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프리슬란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프리슬란트어는 독일 북부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와 헬골란트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서프리슬란트어, 자터프리슬란트어와 함께 프리슬란트어군에 속한다. 북프리슬란트어는 섬 방언(질트어, 푀르-암룸어, 헬골란트어)과 본토 방언(비딩하르데어, 뵈킹하르데어, 카르하르데어, 고에스하르데어, 할리겐어)으로 나뉘며, 덴마크어와 저지 독일어의 영향을 받았다. 현재 북프리슬란트어 사용자는 8,000~10,000명으로 추정되며, 유네스코는 이 언어를 "심각한 위기"로 분류한다.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에서는 소수 언어로서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프리슬란트 - 헬골란트섬
    헬골란트섬은 독일에서 북해로 46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역사적으로 여러 국가의 지배를 거쳐 독일 제국에 귀속되었고, 관광, 면세 쇼핑, 해상 풍력 발전을 중심으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며 자동차와 자전거 사용이 금지된 섬이다.
  • 프리슬란트어 - 동프리슬란트어
    동프리슬란트어는 독일 니더작센주 자터란트 지역에서 사용되는 프리지아어군 언어로, 고대 프리지아어에서 유래했으며 약 2,000명의 화자가 사용하고 소멸 위기에 놓여 있다.
  • 프리슬란트어 - 서프리슬란트어
    서프리슬란트어는 네덜란드 북부 프리슬란트주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로, 동프리슬란트어, 자터프리슬란트어 및 북프리슬란트어와 함께 프리슬란트어군에 속하며, 1956년부터 네덜란드어와 함께 프리슬란트주의 공식 언어 지위를 가지지만 유네스코는 이를 사멸 위기 언어로 분류한다.
  • 독일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독일의 언어 - 쿠르드어
    쿠르드어는 인도유럽어족 이란어파에 속하며 쿠르드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쿠르만지어, 소라니어, 남부 쿠르드어 등의 방언이 있고 터키, 이라크, 이란, 시리아 등지에 분포하며 다양한 문자로 표기된다.
북프리슬란트어
언어 정보
언어 이름북프리슬란트어
고유 이름Sylt: Nuurđfriisk, Föhr/Amrum: nuurdfresk, Heligoland: Noorfriisk, Wiedingharde/Halligen: nordfreesk, Mooring: nordfrasch, Karrharde: nordfräisch, Central Goesharde: noordfreesch
사용 국가독일
사용 민족북프리슬란트인
사용 지역북프리슬란트
사용자 수10,000명 (1976년)
언어 계통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
서게르만어군
앵글로프리지아어
프리슬란트어
문자라틴 문자
공인 기관Nordfriisk Instituut
ISO 639-2frr
ISO 639-3frr
Glottolognort2626 (Northern Frisian)
Linguasphere52-ACA-e (varieties: 52-ACA-eaa to -eak & extinct -eba & -ebb)
지도
북프리슬란트어 방언
북프리슬란트어 방언
상태
국가독일
지역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2. 분류

북프리슬란트어의 가장 가까운 친족은 독일 북서부 니더작센주의 자터프리슬란트어와 네덜란드 북부에서 사용되는 서프리슬란트어 두 언어이다.[2] 이 세 하위 그룹은 함께 프리슬란트어군을 형성한다.

영어 또한 프리슬란트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2] 이 두 언어는 앵글로프리슬란트어군으로 분류되며, 이는 잉그베오닉어군에 속하며 저지 독일어와 함께 묶인다.[2] 관련 언어인 저지 독일어는 고대 작센어 시대 이후로 다르게 발전해 왔으며 많은 잉그베오닉 특징을 잃었다.[2]

3. 방언

북프리슬란트어 방언은 크게 본토 방언과 섬 방언으로 나눌 수 있으며, 총 10개의 방언이 존재한다.[3] 19세기에 프리슬란트어 언어 연구가 시작된 이래로, 일반적으로 다음 10개의 방언이 구분되어 왔다.

; 섬 북프리슬란트어


  • 질트어 (Söl'ring)
  • 푀르-암룸어 (Fering, Öömrang)
  • 헬골란트어 (Halunder)


; 본토 북프리슬란트어

  • 비딩하르데어 (Wiringhiirder)
  • 뵈킹하르데어 (Mooringer)
  • 카르하르데어 (Karrharder)
  • 고에스하르데어 (Gooshirder)
  • * 북부 고에스하르데어 (Hoorninger Fräisch & Hoolmer Freesch 포함)
  • * 중부 고에스하르데어
  • * 남부 고에스하르데어 (1980년대 초부터 소멸)
  • 할리겐어 (Halifreesk)


북프리슬란트어 방언 분포


본토 방언과 섬 방언은 프리슬란트인의 이주 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질트, 푀르, 암룸 섬은 서기 800년경에, 본토는 서기 1100년에 프리슬란트인에 의해 정착되었다.[3]

인접 언어의 영향도 다양한 방언에 나타난다. 질트, 푀르, 암룸 섬과 비딩하르데어와 같은 본토 북부 일부 지역에서는 강한 덴마크어 (남부 윌란트어)의 영향을 받지만, 헬골란트와 나머지 본토 북프리슬란트에서는 저지 독일어의 영향이 우세하다.[3] 또한 역사적으로 방언 간 교류가 거의 없어 공통어가 거의 발달하지 못했고, 북프리슬란트에는 해당 방언이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문화 중심지가 없었다.[3]

3. 1. 섬 방언

질트어(Söl'ring), 푀르-암룸어(Fering, Öömrang), 헬골란트어(Halunder)는 섬 방언에 속한다. 푀르-암룸어에서 페링 방언과 욈랑 방언은 매우 유사하다.

  • '''쉔링 방언''': "''Ljucht, ual Muun, ljucht!'' skriilt Häwelmann, man di Muun wiar narigen tö sen en uk di Stiaren ek; ja wiar al altermaal tö Bēr gingen."
  • '''페링-엠란 방언''': "''Locht, ual muun, locht!'' rep Heewelmaan, man a muun wiar nochhuaren tu sen an a stäären uk ei; jo wiar al altermaal tu baad gingen."
  • '''헬골란트 방언''': "''Lochte, ool Muun, lochte!'' rüp Heäwelman, oawers de Muun wear naarni tu sin’n en uk de Steern ni; dja wear al allemoal tu Baad gingen."

3. 2. 본토 방언

비딩하르데어(Wiedingharde Frisian)와 뵈킹하르데어(Mooring (North Frisian dialect))(Mooringer), 카르하르데어(Karrharder), 고에스하르데어(Gooshirder), 할리겐어(Halligen Frisian)(Halifreesk) 등이 본토 방언에 속한다. 할리겐어(Halligen Frisian)는 할리겐 제도에서 사용되지만, 언어학적으로는 대륙 방언에 속한다.

3. 3. 방언 간 차이 및 특징

북프리슬란트어 방언은 크게 본토 방언과 섬 방언으로 나눌 수 있으며, 총 10개의 방언이 존재한다.[3] 섬 방언에는 질트어(Söl'ring), 푀르-암룸어(Fering, Öömrang), 헬골란트어(Halunder)가 있으며, 본토 방언에는 비딩하르데어(Wiringhiirder), 뵈킹하르데어(Mooringer), 카르하르데어(Karrharder), 고에스하르데어(Gooshirder), 할리겐어(Halifreesk)가 있다. 고에스하르데어는 다시 북부, 중부, 남부 고에스하르데어로 나뉜다.[3]

본토 방언과 섬 방언은 프리슬란트인 이주 시기의 차이로 인해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질트, 푀르, 암룸 섬은 800년경에, 본토는 1100년경에 프리슬란트인에 의해 정착되었다.[3] 또한, 인접 언어의 영향도 각 방언에 다르게 나타난다. 질트, 푀르, 암룸 섬과 본토 북부 일부 지역에서는 덴마크어(남부 윌란트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지만, 헬골란트와 나머지 본토 지역에서는 저지 독일어의 영향이 우세하다.[3] 역사적으로 방언 간 교류가 적어 공통어가 발달하지 못했고, 특정 방언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문화 중심지도 없었다.[3]

방언 간의 차이를 보여주는 예시로 테오도어 슈톰의 ''작은 Häwelmann''의 한 구절을 여러 방언으로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4]

  • '''섬 방언:'''
  • 졸링어: "Ljucht, ual Muun, ljucht!" skriilt Häwelmann, man di Muun wiar narigen tö sen en uk di Stiaren ek; ja wiar al altermaal tö Bēr gingen.[4]
  • 페링어-외므랑어: "Locht, ual muun, locht!" rep Heewelmaan, man a muun wiar nochhuaren tu sen an a stäären uk ei; jo wiar al altermaal tu baad gingen.[4]
  • 헬골란트어: "Lochte, ool Muun, lochte!" rüp Heäwelman, oawers de Muun wear naarni tu sin'n en uk de Steern ni; dja wear al allemoal tu Baad gingen.[4]

  • '''본토 방언:'''
  • 북고셰르데 프리슬란트어(랑엔호른): "Jocht, uule moune, jocht!" biilked Hääwelmoon, ors e moune waas närngs to schüns än da steere ok ai; ja weern al aal to beede gingen.[4]
  • 비딩하르데 프리슬란트어 방언: "Ljocht, uuile moone, ljocht!" biilked Hääwelmuon, män e moone was näärgen to schüns än uk e steere ai; jä würn al altomoale to beerd gingen.[4]
  • 할리겐 프리슬란트어: "Jaacht, uale mööne, jaacht!" bölked Hääwelmoon, man de mööne woas näärngs to siinen än de steere uk ee; jä weern al altomaole to beed giangen.[4]
  • 무어링어: "Jucht, üülje moune, jucht!" biiljked Hääwelmoon, ouers e moune wus nargne tu schüns än e stääre uk ai; ja wjarn ål åltumååle tu beed lim.[4]


페링어와 외므랑어는 매우 유사하여 거의 동일하게 나타난다.[4]

다음 표는 가족 명칭(아버지, 어머니, 누이, 형제)을 통해 다양한 방언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보여준다.[5]

방언아버지어머니누이형제
졸링어Faađer/FaađerfrrMooter/MooterfrrSester/SesterfrrBröđer/Bröđerfrr
페링어aatj/aatjfrrmam/mamfrrsaster/sasterfrrbruler/brulerfrr
외므랑어bruder/bruderfrr
할리겐 프리슬란트어baabe/baabefrrmäm/mämfrrsoster/sosterfrrbröör/bröörfrr
할룬더Foor/FoorfrrMem/MemfrrSöster/SösterfrrBruur/Bruurfrr
비딩하르데 프리슬란트어tääte/täätefrrmääm/määmfrrbroor/broorfrr
카르하르데 프리슬란트어mäm/mämfrrbrauder/brauderfrr
뵈킹하르데 프리슬란트어taatje/taatjefrrmam/mamfrrbrouder/brouderfrr
중앙 고셰르데 프리슬란트어ate/atefrrmäm/mämfrrbroor/broorfrr
남부 고셰르데 프리슬란트어fåår/fåårfrr, fååðer/fååðerfrrbrööðer/brööðerfrr
북고셰르데 프리슬란트어fååje/fååjefrrsoster/sosterfrrbrår/brårfrr



방언의 수가 많아 북프리슬란트어 자체에 대한 고유 명칭은 없지만, 북프리슬란트인들은 방언 간 명칭인 ''"friisk"''에 동의했다. 이는 서프리슬란트어의 고유 명칭인 ''"frysk"''에 해당하며, 노르프리이스크 인스티투트(Nordfriisk Instituut) 등 공식 기관 명칭에 주로 사용된다.[5]

3. 4. 소멸된 방언

아이더슈테트 프리슬란트어는 17, 18세기 동안 아이더슈테트 반도에서 저지 독일어로 대체되었다.[6] 백과는 달리, 아이더슈테트는 경제적으로 강력하고 부유했으며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의 남부, 저지 독일어 사용 지역에 집중되어 있었다. 게다가 16세기에는 네덜란드 이민이 있었다.[6]

부르카르디 홍수로 파괴된 슈트란트 섬에서도 상황이 비슷하게 벌어졌다. 노르트슈트란트 주민들은 스스로 제방을 재건하는 데 실패하여, 많은 사람이 슈트란트를 떠났거나, 네덜란드어를 사용하는 이민자들에 맞서 모국어를 유지할 수 없었다. 슈트란트의 서쪽 잔해인 펠름에서는 제방 수리가 빠르게 완료되어 18세기까지 프리슬란트어가 여전히 사용되었지만, 인구 구조 변화로 인해 사라졌다. 슈트란트 프리슬란트어는 할리겐 프리슬란트어와 가장 가까웠을 것이다.

푈르 섬의 비크에서 사용되었던 비크 프리슬란트어는 마을이 완전히 저지 독일어로 바뀌기 전까지 사용되었다. 비크 방언은 할리겐과 슈트란트 섬에서 온 이민자들의 방언에서 발전한 것으로 여겨진다.

1980년대 초 마지막 화자의 사망과 함께 남부 고샤르데 프리슬란트어가 소멸되었다. 다른 본토 방언들도 소멸 위기에 직면해 있다. 독일-덴마크 국경 북쪽에서는 북부 프리슬란트어가 국경 바로 근처에 위치한 일부 습지 농장에서만 사용되었다.[7]

4. 음운

4. 1. 자음

북프리슬란트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방언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다. 푀르 방언(Weesdring)은 치경음 /t/, /d/, /s/, /z/, /n/, /l/와 치음 /t̪/, /d̪/, /s̪/, /z̪/, /n̪/, /l̪/을 구별한다. 실트 방언에서는 /z/가 비치찰음 /ð/로 대체된다. 뵈킹하르데 방언(Mooring)에서는 치경 전동음 /r/이 연구개 전동음 /ʀ/로 대체된다.

4. 2. 모음

북프리슬란트어의 모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rowspan="3"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비원순원순
단모음장모음단모음장모음단모음장모음
고모음i
근고모음ɪʏʊ
중고모음eøːə
중저모음ɛɛːœœːɔɔː
개모음aɒː



이중 모음
전설 모음후설 모음
고모음iaua, ui
중모음øiou
ɛiœiɔi, ɔˑi
개모음ai, aˑiau, ɒːi


  • /uai/라는 삼중 모음은 푀르 방언에서만 나타난다.
  • /ia/와 /ua/는 뵈킹하르데(본토) 방언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 /øi/와 /ɒːi/는 푀르 방언에서만 나타난다.
  • /aˑi/, /œi/, /ɔˑi/, /ou/는 뵈킹하르데 방언에서만 나타난다.[8]


북프리슬란트 방언은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몇 가지 공통적인 음운론적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ɪ/에서 /a/로의 하강이 있는데, 이는 중앙 방언에서 거의 완료되었지만 주변부에서는 /ɛ/ 또는 /eː/ 단계에 머물러 있다. "물고기"를 뜻하는 단어는 무링 방언에서는 faschfrr, 페링-외옴랑 방언에서는 faskfrr, 쉴링 방언에서는 feskfrr이다.

무성 파열음 p, t, k의 유성음화 분포도 유사하게 나타난다. 중앙 방언에서는 유성 파열음이 되었고 일부는 마찰음으로까지 발전했다. "알다"라는 동사를 예로 들면, 무링 방언에서는 waasefrr, 페링-외옴랑 방언에서는 wedfrr, 쉴링 방언에서는 weetfrr, 할룬더 방언에서는 wetfrr이다.

최근 북프리슬란트어 방언의 음운 체계는 표준 독일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그 체계에 서서히 적응하고 있다.

5. 현재 상황

공식적으로 북프리슬란트어 사용자는 8,000명에서 10,000명 사이로 추산되지만[1] 언어학자들은 이보다 훨씬 적은 숫자를 제시한다. 2007년, Århammar는 북프리슬란트 지역 내에 5,000명, 외부 지역에 1,500명에서 2,000명의 화자가 있다고 추정했다.[3] 정확한 조사는 존재하지 않는다.

북프리슬란트어는 푀어와 암룸 섬의 몇몇 마을과 리줌-린드홀름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아이들이 더 이상 배우지 않기 때문에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유네스코의 ''멸종 위기에 처한 세계 언어 지도''에서 북프리슬란트어는 "심각한 위기"로 분류된다.[9] 푀어와 암룸의 화자 수는 약 3,500명으로 추정된다. 다른 방언들, 즉 카르하르데 프리슬란트어, 중앙 괴샤르데어, 할리겐 프리슬란트어는 실제로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3]

북프리슬란트어와 독일어로 쓰인 경찰서 표지판


북프리슬란트어 화자는 모두 최소한 이중 언어 구사자(북프리슬란트어 및 독일어)이다. 많은 사람들이 삼중 언어 구사자(북프리슬란트어, 독일어 및 저지 독일어)이며, 특히 덴마크 국경 지역에서는 사중 언어 구사(북프리슬란트어, 표준 독일어, 저지 독일어 및 남부 윌란트어)가 널리 퍼져 있었다.

슐레스비히-홀슈타인에서 북프리슬란트어는 소수 언어로서 지역 또는 소수 언어 유럽 헌장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 2004년 12월 24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에서 북프리슬란트어를 노르트프리슬란트 구역과 헬골란트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인정하는 주 법률이 발효되었다.[10]

참조

[1] 웹사이트 Minderheiten in Schleswig-Holstein – Friesen http://www.schleswig[...] Government of Schleswig-Holstein 2017-04-04
[2] 서적 Handbuch des Friesischen – Handbook of Frisian Studies Niemeyer
[3] 웹사이트 Das Nordfriesische, eine bedrohte Minderheitensprache in zehn Dialekten: eine Bestandsaufnahme http://www.opus.ub.u[...] University of Erlangen-Nuremberg
[4] 웹사이트 Die Nordfriesen und ihre Sprache http://www.nordfriis[...] Nordfriisk Instituut 2011-12-05
[5] 문서 After Walker and Wilts
[6] 웹사이트 Holländer http://www.geschicht[...] Gesellschaft für Schleswig-Holsteinische Geschichte
[7] 간행물 De vergeten Friezen - Mislukt pamflet van Benny Siewertsen over een boeiend thema Fryske Akademy
[8] 문서 Walker and Wilts
[9] 웹사이트 North Frisian http://www.unesco.or[...] UNESCO Publishing
[10] 웹사이트 Gesetz zur Förderung des Friesischen im öffentlichen Raum http://de.wikisour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