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프리슬란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프리슬란트어는 게르만어파의 프리지아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독일 니더작센주의 자터란트 지역에서 사용된다. 역사적으로 동프리지아어의 방언이었으며, 서프리지아어, 북프리지아어와 함께 고대 프리지아어에서 유래했다. 현재 약 2,000명의 화자가 사용하며, 노년층이 대부분을 차지하여 소멸 위기에 놓여 있다. 자터란트 지역의 고립된 환경으로 인해 저지 독일어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고유한 특징을 유지해 왔다. 사터프리슬란트어 보존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세 가지 주요 방언이 존재한다. 문법과 어휘는 다른 언어와 비교하여 특징적인 면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프리슬란트 - 주르후젠의 사탑
독일 주르후젠에 있는 주르후젠의 사탑은 중세 교회 일부로, 지하수위 변화로 기울기 시작했으나 보수 공사로 안정화되었으며 높이 27.37m, 무게 2,116톤이다. - 프리슬란트어 - 북프리슬란트어
북프리슬란트어는 독일 북부 노르트프리슬란트 지역에서 사용되는 프리슬란트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영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섬과 본토 방언으로 나뉘어 10개의 방언이 존재하나 현재는 유네스코에 의해 "심각한 위기" 언어로 분류된다. - 프리슬란트어 - 서프리슬란트어
서프리슬란트어는 네덜란드 북부 프리슬란트주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로, 동프리슬란트어, 자터프리슬란트어 및 북프리슬란트어와 함께 프리슬란트어군에 속하며, 1956년부터 네덜란드어와 함께 프리슬란트주의 공식 언어 지위를 가지지만 유네스코는 이를 사멸 위기 언어로 분류한다. - 독일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독일의 언어 - 쿠르드어
쿠르드어는 인도유럽어족 이란어파에 속하며 쿠르드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쿠르만지어, 소라니어, 남부 쿠르드어 등의 방언이 있고 터키, 이라크, 이란, 시리아 등지에 분포하며 다양한 문자로 표기된다.
| 동프리슬란트어 | |
|---|---|
| 기본 정보 | |
| 언어 이름 | 자체 명칭: Seeltersk 한국어 명칭: 동프리슬란트어 |
| 사용 국가 | 독일 |
| 사용 지역 | 니더작센주 잘터란트 지역 |
| 사용자 수 | 2,000명 (2015년 기준) |
| 언어 분류 | |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 어파 | 게르만어파 |
| 어군 | 서게르만어군 |
| 분기 | 앵글로프리지아어군 |
| 어계 | 프리지아어군 |
| 하위 언어 | 동프리지아어 Ems 방언 |
| 문자 체계 | |
| 문자 | 라틴 문자 |
| 언어 코드 | |
| ISO 639-3 | stq |
| Linguasphere | 52-ACA-ca |
| Glottolog | sate1242 (Ems-Weser Frisian) |
| 지리적 분포 | |
| 기타 | |
| 소수 언어 인정 | 독일 |
| 비공식 기관 | Seelter Buund in Saterland/Seelterlound |
2. 분류
역사적 관점에서 볼 때, 자터란트 프리지어는 동프리지아어의 ''엠스프리지아어'' 방언이다.[2] 엠스프리지아어는 과거 동프리지아 반도의 서쪽 절반과 옴란덴에서 사용되었다. 다른 동프리지아 방언군은 과거 동프리지아 반도의 동쪽 절반에서 베저 너머까지 사용되었던 ''베저프리지아어''였다.
동프리슬란트에서 온 정착민들은 자연 재해로 인해 서기 1100년경 고향을 떠나 자터란트에 프리지아어를 정착시켰다. 당시 인구가 희소하여 그들이 도착했을 때 고대 작센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정착민들의 프리지아어는 저지 독일어와 밀접하게 접촉하게 되었다.[6]
동프리슬란트어는 소멸위기언어 중 하나로 독일 니더작센주의 시골 지역인 올덴부르크에 살고 있는 주민 2,000명(거의 노년층)만이 자유롭게 구사한다.[9] 현재 이 지역의 학교에서 다시 동프리슬란트어를 교육하고 있다.
독일 니더작센주의 시골 지역인 올덴부르크에 살고 있는 주민 2,000명(거의 노년층)만이 동프리슬란트어를 자유롭게 구사하며, 소멸위기언어 중 하나이다. 현재 이 지역의 학교에서 동프리슬란트어를 교육하고 있다.[10]
동프리슬란트어에는 세 가지 주요 방언이 존재하며, 이들은 모두 상호 간에 완전히 이해 가능하다. 각 방언은 사텔란트 시의 세 주요 마을에서 사용된다. 람슬로(사텔란드어: Roomelse) 방언과 샤렐(Schäddel) 방언, 그리고 슈트뤼클링겐(Strukelje) 방언이 그것이다. 람슬로 방언은 현재 문법과 단어 목록의 기반으로 사용되어 일종의 표준어 지위를 누리고 있다.
사터프리지아어의 음운론은 언어학적으로 매우 보수적인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는 동프리지아어 전체가 고대 프리지아어와 관련하여 보수적이었기 때문이다.[16] 다음 내용은 마론 커티스 포트의 연구를 기반으로 한다.
서프리지아어, 북프리지아어와 함께 게르만어파의 프리지아어군에 속한다.[2] 세 개의 프리지아어는 고대 프리지아어에서 진화했다. 살아있는 프리지아 방언 중에서는 헬골란트어(할룬더)가 자터란트 프리지아어와 가장 가깝다.[2] 프리지아 방언 외에 가장 가까운 언어는 영어이다.
프리지아어와 영어는 종종 앵글로-프리지아어군으로 함께 묶인다. 오늘날 영어, 프리지아어, 저지 독일어 그리고 때로는 네덜란드어까지 북해 게르만어군이라는 범주로 함께 묶인다. 자터란트 프리지아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저지 독일어는 고대 작센어 시대부터 이미 많은 북해 게르만어 특징이 부족했다.[3] 반대로, 자터란트 프리지아어는 저지 독일어와 오랫동안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4][5]
3. 역사
동프리슬란트에서는 16세기 초에 프리지아어 사용자들이 저지 독일어 사용 인구에 동화되는 과정이 이미 진행 중이었다. 자터란트의 방언은 주로 지리적 요인으로 인해 지속되었다. 자터란트는 늪지로 둘러싸여 있어 주변 지역과의 접촉이 거의 없었다. 모래 언덕 위에 지어진 마을들은 기본적으로 섬과 같았다. 19세기까지 정착 지역은 극심한 날씨에 얼어붙거나 말라붙은 늪지를 걷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자터 엠스강(젤터 에/Seelter Äistq)을 통해 배로만 접근할 수 있었다.[6]
정치적으로 이 지역은 15세기에 생겨난 동프리슬란트 백작령에 속하지 않았으며, 올덴부르크 백작령에 편입될 때까지 소유주가 자주 바뀌었다. 이로 인해 형성된 경계는 단순한 정치적 경계가 아니라 종교적 경계이기도 했는데, 자터란트는 다시 가톨릭화되었기 때문이다.[6] 자터란트는 언어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올덴부르크와도 달랐다. 이것은 추가적인 고립을 야기했다.
늪지 개척, 도로 및 철도 건설로 자터란트는 고립이 덜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터프리지아어는 자터란트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공동체가 이 언어를 계속 사용했기 때문에 유지되었다. 이러한 공통 언어권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혼란을 겪었다. 동유럽에서 온 독일 귀환자들이 자터란트에 정착하면서 표준 독일어가 점차 자터프리지아어를 대체하게 되었다. 20세기 말에 예측되었던 언어 소멸은 일어나지 않았고, 화자 수는 안정적이지만, 오늘날 자터프리지아어 사용 공동체는 자터란트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소수만을 차지한다.[7][8]
4. 사용 지역

오늘날, 화자 수에 대한 추정치는 약간씩 다르다. 자테를란트 프리슬란트어는 자테를란트 전체 인구 약 10,000명 중 약 2,250명이 사용하며, 약 2,000명이 이 언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데, 이 중 원어민은 절반보다 약간 적다.[9] 원어민의 대다수는 노년층에 속하며, 자테를란트 프리슬란트어는 따라서 심각한 소멸 위기 언어이다. 그러나 여러 보고서에 따르면 젊은 세대 사이에서 화자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일부는 자녀를 자테를란트어로 키우고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소멸 직전 언어가 아닐 수도 있다.
5. 현황 및 보존 노력
1800년경부터 사터프리슬란트어는 점점 더 많은 언어학자들의 관심을 끌게 되었다. 언론 보도는 이러한 언어학적 관심, 특히 마론 커티스 포트의 연구가 언어 보존에 기여하고 화자들이 다음 세대에 언어를 전수하려는 관심을 되살리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주장한다.[10] 지난 세기 동안, 소량의 문학 작품이 사터프리슬란트어로 발간되었다. 또한, 성경의 신약성서는 기독교인이었던 포트에 의해 사터프리슬란트어로 번역되었다.[11]
사터란드어 어린이 도서는 독일어에 비해 그 수가 적다. 사터란트 지역 사회의 은퇴한 구성원인 마가레타 그로서가 독일어 어린이 도서를 다수 사터란드어로 번역했다.
최근에는 구글 플레이에서 "Kleine Saterfriesende" (작은 사터프리슬란트인)이라는 앱을 개발하여 어린이들이 사터란드어 어휘를 배울 수 있도록 돕고 있다.[12] 이 언어는 신조어를 생성할 수 있는 능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마스크를 위한 사터프리슬란트어 단어를 만들기 위한 대회를 통해 "Sküüldoukstq"이라는 용어가 채택되었다.[13][14]
독일 정부는 자터프리슬란트어 보존에 상당한 자원을 투입하지 않아, 대부분의 작업은 ''자터 분트''(Seelter Buund, 자터란트 동맹)에 의해 수행된다. 북프리슬란트어와 다섯 개의 다른 언어와 함께, 자터프리슬란트어는 1998년 독일의 지역 또는 소수 언어 유럽 헌장 제3부에 포함되었다.[15]
6. 방언
7. 음운
== 닿소리 (자음) ==
동프리슬란트어의 닿소리(자음)는 다음과 같다.colspan=2 | 양순음과 순치음 치경음 연구개음과 경구개음 성문음 비음 m n ŋ colspan=2 | 파열음 p b t d k ɡ colspan=2 | 마찰음 f v s z x ʁ h 유음 설측음 colspan=2 | l colspan=2 | colspan=2 | 전동음 colspan=2 | r colspan=2 | colspan=2 | 반모음 w colspan=2 | j colspan=2 |
오늘날 음절 종결부의 유성 파열음은 보통 종단 무성음화된다. 노년층 화자들과 다른 일부 화자들은 유성 종결부를 사용할 수 있다.[17]
== 홀소리 (모음) ==
=== 홑홀소리 (단모음) ===
자음 /r/은 음절 구조에 따라 음절 코다에서 종종 모음 [ɐ̯ ~ ɐ]로 실현된다.
'''단모음:'''
| 글자 | 음소 | 예시 |
|---|---|---|
| a | /a/ | fat (fat) |
| ä | /ɛ/ | Sät (잠시) |
| e | /ə/ | ze (그들) |
| i | /ɪ/ | Lid (사지) |
| o | /ɔ/ | Dot (어린이) |
| ö | /œ/ | bölkje (외치다) |
| u | /ʊ/ | Buk (책) |
| ü | /ʏ/ | Djüpte (깊이) |
=== 겹홀소리 (이중모음) ===
| 철자 | 음소 | 예시 |
|---|---|---|
| ai | /aːi/ | Bail (bail) |
| au | /aːu/ | Dau (dew) |
| ääu | /ɛːu/ | sääuwen (self) |
| äi | /ɛɪ/ | wäit (wet) |
| äu | /ɛu/ | häuw (hit, thrust) |
| eeu | /eːu/ | skeeuw (skew) |
| ieu | /iˑu/ | Griouw (advantage) |
| íeu | /iːu/ | íeuwen (even, plain) |
| iu | /ɪu/ | Kiuwe (chin) |
| oai | /ɔːɪ/ | toai (tough) |
| oi | /ɔy/ | floitje (to pipe) |
| ooi | /oːɪ/ | swooije (to swing) |
| ou | /oːu/ | Bloud (blood) |
| öi | /œːi/ | Böije (gust of wind) |
| uui | /uːɪ/ | truuje (to threaten) |
| üüi | /yːi/ | Sküüi (gravy) |
7. 1. 닿소리 (자음)
동프리슬란트어의 닿소리(자음)는 다음과 같다.| colspan=2 | | 양순음과 순치음 | 치경음 | 연구개음과 경구개음 | 성문음 | |||||
|---|---|---|---|---|---|---|---|---|---|
| 비음 | m | n | ŋ | colspan=2 | | |||||
| 파열음 | p | b | t | d | k | ɡ | colspan=2 | | ||
| 마찰음 | f | v | s | z | x | ʁ | h | ||
| 유음 | 설측음 | colspan=2 | | l | colspan=2 | | colspan=2 | | ||||
| 전동음 | colspan=2 | | r | colspan=2 | | colspan=2 | | |||||
| 반모음 | w | colspan=2 | | j | colspan=2 | | |||||
- ʁ는 /ʀ̝˖/이다.
- /nj, dj, sj, zj/는 /ɲ, dʑ, ɕ, ʑ/로 난다.
오늘날 음절 종결부의 유성 파열음은 보통 종단 무성음화된다. 노년층 화자들과 다른 일부 화자들은 유성 종결부를 사용할 수 있다.[17]
분류:프리슬란트어
7. 2. 홀소리 (모음)
자음 /r/은 음절 구조에 따라 음절 코다에서 종종 모음 [ɐ̯ ~ ɐ]로 실현된다.
'''단모음:'''
| 글자 | 음소 | 예시 |
|---|---|---|
| a | /a/ | fat (fat) |
| ä | /ɛ/ | Sät (잠시) |
| e | /ə/ | ze (그들) |
| i | /ɪ/ | Lid (사지) |
| o | /ɔ/ | Dot (어린이) |
| ö | /œ/ | bölkje (외치다) |
| u | /ʊ/ | Buk (책) |
| ü | /ʏ/ | Djüpte (깊이) |
| 철자 | 음소 | 예시 |
|---|---|---|
| ai | /aːi/ | Bail (bail) |
| au | /aːu/ | Dau (dew) |
| ääu | /ɛːu/ | sääuwen (self) |
| äi | /ɛɪ/ | wäit (wet) |
| äu | /ɛu/ | häuw (hit, thrust) |
| eeu | /eːu/ | skeeuw (skew) |
| ieu | /iˑu/ | Griouw (advantage) |
| íeu | /iːu/ | íeuwen (even, plain) |
| iu | /ɪu/ | Kiuwe (chin) |
| oai | /ɔːɪ/ | toai (tough) |
| oi | /ɔy/ | floitje (to pipe) |
| ooi | /oːɪ/ | swooije (to swing) |
| ou | /oːu/ | Bloud (blood) |
| öi | /œːi/ | Böije (gust of wind) |
| uui | /uːɪ/ | truuje (to threaten) |
| üüi | /yːi/ | Sküüi (gravy) |
7. 2. 1. 홑홀소리 (단모음)
자음 /r/은 음절 구조에 따라 음절 코다에서 종종 모음 [ɐ̯ ~ ɐ]로 실현된다.
'''단모음:'''
| 글자 | 음소 | 예시 |
|---|---|---|
| a | /a/ | fat (fat) |
| ä | /ɛ/ | Sät (잠시) |
| e | /ə/ | ze (그들) |
| i | /ɪ/ | Lid (사지) |
| o | /ɔ/ | Dot (어린이) |
| ö | /œ/ | bölkje (외치다) |
| u | /ʊ/ | Buk (책) |
| ü | /ʏ/ | Djüpte (깊이) |
7. 2. 2. 겹홀소리 (이중모음)
wikitable| 철자 | 음소 | 예시 |
|---|---|---|
| ai | /aːi/ | Bail (bail) |
| au | /aːu/ | Dau (dew) |
| ääu | /ɛːu/ | sääuwen (self) |
| äi | /ɛɪ/ | wäit (wet) |
| äu | /ɛu/ | häuw (hit, thrust) |
| eeu | /eːu/ | skeeuw (skew) |
| ieu | /iˑu/ | Grieuw (advantage) |
| íeu | /iːu/ | íeuwen (even, plain) |
| iu | /ɪu/ | Kiuwe (chin) |
| oai | /ɔːɪ/ | toai (tough) |
| oi | /ɔy/ | floitje (to pipe) |
| ooi | /oːɪ/ | swooije (to swing) |
| ou | /oːu/ | Bloud (blood) |
| öi | /œːi/ | Böije (gust of wind) |
| uui | /uːɪ/ | truuje (to threaten) |
| üüi | /yːi/ | Sküüi (gravy) |
8. 문자
사터프리슬란트어는 비교적 최근에 문어로 정착되었다. 독일어 정서법은 모음이 풍부한 프리슬란트어를 제대로 표현할 수 없다. 20세기 중반까지, 이 언어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자체적인 정서법을 개발했다. 1930년대부터 사터프리슬란트어로 시를 발표한 시인 게시나 레흐테-지머는 문화 역사가 율리우스 브뢰링의 제안을 채택했다.[21]
1950년대에 흐로닝언 대학교의 교수인 옐레 브라우어는 네덜란드어에 기반한 정서법을 제시했지만,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사터프리슬란트어를 연구한 서프리슬란트 출신 피트 크라머는 음소 정서법을 개발했다.[22] 미국의 언어학자 마론 커티스 포트는 브라우어의 네덜란드어 기반 정서법을 자신의 제안의 기초로 삼았다.[24] 두 정서법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장모음을 표현하는 방식이다. 크라머는 장모음을 항상 이중 모음으로 표기할 것을 제안하는 반면(예: baalestq '말하다'), 포트는 열린 음절의 장모음은 단일 모음으로 표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사터프리슬란트어의 열린 음절 모음은 항상 장모음이므로)(예: balestq '말하다'). 두 제안 모두 포트가 반장모음과 장모음을 구별하기 위해 예각 기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발음 구별 부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아직까지 표준은 확립되지 않았다. 크라머의 지도를 받은 연구자들은 그의 정서법을 사용하고, 포트는 자신의 저작물을 자신의 정서법으로 출판했으며, 이는 독일 당국에서도 인정받고 있다. 다른 사람들은 절충안을 사용한다.[23] 이러한 표준의 부재는 샤렐 마을의 표지판이 현재 사용되는 Skäddelstq 대신 Schäddelstq로 표기되는 결과를 낳았다.
9. 문법
9. 1. 인칭 대명사
작터란트프리슬란트어의 주격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18]| 단수 | 복수 | ||
|---|---|---|---|
| 1인칭 | iek | wie | |
| 2인칭 | du | jie | |
| 3인칭 | 남성 | hie, er | jo, ze (unstr.) |
| 여성 | ju, ze (unstr.) | ||
| 중성 | dät, et, t | ||
작터란트프리슬란트어의 1부터 10까지의 숫자는 다음과 같다. 1에서 3까지의 숫자는 명사의 성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
| 작터란트프리슬란트어 | 영어 |
|---|---|
| aan (남성), een (여성, 중성) | one |
| twäin (남성), two (여성, 중성) | two |
| träi (남성), trjo (여성, 중성) | three |
| fjauer | four |
| fieuw | five |
| säks | six |
| sogen | seven |
| oachte | eight |
| njúgen | nine |
| tjoon | ten |
다음은 작터란트프리슬란트어, 저지 독일어, 독일어, 영어의 1부터 10까지의 숫자를 비교한 표이다.
| 작터란트프리슬란트어 | 저지 독일어 | 독일어 | 영어 |
|---|---|---|---|
| aan (남성), een (여성, 중성) | een | eins | one |
| twäin (남성), two (여성, 중성) | twee | zwei | two (and the old masculine twain) |
| träi (남성), trjo (여성, 중성) | dree | drei | three |
| fjauer | veer | vier | four |
| fieuw | fief | fünf | five |
| säks | söss | sechs | six |
| sogen | söben | sieben | seven |
| oachte | acht | acht | eight |
| njúgen | negen | neun | nine |
| tjoon | teihn | zehn | ten |
9. 2. 수사
10. 어휘
사터프리슬란트어는 모든 문맥에서 게벤/gebende에 해당하는 동사를 대체하는 동사 레케/rekestq (예: 다흐 락트 엣 류데, 두 데어 발레/Daach rakt et Ljude, doo deer baalestq…,[19] 독일어: Doch gibt es Leute, die da sprechen; '그러나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또는 크베데/kwedestq ('말하다')와 같이 동프리슬란트어의 몇 가지 어휘적 특징을 보존하고 있는데, 이는 영어 'quoth'와 비교할 수 있다. 고대 프리슬란트어에는 퀘타/quethastq와 세자/sedzastq가 존재했다 (아우구스티누스 세이트 안데 퀘트/Augustinus seith ande quethstq…).[20] 초기 서게르만어 형태에서는 흔했지만 동프리슬란트어에서만 살아남은 또 다른 단어는 '칼'을 의미하는 삭스/Soaksstq이다 (색스 비교).
11. 다른 언어와의 비교
| 언어 | 문장 |
|---|---|
| 동프리슬란트어 | Die Wänt strookede dät Wucht uum ju Keeuwe un oapede hier ap do Sooken.stq |
| 북프리슬란트어(모링 방언) | Di dreng aide dåt foomen am dåt kan än mäket har aw da siike.frr |
| 서프리슬란트어 | De jonge streake it famke om it kin en tute har op 'e wangen.fry |
| 저지 독일어(동프리슬란트 방언) | De Jung straktde dat Wicht üm't Kinn to un tuutjede hör up de Wangen.nds |
| 네덜란드어 | De jongen aaide/streelde het meisje over haar kin en kuste haar op haar wangen.nl |
| 독일어(표준 독일어) | Der Junge streichelte das Mädchen ums Kinn und küsste sie auf die Wangen.de |
| 영어 | The boy stroked the girl on the chin and kissed her on the cheeks.영어 |
12. 예문
마론 커티스 포트가 번역한 신약성서의 자터프리슬란트어 발췌문이 2000년에 출판되었다.[24]
주기도문:[24]
Uus Foar in dän Hemel, din Nome wäide heliged,[24]
läit dien Riek boalde kume, läit din Wille geskjo so in dän Hemel as ap ju Äide.[24]
Dou uus dälig dät Brood, dät wie bruke.[24]
Un ferreke uus uus Skeelden, so as wie ze uus Skeeldlju-dene ferroat häbe.[24]
Un lede uus nit in Fersäikenge, man rädde uus fóar dät Kwode. Dan dienen is dät Riek un ju Krääft un ju Heerdelkaid bit in alle Eeuwigaid.[24]
Amen.[24]
자터란트의 지역 국가로 여겨지는 자터리트/Seelter Läidde의 첫 번째 연은 다음과 같다:
Ljude rakt et fuul un Lounde,
Do ap Goddes Wareld stounde.
Man wät gungt deer wäil uur Seelter,
Un uur’t litje Seelterlound?
참조
[1]
웹사이트
r-s
http://www.linguasph[...]
2013-03-01
[2]
서적
Handbuch des Friesischen
Max Niemeyer Verlag
2001
[3]
서적
Handbuch des Friesischen
Max Niemeyer Verlag
2001
[4]
서적
Spurensuche im Saterland: Ein Lesebuch zur Geschichte einer Gemeinde friesischen Ursprungs im Oldenburger Münsterland
https://www.worldcat[...]
Soltau-Kurier
1998
[5]
서적
Handbuch der Sprachminderheiten in Deutschland
Gunter Narr Verlag
2022-11-28
[6]
서적
Reise durch Osnabrück und Niedermünster in das Saterland, Ostfriesland und Groeningen
Theodor Schuster
1977
[7]
서적
Saterfriesisches Wörterbuch
Buske
1980
[8]
서적
Das Saterland und das Saterländische
Oldenburgische Landschaft Verlag
[9]
웹사이트
Saterfriesisch
https://www.ethnolog[...]
2022-11-28
[10]
웹사이트
Eine Sprache für drei Dörfer
https://p.dw.com/p/G[...]
2015-01-15
[11]
웹사이트
Der letzte Saterfriese
https://p.dw.com/p/G[...]
2009-09-28
[12]
웹사이트
Kleine Saterfriesen - Apps on Google Play
https://play.google.[...]
2022-06-15
[13]
뉴스
Was heißt "Mund-Nasen-Schutz" auf Saterfriesisch?
https://www.ndr.de/n[...]
NDR
2022-11-28
[14]
뉴스
Bäte dusse Sküüldouk wädt Seeltersk boald! Alles verstanden?
https://www.ndr.de/n[...]
NDR
2022-11-28
[15]
간행물
Nationale Minderheiten, Minderheitensprachen und die Regionalsprache Niederdeutsch in Deutschland
https://www.bmi.bund[...]
Bundesministerium für Inneres, Bau und Sicherheit
2022-11-29
[16]
서적
Handbuch des Friesischen
Max Niemeyer Verlag
2001
[17]
논문
Saterland Frisian
[18]
서적
The Personal Pronouns in the German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 Co
2017-05-29
[19]
서적
Ju Seelter Kroune
Ostendorp Verlag
1977
[20]
서적
Emsiger Recht
Vandenhoeck & Ruprecht
1967
[21]
서적
Das Saterland: Eine Darstellung von Land, Leben, Leuten in Wort und Bild
Stalling
1897
[22]
서적
Kute Seelter Sproakleere = Kurze Grammatik des Saterfriesischen
Ostendorp Verlag
1982
[23]
서적
Grammatik des Saterfriesischen
https://www.seelters[...]
Fryske Akademie
2021
[24]
서적
Dät Näie Tästamänt un do Psoolme in ju aasterlauwersfräiske Uurtoal fon dät Seelterlound, Fräislound, Butjoarlound, Aastfräislound un do Groninger Umelounde
https://www.worldcat[...]
Bis-Verlag
2000
[25]
논문
フリジア語とフリジア人について
https://hdl.handle.n[...]
北海道大学ドイツ語学・文学研究会
2021-08-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