. 461년 마요리아누스가 리키메르에게 살해되고 리비우스 세베루스가 서로마 황제로 추대되자, 레오는 이를 승인하지 않았다.[24] 467년, 마르키아누스의 사위인 안테미우스를 서로마 황제로 임명했고, 474년에는 율리우스 네포스를 서로마 황제로 선포하여 파견했다. 그러나 이러한 레오 1세의 개입은 서로마 제국이 동로마 황제의 간섭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을 낳았고, 결국 레오 1세 사후 2년 뒤인 476년 서로마 황제 지위가 폐지되는 결과를 초래했다.2. 5. 반달 왕국과의 전쟁

468년 레오 1세는 서로마 황제 안테미우스와 연합하여 공동의 적인 북아프리카의 반달왕국 가이세리크를 공격했다. 레오는 처남인 바실리스쿠스에게 대규모 군대를 주어 원정을 떠나게 했다. 당시 북아프리카 원정군의 규모는 다음과 같다.
항목 | 규모 |
---|---|
총비용 | 약 13607.76kg 황금 |
함대 | 1,113척 |
병력 | 약 10만 명 |
원정 초반은 순조롭게 진행되어 사르데냐에서 반달족을 몰아내었고 헤라클리우스라는 장군은 카르타고 남동쪽을 공략했다. 그러나 바실리스쿠스가 이끄는 본진은 북아프리카에 상륙한 이후 곧바로 진군하지 않고 머뭇거렸고, 그 사이 가이세리크는 항복할 테니 닷새간의 시간을 달라고 요청했다. 바실리스쿠스는 그 계략에 넘어갔고 닷새 후 나타난 가이세리크는 때마침 바뀐 바람의 힘을 빌려 로마군의 함대를 모조리 불살라버렸다. 바실리스쿠스는 겨우 도망쳐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돌아왔다. 레오 1세와 가이세리크는 강화를 맺었고, 이때 동로마 제국이 입은 피해는 거의 30년 동안 동로마 제국을 괴롭혔다.[8] 프로코피우스는 원정 비용을 금 13만 파운드로 추산했고, 리디아의 요한은 금 6만 5천 파운드와 은 75만 파운드로 추산했다.
2. 6. 후계자 임명과 죽음
471년 레오는 아스파르를 궁정에서 제거하고 황권을 강화했다.[7] 472년 외손자 레오 2세를 카이사르로 임명했고, 473년 11월 17일에는 아우구스투스로 승격시켜 후계자로 삼았다. 레오 1세는 474년 1월 18일 이질로 사망했다.[18][19][20]3. 가족 관계
레오 1세는 황후 베리나(432년 - 484년)와 아들 하나와 딸 셋을 두었다.
- 아리아드네(약 450년 - 515년) - 제논과 결혼, 제논 사후 아나스타시우스 1세와 재혼. 자녀는 없었음. 제논과의 사이에서 레오 2세와 힐라리아(1남 1녀)를 두었으나, 이들은 자녀를 남기지 않아 자손이 없음.
- 레온티아(457년 출생 - 479년 이후) - 아스파르의 차남 플라비우스 유리우스 파트리키우스(422년 - 471년)와 결혼. 이후 레오 1세의 전임 황제 마르키아누스의 손자(딸의 아들)이자 서로마 제국 황제 안테미우스의 아들인 마르키아누스(활동 기간은 적어도 469년부터 484년)와 약 471년경 재혼. 두 번의 결혼 모두 자녀가 확인되지 않음.
- 헬레나(약 455년 출생 - 사망년도 불명) - 475년 바흐탕 1세(440년 - 502년, 외조모 마리아(약 385년 출생)는 로마 황제 요비아누스의 손녀이자 발로니아누스의 딸)와 결혼하여 아들 둘(레온, 미흐르다트)을 둠. 레온의 5대손(현손의 손자) 데메트리오스(약 645년 - 665년 이후)는 헤라클레이오스 왕조 제2대 황제 콘스탄티노스 3세의 차남 테오도시우스(약 632년 출생)의 딸(약 655년 출생)과 결혼. 이 부부와 데메트리오스의 외조부 형제 스테판의 자손이 후세에 계속됨.
- 아들(463년 - 463년) - 이름 미상. 요절.
3. 1. 배우자와 자녀
레오 1세는 황후 베리나와의 사이에서 세 자녀를 두었다.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비고 |
---|---|---|---|---|
아리아드네 | 450년 이전 | 515년 | 제논, 아나스타시우스 1세 | 레오 2세의 어머니 |
레온티아 | 457년 | 479년 이후 | 파트리키우스, 마르키아누스 | 파트리키우스와의 약혼은 471년 파기됨[22] |
이름 미상 | 463년 | 463년 | 태어난 지 5개월 만에 사망[22] |
장녀 아리아드네는 마르키아누스 황제가 죽기 전에 태어났다.[21] 아리아드네는 제논과 결혼하여 레오 2세를 낳았다.
차녀 레온티아는 처음에 아스파르의 아들 파트리키우스와 약혼했지만, 471년 아스파르가 암살되면서 약혼이 파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22] 이후 레온티아는 안테미우스 황제의 아들인 마르키아누스와 결혼했다. 이 부부는 478-479년 제논에 대항하는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했고, 패배 후 이사우리아로 유배되었다.[22]
3. 2. 헬레나 공주와 관련된 논란
13세기에 편찬된 조지아 연대기는 이베리아의 바흐탕 1세가 비잔티움 제국의 헬레나 공주와 결혼했으며, 헬레나를 제노 황제의 전임 황제의 딸로 묘사한다고 기록하고 있다.[23] 이 전임 황제는 레오 1세로 추정되며, 이 기록은 레오 1세에게 세 번째 딸이 있었다는 주장의 근거가 된다. 키릴 투마노프는 이 결혼으로 태어난 두 자녀가 이베리아의 미트리다테스와 이베리아의 레오라고 보았다. 이베리아의 레오는 구아람 1세의 아버지였다. 그러나 이 계보의 정확성은 불확실하다.[23]4. 평가 및 영향
레오 1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에게서 제관을 받는 대관식을 거행한 최초의 로마 황제로서, 이는 동로마 제국의 기독교적 전통 확립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24][25][27][28][29] 그는 법률을 라틴어가 아닌 그리스어로 제정하여 제국의 동방화를 가속화했다는 평가도 받는다.
레오 1세는 서로마 제국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으나, 이는 서로마 제국이 동로마 제국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을 낳기도 했다. 또한 반달왕국과의 전쟁에서 크게 패하여 제국에 큰 손실을 가져왔다.
4. 1. 동로마 제국의 기독교화
457년 2월 7일, 레오 1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에게서 제관을 받는 황제 대관식을 거행했는데, 이는 로마 제국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다.[14] 이 사건은 로마 제국의 전통이 중세 로마 및 기독교적인 것으로 변화하는 중요한 전환점을 상징한다. 이후 동로마 제국에서는 황제가 대주교가 집전하는 대관식을 거행하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레오 1세 시대에 나타난 기독교적 요소가 추가된 대관식 의례는 훗날 유럽 전역의 궁정, 특히 고대 후기 서유럽에서 모방되었다.[15]
4. 2. 그리스어 법률 제정
레오 1세는 법률을 라틴어가 아닌 그리스어로 제정한 최초의 로마 황제였다.[24]4. 3. 서로마 제국과의 관계 및 반달족과의 전쟁
레오 1세는 서로마 제국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다. 467년 안테미우스를 서로마 황제로 임명했고, 474년에는 유리우스 네포스를 서로마 황제로 선포하여 파견했다. 자신이 임명한 안테미우스와 유리우스 네포스를 제외한 서로마 황제들은 정식 황제로 인정하지 않았다.[24] 이러한 개입은 서로마 제국이 동로마 황제의 개입에서 벗어나고자 476년 서로마 황제의 지위 폐지를 선포하는 결과를 낳았다.468년 레오는 서로마 황제 안테미우스와 연합하여 반달왕국의 가이세리크를 공격했다. 레오는 처남인 바실리스쿠스에게 대규모 군대를 주어 원정을 보냈는데, 그 규모는 다음과 같았다.
항목 | 내용 |
---|---|
총비용 | 약 13607.76kg 상당의 황금 |
함대 | 1,113척 |
병력 | 약 10만 명 |
원정 초반에는 사르데냐에서 반달족을 몰아내는 등 순조롭게 진행되었으나, 바실리스쿠스가 이끄는 본진은 북아프리카 상륙 이후 머뭇거렸다. 가이세리크는 항복할 테니 닷새간의 시간을 달라고 요청했고, 바실리스쿠스는 그 계략에 넘어갔다. 닷새 후 가이세리크는 바람의 힘을 빌려 로마군의 함대를 불살라버렸다. 바실리스쿠스는 겨우 도망쳐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돌아왔고, 레오는 진노하여 그를 죽이려 했으나 황후의 간청으로 목숨을 살려주었다.
레오와 가이세리크는 강화를 맺었으나, 이 전쟁에서 동로마 제국이 입은 피해는 거의 30년 동안 제국을 괴롭혔다.[8] 프로코피우스는 원정 비용을 금 13만 파운드로, 리디아의 요한은 금 6만 5천 파운드와 은 75만 파운드로 추산했다. 이 패전으로 동로마 제국의 해안은 반달족의 습격에 시달렸고, 레오 1세는 반달족과 강화하기 위해 많은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Statue – Louvre Collections. Léon (?)
https://collections.[...]
2024-02-06
[2]
웹사이트
Alabaster head with corona civica, on modern bust. Unknown provenance. Late fifth century
http://laststatues.c[...]
[3]
문서
Prosopography of the Later Roman Empire
PLRE
[4]
서적
Handbook to Life in Ancient Rome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5]
서적
Roman Emperor Zeno
https://books.google[...]
Pen and Sword History
2019
[6]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Warfare in the Classical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7
[7]
문서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8]
웹사이트
Leo I
https://www.britanni[...]
[9]
서적
The Inheritance of Rome
Penguin
[10]
웹사이트
Ὁ Ἅγιος Λέων Μακέλλης ὁ Μέγας
http://www.synaxario[...]
[11]
웹사이트
Mother of God of the "Life-Giving Spring"
http://www.antiochia[...]
2012-10-27
[12]
문서
Candidus, F.H.G. IV
[13]
문서
John Malalas
[14]
서적
The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15]
서적
Byzantium: The Surprising Life of a Medieval Empire
Penguin
[16]
서적
Byzantium: The Early Centuries
[17]
웹사이트
Wace, Henry. Dictionary of Christian Biography and Literature to the End of the Sixth Century A.D., with an Account of the Principal Sects and Heresie
https://web.archive.[...]
2014-02-16
[18]
문서
Auctarium Prosperi Havniense
https://archive.org/[...]
[19]
웹사이트
Book XIV, 46
https://es.calameo.c[...]
[20]
서적
Roman Emperors in Contex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1]
웹사이트
Leo I (457–474 A.D.)
http://www.roman-emp[...]
[22]
문서
Prosopography of the Later Roman Empire
[23]
웹사이트
Georgian Chronicle, Chapters 13–14
https://web.archive.[...]
[24]
문서
レオー(ン)1世
[25]
서적
ローマ帝国衰亡史
岩波書店
[26]
문서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27]
문서
p.51
[28]
문서
p.84
[29]
문서
p.119
[30]
문서
p.85
[31]
문서
ローマ皇帝からビザンツ皇帝へ
笠谷2005
[32]
문서
ローマ皇帝からビザンツ皇帝へ
笠谷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