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테네의 폐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테네의 폐허는 루트비히 판 베토벤이 1811년에 작곡한 부수 음악으로, 아우구스트 폰 코체부의 희곡을 위해 만들어졌다. 1812년 헝가리 페슈트의 독일 극장 개관 기념 공연에서 초연되었으며, 이후 베토벤은 이 곡의 일부를 연주회 프로그램에 포함시키기도 했다. 1822년에는 빈 요제프슈타트 극장 재개관을 위해 대본이 수정되면서 서곡과 합창곡이 추가되었다. 이 작품은 서곡과 8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란츠 리스트 등의 음악가들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편곡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곡 - 에그몬트 (베토벤)
    에그몬트는 베토벤이 괴테의 희곡을 위해 작곡한 부수 음악으로, 스페인 압제에 맞선 에그몬트 백작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서곡과 아홉 개의 곡으로 구성되어 있고, 특히 서곡이 널리 알려져 있다.
  • 서곡 - 연주회용 서곡
    연주회용 서곡은 오페라와 극 부수 음악의 서곡에서 시작되어 독립적인 관현악 작품으로 발전, 소나타 형식을 따르며 멘델스존에 의해 독자적인 양식으로 완성되었고, 다양한 작곡가들에 의해 창작되었으며, 교향시로 대체되기도 했으나 20세기 이후 다시 인기를 얻어 취주악 편성으로도 작곡, 연주된다.
  • 그리스 독립 전쟁을 소재로 한 작품 - 히오스섬의 학살
    히오스섬의 학살은 외젠 들라크루아가 1824년에 완성한 유화로, 1822년 오스만 군대의 히오스 섬 학살 사건을 묘사하며, 참혹한 사건을 두 개의 인간 피라미드 구성을 통해 표현한다.
  • 그리스 독립 전쟁을 소재로 한 작품 - 그리스의 국가
    그리스의 국가는 디오니시오스 솔로모스가 작사하고 니콜라오스 만차로스가 작곡한 "자유의 찬가"로, 그리스 독립 전쟁 당시 독립에 대한 열망을 담아 창작되었으며 그리스와 키프로스에서 국가로 사용되고 올림픽 폐회식에서 연주된다.
  • 1811년 작품 - 헌당식 서곡
    《헌당식 서곡》은 베토벤이 요제프슈타트 극장 개관을 기념하여 작곡한 곡으로, 축전극 《헌당식》을 위해 쓰였으며, 바흐와 헨델에 대한 존경심을 드러내는 이중 푸가와 대위법, 웅장하고 화려한 분위기가 특징이다.
  • 1811년 작품 - 슈테판왕 (베토벤)
    슈테판왕은 루트비히 판 베토벤이 오스트리아 황제의 의뢰로 헝가리 왕국의 건국자를 주인공으로 한 기념 희극을 위해 작곡한 부수 음악으로, 서곡과 9개의 성악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곡은 독립적으로 연주되기도 한다.
아테네의 폐허
작품 정보
제목아테네의 폐허
원어 제목Die Ruinen von Athen (독일어)
장르극 부수 음악
작곡가루트비히 판 베토벤
작품 번호작품 113
작곡 연도1811년 가을 ~ 1812년
관련 정보
참고 문헌Kerman, Joseph; Tyson, Alan (1983). The New Grove Beethoven. New York: W. W. Norton. ISBN 0-393-30091-9.
Die Ruinen von Athen, Op.113 (IA imslp-ruinen-von-athen-op113-beethoven-ludwig-van).pdf
본인에 의한 피아노 버전 악보

2. 역사

아테나, 대리석 조각상


이 부수 음악은 아우구스트 폰 코체부의 동명 희곡을 위해 베토벤1811년 가을부터 1812년에 걸쳐 작곡한 것이다. 서곡과 8개의 악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품은 원래 1811년 헝가리 페슈트 (현 부다페스트)에 새로 지어진 독일 극장의 개관 기념 공연으로 만들어졌으나, 극장 개관이 지연되어 1812년 2월 9일에 코체부의 희곡과 함께 초연되었다. 1814년에는 베토벤이 직접 연주회에서 이 작품의 일부 곡(6, 7, 8번)을 《웰링턴의 승전》과 함께 프로그램에 포함시키기도 했다.

1822년에는 의 요제프슈타트 극장 재개관을 위해 카를 메이슬이 희곡의 대본을 수정하였고, 베토벤은 이를 위해 새로운 서곡인 《헌당식 서곡》 (Op. 124)과 합창곡 《헌당식을 위한 합창》 (WoO 98)을 추가로 작곡했다.

서곡은 1823년 의 슈타이너 사를 통해 먼저 출판되었으며, 작품 전체의 총보는 1846년 빈의 아르타리아 출판사에서 출판되었다. 이 작품은 프로이센의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에게 헌정되었다.

2. 1. 초연과 반응

이 부수 음악은 아우구스트 폰 코체부의 동명의 희곡을 바탕으로 1811년 가을부터 1812년에 걸쳐 작곡되었다. 원래 1811년 10월 21일헝가리페슈트 (현 부다페스트)에 새로 지어진 독일 극장의 개관 공연으로 초연될 예정이었으나, 극장 개관이 늦어져 다음 해인 1812년 2월 9일에 초연되었다. 이 초연에서는 코체부의 희곡과 베토벤의 부수 음악이 함께 처음으로 무대에 올랐으며, 같은 날 "슈테판왕"도 함께 공연되었다.

1814년 1월 2일에 열린 연주회에서 베토벤은 이 음악의 6번, 7번, 8번 곡을 관현악곡 《웰링턴의 승리 또는 비토리아 전투》와 함께 연주 프로그램에 포함시켰다. 특히 이 연주회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덮개를 벗겨 황제의 초상화를 등장시키는 연출을 선보였는데, 베토벤 스스로 이를 매우 훌륭한 연출이라고 자부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이는 베토벤이 자신의 생각을 솔직하게 표현하려 했던 면모를 보여주는 사례로 여겨진다.

하지만 이후 이 작품은 자주 연주되지 않았고, 베토벤 자신도 이 작품을 "기분 전환용 소품"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현재는 서곡과 제4곡 터키 행진곡만이 주로 연주되며, 특히 터키 행진곡은 피아노 편곡 버전으로도 대중에게 친숙하다.

2. 2. 후대의 평가

이 부수 음악은 베토벤의 다른 작품들에 비해 자주 연주되지 않으며, 베토벤 스스로도 "기분 전환의 소품"이라고 불렀다. 현재는 서곡과 제4곡 터키 행진곡만이 비교적 알려져 있으며, 특히 터키 행진곡은 피아노 편곡 버전으로도 친숙하다.

그러나 후대의 작곡가들에 의해 다양하게 편곡되고 재해석되었다. 프란츠 리스트는 이 작품의 주제, 특히 터키 행진곡을 바탕으로 1846년 피아노 독주곡인 Capriccio alla turca sur des motifs de Beethoven|베토벤 주제에 의한 터키풍 카프리치오프랑스어 (S.388)를 작곡했다. 이후 1852년에는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Fantasie über Motiven aus Beethovens Ruinen von Athen|베토벤의 '아테네의 폐허' 주제에 의한 환상곡de (S.122)을 작곡했으며, 이 환상곡은 피아노 독주 버전(S.389)과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버전(S.649)으로도 편곡되었다.

또한 1924년에는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와 후고 폰 호프만슈탈이 이 작품을 무용과 합창을 동반하는 형태로 개편하였다(슈트라우스 작품 번호 AV.190). 이 외에도 제3곡 "회교 승려의 합창"은 바이올리니스트 레오폴트 아우어에 의해 바이올린 독주용으로, 작곡가 카미유 생상스에 의해 피아노 독주용으로 편곡된 버전이 존재한다.

3. 구성



이 부수 음악은 서곡과 총 8개의 악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번호제목템포 및 조성
서곡[5]안단테 콘 몰토 (사단조) – 알레그로, 마 논 트로포 (사장조)
1합창 "강력한 제우스의 딸이여"안단테 포코 소스테누포 (내림마장조)
2이중창 "죄도 없이 속박을 용인하려"안단테 콘 모토 – 포코 피우 모소 (사단조)
3합창 "하나님은 옷 소매에 달을 품고"알레그로, 마 논 트로포 (마단조)
4터키 행진곡 (기악곡)비바체 (내림나장조)
5연극을 위한 하모니 [무대 뒤 음악] (기악곡)알레그로 아사이 마 논 트로포 (다장조)
6행진곡과 합창 "제단 장식하기"아사이 모데라토 (내림마장조)
7a레치타티보 "결코 식지 않는 큰 기쁨으로"비바체 (사장조)
7b합창 "수용적인 마음으로"알레그레토 마 논 트로포 (사장조)
7c아리아와 합창 "우리의 소원을 들어준다면"아다지오 – 알레그로 콘 브리오 (다장조)
8합창 "국왕 만세"알레그로 콘 푸오코 (가장조)



1822년 의 요제프슈타트 극장 재개관 공연을 위해 일부 곡이 수정되거나 추가되었다. 기존 서곡은 《헌당식 서곡》(작품 번호 124)으로 대체되었고, 《헌당식을 위한 합창》(WoO 98)이 새로 추가되었으며, 6번 '행진곡과 합창'은 텍스트가 수정되었다(작품 번호 114).

번호제목템포 및 조성비고
헌당식 서곡 (작품 번호 124)마에스토소 에 소스테누토 – 알레그로 콘 브리오 (다장조)기존 서곡을 대체함.
1합창 "강력한 제우스의 딸이여"안단테 포코 소스테누포 (내림마장조)
2이중창 "죄도 없이 속박을 용인하려"안단테 콘 모토 – 포코 피우 모소 (사단조)
3합창 "하나님은 옷 소매에 달을 품고"알레그로, 마 논 트로포 (사장조)
4터키 행진곡비바체 (내림나장조)
5헌당식을 위한 합창 (WoO 98)새로 추가됨.
6행진곡과 합창 "제단 장식하기" (작품 번호 114)아사이 모데라토 (내림마장조)텍스트가 수정됨.
7연극을 위한 하모니 [무대 뒤 음악]알레그로 아사이 마 논 트로포 (다장조)
8a레치타티보 "결코 식지 않는 큰 기쁨으로"비바체 (사장조)
8b합창 "수용적인 마음으로"알레그레토 마 논 트로포 (사장조)
8c아리아와 합창 "우리의 소원을 들어준다면"아다지오 – 알레그로 콘 브리오 (다장조)
9합창 "국왕 만세"알레그로 콘 푸오코 (가장조)


3. 1. 각 곡 해설

서곡안단테 콘 모토(사단조, 8분의 6박자) - 마르차 모데라토(사장조, 4분의 4박자)의 서주와 알레그로 마 논 트로포(사장조, 2분의 2박자)의 주부로 구성된다. 주부는 자유로운 3부 형식을 따른다. 작품 전체의 서곡으로서 밝고 쾌활한 분위기를 가지며, 베토벤의 다른 서곡들에 비해 비교적 규모가 작아 연주 시간은 약 5분 정도이다. 극의 부수 음악 중 일부 선율을 인용하고 있는데, 서주 부분에서는 제2곡 '이중창'의 동기가 사용되었고, 서주 안의 행진곡풍 선율(오보에 연주)은 제6곡 '행진곡과 합창'의 선율에 기반한다.
터키 행진곡비바체(내림 나장조, 4분의 2박자)의 행진곡이다. 전체 부수 음악 중 제4곡에 해당한다. 이 곡의 주제는 베토벤이 피아노를 위해 작곡한 《창작 주제에 의한 여섯 개의 변주곡 작품 76》에서도 사용되었다. 주제는 베토벤이 직접 창작한 것이지만, 한때 러시아 민요에서 가져온 것이라는 설이 있었으나 현재는 부정된다. 피아노 독주용으로 편곡되어 널리 연주되며, 안톤 루빈스타인이 편곡한 버전도 유명하다.

4. 악기 편성

5. 줄거리

지혜의 여신 아테나(혹은 로마 신화의 미네르바)는 과거 소크라테스에 대한 질투심 때문에 재판정에서 그를 변호하지 않았고, 이 죄로 인해 제우스로부터 2000년 동안 잠드는 벌을 받는다.

긴 잠에서 깨어난 아테나는 전령 헤르메스(혹은 로마 신화의 메르쿠리우스)의 안내를 받아 자신이 수호하던 도시 아테네로 돌아온다. 그러나 한때 찬란했던 아테네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 아래 폐허로 변해 있었고, 아테나는 외국 점령 하에서 고통받는 그리스인 부부의 한탄(듀엣)을 듣고 깊은 슬픔과 충격에 빠진다. 또한 고대 문명의 또 다른 중심지였던 로마 역시 비슷한 황폐함을 겪고 있다는 소식을 듣는다.

헤르메스는 학문과 예술의 여신들인 무사들이 박해를 피해 헝가리페슈트(오늘날 부다페스트의 일부)로 피신했으며, 그곳에서 새로운 예술의 중심지가 꽃피고 있음을 알린다. 희망을 본 아테나는 헤르메스와 함께 페슈트로 향하여, 새로 건립된 독일 극장의 개관 기념 축제에 참석한다.

페슈트에서 아테나는 오스트리아 제국의 황제 프란츠 2세[2]와 만나 힘을 합치고, 희극의 무사 탈리아와 비극의 무사 멜포메네가 예술의 승리를 거두도록 돕는다. 이에 감탄한 제우스는 탈리아와 멜포메네의 흉상 사이에 프란츠 황제의 흉상을 세우도록 명하고, 아테나는 직접 그 흉상에 월계관을 씌워 축복한다.

축제극은 페슈트가 '새로운 아테네'로서 번영할 것을 예고하며, 헝가리 민족이 황제에게 변치 않는 충성을 맹세하는 장엄한 합창으로 막을 내린다.[2]

6. 대중 문화에서의 사용

전자 음악 개척자인 페리와 킹슬리의 전자 버전(Elephant Never Forgets)은 1971년 멕시코 TV 시리즈 ''엘 차보 델 오초''의 주제가로 사용되었으며,[6] 장 자크 페리가 편곡한 버전 역시 같은 프로그램의 오프닝 테마로 사용되었다.

올리버 스톤 감독의 2012년 범죄 스릴러 영화 ''파괴자들''에서는 카르텔 집행관 라도의 벨소리로 단축된 버전이 사용되었다.

비디오 게임 ''Warhammer 40,000'' 관련 영상들에서 이 곡은 팬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으며 반복되는 테마가 되었다.

행진곡 특유의 강력한 타악기 사운드 때문에 전자 키보드나 음악 장난감의 데모 곡으로 자주 사용된다.

셰익스피어의 희곡 ''아테네의 티몬''을 바탕으로 한 호주 영화에서는 '이중창'과 '데르비쉬 합창'이 여러 장면에 배경 음악으로 사용되었다.

7. 한국에서의 수용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부수 음악 "아테네의 폐허"는 한국에서 서양 고전 음악의 한 부분으로 교육 및 공연을 통해 소개되어 왔다. 특히 이 작품의 제4곡인 "터키 행진곡"은 대중적으로 매우 잘 알려져 있다. 비바체(내림 나장조, 2/4 박자)의 경쾌한 리듬을 가진 이 행진곡은 피아노 독주용으로 편곡되어 널리 연주되었으며, 한국에서도 광고, 방송, 영화 등 다양한 매체에서 배경음악으로 자주 사용되어 높은 인지도를 얻었다.

베토벤이 작품을 통해 추구했던 자유와 이상,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은 "아테네의 폐허"와 같은 작품에 담겨 있으며, 이러한 정신은 시대를 넘어 한국 사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공감을 얻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터키 행진곡"의 대중적인 인기는 단순히 음악적 즐거움을 넘어, 베토벤의 진보적인 사상을 접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참조

[1] 서적 The New Grove Beethoven W. W. Norton
[2] AllMusic "''The Ruins of Athens'', incidental music, Op. 113"
[3] 웹사이트 Overture to ''The Ruins of Athens'', Ludwig van Beethoven http://www.civicsymp[...] Houston Civic Symphony
[4] 문서 2019년 현재 "카테고리: 부다페스트 극장"에 있는 것 중 하나가 아닌 것으로 여겨진다.
[5] 문서 1823년 악보의 디지털 사본 https://digital-stad[...] 뤼벡 시립 도서관
[6] 웹인용 Jean Jacques Perrey: He Helped Shape the Latin American Imagination, and Didn’t Even Know It! https://lemonwire.co[...] 2017-03-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