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카드 문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카드 문학은 수메르, 아카드, 아시리아, 바빌로니아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주로 점토판에 설형 문자로 기록되었다. 당시 도시와 사원에는 도서관이 있었고,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이 왕의 의뢰로 제작되었으며, 수메르 문학의 영향을 받아 어휘, 문법, 주석 등이 제공되었다. 주요 작품으로는 길가메시 서사시, 에누마 엘리쉬와 같은 신화, 연대기, 법전, 유머 문학, 지혜와 교훈 문학, 변론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카드 문학 - 에누마 엘리시
    에누마 엘리시는 아카드어로 기록된 고대 바빌로니아의 창조 신화 서사시로, 마르두크가 티아마트를 물리치고 세계를 창조하는 과정을 담고 있으며, 바빌로니아의 세계관과 마르두크의 지위를 보여주는 중요한 문헌이다.
  • 아카드 문학 - 아트라하시스 서사시
    아트라하시스 서사시는 메소포타미아 신화의 대홍수 이야기를 다룬 아카드어 서사시로, 신들의 분노로 인한 홍수로부터 아트라하시스가 가족과 동물들을 구하는 이야기가 담겨 있으며, 인류의 기원과 종말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 바빌로니아 - 바빌론
    바빌론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도시 국가이자 여러 왕조의 수도로, 함무라비 법전과 네부카드네자르 2세 시대의 번영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문명의 흔적을 간직한 채 현재 이라크에 위치, 201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고, 문화적, 종교적 상징성이 커 현대 예술 및 대중문화에서도 중요한 모티프로 사용된다.
  • 바빌로니아 - 칼데아
    칼데아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남동부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로, 서부 셈어를 사용하는 민족이 이주해와 아카드 문화에 동화되었으며, 천문학과 점성술을 발전시킨 바빌로니아의 지배 계급이자 지식 계층이었다.
  • 아시리아 - 아시리아력
    아시리아력은 아시리아인들이 사용하는 달력으로, 기원전 4750년을 원년으로 하여 12개의 달로 구성되며, 봄의 시작인 니산월 1일에 새해를 시작하고 윤달을 사용한다.
  • 아시리아 - 마르딘
    마르딘은 터키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이자 마르딘 주의 중심지로, 메소포타미아 평원이 내려다보이는 언덕 위에 자리 잡아 다양한 문명의 교차로 역할을 해왔으며, 다양한 문화적 유산을 간직하여 '야외 박물관'이라고도 불린다.
아카드 문학
개요
길가메시 서사시 파편
길가메시 서사시 파편
유형문학
언어아카드어
쓰여진 시기기원전 23세기 ~ 기원전 6세기
쓰여진 장소메소포타미아
역사적 배경
시대고대 근동 시대
관련 문화수메르
아시리아
바빌로니아

2. 아카드 사회와 문학

아카드 문학은 당시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왕은 서기관과 학자들을 고용하여 여러 작품을 의뢰했는데, 이 중 일부는 왕이나 신을 찬양하는 데 사용되었고, 다른 작품들은 종교적 관행이나 의학 정보를 기록했다. 시, 격언, 민담, 사랑 노래, 군사 작전, 분쟁 기록 등이 모두 아카드 문학에 포함되었다.[3] 수메르의 속담에는 "서기관의 학교에서 뛰어난 자가 되려면 새벽과 함께 일어나야 한다"는 말이 있다. 여성과 남성 모두 읽고 쓰는 법을 배웠다.[20]

2. 1. 초기 문자와 문헌

아시리아와 바빌로니아에서 발견된 대부분의 자료는 점토판에 금속 필기구로 설형 문자를 새겨 넣은 것이다. 대 플리니우스는 이를 ''laterculae coctiles''라고 불렀다. 파피루스도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이나, 현재는 소실되었다.[20]

수메르, 아카드, 아시리아, 바빌로니아의 대부분 도시와 사원에는 도서관이 있었다. 여성과 남성 모두 읽고 쓰는 법을 배웠으며, 아시리아와 바빌로니아의 발달된 문학, 과학, 의학, 행정, 법률, 경제 구조 및 수학은 문학적 성과에 크게 기여했다.[20]

2. 2. 다른 고대 문학과의 관계

아카드 문학과 아시리아 및 바빌로니아 문학은 수메르 원본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종교와 법의 언어는 오랫동안 고립어인 수메르어였다. 학생들을 위해 어휘, 문법, 행간 번역, 주석, 모호한 단어와 구절에 대한 설명이 편집되었고, 음절 문자의 글자는 배열, 명명되어 정교한 목록으로 작성되었다.[20]

아시리아 문화와 문학은 바빌로니아와 동일한 출처에서 나왔지만, 두 민족은 언어학적으로 동일했음에도 차이가 있었다. 아시리아 문학은 바빌로니아 문학과 유사했지만, 초기 아시리아에서는 교육이 주로 한 계급에 제한되었던 반면, 바빌로니아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제2 아시리아 제국 시대에 니네베가 거대한 무역 중심지가 되면서 상업과 외교의 언어인 아람어가 교육받은 계층의 필수 과목이 되었으며, 이 방언은 오늘날 아시리아인들 사이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20]

셀레우코스 시대에 그리스어가 바빌론에 도입되었고, 수메르어와 아시리아어(셈어) 단어가 그리스 문자로 전사된 점토판 조각이 발견되었다.[20]

3. 주요 작품

A. 레오 오펜하임에 따르면, 아카드 문학은 약 1,500개의 텍스트로 구성되며, 이 중 절반 정도가 파편 형태로 남아 있다.[4] 주요 장르로는 징조 텍스트, 어휘 목록, 의례 주문, 정화 및 부적 주문, 역사 및 신화 서사시, 우화 및 속담 등이 있다.[4] 왕이 서기관과 학자에게 의뢰한 작품들은 왕이나 신을 찬양하거나, 종교적 관행이나 의학 정보를 기록했다.[3] 시, 격언, 민담, 사랑 노래, 군사 작전, 분쟁 기록 등도 아카드 문학에 포함된다.[3]

아카드 문헌에서 징조 문학은 30%를 차지하는 특징적인 장르이다.[12]

3. 1. 연대기, 서사시 및 역사 기록

아다드-니라리, 투쿨티-닌우르타, 술마누-아사레두 3세의 서사시와 같이 기원전 14세기 말부터 아카드어의 아시리아 방언으로 쓰여진 왕의 비문이 풍부하게 나타난다. 이 비문들은 신아시리아 군주의 원정을 기록한 연대기이다. 가장 초기의 역사적인 왕의 서사시는 짐리-림(BC 1710년경 – 1698년경 단기)의 마리 서사시이다.[5] 중 바빌로니아 시대의 문학은 카시트 시대의 단편적인 서사시, 아다드-슈마-우수르의 서사시, 나부-쿠두리-우수르 1세 및 마르두크의 서사시 등으로 다소 부실하게 보존되어 있다.[5]

연대기 전통은 초기 철기 시대의 작품에서 처음 나타나는데, ''초기 왕들의 연대기'', ''왕조 연대기'', ''연대기 P'' 및 아시리아의 ''동시 연대기''와 같이 더 이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나부-나시르(BC 747년 – 734년)부터 셀레우코스 3세 케라우노스(BC 243년 – 223년)에 이르는 시기를 서술하는 15개의 신 바빌로니아 및 후기 바빌로니아 연대기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바빌로니아 천문 일지에 묘사된 정치적 사건에서 파생되었다.

3. 2. 유머 문학

우스꽝스러운 텍스트의 예시는 풍자극에서 풍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에 걸쳐 있으며, 유머러스한 연애시와 수수께끼도 포함된다. "세탁소에서"는 무례한 세탁부와 그의 고객, 세탁 방법을 터무니없이 자세하게 설명하는 "풋내기 멋쟁이" 사이의 분쟁에 대한 이야기로, 격분한 세탁부가 그에게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강가로 가서 직접 하라고 제안하게 만든다.[6] 염세주의 대화는 뵈흘에 의해 주인과 하인이 역할을 바꾸는 사투르날리아로, 스파이저에 의해 어리석은 주인이 진부한 표현을 하고 하인이 그를 따라하는 풍자극으로 여겨졌다. 람베르트는 이를 자살 경향을 보이는 변덕스러운 청소년의 고뇌로 보았다.[7]

신 아시리아 시대의 5개의 조각으로 남아 있는 ''알루진누''("속임수", 광대, 어릿광대 또는 바보) 텍스트는 패러디, 흉내내기, 배설물 관련 노래로 다른 사람들을 즐겁게 하며 생계를 유지하는 개인, ''다비부, 아킬 카르치,'' "인격 암살자"에 관한 것이다. 니푸르의 가난한 남자는 약자가 상위자보다 승리하는 전복적인 이야기를 제공하며[8], 닌타-파키다트의 개에게 물린 사건은 슬랩스틱 성격의 학교 텍스트이다.[9]

3. 3. 법률

가장 오래된 아카드 법전은 기원전 1900년경 아나톨리아의 상업 식민지 법정 운영에 관한 "고대 아시리아 법"이다. 에쉬눈나 법전은 기원전 1770년경에 만들어진 도시의 이름을 딴 60개의 법률 모음이다. 함무라비 법전(기원전 1750년경)은 메소포타미아 법전 중 가장 긴 법전으로, 약 300개의 개별 법률로 구성되어 있으며 긴 서문과 종결문이 첨부되어 있다. 함무라비의 후계자들이 발행한 마지막 법령은 암미-사두카의 칙령(기원전 1646년경)이다.[10]

기원전 14세기에 만들어진 중기 아시리아 법은 아수르에서 100개 이상의 법률이 남아 있다. 아슈르-우발리트 1세(기원전 1360년경)부터 투쿨티-아필-에샤라 1세(기원전 1076년경)의 통치 기간 동안 만들어진 중기 아시리아 궁정 포고령(일명 "하렘 칙령")은 궁정 예법의 여러 측면과 이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가혹한 처벌(채찍질, 신체 훼손, 사형)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신바빌로니아 법은 기원전 700년경, 아마도 십파르에서 만들어진 15개에 불과하다.[10]

3. 4. 신화

길가메시 서사시는 아카드 문학에서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로, 고(古) 바빌로니아 시대에 아카드어로 처음 등장한 기원전 1,000줄의 서사시이다.[20] 이 서사시는 5개의 이전 수메르 길가메시 이야기를 통합하고 있으며, 우루크의 왕 길가메시의 생애에서 일어난 모험들을 다룬다.

에누마 엘리쉬는 창조 신화로, 벨-마르두크를 찬양하고 혼돈의 용 티아마트와의 싸움을 묘사한다. 마르두크는 티아마트를 물리치고 그녀의 몸으로 하늘과 땅을 만들었으며, 별, 해, 달을 정돈하고 식물, 동물, 인간을 창조했다.[20]

최초의 인간 아다파의 전설은 죽음의 기원을 설명한다. 아다파는 낚시를 하다가 남풍의 날개를 부러뜨려 천국의 아누에게 소환되었는데, 에아의 조언에 따라 불멸의 음식을 거부하여 인간이 죽게 되었다.[20]

그 외에도 역병 악마 남타르, 재앙 에라, 에타나, 안주에 관한 이야기가 있다. 넬갈은 에레쉬키갈의 거처인 하데스에 들어가 그녀에게 땅의 주권을 넘겨받았고, 에타나는 독수리와 함께 하늘로 올라갔다가 추락했으며, 안주는 엔릴의 운명의 서판을 훔쳤다가 되찾아왔다.[20]

3. 5. 징조, 점술 및 주문 텍스트

아카드 문헌에서 징조 문학은 이 언어 유산의 특이한 특징 중 하나이다. 오펜하임에 따르면, 이 전통의 모든 문서 중 30%가 이 장르에 속한다.[12] 징조 텍스트의 예는 아카드 문학 초기에 나타나지만, 정식 버전이 형성되면서 기원전 1천년 초에 완성된다. 이 중 주목할 만한 것으로는 Enuma Anu Enlil(점성학적 징조), Šumma ālu(지상 징조), Šumma izbu(이상 출생), Alamdimmû(관상 징조) 및 Iškar Zaqīqu(꿈 징조)가 있다. 또한 이 장르에 속하는 것으로는 Sakikkū (SA.GIG) "진단 핸드북"이 있다.

내장 점술은 바빌로니아인들에 의해 수천 년에 걸쳐 과학으로 완성되었고, 지원 텍스트는 결국 100개가 넘는 점토판으로 이루어진 기념비적인 핸드북인 Bārûtu로 모여 10개의 장으로 나뉘었다.[13] 점술은 다른 분야로 확장되었는데, 예를 들어 고대 바빌로니아의 향점 텍스트는 향 연기에서 징조를 해석하는 것에 관한 것이었고,[14] Meli-Šipak 카시트 왕의 통치 기간에 작성된 Bēl-nadin-šumi의 새의 비행 경로에 대한 징조 텍스트는 또 다른 예시이다.[15]

주문은 이 문학 유산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마법을 막는 "태움"인 Maqlû, 저주를 막는 "소각"인 Šurpu, 불길한 징조를 예방하는 Namburbi, "악마"를 몰아내는 Utukkū Lemnūtu(실제로 이중 언어), 정화 및 대리 의식인 Bīt rimki 또는 "목욕탕"에서부터 일상적인 Šà.zi.ga "마음의 상승" 효능 주문, 그리고 밭 해충에 대항하는 주문집인 Zu-buru-dabbeda "메뚜기 이빨을 잡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의식을 다루고 있다.[16]

3. 6. 지혜와 교훈 문학

아카드 문학에서 "지혜 문학"은 풍부한 장르로 대표되지만, 어떤 작품을 포함할지에 대해서는 의견 차이가 있다.[17] 가장 초기의 예시는 고(古) 바빌로니아 시대 후기에 쓰여진 ''한 남자와 그의 신의 대화''이다. 주목할 만한 작품으로는 ''의로운 고통받는 자의 시''(루드룰 벨 네메키)와 ''바빌론 신정론''이 있다. 이 그룹에는 다양한 보존 상태로 존재하는 여러 우화나 경쟁 문학이 포함되어 있는데, ''타마리스크와 야자나무'', ''버드나무의 우화'', ''니사바와 밀''(키부투), ''황소와 말''(이눔 이슈타르 슈르부툼, “숭고한 이슈타르 때”), ''여우의 우화'', ''타는 당나귀의 우화'' 등이 있다.[18]

W. G. 램버트 등은 여러 가지 인기 있는 격언과 속담(이중 언어 및 바빌로니아어)을 ''마르두크에게 바치는 기도와 함께 고통받는 자의 탄식'', ''지혜의 조언'', ''비관주의자의 조언'', ''왕자에게 주는 조언''과 함께 이 장르에 포함시켰다. “Šūpê-amēli와 그의 아버지 사이의 대화”(Šimâ milka)는 아카드 내륙 지방에서 나온 임종 논쟁 방식의 지혜 문학 작품이다.[17] 초기 수메르어 작품인 슈루파크의 가르침에 대한 아카드어 번역본도 이 전통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3. 7. 변론시

아카드 변론시 또는 바빌로니아 변론시라고도 불리는 아카드 논쟁시는 논쟁의 형태를 띈 아카드 문학의 한 장르이다. 이 시들은 두 명의 경쟁자가 참여하는 대화 또는 논쟁을 특징으로 하며, 보통 특정 물체, 식물, 동물 등과 같은 무언의 존재로 묘사된다. 이 장르의 현존하는 작품들은 기원전 2천년기 초, 가장 초기의 예시인 ''버들과 야자''부터 기원전 1천년기 후반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 시들은 운율로 구성되어 있으며, 2||2 또는 ''Vierheber''라고 불리는 일종의 운율을 따르는데, 이는 에누마 엘리쉬와 같은 다른 아카드 텍스트에서도 발견되는 동일한 운율이다.[19]

3. 8. 기타 장르

순수 문학 작품 외에도 다양한 성격의 작품들이 있었는데, 이는 일부는 공식적이고 일부는 개인적인 내용이었다. 그중 가장 흥미로운 것은 함무라비의 편지로, 레너드 윌리엄 킹이 편집했다.[20]

4. 주요 작품 목록

다음은 현존하는 아카드 문학의 주요 작품 목록이다. 어휘 목록과 동의어 목록은 제외되었다.


  • 아브누 시킨슈
  • 아다드-나라리 1세 서사시
  • 아다드-슈마-우수르 서사시
  • 아다파와 엔메르카르
  • 아다파와 남풍
  • 왕자에게 보내는 조언
  • 아구샤야 찬가
  • 알람딤무
  • 알루진누 텍스트
  • 아르닷-릴리
  • 아사쿠 마르수투
  • 아시푸스의 연감 (또는 편람)
  • 청소부에게
  • 아트라하시스
  • 아다드-구피 자서전
  • 쿠리갈주 자서전
  • 마르두크 자서전
  • 바빌론 연감
  • 바빌론 왕 목록
  • 바빌론 신정론
  • 바루투
  • 사르곤 탄생 설화
  • 비트 메세리
  • 비트 림키
  • 비트 살라' 메
  • 불루사-라비의 굴라 찬가
  • 텍스트 및 저자 목록
  • 초기 왕 연대기
  • 시장 가격 연대기
  • 술기 통치 연대기
  • 연대기 P
  • 함무라비 법전
  • 사제 서임
  • 비관주의자의 조언
  • 지혜의 조언
  • 나부-슈마-이슈쿤의 범죄와 신성 모독
  • 아카드 멸망의 저주
  • 나람-신에 대한 쿠티안 전설
  • 인간과 그의 신 사이의 대화
  • 비관주의의 대화
  • 딘기르.샤.디브.바
  • 당나귀 논쟁
  • 쿠리갈주의 꿈
  • 왕조 연대기
  • 왕조 예언
  • 둔눔 왕조 (하랍 신화)
  • 선집 연대기
  • 암미-사두카 칙령
  • 에갈쿠라 주문
  • 탐무즈의 죽음을 애도하는 비가
  • 엔릴과 수드
  • 에누마 아누 엔릴
  • 에누마 엘리쉬
  • 안주 서사시
  • 길가메시 서사시
  • 카시트 시대의 서사시
  • 나부-쿠두리-우수르 서사시
  • 역병신 에라 서사시 (에라와 이슈)
  • 에타나
  • 여우의 우화
  • 타는 당나귀의 우화
  • 버드나무의 우화
  • 기라와 엘라마트
  • 샤마쉬에 대한 대 기도
  • 나부에 대한 대 기도
  • 나람-신에 대한 대 반란
  • 하렘 칙령
  • 나치-마루타쉬 헤메롤로지
  • 이슈타르 찬가 ("이슈타르 2")
  • 구세주로서의 닌우르타 찬가
  • 니푸르 여왕 찬가
  • 훌바지지
  • 이나나의 승천
  • 이쿠르 이푸쉬
  • 이슈카르 자키쿠
  • 이슈타르의 지옥행
  • 칼루투 목록
  • KAR 6
  • 카타두구
  • 케도르-라오멜 텍스트
  • 케틀드럼 의식
  • 전투의 왕 (샤르 탐하리)
  • 키'우투
  • 라부 신화
  • 라마슈투
  • 마르두크에게 드리는 기도와 고통받는 자의 탄식
  • 에슈눈나 법전
  • 립슈르 탄원
  • 루둘 벨 네메키
  • 마클루
  • 마르두크의 악마에게 보내는 연설
  • 마르두크 예언
  • 중기 아시리아 법
  • 미스-피
  • 달의 신과 암소
  • 무킬 레쉬 레무티
  • 물.아핀
  • 무슈우
  • 나이드-시후 서사시
  • 나보니두스 연대기
  • 남부르비
  • 나메림부르두
  • 신 바빌론 법
  • 네르갈과 에레쉬키갈
  • 새해 의식-아키투 행렬
  • 니그딤디무
  • 닌우르타-파키다트의 개에게 물린 상처
  • 니사바와 밀
  • 황소와 말
  • 야자나무와 포도나무
  • 파주주
  • 니푸르의 가난한 사람
  • 예언 A
  • 쿠타루
  • 안타슈바에 대한 조리법
  • 종교 연대기
  • 심바르-시팍의 왕실 비문
  • 사그-기그-가-메슈 (무루스 카카디)
  • 사키쿠
  • 살마누-아사레두 3세 서사시
  • 동기적 역사
  • 이슈타르에 대한 혼합주의 찬가
  • 세루 시킨슈
  • 샴무 시킨슈
  • 샤르 푸히
  • 샤.지.가
  • 황소와 말 연작
  • 여우 연작
  • 포플러 연작
  • 거미 연작
  • 셰프 레무티
  • 가난하고 버려진 굴뚝새 이야기
  • 슈'일라
  • 술기 예언
  • 숨마 알루
  • 숨마 아멜루 카십
  • 숨마 임메루
  • 숨마 이즈부
  • 숨마 리푸투
  • 숨마 신니슈타 카카다 라바트
  • 슈르푸
  • 타쿨투 의식 텍스트
  • 타마리스크와 야자나무
  • 타미투 신탁
  • 타슈리투 헤메롤로지
  • 투쿨티-닌우르타 서사시
  • 투-라 킬리브-바
  • 치료 연작 UGU (숨마 아멜루 무하수 움마 우칼)
  • 굴라의 우루훌라케
  • 우루크 왕 목록
  • 우루크 예언
  • 우슈부르다
  • 우투쿠 레므누투
  • 나보니두스의 구절 설명
  • 저승의 환상
  • 워커 연대기
  • 와이드너 연대기
  • 짐리-림 서사시
  • 지-파 주문
  • 지수르루 (사그-바 사그-바)
  • 주-부루-다베다

참조

[1] 서적 Babylonian and Assyr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Echo Library 2006-06-01
[2] 서적 Voices from the Clay: The Development of Assyro-Babylonian Literature U. of Oklahoma Press
[3] 서적 An Introduction to Akkadian Literature: Contexts and Content Penn State Press 2020-01-10
[4] 서적 Ancient Mesopotamia: Portrait of a Dead Civiliza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 서적 Companion to Ancient Epic Wiley-Blackwell
[6] 웹사이트 UET 6/2, 414 https://archive.toda[...]
[7] 학술지 Humor and Cuneiform Literature
[8] 학술지 Structure, Humor, and Satire in the Poor Man of Nippur 1975-07
[9] 학술지 Ninurta-Pāqidāt's Dog Bite, and Notes on Other Comic Tales
[10] 서적 Tight Fists Or Open Hands?: Wealth and Poverty in Old Testament Law Wm. B. Eerdmans
[11] 서적 The Babylonian Gilgamesh Epic: Introduction, Critical Edition and Cuneiform Texts, Volume 1 Ox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world's oldest literature: studies in Sumerian belles-lettres https://archive.org/[...] Brill
[13] 서적 Babylonian Liver Omens: The Chapters Manzazu, Padanu, and Pan Takalti of the Babylonian Extispicy Series Mainly from Assurbanipal's Library Museum Tusculanum
[14] 학술지 A New Piece of Libanomancy
[15] 학술지 Bird Divination in Mesopotamia - New Evidence From BM 108874
[16] 학술지 The Dogs of Ninkilim, part two: Babylonian rituals to counter field pests https://eprints.soas[...]
[17] 서적 Wisdom Literature in Mesopotamia and Israel SBL
[18] 서적 Dispute poems and dialogues in the ancient and mediaeval Near East Peeters
[19] 서적 The Babylonian Disputation Poems https://brill.com/di[...] Brill 2017
[20] 백과사전 Babylonia and Assyria
[21] 웹인용 Babylonian and Assyr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Echo Library 2006-06-01
[22] 서적 Voices from the Clay: The Development of Assyro-Babylonian Literature U. of Oklahoma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