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드르 게인리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드르 게인리흐는 우즈베키스탄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공격수 포지션에서 활약했다. 2001년 FC 두스틀리크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하여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CSKA 모스크바, 토르페도 모스크바, 수원 삼성 블루윙즈, FC 악토베 등 여러 클럽을 거쳤다. 우즈베키스탄 국가대표팀으로 15년간 98경기 31골을 기록했으며, 2002년 우즈베키스탄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했다. 2018년 FC 악토베에서 유소년 코치로 활동하며 선수 경력을 마무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계 우즈베키스탄인 - 발데마르 안톤
발데마르 안톤은 독일의 축구 선수로, 하노버 96과 VfB 슈투트가르트를 거쳐 현재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에서 수비수로 활약하며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에서도 뛰고,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멤버이자 분데스리가 시즌의 팀에 선정되기도 했다. - 우즈베키스탄 남자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세르베르 제파로프
세르베르 제파로프는 우즈베키스탄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 감독으로, 우즈베키스탄 클럽에서 다수의 우승을 차지하고 2008년 아시아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했으며, 해외 클럽과 우즈베키스탄 국가대표팀에서도 활약한 후 U-14 국가대표팀 감독 및 수석코치를 역임했다. - 우즈베키스탄 남자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아브두코디르 후사노프
우즈베키스탄 출신 축구 선수 아브두코디르 후사노프는 프랑스 리그 1 RC 랑스에서 수비수로 뛰고 있으며, 우즈베키스탄 국가대표팀과 U-20, U-23 대표팀에서도 활약하며 AFC U-20 아시안컵 우승과 AFC U-23 아시안컵 준우승을 이끌었다. - 카자흐스탄에 거주한 우즈베키스탄인 - 세르베르 제파로프
세르베르 제파로프는 우즈베키스탄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 감독으로, 우즈베키스탄 클럽에서 다수의 우승을 차지하고 2008년 아시아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했으며, 해외 클럽과 우즈베키스탄 국가대표팀에서도 활약한 후 U-14 국가대표팀 감독 및 수석코치를 역임했다. - 카자흐스탄에 거주한 우즈베키스탄인 - 티무르 카파제
티무르 카파제는 우즈베키스탄의 축구 선수 출신 지도자로, 선수 시절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우즈베키스탄 국가대표로 A매치 119경기에 출전했고, 은퇴 후 우즈베키스탄 국가대표팀 감독 대행, 올림피크 타슈켄트와 U-23 대표팀 감독을 역임하며 AFC U-23 아시안컵 준우승과 아시안 게임 동메달을 이끌었다.
알렉산드르 게인리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알렉산드르 루돌포비치 게인리흐 |
원어 이름 | 러시아어: Александр Рудольфович Гейнрих 독일어: Alexander Heinrich |
로마자 표기 | Aleksandr Rudolfovich Geynrikh |
출생일 | 1984년 10월 6일 |
출생지 |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앙그렌 |
키 | 183cm |
포지션 | 스트라이커, 공격형 미드필더 |
클럽 경력 | |
유소년 클럽 | 해당 정보 없음 |
현재 클럽 | 해당 정보 없음 |
클럽 등번호 | 해당 정보 없음 |
선수 경력 | |
2001 | 두스틀리크 (12경기, 0골) |
2002 |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23경기, 9골) |
2003–2004 | CSKA 모스크바 (2경기, 1골) |
2005 |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임대) (12경기, 5골) |
2005–2006 | 토르페도 모스크바 (21경기, 0골) |
2007–2011 |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94경기, 49골) |
2011 | 수원 블루윙즈 (임대) (19경기, 3골) |
2012 | 에미리트 클럽 (6경기, 2골) |
2012–2014 | FC 악퇴베 (52경기, 15골) |
2014 |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11경기, 7골) |
2015–2017 | FC 오르다바시 (58경기, 13골) |
총 경기 출장 및 골 수 | 310경기, 104골 |
국가대표 경력 | |
2002–2017 | 우즈베키스탄 (98경기, 31골) |
감독 경력 | |
2018– | FC 악퇴베 (유소년 코치) |
2. 클럽 경력
타슈켄트주 앙그렌 출신으로 2001년 자국 프로 축구팀인 FC 두스틀리크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이듬해인 2002년 파흐타코르 타슈켄트로 이적하여 팀의 리그 우승과 우즈베키스탄컵 우승에 기여했다.
2003년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의 CSKA 모스크바로 이적하여 리그 우승을 경험했으나 주전 경쟁에서 밀렸고, 2005년 친정팀 파흐타코르 타슈켄트로 임대되어 다시 한번 리그 및 컵 우승에 일조했다. 같은 해 토르페도 모스크바로 이적하여 두 시즌을 보낸 뒤, 2007년 다시 파흐타코르 타슈켄트로 복귀했다. 복귀 후 4시즌 동안 공식전 94경기 49골을 기록하며 팀의 핵심 선수로 활약, 리그 우승 1회, 컵 대회 우승 2회 및 2009년 AFC 챔피언스리그 8강 진출 등을 이끌었다.
2011년에는 대한민국 K리그1의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서 임대 선수로 활동하며 팀의 리그 4위, FA컵 준우승 등에 기여했으나,[17] 한 시즌 만에 임대가 종료되었다. 이후 UAE 프로리그의 에미리트 클럽을 거쳐 2012년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의 FC 악퇴베로 이적했다. 악퇴베에서 2년간 활약하며 리그 우승, 슈퍼컵 우승 등에 공헌했다.
2014년 로코모티프 타슈켄트로 이적하며 잠시 고국으로 복귀하여 리그 준우승과 컵 우승에 기여했고, 2015년부터 2017년까지는 카자흐스탄의 FC 오르다바시에서 뛰며 팀의 리그 상위권 성적과 UEFA 유로파리그 진출에 일조했다. 2018년 3월, 16년간의 현역 생활을 마치고 은퇴를 선언했으며, 이후 FC 악퇴베의 유소년 코치로 활동했다.[9][11]
클럽 | 시즌 | 리그 | 국내 컵 | 리그 컵 | 대륙 대회 | 기타 | 합계 | |||||||
---|---|---|---|---|---|---|---|---|---|---|---|---|---|---|
디비전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
두스틀릭 | 2001 | 우즈베키스탄 리그 | 12 | 0 | – | – | – | – | 12 | 0 | ||||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 2002 | 우즈베키스탄 리그 | 23 | 9 | – | – | – | – | 23 | 9 | ||||
CSKA 모스크바 | 2003[10]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 2 | 1 | 1 | 0 | 1 | 0 | 0 | 0 | 1 | 0 | 5 | 1 |
2004[10] | 0 | 0 | 0 | 0 | – | 0 | 0 | – | 0 | 0 | ||||
2005[10] | 0 | 0 | 0 | 0 | – | 0 | 0 | – | 0 | 0 | ||||
합계 | 2 | 1 | 1 | 0 | 1 | 0 | 0 | 0 | 1 | 0 | 5 | 1 | ||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임대) | 2005 | 우즈베키스탄 리그 | 12 | 5 | – | – | – | – | 12 | 5 | ||||
토르페도 모스크바 | 2005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 11 | 0 | – | – | – | – | 11 | 0 | ||||
2006 | 10 | 0 | – | – | – | – | 10 | 0 | ||||||
합계 | 21 | 0 | – | – | – | – | 21 | 0 | ||||||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 2007 | 우즈베키스탄 리그 | 26 | 16 | – | – | – | – | 26 | 16 | ||||
2008 | 25 | 12 | – | – | – | – | 25 | 12 | ||||||
2009 | 21 | 13 | – | – | 2 | 0 | – | 23 | 13 | |||||
2010 | 22 | 11 | 1 | 1 | – | 3 | 1 | – | 26 | 13 | ||||
합계 | 94 | 49 | – | – | – | – | 94 | 49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2011 | K리그 | 19 | 3 | 1 | 0 | – | 3 | 0 | – | 23 | 3 | ||
에미리트 클럽 | 2011–12 | UAE 프로리그 | 6 | 2 | 1 | 1 | – | – | – | 7 | 3 | |||
악토베 | 2012 |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 | 13 | 6 | 4 | 1 | – | 5 | 1 | – | 22 | 8 | ||
2013 | 26 | 6 | 3 | 0 | – | 7 | 1 | – | 36 | 7 | ||||
2014 | 13 | 3 | 2 | 0 | – | 0 | 0 | – | 15 | 3 | ||||
합계 | 52 | 15 | 9 | 1 | – | 12 | 2 | – | 73 | 18 | ||||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 2014 | 우즈베키스탄 리그 | 11 | 7 | 1 | 0 | – | 0 | 0 | – | 11 | 7 | ||
오르다바시 | 2015 |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 | 22 | 3 | 1 | 0 | – | 2 | 0 | – | 25 | 3 | ||
2016 | 20 | 10 | 2 | 0 | – | 2 | 1 | – | 24 | 11 | ||||
2017 | 16 | 0 | 2 | 0 | – | 0 | 0 | – | 18 | 0 | ||||
합계 | 58 | 13 | 5 | 0 | – | 4 | 1 | – | 67 | 14 | ||||
통산 | 310 | 104 | – | – | – | – | 310 | 104 |
2. 1. 초기 경력
타슈켄트주 앙그렌 출신으로, 2001년 FC 두스틀리크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2002년 파흐타코르 타슈켄트로 이적하여 첫 시즌에 23경기에 출전해 9골을 기록하는 활약을 펼쳤고, 팀의 리그 우승과 우즈베키스탄컵 우승에 기여했다. 이러한 활약으로 18세의 나이에 우즈베키스탄 올해의 축구 선수상을 수상했다.이듬해인 2003년에는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의 CSKA 모스크바로 이적하여 리그 우승을 경험했지만, 주전 경쟁에서 밀리며 2경기 출전에 그쳤다. 2005년 친정팀 파흐타코르 타슈켄트로 임대되어 다시 한번 팀의 리그 우승과 우즈베키스탄컵 우승에 기여했다.
이후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의 토르페도 모스크바로 이적하여 두 시즌 동안 활동하다가, 2006 시즌 종료 후 친정팀인 파흐타코르 타슈켄트로 복귀했다. 복귀 후 4시즌 동안 공식전 94경기에 출전하여 49골을 터뜨리는 등 핵심 공격수로 활약하며 리그 우승 1회(2007) 및 준우승 3회(2008, 2009, 2010), 우즈베키스탄컵 우승 2회(2007, 2009) 및 준우승 1회(2008), 2009년 AFC 챔피언스리그 8강 진출 등을 이끌었다.
2011 시즌에는 대한민국 K리그1의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임대 이적했다. FC 서울과의 슈퍼매치에서 데뷔골을 기록하며 기대감을 높였으나,[17] 시즌 전체적으로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팀은 해당 시즌 K리그 4위, 리그컵 4강, FA컵 준우승 등의 성적을 거두었지만, 결국 한 시즌 만에 임대가 종료되어 팀을 떠나게 되었다.
2. 2. 해외 리그 진출
2002년 파흐타코르 타슈켄트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2003 시즌을 앞두고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의 CSKA 모스크바로 이적하며 처음으로 해외 리그에 진출했다. CSKA 모스크바 소속으로 2003 시즌 리그 우승을 경험했지만, 리그에서는 2경기 출전에 그쳤다.2005년 전반기 6개월 동안 친정팀 파흐타코르 타슈켄트에서 임대 생활을 한 후,[1] 같은 해 8월 러시아의 토르페도 모스크바에 입단하여[2] 2시즌 동안 활동했다.
2011년 2월 26일, 파흐타코르 타슈켄트는 게인리흐가 1년 임대 계약으로 대한민국 K리그1의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이적했다고 발표했다.[3] 그는 2011년 3월 6일 FC 서울과의 리그 개막전이자 슈퍼매치에서 데뷔하여 1골을 기록하며 팀의 2-0 승리에 기여했다.[4] 이 시즌 동안 수원의 리그 4위, 리그컵 4강, FA컵 준우승 등에 일조했지만,[17] 전반적으로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활약을 보이며 1시즌 만에 임대가 종료되었다.
수원 임대 종료 후 UAE 프로리그의 에미리트 클럽을 잠시 거쳐, 2012년 6월 14일 대표팀 동료인 티무르 카파제와 함께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의 FC 악퇴베로 이적했다.[5] 이틀 뒤 FC 숭카르를 상대로 악퇴베 소속으로 데뷔전을 치렀다. 악퇴베에서 2년간 공식전 73경기에 출전하여 18골을 기록하며 팀의 2012년 리그 3위, 2013년 리그 우승, 2014년 카자흐스탄 슈퍼컵 우승, 2014년 카자흐스탄컵 준우승, 2회 연속 카자흐스탄컵 4강 진출(2012, 2013), 2014년 리그 준우승 등에 공헌했다. 2014년 6월 11일 악퇴베와의 계약이 만료되었다.[6][7]
2015년 초 로코모티프 타슈켄트와 상호 합의 하에 계약을 해지한 후, 같은 해 2월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의 FC 오르다바시와 계약하며 카자흐스탄 무대로 복귀했다.[8] 오르다바시에서 2017년까지 3시즌 동안 공식전 67경기에 출전해 14골을 기록했으며, 팀의 리그 4위(2015, 2016), 리그 3위(2017), 3시즌 연속 UEFA 유로파리그 진출, 2017년 카자흐스탄컵 4강 진출 등에 기여했다.
2. 3. K리그 시절
2011년 2월 26일, 파흐타코르 타슈켄트는 게인리흐가 1년 임대 계약으로 대한민국 K리그1 구단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이적한다고 발표했다.[3] 그는 2011년 3월 6일 FC 서울과의 K리그1 2011 개막전에서 팀의 2-0 승리에 기여하며 수원 소속으로 K리그1 데뷔전을 치렀다.[4] 2011 시즌 동안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임대 선수로 활동하며 2011년 K리그 4위, 2011년 리그컵 4강, 2011년 FA컵 준우승 등에 일조했다.[17]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별다른 활약을 보이지 못했다는 평가 속에[17] 한 시즌 만에 임대가 종료되었다.2. 4. 후기 경력
2005년 시즌 전반기 6개월을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에서 임대 생활을 한 후,[1] 게인리흐는 2005년 8월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의 FC 토르페도 모스크바에 입단하여 2시즌 동안 활동했다.[2]2006 시즌을 마친 뒤 친정팀인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로 복귀하여 4시즌 동안 공식전 94경기 49골을 기록하며 팀의 우즈베크 리그 1회 우승(2007) 및 3회 준우승(2008, 2009, 2010), 우즈베키스탄컵 2회 우승(2007, 2009) 및 1회 준우승(2009), 2009년 AFC 챔피언스리그 8강 진출 등을 이끌었다.
2011년 2월 26일, 파흐타코르 타슈켄트는 게인리흐가 1년 임대 계약으로 대한민국 K리그1의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이적했다고 발표했다.[3] 그는 2011년 3월 6일 FC 서울과의 개막전에서 K리그1 데뷔전을 치렀고, 이 경기에서 득점을 기록하며 팀의 2-0 승리에 기여했다.[4] 2011 시즌 동안 수원의 2011년 K리그 4위, 2011년 리그컵 4강, 2011년 FA컵 준우승 등에 일조했지만, 전반적으로 큰 활약을 보이지는 못한 채 1시즌 만에 임대가 종료되었다.[17]
수원을 떠난 후 UAE 프로리그의 에미리트 클럽을 잠시 거쳐, 2012년 6월 14일 대표팀 동료인 티무르 카파제와 함께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의 FC 악퇴베로 이적했다.[5] 그는 이틀 뒤 FC 숭카르를 상대로 악퇴베가 2-1로 승리한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다. 악퇴베에서 2년간 공식전 73경기 18골을 기록하며 2012년 리그 3위, 2013년 리그 우승, 2014년 카자흐스탄 슈퍼컵 우승, 2014년 카자흐스탄컵 준우승, 2회 연속 카자흐스탄컵 4강 진출(2012, 2013), 2014년 리그 준우승 등에 공헌했다. 게인리흐의 계약은 2014년 6월 11일에 종료되었다.[6][7]
이후 PFC 로코모티프 타슈켄트로 이적하며 4년 만에 고국으로 복귀했고, 공식전 12경기 7골을 기록하며 팀의 리그 준우승과 2014년 우즈베키스탄컵 우승에 기여했다. 2015년 초 로코모티프 타슈켄트와 상호 합의 하에 계약을 해지한 후,[8] 같은 해 2월 카자흐스탄 프리미어 리그로 복귀하여 FC 오르다바시와 계약했다.[8] 오르다바시에서 2017년까지 공식전 67경기 14골을 기록하며 2015년과 2016년 리그 4위, 2017년 리그 3위, 3시즌 연속 UEFA 유로파리그 진출, 2017년 카자흐스탄컵 4강 진출 등에 기여했다.
2018 시즌 초에 FC 악퇴베에서 훈련을 받은 후, 게인리흐는 2018년 3월에 16년간의 현역 생활을 마무리하고 은퇴를 선언했으며, 악퇴베에서 유소년 코치가 되었다.[9]
3. 국가대표팀 경력
2002년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에 처음으로 발탁되어, 그 해 5월 14일 프레쇼우에서 열린 슬로바키아와의 친선 경기에서 네그마툴라 쿠티바예프와 교체 투입되며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이듬해인 2003년 4월 2일 벨라루스와의 친선 경기에서 A매치 데뷔골을 기록했다.
2017년까지 15년간 A매치 통산 98경기에 출전하여 31골을 기록했으며, 2011년 AFC 아시안컵 4위,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 진출 등에 기여했다. 2017년 9월 5일 홈에서 열린 대한민국과의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A조 최종전을 마지막으로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했다.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연도별 출장 및 득점 기록 | ||
---|---|---|
연도 | 출장 | 골 |
2002 | 2 | 0 |
2003 | 5 | 2 |
2004 | 7 | 4 |
2005 | 6 | 2 |
2006 | 6 | 2 |
2007 | 9 | 3 |
2008 | 8 | 1 |
2009 | 4 | 2 |
2010 | 7 | 4 |
2011 | 14 | 6 |
2012 | 9 | 2 |
2013 | 7 | 0 |
2014 | 0 | 0 |
2015 | 3 | 2 |
2016 | 7 | 1 |
2017 | 4 | 0 |
합계 | 98 | 31 |
''2017년 9월 5일 경기 기준 통계''[11]
:''스코어와 결과는 우즈베키스탄의 득점을 먼저 나열한다.''
# | 날짜 | 경기장 | 상대팀 | 스코어 | 결과 | 대회 | |||||
---|---|---|---|---|---|---|---|---|---|---|---|
1. | 2003년 4월 2일 | 디나모 스타디움, 민스크, 벨라루스 | 벨라루스 | 2–2 | 2–2 | 친선 경기 | |||||
2. | 2003년 8월 20일 | 스콘토 경기장, 리가, 라트비아 | 라트비아 | 3–0 | 3–0 | 친선 경기 | |||||
3. | 2004년 7월 22일 | 청두 롱취안이 축구 경기장, 청두, 중국 | 사우디아라비아 | 1–0 | 1–0 | 2004년 AFC 아시안컵 | |||||
4. | 2004년 7월 30일 | 청두 롱취안이 축구 경기장, 청두, 중국 | 바레인 | 1–0 | 2–2 (승부차기 3–4) | 2004년 AFC 아시안컵 | |||||
5. | 2004년 10월 13일 | 킹 압둘라 2세 스타디움, 암만, 요르단 | 이라크 | 2–0 | 2–1 |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 |||||
6. | 2004년 11월 17일 | 파흐타코르 마르카지이 스타디움,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중화 타이베이 | 1–0 | 6–1 |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 |||||
7. | 2005년 3월 25일 | 알-사다카 왈살람 스타디움, 쿠웨이트 시티, 쿠웨이트 | 쿠웨이트 | 1–2 | 1–2 |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 |||||
8. | 2005년 3월 30일 |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 대한민국 | 대한민국 | 1–2 | 1–2 |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 |||||
9. | 2006년 2월 22일 | 파흐타코르 마르카지이 스타디움,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방글라데시 | 1–0 | 5–0 | 2007년 AFC 아시안컵 예선 | |||||
10. | 4–0 | ||||||||||
11. | 2007년 3월 11일 | 카짐칸 무나이트파시브 스타디움, 아스타나, 카자흐스탄 | 카자흐스탄 | 1–1 | 1–1 | 친선 경기 | |||||
12. | 2007년 7월 18일 | 샤 알람 경기장, 샤 알람, 말레이시아 | 중국 | 3–0 | 3–0 | 2007년 AFC 아시안컵 | |||||
13. | 2007년 8월 22일 | 발레리 로바노프스키 디나모 경기장, 키예프, 우크라이나 | 우크라이나 | 1–2 | 1–2 | 친선 경기 | |||||
14. | 2008년 6월 7일 | MHSK 스타디움,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싱가포르 | 1–0 | 1–0 |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 | |||||
15. | 2009년 11월 14일 | JAR 경기장,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말레이시아 | 2–0 | 3–1 | 2011년 AFC 아시안컵 예선 | |||||
16. | 3–0 | ||||||||||
17. | 2010년 5월 25일 | 바즈겐 사르키샨 공화국 경기장, 예레반, 아르메니아 | 아르메니아 | 1–3 | 1–3 | 친선 경기 | |||||
18. | 2010년 9월 7일 | A. 르 코크 아레나, 탈린, 에스토니아 | 에스토니아 | 2–1 | 3–3 | 친선 경기 | |||||
19. | 2010년 10월 12일 | 바레인 국립 경기장, 마나마, 바레인 | 바레인 | 2–0 | 4–2 | 친선 경기 | |||||
20. | 2010년 12월 25일 | 자빌 스타디움,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 바레인 | 1–0 | 1–1 | 친선 경기 | |||||
21. | 2011년 1월 16일 | 타니 빈 자심 스타디움, 도하, 카타르 | 중국 | 2–1 | 2–2 | 2011년 AFC 아시안컵 | |||||
22. | 2011년 1월 28일 |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카타르 | 대한민국 | 1–3 | 2–3 | 2011년 AFC 아시안컵 | |||||
23. | 2–3 | ||||||||||
24. | 2011년 7월 23일 | 파흐타코르 마르카지이 스타디움,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키르기스스탄 | 1–0 | 4–0 |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 | |||||
25. | 2011년 10월 11일 | 양각도 경기장, 평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0 | 1–0 |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 | |||||
26. | 2011년 11월 15일 | 파흐타코르 마르카지이 스타디움,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타지키스탄 | 3–0 | 3–0 |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 | |||||
27. | 2012년 9월 7일 | 파흐타코르 마르카지이 스타디움,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쿠웨이트 | 2–0 | 3–0 | 친선 경기 | |||||
28. | 3–0 | ||||||||||
29. | 2015년 9월 3일 | 파흐타코르 마르카지이 스타디움,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예멘 | 1–0 | 1–0 |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 | |||||
30. | 2015년 11월 12일 | 파흐타코르 마르카지이 스타디움,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1 | 3–1 |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 | |||||
31. | 2016년 9월 1일 | 분요드코르 스타디움,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시리아 | 1–0 | 1–0 |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 | |||||
2017년 8월 25일 기준[12][13] |
4. 수상 내역
(내용 없음)
4. 1. 클럽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 '''우승''' (2002, 2005, 2007), 준우승 (2008, 2009, 2010)
- 우즈베키스탄컵 : '''우승''' (2002, 2005, 2007, 2009), 준우승 (2009)
'''PFC CSKA 모스크바'''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 '''우승''' (2003)
'''수원 삼성 블루윙즈'''
'''FC 악퇴베'''
-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 : '''우승''' (2013), 준우승 (2014), 3위 (2012)
- 카자흐스탄컵 : 준우승 (2014), 4강 (2012, 2013)
- 카자흐스탄 슈퍼컵 : '''우승''' (2014)[14]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 준우승 (2014)
- 우즈베키스탄컵 : '''우승''' (2014)
'''FC 오르다바시'''
-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 : 3위 (2017), 4위 (2015, 2016)
- 카자흐스탄컵 : 4강 (2017)
클럽 | 시즌 | 리그 | 국내 컵 | 리그 컵 | 대륙 대회 | 기타 | 합계 | |||||||
---|---|---|---|---|---|---|---|---|---|---|---|---|---|---|
디비전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
두스틀릭 | 2001 |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 12 | 0 | – | - | – | 12 | 0 | |||||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 2002 |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 23 | 9 | – | – | 23 | 9 | ||||||
PFC CSKA 모스크바 | 2003[10]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 2 | 1 | 1 | 0 | 1 | 0 | 0 | 0 | 1 | 0 | 5 | 1 |
2004[10] | 0 | 0 | 0 | 0 | - | 0 | 0 | - | 0 | 0 | ||||
2005[10] | 0 | 0 | 0 | 0 | - | 0 | 0 | - | 0 | 0 | ||||
합계 | 2 | 1 | 1 | 0 | 1 | 0 | 0 | 0 | 1 | 0 | 5 | 1 | ||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임대) | 2005 |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 12 | 5 | – | – | 12 | 5 | ||||||
FC 토르페도 모스크바 | 2005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 11 | 0 | - | - | - | 11 | 0 | |||||
2006 | 10 | 0 | - | - | - | 10 | 0 | |||||||
합계 | 21 | 0 | - | - | - | - | - | - | 21 | 0 | ||||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 2007 |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 26 | 16 | – | – | 26 | 16 | ||||||
2008 | 25 | 12 | – | – | 25 | 12 | ||||||||
2009 | 21 | 13 | – | 2 | 0 | – | 23 | 13 | ||||||
2010 | 22 | 11 | 1 | 1 | – | 3 | 1 | – | 26 | 13 | ||||
합계 | 94 | 49 | - | - | - | - | 94 | 49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2011 | K리그1 | 19 | 3 | 1 | 0 | – | 3 | 0 | – | 23 | 3 | ||
에미레이츠 클럽 | 2011–12 | UAE 프로리그 | 6 | 2 | 1 | 1 | – | – | – | 7 | 3 | |||
악토베 | 2012 |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 | 13 | 6 | 4 | 1 | - | 5 | 1 | - | 22 | 8 | ||
2013 | 26 | 6 | 3 | 0 | - | 7 | 1 | - | 36 | 7 | ||||
2014 | 13 | 3 | 2 | 0 | - | 0 | 0 | - | 15 | 3 | ||||
합계 | 52 | 15 | 9 | 1 | - | - | 12 | 2 | - | - | 73 | 18 | ||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 2014 |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 11 | 7 | 1 | 0 | – | 0 | 0 | – | 11 | 7 | ||
FC 오르다바시 | 2015 |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 | 22 | 3 | 1 | 0 | - | 2 | 0 | - | 25 | 3 | ||
2016 | 20 | 10 | 2 | 0 | - | 2 | 1 | - | 24 | 11 | ||||
2017 | 16 | 0 | 2 | 0 | - | 0 | 0 | - | 18 | 0 | ||||
합계 | 58 | 13 | 5 | 0 | - | - | 4 | 1 | - | - | 67 | 14 | ||
통산 | 310 | 104 | - | - | - | - | 310 | 104[11] |
4. 2. 국가대표팀
2011년 AFC 아시안컵에서 우즈베키스탄 대표팀 소속으로 AFC 아시안컵 4위를 기록했다.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A매치 출전 기록 | ||
---|---|---|
연도 | 출장 | 골 |
2002 | 2 | 0 |
2003 | 5 | 2 |
2004 | 7 | 4 |
2005 | 6 | 2 |
2006 | 6 | 2 |
2007 | 9 | 3 |
2008 | 8 | 1 |
2009 | 4 | 2 |
2010 | 7 | 4 |
2011 | 14 | 6 |
2012 | 9 | 2 |
2013 | 7 | 0 |
2014 | 0 | 0 |
2015 | 3 | 2 |
2016 | 7 | 1 |
2017 | 4 | 0 |
합계 | 98 | 31 |
4. 3. 개인
- 우즈베키스탄 올해의 축구 선수: 2002
- 우즈베키스탄 올해의 축구 선수 2위: 2004, 2006
참조
[1]
웹사이트
ГЕЙНРИХ ПЕРЕЙДЕТ ИЛИ В ТОРПЕДО, ИЛИ В КРЫЛЬЯ
http://www.sport-exp[...]
Sport Express
2005-07-19
[2]
웹사이트
ГЕЙНРИХ ПЕРЕШЕЛ В ТОРПЕДО
http://www.sport-exp[...]
Sport Express
2005-08-04
[3]
뉴스
Suwon sign Geynrikh
http://www.uzdaily.c[...]
2011-02-26
[4]
뉴스
Seoul vs. Suwon Bluewings 0 - 2
https://int.soccerwa[...]
Soccerway
2011-03-06
[5]
웹사이트
Актобе пополняется старыми и новыми знакомыми
http://sports.kz/new[...]
sports.kz
2012-06-14
[6]
웹사이트
Александр Гейнрих: "Хорошие годы я провел в "Актобе"
http://sports.kz/new[...]
[7]
웹사이트
Дальше – без Гейнриха и Нарзикулова
https://web.archive.[...]
FC Aktobe
[8]
웹사이트
Александр Гейнрих подписал контракт с ФК Ордабасы
https://web.archive.[...]
FC Ordabasy
2015-02-26
[9]
웹사이트
Гейнрих завершил карьеру и стал тренером-селекционером Актобе
https://www.sports.k[...]
Sports KZ
2018-03-15
[10]
웹사이트
Гейнрих Александр Рудольфович
https://www.pfc-cska[...]
PFC CSKA Moscow
[11]
NFT player
[12]
문서
Alexander Geynrikh Player info
https://web.archive.[...]
[13]
웹사이트
Aleksandr Geynrikh - Goals in International Matches
https://www.rsssf.or[...]
[14]
웹사이트
«Актобе» взял Суперкубок
http://sport.kg/supe[...]
sport.kg
[15]
웹사이트
게인리히
https://portal.kleag[...]
2023-11-04
[16]
뉴스
"Актобе" пополняется старыми и новыми знакомыми
http://www.fc-aktobe[...]
[17]
뉴스
수원, 디펜딩 챔피언 서울에 2-0 압승…정상탈환 시동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2011-0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