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글로프리지아어는 앵글어와 프리지아어로 구성된 언어군이다. 앵글어에는 영어, 스코트어 등이, 프리지아어에는 서프리지아어, 동프리지아어, 북프리지아어가 포함된다. 독일의 언어학자 프리드리히 마우러는 앵글로프리지아어를 게르만어의 독자적 일파로 보기보다는 고대 프리지아어, 고대 영어, 고대 색슨어의 공통 조상인 북부 해양 게르만어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았다. 앵글로프리지아어는 음운 변화, 다른 게르만어파 언어와의 비교를 통해 연구되며, 북해 게르만어라는 대안적 분류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앵글로프리지아어 - 스코트어 스코트어는 스코틀랜드와 북아일랜드에서 사용되는 서게르만어로, 중세 영어 북부 방언에서 유래하여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현재는 부흥 운동과 스코틀랜드 정부의 지원을 통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앵글로프리지아어 - 욜라어 욜라어는 아일랜드 웨스포드 주 남동부에서 사용되었던 중세 영어 기반의 방언으로, 19세기에 소멸되었지만 지역 사회 활동을 통해 보존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서게르만어군 - 아프리칸스어 아프리칸스어는 17세기 네덜란드 케이프 식민지에서 네덜란드어 방언을 기반으로 발전하여 여러 언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나미비아에서 사용되며 네덜란드어와 상호 이해도가 높지만 간소화된 문법과 어휘를 가진 언어이다.
서게르만어군 - 저지 독일어 저지 독일어는 독일 북부와 네덜란드 북동부에서 사용되는 고지 독일어 자음 변화를 겪지 않은 서게르만어족의 언어 변종으로, 언어적 특징, 역사, 방언, 법적 지위 등 복잡한 쟁점을 가진다.
앵글로프리지아어
언어 정보
이름
앵글로-프리지아어군
지역
원래는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저지대, 프리슬란트에서 유틀란트까지의 북해 연안이었으나, 현재는 전 세계
독일의 언어학자 프리드리히 마우러는 앵글로프리지아어족을 게르만어의 독자적인 하위 그룹으로 보지 않았다. 대신 그는 고대 프리지아어, 고대 영어, 고대 색슨어의 공통 조상으로서 북해 게르만어(Ingvaeonic)라는 개념을 제안했다.[23] 일부 학자들은 초기 저지 독일어(특히 고대 색슨어)가 앵글로프리지아어와 공유하는 특징이 많다는 점을 들어, 북해 게르만어 분류가 앵글로프리지아어와 저지 독일어를 엄격히 나누는 것보다 더 적합하다고 보기도 한다.[21] 북해 게르만어는 하나의 원시 언어가 아니라,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방언들이 공통적인 변화를 겪은 집합체로 여겨진다.[22]
'''앵글어'''[7][8](Anglic languages영어), '''도서 게르만어'''(Insular Germanic영어) 또는 '''영어'''[9][10] '''및 방언'''은 고대 영어와 여기에서 파생된 모든 언어 변이를 아우르는 말이다. 여기에는 중세 영어, 초기 현대 영어, 현대 영어, 초기 스코트어, 중세 스코트어, 현대 스코트어가 포함되며, 아일랜드에서 사용되다 사멸한 핑갈어와 욜라어도 포함된다.
독일의 언어학자 프리드리히 마우러는 앵글로프리지아어족을 게르만어의 독자적인 하위 분파로 간주하지 않았다. 대신 그는 고대 프리지아어, 고대 영어, 그리고 고대 작센어를 포함하는 북해 게르만어(North Sea Germanic 또는 잉바에오닉어군)라는 개념을 제안했다.[19][20] 북해 게르만어는 서게르만어군의 한 그룹으로 여겨지며, 앵글로프리지아어 분류의 대안 또는 그 조상 단계로 간주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적 분류가 제시된 이유는 앵글로프리지아어의 특징들이 저지 독일어, 특히 고대 작센어와 같은 언어들의 초기 단계에서도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부 학자들은 북해 게르만어라는 분류가 앵글로프리지아어와 저지 독일어를 엄격하게 나누는 전통적인 방식보다 더 타당하다고 본다. 다시 말해, 고대 작센어는 초기 단계에서 고대 고지 독일어와 고대 저지 프랑크어의 강한 영향을 받아, 고대 영어 및 고대 프리지아어와 공유했던 일부 북해 게르만어적 특징을 잃어버렸다고 설명된다.[21]
북해 게르만어는 하나의 원시 언어로 간주되기보다는,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방언들이 비교적 일관된 여러 지역적 변화를 함께 겪은 집합체로 이해된다.[22]
또한, 기록이 거의 남아있지 않은 고대 앵글리아 방언과 고대 유트어 역시 북해 게르만어에 속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언어들이 원래 사용되던 지역(현대의 슐레스비히 남부와 유틀란트)에서 사라지면서, 언어 분류에 있어 일종의 '생존 편향'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고대 앵글리아어와 유트어는 고대 영어의 직접적인 조상이므로, 이 언어들이 고대 작센어처럼 프리지아어보다 영어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었을 수도 있다.
마우러는 1942년 그의 저서 ''Nordgermanen und Alemannen''에서 이 가설적인 그룹을 처음 제안했다. 이는 19세기 언어학자 아우구스트 슐라이허의 연구 이후 널리 받아들여진, 앵글로프리지아어 그룹의 존재를 가정하는 엄격한 계통수 모델에 대한 대안적 시각이었다.[23]
참조
[1]
서적
Friesische Studien II: Beiträge des Föhrer Symposiums zur Friesischen Philologie vom 7.–8. April 1994
https://www.academia[...]
2020-10-23
[2]
서적
Frisians and their North Sea Neighbours.
https://www.worldcat[...]
Boydell & Brewer
2017
[3]
서적
The dialects of England
B. Blackwell
1990
[4]
서적
Dublin English: Evolution and Change
John Benjamins Publishing
[5]
서적
A Source Book for Irish English
John Benjamins Publishing
[6]
간행물
Glottolog 4.8 - Irish Anglo-Norman
https://glottolog.or[...]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3-07-16
[7]
문서
Anglic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017
[8]
서적
From Pictland to Alba, 789–1070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7
[9]
문서
Scots its range of Uses
W. and R. Chambers
1979
[10]
문서
The English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11]
웹사이트
Frisian | Ethnologue Free
https://www.ethnolog[...] [12]
웹사이트
Frisian, Northern | Ethnologue Free
https://www.ethnolog[...] [13]
웹사이트
Saterfriesisch | Ethnologue Free
https://www.ethnolog[...] [14]
서적
Approaches to Old Frisian Philology
Rodopoi
[15]
문서
Depending on dialect 1. , , , , , 2. , , , 3. , , 4. , 5. , 6. 7. , , 8. , 9. , 10. .
[16]
서적
Manual of Modern Scots
University Press
[17]
문서
Depending on dialect or .
[18]
문서
Depending on dialect or .
[19]
문서
Also known as Anglo-Saxon.
[20]
문서
Some include West Flemish. Cf. Bremmer (2009:22).
[21]
서적
Handbuch des Friesischen: = Handbook of Frisian studies
Niemeyer
2001
[22]
문서
For a full discussion of the areal changes involved and their relative chronologies, see Voyles (1992).
[23]
웹사이트
Friedrich Maurer (Lehrstuhl für Germanische Philologie – Linguistik)
http://www.germanist[...]
Germanistik.uni-freiburg.de
2013-06-24
[24]
문서
Manual of Modern Sco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