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앵글로프리지아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앵글로프리지아어는 앵글어와 프리지아어로 구성된 언어군이다. 앵글어에는 영어, 스코트어 등이, 프리지아어에는 서프리지아어, 동프리지아어, 북프리지아어가 포함된다. 독일의 언어학자 프리드리히 마우러는 앵글로프리지아어를 게르만어의 독자적 일파로 보기보다는 고대 프리지아어, 고대 영어, 고대 색슨어의 공통 조상인 북부 해양 게르만어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았다. 앵글로프리지아어는 음운 변화, 다른 게르만어파 언어와의 비교를 통해 연구되며, 북해 게르만어라는 대안적 분류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앵글로프리지아어 - 스코트어
    스코트어는 스코틀랜드와 북아일랜드에서 사용되는 서게르만어로, 중세 영어 북부 방언에서 유래하여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현재는 부흥 운동과 스코틀랜드 정부의 지원을 통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앵글로프리지아어 - 욜라어
    욜라어는 아일랜드 웨스포드 주 남동부에서 사용되었던 중세 영어 기반의 방언으로, 19세기에 소멸되었지만 지역 사회 활동을 통해 보존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 서게르만어군 - 아프리칸스어
    아프리칸스어는 17세기 네덜란드 케이프 식민지에서 네덜란드어 방언을 기반으로 발전하여 여러 언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나미비아에서 사용되며 네덜란드어와 상호 이해도가 높지만 간소화된 문법과 어휘를 가진 언어이다.
  • 서게르만어군 - 저지 독일어
    저지 독일어는 독일 북부와 네덜란드 북동부에서 사용되는 고지 독일어 자음 변화를 겪지 않은 서게르만어족의 언어 변종으로, 언어적 특징, 역사, 방언, 법적 지위 등 복잡한 쟁점을 가진다.
앵글로프리지아어
언어 정보
이름앵글로-프리지아어군
지역원래는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저지대, 프리슬란트에서 유틀란트까지의 북해 연안이었으나, 현재는 전 세계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게르만어파
어군서게르만어군
분기북해 게르만어군
하위 언어앵글로어군
프리슬란트어군
Glotto 코드angl1264
Glottolog 참조Anglo-Frisian
지도 정보
유럽에서의 앵글로-프리지아어군 분포 (현재). 영어(주황색), 스코트어(갈색), 서프리지아어(진한 파란색), 북프리지아어(파란색), 사테를란트 프리슬란트어(밝은 파란색). 사선 영역은 다중 언어 사용이 흔한 지역.
특징
/k/ 발음 예시스코트어:
프리슬란트어:
네덜란드어:
저지 독일어:
독일어:
교회 단어 비교프리슬란트어:
네덜란드어:
저지 독일어: ,
독일어:
스코트어:
양 단어 비교스코트어:
프리슬란트어:
네덜란드어: ,
저지 독일어:
독일어: ,

2. 분류

앵글로프리지아어족은 크게 다음과 같은 두 갈래로 나뉜다.



독일의 언어학자 프리드리히 마우러는 앵글로프리지아어족을 게르만어의 독자적인 하위 그룹으로 보지 않았다. 대신 그는 고대 프리지아어, 고대 영어, 고대 색슨어의 공통 조상으로서 북해 게르만어(Ingvaeonic)라는 개념을 제안했다.[23] 일부 학자들은 초기 저지 독일어(특히 고대 색슨어)가 앵글로프리지아어와 공유하는 특징이 많다는 점을 들어, 북해 게르만어 분류가 앵글로프리지아어와 저지 독일어를 엄격히 나누는 것보다 더 적합하다고 보기도 한다.[21] 북해 게르만어는 하나의 원시 언어가 아니라,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방언들이 공통적인 변화를 겪은 집합체로 여겨진다.[22]

앵글로-프리지아어군의 전체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앵글로-프리지아어군
  • * 영어군
  • ** 영어
  • ** 스코트어
  • ** 욜라어†, 핑갈어†
  • * 프리지아어군
  • ** 서프리지아어
  • ** 동프리지아어
  • ** 북프리지아어

2. 1. 앵글어

'''앵글어'''[7][8](Anglic languages영어), '''도서 게르만어'''(Insular Germanic영어) 또는 '''영어'''[9][10] '''및 방언'''은 고대 영어와 여기에서 파생된 모든 언어 변이를 아우르는 말이다. 여기에는 중세 영어, 초기 현대 영어, 현대 영어, 초기 스코트어, 중세 스코트어, 현대 스코트어가 포함되며, 아일랜드에서 사용되다 사멸한 핑갈어와 욜라어도 포함된다.

앵글어는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남부 앵글어[3]
  • * 중앙 영어
  • ** 서부 중앙 영어
  • ** 동부 중앙 영어
  • * 남부 영어
  • 북부 앵글어[3]
  • * 스코트어
  • ** 도서 스코트어
  • ** 북부 스코트어
  • ** 중앙 스코트어
  • ** 남부 스코트어
  • ** 도릭 스코트어
  • ** 얼스터 스코트어
  • * 북부 영어
  • ** 노섬브리아 영어
  • ** 하부 북부 영어
  • 아일랜드 앵글로노르만어[4][5][6]
  • * 핑갈어 (사멸)
  • * 욜라어 (사멸)


영어 기반 혼성어는 일반적으로 앵글어에 포함되지 않는데, 이는 주로 어휘초기 현대 영어현대 영어에서 유래하고 문법, 음운 등 다른 언어적 특징들은 반드시 영어에서 온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아래 표는 고대 영어의 주요 방언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분화되었는지를 보여준다.

고대 영어 방언의 분화
고대 영어
노섬브리아 고대 영어머시아 고대 영어켄트 고대 영어웨스트 색슨 고대 영어
북부 초기 중세 영어미들랜드 초기 중세 영어동남부 초기 중세 영어남부 초기 중세 영어남서부 초기 중세 영어
초기 스코트어북부 후기 중세 영어미들랜드 후기 중세 영어동남부 후기 중세 영어남부 후기 중세 영어남서부 후기 중세 영어
중세 스코트어북부 초기 현대 영어미들랜드 초기 현대 영어수도권 초기 현대 영어남부 초기 현대 영어남서부 초기 현대 영어핑갈어욜라어
현대 스코트어현대 영어(사멸)



영어 방언 목록과 월드 잉글리시도 참고할 수 있다.

2. 2. 프리슬란트어

프리슬란트어는 네덜란드독일북해 남쪽 가장자리에 거주하는 약 50만 명의 프리지아인이 사용하는 언어 그룹이다.[11][12][13] 프리슬란트어는 다음과 같이 세 개의 주요 분파로 나뉜다.

  • 서프리슬란트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분파로, 총 875,840명의 화자를 가지고 있다.[11] 네덜란드 프리지아주의 공식 언어이다. 서프리슬란트어에는 세 가지 주요 방언이 있다.[11]
  • 클레이프리지아어 (Klaaifrysk)
  • 남부 또는 남서부 프리지아어 (Súdhoeksk)
  • 우드프리지아어 (Wâldfrysk)
  • 북프리슬란트어: 독일 최북단의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에 속하는 북프리지아 제도와 노르트프리슬란트구 본토, 그리고 헬골란트에서 사용된다. 화자 수는 약 8,000명이다.[12] 북프리슬란트어는 10개의 방언으로 나뉜다.[12]
  • 섬 방언
  • 질트프리지아어 (Söl'ring)
  • 푀르-암룸 프리지아어 (Fering, Öömrang)
  • 헬골란트 프리지아어 (Halunder)
  • 본토 방언
  • 비딩하르데 프리지아어 (Wiringhiirder)
  • 뵈킹하르데 프리지아어 (Mooringer)
  • 카르하르데 프리지아어 (Karrharder)
  • 고에스하르데 프리지아어 (Gooshiirder) (북부, 중부, 남부 - 남부 방언은 1980년대 초 소멸)
  • 할리겐 프리지아어 (Halifreesk)
  • 동프리슬란트어: 독일 니더작센주의 자터란트 지역에서 약 2,000명만이 사용하는 언어이다.[13] 현재 알려진 방언은 없다.

3. 음운 변화

다음은 모음을 포함하는 주요 음운 변화를 연대순으로 요약한 것이다.[14] 자세한 내용은 고대 영어의 음운사를 참조하라. 이러한 변화가 모든 앵글로프리지아어에서 동시에 발생했고, 그 순서가 동일하다는 것은 일부 학자들에 의해 반증된 것으로 여겨진다.[1]

# 비음 자음 앞의 서게르만어 ''a''와 ''ā''의 후설화 및 비음화

# 스피란트 앞의 ''n'' 소실, 결과적으로 앞선 모음의 보상적 장음화비음화 발생

# 현재형 및 과거 복수형의 단일 형태

# ''A-전설화'': 서게르만어 ''a'', ''ā'' > ''æ'', ''ǣ'', 심지어 이중 모음 ''ai''와 ''au''에서도 발생 (앵글로프리지아어 밝음화 참조)

# 전설 모음 앞에서의 구개음화 (하지만 구개음의 음소화는 아님)

# ''A-복원'': 인접 자음의 영향으로 ''æ'', ''ǣ'' > ''a'', ''ā''

# ''두 번째 전설화'': 고대 영어 방언 (웨스트색슨 방언 제외) 및 프리지아어 ''ǣ'' > ''ē''

# ''A-복원'': 다음 음절의 후설 모음 앞에서 ''a'' 복원 (나중에 사우스엄브리아 방언에서); 프리지아어 ''æu'' > ''au'' > 고대 프리지아어 ''ā''/''a''

# 고대 영어 분열; 웨스트색슨어에서는 구개음 이중 모음화가 뒤따름

# ''i''-변이, 모음 탈락 발생; 고대 프리지아어 분열이 뒤따름

# 구개음의 음소화 및 경음화, 그 후 웨스트 머시아의 일부 지역에서 두 번째 전설화 발생

# 스무딩 및 후설 모음 변화

이러한 음운 변화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단어 비교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영어 'cheese', 서프리지아어 'tsiis'는 네덜란드어 'kaas', 저지 독일어 'Kees', 독일어 'Käse'와 비교된다.
  • 영어 'church', 서프리지아어 'tsjerke'는 네덜란드어 'kerk', 저지 독일어 'Kerk', 'Kark', 독일어 'Kirche'와 비교된다.

4. 예시

aetwathreefowerfivesaxsievenaichtnineten욜라어oanetwyedhreevowéryolveevezeesezebbemayghtneenedhen서프리슬란트어ientwatrijefjouwerfiifseissânfryachtnjoggentsien동프리슬란트어aantwäi
twäin
twooträifjauwerfieuwsäkssoogenoachtenjugentjoon북프리슬란트어iinj
åntou
tuutrii
trafjouerfiiwseekssoowenoochtnüügentiin



다른 게르만어파 언어들과 비교했을 때 어휘적 유사성과 차이점을 보여주는 예시는 다음과 같다.

5. 다른 언어와의 비교

앵글로프리지아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의 숫자(1~12)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비교를 위해 네덜란드어, 서플랑드어, 독일어도 포함되었다.

언어123456789101112
영어onetwothreefourfivesixseveneightnineteneleventwelve
웨스트 라이딩 요크셔 방언onetwothreefowerfivesixseveneightnineten(e)leventwelve
스코트어[15]ane
ae*
een
twatrey
three
fowerfiveseks
sax
seivenaichtnineteneleiventwaal
욜라어oantwyedhreevourveevezeesezevenayghtneendhenellventwalve
서프리슬란트어ientwatrijefjouwerfiifseissânfyachtnjoggentsienalvetolve
서플랑드어jintwidriejevierevuvvezessezeevneachteneegntieneelvetwolve
자터란트 프리지아어aan (m.)
een (f., n.)
twäin (m.)
two (f., n.)
träi (m.)
trjo (f., n.)
fjauerfieuwsäkssogenoachtenjúgentjoonalventwelig
북프리슬란트어 (무링 방언)iinj
ån
tou
tuu
trii
tra
fjouerfiiwseekssoowenoochtnüügentiinalwentweelwen
네덜란드어eentweedrieviervijfzeszevenachtnegentienelftwaalf
고지 독일어einszweidreivierfünfsechssiebenachtneunzehnelfzwölf



다음은 주요 앵글로프리지아어 및 관련 언어의 기본 단어 비교표이다.

영어웨스트 라이딩 요크셔스코트어욜라서프리지아어네덜란드어독일어서플랑드어
날(day)날(day)날(day)데이(dei)데이(dei)다흐(dag)탁(Tag)다(dah)
세상(world)와르드(warld)와르드(warld)에오르드(eord)브라알트(wrâld)베렐트(wereld)벨트(Welt)베렐트(wèreld)
비(rain)레인(rain)레인(rain)라인(rhyne)레인(rein)레겐(regen)레겐(Regen)린네(rinne)
피(blood)블로이드(blooid)블루이드(bluid)블루드(blooed)블루드(bloed)블루드(bloed)블루트(Blut)블루드(bloed)
혼자(alone)알로안(aloan)알레인(alane)알레인(alane)알린네(allinne)알레인(alleen)알라인(allein)오알진네(oaljinne)
돌(stone)스토안(stoan)스테인(stane)스토안(sthoan)스틴(stien)스틴(steen)슈타인(Stein)스틴(stjin)
눈(snow)스나우(snaw)스나우(snaw)스네오우(sneow)스니(snie)스네우(sneeuw)슈네(Schnee)스니(w)(snji(w))
여름(summer)서머(summer)시머(simmer)짐머(zimmer)시머(simmer)조머(zomer)조머(Sommer)조머(zomer)
길(way)웨이(way)웨이(wey)와이(wye)웨이(wei)베흐(weg)베크(Weg)베(weh)
전능한(almighty)알미티(almeety)아우미치(awmichtie)올미치(aulmichty)알마흐티흐(almachtich)알마흐티흐(almachtig)알매흐티흐(allmächtig)오알마히(oalmahtih)
배(ship)시프(ship)시프(ship)집(zhip)스킵(skip)스히프(schip)시프(Schiff)스킵/시지프(skip/sjgip)
못(nail)네일(nail)네일(nail)니엘(niel)네일(neil)나겔(nagel)나겔(Nagel)노아글레(noagle)
늙은(old)오우드(owd)올드(auld)욜라(yola)알트(âld)아우드(oud)알트(alt)오에드(oed)
버터(butter)버터(butter)버터(butter)부더(buther)뷔터(bûter)보터(boter)버터(Butter)버터(beuter)
치즈(cheese)치즈(cheese)치즈(cheese)치즈(cheese)치스(tsiis)카스(kaas)케제(Käse)코스(koas)
사과(apple)애플(apple)에이플(aiple)아펠(appel)아펠(apel)아펠(appel)아펠(Apfel)애플(apple)
교회(church)교회(church)(구어: 커크(kurk))커크(kirk)처우르츠(chourche)처르커(tsjerke)케르크(kerk)키르헤(Kirche)케르케(kerke)
아들(son)쏜(son)쏜(son)존(zon)손(soan)존(zoon)존(Sohn)제운(zeune)
문(door)도어(door)도어(door)데르(dher)도아르(doar)데어(deur)튀어(Tür)데어레(deure)
좋은(good)고이드(gooid)구이드(guid)고우데(gooude)고에드(goed)고에드(goed)구트(gut)호에드(hoed)
포크(fork)포크(fork)포크(fork)보르크(vork)포르케(foarke)보르크(vork)가벨(Gabel)
포르케(Forke) (구식)
보르크(vork)
친족(sib)친족(sib) (구식)친족(sib)미니/십베(meany / sibbe) (구식)십베(sibbe)십베(sibbe) (구식)시페(Sippe)
함께(together)투게더(together)테이게더(taegither)아기더(agyther)테게아르(tegearre)사멘(samen)
테가더(tegader)
추잠멘(zusammen)테고아레(tegoare)
아침(morn(ing))모른(in)(morn(in))모른(in)(morn(in))아리치(arich)모안(moarn)모르겐(morgen)모르겐(Morgen)모른(morhn)
~까지(until, till)홀(whol)~까지(until, till)델(del)오안트(oant)토트(tot)비스(bis)토트(tot)
어디(where)위어(wheer)후어(whauror whare)피디(fidie)베르(wêr)바르(waar)보(wo)보아(r)(e)(woa(r)(e))
열쇠(key)키(key)키(key)케이/키(kei / kie)카이(kaai)스레우텔(sleutel)슐뤼셀(Schlüssel)스레우틀레(sleutle)
~해왔다(have been (was))워(wor)위스(wis)와스(was)하 웨스트(ha west)벤 게베스트(ben geweest)빈 게베젠(bin gewesen)제(n)/에 게비스트(zy(n)/è gewist)
양 두 마리(two sheep)양 두 마리(two sheep)양 두 마리(twa sheep)투에 제프(twye zheep)양 두 마리(twa skiep)양 두 마리(twee schapen)양 두 마리(zwei Schafe)양 두 마리(twi skoapn)
가지다(have)해브/헤브/하(have/heve/ha)해(hae)하(ha)하워(hawwe)헤벤(hebben)하벤(haben)엔(èn)
우리(us)우즈(uz)우스(us)오우스(ouse)우스(ús)온스(ons)운스(uns)오에스(oes)
말(horse)호스(hoss)호스(horse)코울레(caule)힌더르(hynder)
호어스(hoars) (드묾)
파르드(paard)
로스(ros) (구식)
프페르트(Pferd)
로스(Ross) (구식)
페르트(pèrd)
빵(bread)브리이(breead)브레이드(breid)브리드(breed)브레아(brea)브로드(brood)브로트(Brot)브로트(brwot)
머리카락(hair)헤어(hair)헤어(hair)하르(haar)히어(hier)하르(haar)하르(Haar)오르(oar)
심장(heart)하트(heart)헤르트(hert)헤르스(hearth)헤르트(hert)하르트(hart)헤르츠(Herz)에르테(èrte)
수염(beard)비어드(beard)비어드(beard)비어르데(bearde)버르드(burd)바르드(baard)바르트(Bart)보르드(board)
달(moon)문(mooin)문(muin)몬드(mond)모안네(moanne)만(maan)몬트(Mond)모안느(moane)
입(mouth)마스(maath), 곱(gob)무스(mooth)메우쓰(meouth)문(mûn)몬드(mond)문트(Mund)모엔드(moend)
귀(ear)이어(ear), 러그(lug)이어(ear), 러그(lug) (구어)러그(lug)이어(ear)오르(oor)오어(Ohr)보어레/오어레(wore/ôre)
녹색(green)그린(green)그린(green)그린(green)그리엔(grien)흐룬(groen)그륀(grün)흐로에네(groene)
빨간색(red)레드(red)레이드(reid)리드(reed)레아드(read)로드(rood)로트(rot)로드/로(rwod/rôd)
달콤한(sweet)스위트(sweet)스위트(sweet)스위트(sweet)스비트(swiet)조에트(zoet)쥐스(süß)조에트(zoet)
~을 통하여(through)쓰루(through/thrugh)쓰루(throu)드라흐(draugh)트로흐(troch)도어(door)도르흐(durch)데어(deur)
젖은(wet)위트(weet)위트(weet)위에이트(weate)위트(wiet)나트(nat)나스(nass)나트(nat)
눈(eye)이(ee)이(ee)아이/이에(ei / iee)아흐(each)오흐(oog)아우게(Auge)보오게/오오게(wooge/ôoge)
꿈(dream)드리이엄(dreeam)드림(dream)드림(dreem)드림(dream)드롬(droom)트라움(Traum)드롬(droom)
쥐(mouse)마스(maase)무스(moose)메우스(meouse)뮤스(mûs)뮤이스(muis)마우스(Maus)무제(muzze)
집(house)하스(haase)후스(hoose)헤우스(heouse)휘스(hûs)휘스(huis)하우스(Haus)후스(hus)
계속된다(it goes on)그게스/고아스 온(it goes/goas on)그게스/갱스 온(it gaes/gangs on)그 고스 언(it goath an)잇 히에트 오안(it giet oan)헤트 가트 도어(het gaat door)에스 게흐트 바이터/로스(es geht weiter/los)트고아 데어레(tgoa deure)
좋은 하루(good day)고이드 데이(gooid day)구이드 데이(guid day)고우데 데이(gooude dei)고에이 데이(goeie dei)고에이 데이(goeie dei)구텐 탁(guten Tag)고인 다(goein dah)


6. 대안적 분류

독일의 언어학자 프리드리히 마우러는 앵글로프리지아어족을 게르만어의 독자적인 하위 분파로 간주하지 않았다. 대신 그는 고대 프리지아어, 고대 영어, 그리고 고대 작센어를 포함하는 북해 게르만어(North Sea Germanic 또는 잉바에오닉어군)라는 개념을 제안했다.[19][20] 북해 게르만어는 서게르만어군의 한 그룹으로 여겨지며, 앵글로프리지아어 분류의 대안 또는 그 조상 단계로 간주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적 분류가 제시된 이유는 앵글로프리지아어의 특징들이 저지 독일어, 특히 고대 작센어와 같은 언어들의 초기 단계에서도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부 학자들은 북해 게르만어라는 분류가 앵글로프리지아어와 저지 독일어를 엄격하게 나누는 전통적인 방식보다 더 타당하다고 본다. 다시 말해, 고대 작센어는 초기 단계에서 고대 고지 독일어와 고대 저지 프랑크어의 강한 영향을 받아, 고대 영어 및 고대 프리지아어와 공유했던 일부 북해 게르만어적 특징을 잃어버렸다고 설명된다.[21]

북해 게르만어는 하나의 원시 언어로 간주되기보다는,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방언들이 비교적 일관된 여러 지역적 변화를 함께 겪은 집합체로 이해된다.[22]

또한, 기록이 거의 남아있지 않은 고대 앵글리아 방언과 고대 유트어 역시 북해 게르만어에 속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언어들이 원래 사용되던 지역(현대의 슐레스비히 남부와 유틀란트)에서 사라지면서, 언어 분류에 있어 일종의 '생존 편향'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고대 앵글리아어와 유트어는 고대 영어의 직접적인 조상이므로, 이 언어들이 고대 작센어처럼 프리지아어보다 영어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었을 수도 있다.

마우러는 1942년 그의 저서 ''Nordgermanen und Alemannen''에서 이 가설적인 그룹을 처음 제안했다. 이는 19세기 언어학자 아우구스트 슐라이허의 연구 이후 널리 받아들여진, 앵글로프리지아어 그룹의 존재를 가정하는 엄격한 계통수 모델에 대한 대안적 시각이었다.[23]

참조

[1] 서적 Friesische Studien II: Beiträge des Föhrer Symposiums zur Friesischen Philologie vom 7.–8. April 1994 https://www.academia[...] 2020-10-23
[2] 서적 Frisians and their North Sea Neighbours. https://www.worldcat[...] Boydell & Brewer 2017
[3] 서적 The dialects of England B. Blackwell 1990
[4] 서적 Dublin English: Evolution and Change John Benjamins Publishing
[5] 서적 A Source Book for Irish English John Benjamins Publishing
[6] 간행물 Glottolog 4.8 - Irish Anglo-Norman https://glottolog.or[...]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3-07-16
[7] 문서 Anglic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017
[8] 서적 From Pictland to Alba, 789–1070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7
[9] 문서 Scots its range of Uses W. and R. Chambers 1979
[10] 문서 The English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11] 웹사이트 Frisian | Ethnologue Free https://www.ethnolog[...]
[12] 웹사이트 Frisian, Northern | Ethnologue Free https://www.ethnolog[...]
[13] 웹사이트 Saterfriesisch | Ethnologue Free https://www.ethnolog[...]
[14] 서적 Approaches to Old Frisian Philology Rodopoi
[15] 문서 Depending on dialect 1. , , , , , 2. , , , 3. , , 4. , 5. , 6. 7. , , 8. , 9. , 10. .
[16] 서적 Manual of Modern Scots University Press
[17] 문서 Depending on dialect or .
[18] 문서 Depending on dialect or .
[19] 문서 Also known as Anglo-Saxon.
[20] 문서 Some include West Flemish. Cf. Bremmer (2009:22).
[21] 서적 Handbuch des Friesischen: = Handbook of Frisian studies Niemeyer 2001
[22] 문서 For a full discussion of the areal changes involved and their relative chronologies, see Voyles (1992).
[23] 웹사이트 Friedrich Maurer (Lehrstuhl für Germanische Philologie – Linguistik) http://www.germanist[...] Germanistik.uni-freiburg.de 2013-06-24
[24] 문서 Manual of Modern Sco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