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무르 카파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무르 카파제는 우즈베키스탄 출신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 축구 지도자이다. 선수 시절에는 미드필더로 활동했으며, 우즈베키스탄 국가대표팀에서 119경기에 출전하여 10골을 기록했다. 네프치 페르가나,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C 부뇨드코르, 인천 유나이티드, 알 샤르자, FC 악토베,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등 여러 클럽에서 활약하며,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 등에서 우승을 경험했다. 2017년 선수 은퇴 후에는 지도자로 전향하여 우즈베키스탄 U-23 대표팀 감독을 맡아 2022년 AFC U-23 아시안컵 준우승, 2022년 아시안 게임 동메달을 이끌었다. 2022년에는 우즈베키스탄 올해의 축구 감독으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FK 네프치 페르가나의 축구 선수 - 자수르베크 잘롤리딘노프
자수르베크 잘롤리딘노프는 2018년 분요드코르에서 프로 데뷔하여 우즈베키스탄 슈퍼 리그 최연소 출전 기록을 세운 우즈베키스탄 축구 선수이다. - FK 네프치 페르가나의 축구 선수 - 도스톤베크 투르수노프
도스톤베크 투르수노프는 우즈베키스탄의 축구 선수로, 우즈베키스탄 리그, 일본 J2리그, K리그1, 중국 슈퍼 리그에서 활약했으며 우즈베키스탄 U-20, U-23, 성인 대표팀을 거쳐 2019년 AFC 아시안컵에 참가했다. - 조지아계 우즈베키스탄인 - 다비드 살다제
다비드 살다제는 레슬링 선수이며, 그의 형인 헤오르히 살다제 역시 레슬링 선수로 활동했다. - 조지아계 우즈베키스탄인 - 알렉산드르 독투리시빌리
티무르 카파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티무르 타히로비치 카파제 |
출생일 | 1981년 9월 5일 (43세) |
출생지 | 페르가나,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소련 |
신장 | 1.85 미터 |
포지션 | 미드필더 |
현재 클럽 | FK 올림픽 타슈켄트 (감독) 우즈베키스탄 U23 (감독) 우즈베키스탄 올림픽 (감독) |
등번호 | 알 수 없음 |
클럽 경력 | |
1998–2001 | 네프치 페르가나 (14경기, 2골) |
2002–2007 | 파흐타코르 (152경기, 28골) |
2008–2010 | 부뇨드코르 (70경기, 11골) |
2011 | 인천 유나이티드 (28경기, 4골) |
2012 | 알 샤르자 (9경기, 0골) |
2012–2015 | 악퇴베 (69경기, 10골) |
2015–2017 |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80경기, 11골) |
국가대표 경력 | |
2002–2015 | 우즈베키스탄 (119경기, 10골) |
감독 경력 | |
2018 | 우즈베키스탄 (임시 감독) |
2021–현재 | FK 올림픽 타슈켄트 |
2021–현재 | 우즈베키스탄 U23 |
2023–현재 | 우즈베키스탄 올림픽 |
2. 생애 초반
티무르 타히로비치 카파제/Тимур Тахирович Кападзеru는 1981년 9월 5일 우즈베키스탄의 페르가나에서 축구 코치로 활동했던 타히르 카파제의 아들로 태어났다.[1] 메스케티 튀르크인인 그의 아버지 타히르 카파제는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 소련 당국에 의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당한 조지아계 튀르키예인 가문 출신이다.[1]
1998년, 그는 네프치 페르가나의 선수로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2001년 말까지 네프치 페르가나에서 뛰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클럽의 14경기에 출전하여 2골을 기록했다. 네프치 페르가나와 함께 2001년 우즈베키스탄 최고 리그에서 금메달을, 1998, 1999, 2000 시즌에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3. 클럽 경력
2002년, 그는 타슈켄트의 파흐타코르로 이적했다. 타슈켄트 클럽과 함께 6시즌 연속 우즈베키스탄 챔피언십에서 우승했고, 6시즌 연속 우즈베키스탄 컵에서 우승했다. 2007년 파흐타코르는 독립국가연합 챔피언스 컵에서 우승했다. 또한 2003년과 2004년에는 파흐타코르와 함께 AFC 챔피언스 리그 준결승에 진출했다. 2007년 말까지 파흐타코르에서 뛰면서 팀의 핵심 선수 중 한 명이 되었다. 그는 파흐타코르에서 총 152경기에 출전하여 28골을 기록했다.
2008년 초, 그는 우즈베키스탄 축구의 새로운 강자 부뇨드코르에 합류했다. 부뇨드코르의 선수로서 카파제는 팀의 리더 중 한 명이 되었다. 당시 부뇨드코르는 숙적 파흐타코르의 강한 선수들을 영입할 수 있었는데, 티무르 카파제 외에도 세르베르 제파로프, 이그나티 네스테로프, 안주르 이스마일로프와 같은 선수들, 그리고 브라질 출신 히바우두와 다른 브라질 선수들과 같은 여러 외국인 선수들을 영입했다. 부뇨드코르와 함께 카파제는 3시즌 연속 우즈베키스탄 챔피언이 되었고, 우즈베키스탄 컵에서 두 번 우승했으며, 우즈베키스탄 컵에서 한 번 은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2008년에는 AFC 챔피언스 리그 준결승에 진출했다. 그는 2010년 말까지 부뇨드코르에서 뛰었으며, 이 기간 동안 클럽에서 70경기에 출전하여 11골을 기록했다.
2011년 2월, 티무르 카파제는 대한민국의 인천 유나이티드로 이적하여 시즌 말까지 뛰었다. 그는 28경기에 출전하여 4골을 기록했다.
2012년 1월, 그는 아랍에미리트 연합의 알 샤르자로 이적하여 같은 해 6월까지 뛰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아랍에미리트 클럽에서 9번만 출전했다.
2012년 6월, 그는 카자흐스탄의 악토베로 이적하여 2014년 말까지 클럽에서 뛰었다. 악토베 소속으로 2013년 카자흐스탄 챔피언이 되었고, 2014년에는 카자흐스탄 챔피언십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2014년에는 카자흐스탄 슈퍼컵에서 우승했다.
2015년 1월, 그는 우즈베키스탄으로 돌아와 로코모티프 타슈켄트와 계약을 맺었다. 로코모티프 타슈켄트와 함께 2시즌 연속(2016년과 2017년) 우즈베키스탄 챔피언이 되었고, 2015년 시즌에는 우즈베키스탄 챔피언십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2016년과 2017년에는 우즈베키스탄 컵에서 우승했고, 2015년에는 우즈베키스탄 슈퍼컵에서 우승했다.
그는 2017년 말까지 로코모티프 타슈켄트에서 뛰었다. 2017년 가을, 그는 2017 시즌 종료와 함께 선수 생활을 마감한다고 발표했다. 카파제가 로코모티프 타슈켄트에서 활약하는 동안 그는 팀의 주장이었다. 티무르 카파제의 은퇴 경기는 2017년 12월 4일에 열렸으며, 우즈베키스탄 컵 결승전에서 로코모티프 타슈켄트와 부뇨드코르가 맞붙었다. 경기는 로코모티프 타슈켄트가 1:0으로 승리하며 끝났다. 경기에는 우즈베키스탄 축구 연맹 회장 우미드 아흐마잔노프와 AFC 회장 살만 빈 이브라힘 알-칼리파를 포함하여 우즈베키스탄의 여러 축구 및 스포츠 관계자와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3. 1. 네프치 페르가나
1998년 고향 페르가나를 연고로 둔 축구팀인 네프치 페르가나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2] 2001년까지 활동하며 리그 1회 우승(2001) 및 3연속 준우승(1998, 1999, 2000), 우즈베키스탄컵 2회 준우승(1998, 2001) 및 2연속 4강 진출(1999, 2000) 등에 일조했다.[2] 그는 네프치 페르가나에서 14경기에 출전하여 2골을 기록했다.
3. 2.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2002년부터 2007년까지 파흐타코르 타슈켄트의 주축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팀의 전성기를 이끌었다.[2] 리그 6연패(2002~2007), 우즈베키스탄 컵 6연패(2002~2007), AFC 챔피언스리그 4강 2회 진출(2002-03, 2004), 2007년 CIS컵 우승 등에 크게 기여했다.[2][3][7] 파흐타코르 소속으로 총 152경기에 출전하여 28골을 기록했다.
3. 3. FC 부뇨드코르
티무르 카파제는 2008년 FC 부뇨드코르로 이적하여 2010년까지 활동했다.[2] 부뇨드코르에서 리그 3연패(2008~2010), 우즈베키스탄컵 2회 우승(2008, 2010) 및 1회 준우승(2009), 2008년 AFC 챔피언스리그 4강, 2009년 AFC 챔피언스리그 8강 진출에 기여했다.[2][3] 당시 부뇨드코르는 세르베르 제파로프, 이그나티 네스테로프, 안주르 이스마일로프와 같은 선수들과 브라질 출신 히바우두 등 여러 외국인 선수들을 영입하여 전력을 강화했다. 카파제는 부뇨드코르에서 70경기에 출전하여 11골을 기록했다.[3]
3. 4. 인천 유나이티드
2011년 2월, 허정무 감독이 이끌던 K리그1의 인천 유나이티드로 이적했다.[7] 3월 5일 김천 상무와의 2011년 K리그 개막전에서 한국 무대 데뷔전을 치렀다. 리그 28경기에 출전해 4골 5도움을 기록하며 준수한 활약을 펼쳤지만, 설기현, 김남일, 네이선 번즈 등이 차례로 영입되면서 주전 경쟁에서 밀려났다. 결국 2011 시즌을 끝으로 인천과의 계약을 해지했다.
3. 5. 샤르자 FC
인천 유나이티드를 떠난 뒤 2011-12 시즌이 한창 진행 중이던 2012년 1월 아랍에미리트 UAE 프로리그의 샤르자 FC로 이적하였으나 리그 9경기 출장에 그쳤을 뿐 단 1골도 기록하지 못했다.[2]
3. 6. FC 악퇴베
2012년 6월, 알렉산드르 게인리흐와 함께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의 악토베로 이적하며 유럽 리그에 진출했다.[7] 2014년까지 활동하면서 2012년 리그 3위, 2013년 리그 우승, 2014년 리그 준우승 및 카자흐스탄 컵 준우승, 2회 연속 카자흐스탄 컵 4강 진출(2012, 2013) 등 성과를 거두었다.
3. 7.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2015년 새해 첫 날 로코모티프 타슈켄트로 이적하면서 5년 만에 우즈베키스탄 리그로 복귀했다.[2] 2017 시즌까지 활동하며 2015년 우즈베키스탄 슈퍼컵 우승, 2015년 리그 준우승, 2회 연속 리그 우승(2016, 2017), 우즈베키스탄컵 2연속 우승(2016, 2017) 및 2015년 우즈베키스탄컵 4강 진출 등에 기여했다.[2][3] 부뇨드코르와의 2017년 우즈베키스탄컵 결승전을 끝으로 19년간의 선수 생활을 마감했는데,[2] 당시 은퇴 경기에는 우즈베키스탄 축구 연맹 회장 우미드 아흐마잔노프와 AFC 회장 살만 빈 이브라힘 알-칼리파를 포함하여 우즈베키스탄의 여러 축구 및 스포츠 관계자와 전문가들이 참석했다.[2] 카파제는 로코모티프 타슈켄트에서 주장으로 활약했다.[2]
4. 국가대표팀 경력
2002년에 우즈베키스탄 대표팀에 처음 소집되었으며 같은 해 5월 14일 슬로바키아와의 친선 경기에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2003년 11월 17일 타지키스탄과의 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 A조 4차전에서 A매치 데뷔골을 기록하면서 팀의 4-1 승리에 기여했다.
2015년 국가대표팀 유니폼을 반납할 때까지 A매치 통산 119경기 10골을 터뜨리며 AFC 아시안컵 4회 연속 토너먼트 진출을 이끌었다. 특히 2011년 AFC 아시안컵 본선 5경기에 모두 선발로 출전하며 우즈베키스탄의 메이저 대회 사상 첫 4강 진출 및 역대 최고 성적에 기여했다.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도 출전하여 8년만의 월드컵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 진출에 이바지했지만 플레이오프에서 요르단에 발목이 잡혀 사상 첫 월드컵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세르베르 제파로프가 기록을 깨기 전까지 119경기에 출전하여 오랫동안 팀의 최고 수비수였다. 또한, 티무르 카파제는 우즈베키스탄 국가대표팀의 부주장 중 한 명이었으며, 일부 경기에서는 주장 완장을 차고 출전하기도 했다.
5. 지도자 경력
'''우즈베키스탄 U-23'''
- AFC U-23 아시안컵 준우승: 2022
;개인
- 우즈베키스탄 올해의 축구 감독: 2022
선수 은퇴 직후 2018년 2월 우즈베키스탄 성인 대표팀의 감독 대행으로 본격적인 지도자 커리어를 시작했다. 대표팀 감독으로서 가진 5번의 A매치 경기에서 2무 3패를 기록했고 엑토르 쿠페르가 2019년 우즈베키스탄 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되면서 코치직으로 복귀했다.
2021년, 2024년 하계 올림픽을 겨냥한 프로젝트 팀이자 창단팀인 올림피크 타슈켄트의 초대 사령탑으로 부임했다. 부임하자마자 2021 시즌 우즈베키스탄 프로리그에서 팀을 리그 3위 및 차기 시즌 슈퍼리그 승격으로 이끌었다. 정식 사령탑으로서의 첫 시즌을 성공적으로 마친 것으로 평가받는다.
티무르 카파제는 올림피크 타슈켄트 감독직을 맡고 있던 중 자국에서 열린 2022년 AFC U-23 아시안컵 본선을 앞두고 우즈베키스탄 U-23 대표팀의 감독으로 선임되어 두 팀의 감독직을 겸임했다.
이후 2022년 AFC U-23 아시안컵 본선에서 13명의 올림피크 타슈켄트 선수를 포함한 21명의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소속 선수들과 2명의 유럽파(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 등 23명의 엔트리로 출전하여 팀의 4년만의 결승 진출과 사상 첫 준우승을 이끌었다.
2022년 아시안 게임에서도 우즈베키스탄 U-23 대표팀을 이끌며, 비록 대한민국과의 4강전에서 패배하여 29년만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 획득에는 실패했지만, 동메달 결정전에서 홍콩을 4-0으로 완파하고 29년 만에 아시안 게임 메달 획득을 이끌었다.
2024년 AFC U-23 아시안컵에서는 5전 전승으로 팀의 2회 연속이자 통산 3번째 U-23 아시안컵 결승 진출을 이끌었으며, 우즈베키스탄 축구 역사상 첫 올림픽 본선 진출에 기여했다.
5. 1. 우즈베키스탄 대표팀
선수 은퇴 직후 2018년 2월 우즈베키스탄 성인 대표팀의 감독 대행으로 본격적인 지도자 커리어를 시작했다. 대표팀 감독으로서 가진 5번의 A매치 경기에서 2무 3패를 기록했고 엑토르 쿠페르가 2019년 우즈베키스탄 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되면서 코치직으로 복귀했다.5. 2. 올림피크 타슈켄트
2021년, 2024년 하계 올림픽을 겨냥한 프로젝트 팀이자 창단팀인 올림피크 타슈켄트의 초대 사령탑으로 부임했다. 부임하자마자 2021 시즌 우즈베키스탄 프로리그에서 팀을 리그 3위 및 차기 시즌 슈퍼리그 승격으로 이끌었다. 정식 사령탑으로서의 첫 시즌을 성공적으로 마친 것으로 평가받는다.5. 3. 우즈베키스탄 U-23 대표팀
티무르 카파제는 올림피크 타슈켄트 감독직을 맡고 있던 중 자국에서 열린 2022년 AFC U-23 아시안컵 본선을 앞두고 우즈베키스탄 U-23 대표팀의 감독으로 선임되어 두 팀의 감독직을 겸임했다.
이후 2022년 AFC U-23 아시안컵 본선에서 13명의 올림피크 타슈켄트 선수를 포함한 21명의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소속 선수들과 2명의 유럽파(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 등 23명의 엔트리로 출전하여 팀의 4년만의 결승 진출과 사상 첫 준우승을 이끌었다.
2022년 아시안 게임에서도 우즈베키스탄 U-23 대표팀을 이끌며, 비록 대한민국과의 4강전에서 패배하여 29년만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 획득에는 실패했지만, 동메달 결정전에서 홍콩을 4-0으로 완파하고 29년 만에 아시안 게임 메달 획득을 이끌었다.
2024년 AFC U-23 아시안컵에서는 5전 전승으로 팀의 2회 연속이자 통산 3번째 U-23 아시안컵 결승 진출을 이끌었으며, 우즈베키스탄 축구 역사상 첫 올림픽 본선 진출에 기여했다.
'''우즈베키스탄 U-23'''
- AFC U-23 아시안컵 준우승: 2022
;개인
- 우즈베키스탄 올해의 축구 감독: 2022
6. 경력 통계
6. 1. 클럽 기록
6. 2. 국가대표팀 득점 기록
# | 일자 | 장소 | 상대 | 득점 | 결과 | 대회 |
---|---|---|---|---|---|---|
1 | 2003년 11월 17일 | 태국 방콕 라자망갈라 국립 경기장 | 타지키스탄/ทาจิกิสถานth | 3 - 0 | 4 - 1 | 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 |
2 | 2007년 7월 14일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부킷 잘릴 국립 경기장 | 말레이시아/Malaysiams | 2 - 0 | 5 - 0 | 2007년 AFC 아시안컵 |
3 | 2007년 7월 18일 | 말레이시아 샤알람 샤알람 경기장 | 중국/中国중국어 | 2 - 0 | 3 - 0 | 2007년 AFC 아시안컵 |
4 | 2007년 10월 13일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파흐타코르 마르카지이 경기장 | 대만/中華臺北중국어 | 3 - 0 | 9 - 0 |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5 | 2008년 3월 26일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파흐타코르 마르카지이 경기장 | 사우디아라비아/السعوديةar | 1 - 0 | 3 - 0 |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6 | 2008년 6월 2일 |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 | 싱가포르/新加坡중국어 | 1 - 0 | 7 - 2 |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7 | 2009년 11월 18일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부킷 잘릴 국립 경기장 | 말레이시아/Malaysiams | 3 - 1 | 3 - 1 | 2011년 AFC 아시안컵 예선 |
8 | 2011년 11월 11일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파흐타코르 마르카지이 경기장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 | 1 - 0 | 1 - 0 |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
9 | 2012년 8월 13일 | 요르단 암만 암만 국제 경기장 | 요르단/الاردنar | 1 - 0 | 1 - 0 | 친선 경기 |
10 | 2014년 10월 14일 |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두바이 클럽 스타디움 | 아랍에미리트/الا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ar | 1 - 0 | 4 - 0 | 친선 경기 |
7. 대회 성적
7. 1. 클럽 (선수)
티무르 카파제는 네프치 페르가나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우승 1회(2001), 준우승 3회(1998, 1999, 2000)를 기록했다. 우즈베키스탄컵에서는 준우승 2회(1998, 2001), 4강 2회(1999, 2000)의 성적을 거두었다.이후 파흐타코르 타슈켄트로 이적하여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에서 6회 우승(2002, 2003, 2004, 2005, 2006, 2007)과 우즈베키스탄 컵 6회 우승(2002, 2003, 2004, 2005, 2006, 2007)을 차지하며 전성기를 누렸다. 독립 국가 연합 컵에서도 1회 우승(2007)을 기록했으며,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두 차례 4강(2003, 2004)에 진출했다.
FC 부뇨드코르에서는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3회 우승(2008, 2009, 2010), 우즈베키스탄 컵 2회 우승(2008, 2010)을 달성했고, AFC 챔피언스 리그 4강(2008)에 올랐다.
카자흐스탄의 FC 악퇴베로 이적한 후에는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 우승 1회(2013), 준우승 1회(2014)를 기록했고, 카자흐스탄 슈퍼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4].
마지막으로 로코모티프 타슈켄트에서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우승 2회(2016, 2017), 우즈베키스탄 컵 우승 2회(2016, 2017), 우즈베키스탄 슈퍼컵 우승 1회(2015)를 기록하고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7. 2. 국가대표팀 (선수)
티무르 카파제는 AFC 아시안컵에서 4위(2011)를 기록했다. 2011년 AFC 아시안컵 준결승에 진출하였다.7. 3. 클럽 (지도자)
올림피크 타슈켄트에서 우즈베키스탄 프로리그 3위(2021)를 기록하였다. 우즈베키스탄 U-23에서는 AFC U-23 아시안컵 준우승을 2022년에 달성했다. 개인 수상으로는 우즈베키스탄 올해의 축구 감독에 2022년에 선정되었다.7. 4. 국가대표팀 (지도자)
티무르 카파제는 우즈베키스탄 U-23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아 AFC U-23 아시안컵에서 준우승(2022)을 차지했고, 아시안 게임에서는 동메달(2022)을 획득했다.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2022년 우즈베키스탄 올해의 축구 감독으로 선정되었다.7. 5. 개인
참조
[1]
간행물
Ahıskalı Türkü Kazakistan'da En İyi Futbolcu Seçildi
http://www.ahiskapre[...]
Ahıska Press
2020-12-21
[2]
웹사이트
ru:Тимур Кападзе назначен и.о. главного тренера сборной Узбекистана по футболу
https://www.uzreport[...]
UzReport.news
2018-02-15
[3]
웹사이트
Football: Argentine Hector Cuper takes over as Uzbekistan head coach
https://www.channeln[...]
Channel NewsAsia
2018-08-02
[4]
웹사이트
ru:«Актобе» взял Суперкубок
http://sport.kg/supe[...]
sport.kg
2014-03-14
[5]
웹사이트
Timur Kapadze - Century of International sic
https://www.rsssf.or[...]
[6]
웹사이트
카파제
https://portal.kleag[...]
2023-11-04
[7]
문서
"Актобе" пополняется старыми и новыми знакомыми
http://www.fc-akto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