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드워드 텔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드워드 텔러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부다페스트 출신의 미국 물리학자이다. 1930년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밑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얀-텔러 효과 예측, 브루나우어-에멧-텔러 등온선 개발 등 다양한 연구에 기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맨해튼 계획에 참여하여 핵분열 폭탄 개발에 기여했으며, 수소폭탄 개발을 강력하게 주장했다. 오펜하이머의 보안 청문회에서 증언하여 과학계에서 배척당하기도 했으며, 전략방위구상(SDI)을 지지하는 등 핵무기 개발과 평화적 핵폭발을 옹호했다. 1991년에는 이그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2003년 9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 워싱턴 대학교 - 위키마니아
    위키마니아는 위키미디어 운동의 연례 국제 컨퍼런스로, 위키백과 등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사용자, 개발자, 연구자, 지지자들이 모여 위키 관련 주제를 논의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위키미디어 운동의 발전과 커뮤니티 성장에 기여하고 한국 커뮤니티 또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조지 워싱턴 대학교 - 엘리엇 국제 관계 학교
    엘리엇 국제 관계 학교는 1898년 조지 워싱턴 대학교에서 시작되어 1988년 현재 이름으로 개칭되었으며, 워싱턴 D.C.에 위치하여 정부 기관 및 국제기구와의 협력이 용이하고, 국제 관계 분야에서 높은 평판을 얻고 있는 조지 워싱턴 대학교의 국제 관계 대학원이다.
  •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 제러미 벤담
    영국의 법철학자이자 사회개혁가인 제러미 벤담은 공리주의 철학의 창시자로, 법 개혁과 사회 개혁에 헌신하며 공리주의를 체계화하고 판옵티콘 감옥 모델을 제안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 윌리엄 헨리 브래그
    윌리엄 헨리 브래그는 X선 분광기를 발명하고 X선 결정학을 창시하여 1915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과학 발전과 교육에 기여한 영국의 물리학자이다.
에드워드 텔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58년의 에드워드 텔러
1958년의 텔러
원어 이름Teller Ede
원어 이름 (언어)hu
출생일1908년 1월 15일
출생지부다페스트, 오스트리아-헝가리
사망일2003년 9월 9일
사망지스탠퍼드, 캘리포니아주, 미국
국적헝가리
미국 (1941년 3월 6일)
분야물리학 (이론)
알려진 업적수소폭탄
텔러-울람 설계
애쉬킨-텔러 모델
브루나워-에멧-텔러 이론
가모프-텔러 전환
잉글리스-텔러 방정식
얀-텔러 효과
리데인-삭스-텔러 관계
푀슐-텔러 포텐셜
레너-텔러 효과
메트로폴리스-헤이스팅스 알고리즘
배우자아우구스타 마리아 하르카니 (1934년–2000년, 그녀의 사망까지)
자녀2명
학력
모교카를스루에 공과대학교 (이학 학사)
뮌헨 대학교
라이프치히 대학교 (철학 박사)
박사 지도 교수베르너 하이젠베르크
박사 학위 논문 제목Über das Wasserstoffmolekülion (수소 분자 이온에 대하여)
박사 학위 취득 년도1930년
박사 학위 논문 URLhttp://www.worldcat.org/oclc/46098336
박사 과정 학생라스즐로 티사 (1932년)
찰스 크리치필드 (1939년)
마빈 레너드 골드버거 (1948년)
보리스 야콥손 (1947년)
양전닝 (1949년)
링컨 울펜스타인 (1949년)
마셜 로젠블루스 (1949년)
한스-페터 뒤르 (1956년)
주목할 만한 학생잭 스타인버거
경력
직장괴팅겐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조지 워싱턴 대학교
맨해튼 계획
시카고 대학교
플로리다 공과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로렌스 리버모어 연구소
후버 연구소
수상
수상 내역대통령 자유 훈장 (2003년)
미국 국가 과학 훈장 (1982년)
에링겐 메달 (1980년)
하비 상 (1975년)
엔리코 페르미 상 (1962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상 (1958년)
서명
에드워드 텔러 서명
에드워드 텔러 서명

2. 생애

에드워드 텔러는 190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부다페스트에서 태어나 1926년 헝가리를 떠나 독일에서 고등 교육을 받았다. 1930년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에게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괴팅겐 대학교에서 2년을 보냈다. 1934년 유대인 구출 위원회의 도움으로 독일을 탈출하여 영국을 거쳐 닐스 보어가 있던 코펜하겐에서 1년간 머물렀다. 1935년 미국으로 이주하여 1941년까지 조지 워싱턴 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으며, 이 과정에서 조지 가모프를 만났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텔러는 전쟁에 기여하고자 칼텍의 시어도어 폰 카르만의 조언에 따라 한스 베테와 협력하여 충격파 전파 이론을 개발했다. 이들의 연구는 훗날 미사일 재돌입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었다.

1958년부터 1960년까지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 소장을 역임했고, 이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연구소 부소장으로 근무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0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부다페스트에서 태어났다. 1926년 헝가리를 떠나 독일에서 고등교육을 받았다. 1930년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베르너 하이젠베르크로부터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괴팅겐 대학교에서 2년을 보냈고, 1934년에 유대인 구출 위원회(Jewish Rescue Committee)의 도움으로 독일을 탈출했다. 잠시 영국에 머물다가, 닐스 보어가 있던 코펜하겐에서 1년을 지냈다. 1935년 미국으로 이주한 뒤 1941년까지 조지 워싱턴 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여기서 그는 조지 가모프를 만났다.[2][3][4]

텔러는 1908년 1월 15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부다페스트에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피아니스트였던 일로나와 변호사였던 믹사 텔러였다. 그는 부다페스트의 민타 김나지움에 다녔다.[5] 텔러는 불가지론자였다. 그는 "종교는 우리 가족에게 문제가 되지 않았다... 내가 받아들인 신에 대한 생각은 그가 존재한다면 멋질 것이라는 것이었다."라고 썼다. 텔러는 말이 늦었지만 숫자에 매우 관심이 많았고, 머릿속으로 큰 수를 계산했다.[6]

젊은 시절의 텔러


텔러는 1926년 헝가리에서 독일로 떠났는데, 미클로시 호르티 정권하의 차별적인 ''누메루스 클라우수스'' 규정 때문이었다. 그의 젊은 시절 헝가리의 정치적 분위기와 혁명은 공산주의와 파시즘에 대한 지속적인 반감을 심어주었다.[7]

1926년부터 1928년까지 텔러는 카를스루에 대학교에서 수학과 화학을 공부했고, 화학 공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8][9] 그는 허먼 마크 덕분에 물리학자가 되었다고 말했다. 분자 분광학에 대한 강의를 들은 후 마크는 화학의 최전선을 급격히 바꾸고 있는 것은 물리학의 새로운 아이디어라는 것을 그에게 분명히 했다.[11] 마크는 고분자 화학 전문가였고, 텔러에게 루이 드 브로이 등이 이룬 양자 물리학의 주요 돌파구에 대해 가르쳤다. 마크의 강의가 텔러가 처음으로 물리학으로 전향하도록 동기를 부여했다.[12] 아버지에게 전향 의사를 알린 후, 아버지는 너무 걱정되어 그를 방문하여 학교 교수들과 이야기했다. 화학 공학 학위는 화학 회사에서 고소득 직업으로 가는 확실한 길이었지만, 물리학 학위를 받은 경력에 대한 그러한 명확한 경로는 없었다. 그는 아버지가 교수들과 나눈 논의에 대해 알지 못했지만, 결과적으로 그는 물리학자가 되는 아버지의 허락을 받았다.[13]

그 후 텔러는 뮌헨 대학교에서 아놀드 조머펠트 밑에서 물리학을 공부했다. 1928년 7월 14일, 뮌헨에서 아직 학생이었던 텔러는 전차에서 뛰어내려 넘어졌고 바퀴가 그의 오른발을 거의 절단할 뻔했다. 그는 일생 동안 절뚝거리며 걸었고, 때때로 의족을 착용했다.[14] 그가 복용하고 있던 진통제가 그의 생각을 방해했기 때문에, 그는 플라시보 효과를 사용하는 등 정신력으로 통증을 극복하기로 결정했다.[15] 베르너 하이젠베르크는 텔러가 그 사고에 그렇게 잘 대처할 수 있었던 것은 그의 정신의 강인함 때문이라고 말했다.[16]

1935년 미국에 입국할 때 텔러가 소지했던 헝가리 여권


1929년, 텔러는 라이프치히 대학교로 옮겨 1930년 하이젠베르크 밑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텔러의 박사 논문은 수소 분자 이온에 대한 최초의 정확한 양자 역학적 처리 중 하나를 다루었다. 그해 그는 러시아 물리학자 조지 가모프레프 란다우와 친구가 되었다. 체코 물리학자 조지 플라체크와의 텔러의 평생 우정은 그의 과학적, 철학적 발전에 매우 중요했다. 플라체크는 1932년 엔리코 페르미와 함께 로마에서 여름을 보낼 수 있도록 주선하여 텔러의 과학 경력을 핵물리학으로 방향을 잡게 했다.[17] 1930년 텔러는 막스 보른과 제임스 프랭크가 있었던 괴팅겐 대학교로 이전했다. 아돌프 히틀러가 1933년 1월 독일의 총리가 된 후, 독일은 유대인들에게 안전하지 않은 곳이 되었고, 그는 국제 구호 위원회의 도움을 받아 독일을 떠났다. 그는 잠시 영국에 갔다가 닐스 보어 밑에서 일한 코펜하겐으로 1년 동안 이사했다.[18] 1934년 2월 그는 오랫동안 사귀던 여자 친구인 친구의 여동생인 아우구스타 마리아 "미치"와 결혼했다. 미치가 칼뱅주의 기독교인이었기 때문에 에드워드와 그녀는 칼뱅주의 교회에서 결혼했다.[19] 그는 1934년 9월 영국으로 돌아왔다.

미치는 피츠버그에서 학생이었고 미국으로 돌아가고 싶어했다. 조지 가모프 덕분에 1935년 텔러가 미국에 초청되어 조지 워싱턴 대학교에서 물리학 교수가 되면서 그녀의 기회가 왔다. 그는 1941년까지 가모프와 함께 일했다.[20] 1937년 조지 워싱턴 대학교에서 텔러는 특정 상황에서 분자를 왜곡하는 얀-텔러 효과를 예측했다. 이것은 금속의 화학 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특히 특정 금속 염료의 색상에 영향을 미친다.[21] 텔러와 헤르만 아서 얀은 순수 수학 물리학의 일부로 분석했다. 스티븐 브루나우어와 폴 휴 에멧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텔러는 표면 물리학 및 화학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텔러와 미치는 1941년 3월 6일에 미국 시민이 되었다.

텔러는 어린 시절 헝가리에서 공산주의 정권하에 가족이 재산을 몰수당하고 빈곤해지는 경험을 했다.[89] 이러한 경험과 더불어, 세계 대공황의 여파로 독일에서 자본주의의 붕괴를 목격하면서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에 대한 양가적인 감정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미국으로 건너간 후, 친구 레프 란다우가 소련 정부에 의해 체포되었다는 소식을 듣는 등 소련에 대한 반감을 점차 강하게 갖게 되었다. 1943년 요시프 스탈린 체제하의 부당한 재판과 숙청을 그린 아서 케스트너의 소설 『어둠 속의 정오』를 읽은 것이 결정적인 계기가 되어, 이후로는 강한 반공 감정을 갖게 되었다.[92]

2. 2. 미국에서의 초기 활동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부다페스트에서 태어난 텔러는 1926년 헝가리를 떠나 독일에서 고등교육을 받았다. 1930년 라이프치히에서 베르너 하이젠베르크로부터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괴팅겐에서 2년을 보내고, 1934년에 유대인 구출 위원회의 도움으로 독일을 탈출했다. 잠시 영국에 머물다가, 닐스 보어가 있던 코펜하겐에서 1년을 지냈다. 1935년 미국으로 이주한 뒤 1941년까지 조지 워싱턴 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으며, 여기서 조지 가모프를 만났다.

에드워드 텔러는 1908년 1월 15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부다페스트에서 헝가리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피아니스트였던 일로나와 변호사였던 믹사 텔러였다.[2][3][4] 그는 부다페스트의 민타 김나지움에 다녔다.[5] 텔러는 말이 늦었지만 숫자에 매우 관심이 많았고, 재미 삼아 머릿속으로 큰 수를 계산했다.[6]

텔러는 1926년 헝가리에서 독일로 떠났는데, 부분적으로는 미클로시 호르티 정권하의 차별적인 ''누메루스 클라우수스'' 규정 때문이었다. 그의 젊은 시절 헝가리의 정치적 분위기와 혁명은 공산주의와 파시즘에 대한 지속적인 반감을 심어주었다.[7]

1926년부터 1928년까지 텔러는 카를스루에 대학교에서 수학과 화학을 공부했고, 화학 공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8][9] 그는 한때 방문 교수였던 허먼 마크 덕분에 물리학자가 되었다고 말했다. 분자 분광학에 대한 강의를 들은 후 마크는 화학의 최전선을 급격히 바꾸고 있는 것은 물리학의 새로운 아이디어라는 것을 그에게 분명히 했다.[11] 마크는 그에게 루이 드 브로이 등이 이룬 양자 물리학의 주요 돌파구에 대해 가르쳤다. 마크의 강의에 대한 접근이 텔러가 처음으로 물리학으로 전향하도록 동기를 부여했다.[12] 아버지에게 전향 의사를 알린 후, 아버지는 너무 걱정되어 그를 방문하여 학교 교수들과 이야기했다. 화학 공학 학위는 화학 회사에서 고소득 직업으로 가는 확실한 길이었지만, 물리학 학위를 받은 경력에 대한 그러한 명확한 경로는 없었다. 그는 아버지가 교수들과 나눈 논의에 대해 알지 못했지만, 결과적으로 그는 물리학자가 되는 아버지의 허락을 받았다.[13]

그 후 텔러는 아놀드 조머펠트 밑에서 물리학을 공부한 뮌헨 대학교에 다녔다. 1928년 7월 14일, 뮌헨에서 아직 학생이었던 텔러는 근처 알프스에서 하이킹을 하기 위해 기차를 타러 가는 길에 전차에서 뛰어내렸다. 그는 넘어졌고 바퀴가 그의 오른발을 거의 절단할 뻔했다. 그는 일생 동안 절뚝거리며 걸었고, 때때로 의족을 착용했다.[14] 그가 복용하고 있던 진통제가 그의 생각을 방해했기 때문에, 그는 진통제를 복용하는 대신 플라시보 효과를 사용하는 등 정신력으로 통증을 극복하기로 결정했다.[15] 베르너 하이젠베르크는 텔러가 그 사고에 그렇게 잘 대처할 수 있었던 것은 금욕주의가 아니라 그의 정신의 강인함 때문이라고 말했다.[16]

1929년, 텔러는 라이프치히 대학교로 옮겨 1930년 하이젠베르크 밑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텔러의 박사 논문은 수소 분자 이온에 대한 최초의 정확한 양자 역학적 처리 중 하나를 다루었다. 그해 그는 러시아 물리학자 조지 가모프레프 란다우와 친구가 되었다. 체코 물리학자 조지 플라체크와의 텔러의 평생 우정은 그의 과학적, 철학적 발전에 매우 중요했다. 플라체크는 1932년 엔리코 페르미와 함께 로마에서 여름을 보낼 수 있도록 주선하여 텔러의 과학 경력을 핵물리학으로 방향을 잡게 했다.[17] 또한 1930년 텔러는 막스 보른제임스 프랑크가 있었기 때문에 당시 세계 최고의 물리학 중심지 중 하나였던 괴팅겐 대학교로 이전했다. 그러나 아돌프 히틀러가 1933년 1월 독일의 총리가 된 후, 독일은 유대인들에게 안전하지 않은 곳이 되었고, 그는 국제 구호 위원회의 도움을 받아 독일을 떠났다. 그는 잠시 영국에 갔다가 닐스 보어 밑에서 일한 코펜하겐으로 1년 동안 이사했다. 1934년 2월 그는 오랫동안 사귀던 여자 친구인 친구의 여동생인 아우구스타 마리아 "미치"와 결혼했다. 미치가 칼뱅주의 기독교인이었기 때문에 에드워드와 그녀는 칼뱅주의 교회에서 결혼했다.[16][18] 그는 1934년 9월 영국으로 돌아왔다.[19]

미치는 피츠버그에서 학생이었고 미국으로 돌아가고 싶어했다. 조지 가모프 덕분에 1935년 텔러가 미국에 초청되어 조지 워싱턴 대학교에서 물리학 교수가 되면서 그녀의 기회가 왔다. 그는 1941년까지 가모프와 함께 일했다. 1937년 조지 워싱턴 대학교에서 텔러는 특정 상황에서 분자를 왜곡하는 얀-텔러 효과를 예측했다. 이것은 금속의 화학 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특히 특정 금속 염료의 색상에 영향을 미친다.[20] 텔러와 헤르만 아서 얀은 순수 수학 물리학의 일부로 분석했다. 스티븐 브루나우어와 폴 휴 에멧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텔러는 표면 물리학 및 화학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21] 텔러와 미치는 1941년 3월 6일에 미국 시민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자 텔러는 전쟁 노력에 기여하고 싶어했다. 저명한 칼텍의 항공 역학자이자 헝가리 이민자인 시어도어 폰 카르만의 조언에 따라 텔러는 그의 친구 한스 베테와 협력하여 충격파 전파 이론을 개발했다. 후년에 그들이 그러한 파동 뒤의 기체의 거동에 대한 설명은 미사일 재돌입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에게 귀중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3. 맨해튼 계획

1942년, 에드워드 텔러는 브릭스 위원회(Briggs committee)에서 근무하면서 맨해튼 계획에 참가했다. 그는 로스앨러모스 국립 연구소의 이론물리학 부문에 소속되어 핵분열을 이용한 핵폭탄에서 핵융합을 이용하는 핵폭탄(수소폭탄)으로의 발전이 당연하다고 강력히 주장했다.[93][94][95]

로스앨러모스 국립 연구소(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에서 찍은 텔러의 신분증 사진


텔러는 로버트 오펜하이머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캠퍼스에서 연 맨해튼 계획 세미나에 초청받았다. 이 자리에서 텔러는 엔리코 페르미와의 논의를 통해 핵융합 반응을 이용한 무기 개발 가능성에 주목했고, "슈퍼"(Super)라고 불리는 핵융합 무기, 즉 수소폭탄의 초기 개념을 제시했다.

아서 콤프턴은 여러 대학교의 우라늄 연구를 조정하기 위해 과학자들을 시카고의 금속공학 연구소로 모았다. 텔러 부부는 미국 시민이었지만, 적국에 친척이 있다는 이유로 처음에는 시카고로 가지 않았다.[46] 1943년 초, 뉴멕시코에 로스앨러모스 연구소가 건설되면서, 텔러는 1943년 3월에 그곳으로 이주하여 원자폭탄 설계에 참여했다.

텔러는 이론(T) 부서의 일원이 되었지만, 부서장 자리가 한스 베테에게 돌아가자 불쾌감을 느꼈다.[46] 그는 핵분열 무기 개발의 특이한 접근 방식을 조사했지만, 실용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는 수소화우라늄을 사용하는 것을 연구했지만, 그 효율은 "무시할 만하거나 그 이하"였다.[46] 전쟁 중 핵융합 무기 연구는 우선순위가 낮았지만, 텔러는 꾸준히 연구를 이어갔다.[46]

텔러는 내파 메커니즘 해명 등 폭탄 연구에 중요한 공헌을 했다. 그는 성공적인 고체 피트 설계를 최초로 제안했으며, 이는 로버트 F. 크리스티의 이름을 따서 "크리스티 피트"로 알려지게 되었다.[22][23][24][25] 1945년 7월 트리니티 핵실험을 지켜본 텔러는 원자 섬광이 "마치 어두운 방의 커튼을 젖히자 밝은 햇빛이 쏟아져 들어오는 것 같았다"고 회상했다.[26]

3. 1. 수소폭탄 개발

1942년 맨해튼 계획에 참가한 텔러는 핵분열을 이용한 핵폭탄에서 핵융합을 이용하는 핵폭탄(수소폭탄)으로의 발전이 당연하다고 강력히 주장했다.[93][94][95] 1949년 소련의 핵폭탄 개발 성공 이후 1950년 로스 앨러모스로 돌아와 수소폭탄 계획에 참여했다. 그와 스타니스와프 울람이 실제 작동하는 수소폭탄 설계를 제출하였지만, 그 계획을 지휘하는 장이 되지 못했다.[93][100] 1952년 오늘날의 마셜 제도에서 최초의 수소폭탄인 아이비 마이크가 성공적으로 폭발했다.

1942년, 텔러는 로버트 오펜하이머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캠퍼스에서 연 맨해튼 계획 세미나에 초청받았다. 텔러는 엔리코 페르미와의 논의에서 핵융합 반응을 이용한 무기 개발 가능성에 주목했고, "슈퍼"(Super)라고 불리는 핵융합 무기, 즉 수소폭탄의 초기 개념을 제시했다.

텔러는 로스앨러모스 연구소 이론(T) 부서에서 핵융합 무기 연구를 계속 추진했지만, 핵분열 무기 제조가 우선시되었기 때문에 그의 연구는 낮은 우선순위를 가졌다. 마리아 괴퍼트-마이어가 텔러의 계산을 확인한 결과, 슈퍼는 작동하지 않을 것이었다.

1946년 텔러는 로스앨러모스에서 열린 수소폭탄 연구 회의에 참석하여 수소폭탄 개발이 실현 가능하다는 낙관적인 보고서를 제출했다. 그러나 삼중수소의 양과 중수소 연소 과정에서의 방사선 손실 문제로 인해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했다.

텔러-울람 설계는 핵분열 및 핵융합 연료를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하고, 1차 장치에서 나오는 X선을 주변 케이싱에서 "반사"시켜 2차 장치를 압축했다.


1949년 소련의 원자폭탄 시험 폭발 이후, 해리 트루먼 대통령은 수소폭탄 개발 프로그램을 발표했고, 텔러는 1950년 로스앨러모스로 돌아와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1950년, 스타니스와프 울람과 코넬리우스 에버렛의 계산에 따르면 텔러의 초기 설계는 실현 가능성이 낮았다.

1951년 텔러와 울람은 텔러-울람 설계로 알려진 새로운 설계를 제안했다. 이 설계는 핵분열 및 핵융합 구성 요소를 분리하고, 핵분열 폭탄에서 생성된 X선을 사용하여 핵융합 연료를 압축한 후 점화하는 방식이었다.

1952년 성공적인 "아이비 마이크" 폭발은 텔러의 수소폭탄에 대한 오랜 옹호를 정당화하는 것으로 보였다.


텔러는 수소폭탄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지만, 프로젝트 책임자로 선택되지 못했다. 1952년 리버모어 지부에 합류했고, 같은 해 11월 1일 아이비 마이크의 폭발 이후 언론에서 "수소폭탄의 아버지"로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텔러는 자신이 일부만 참여한 것에 대해 전적인 공로를 인정받는 것에 대해 동료들의 반발을 샀고, 1955년 ''Science'' 잡지에 "많은 사람들의 작품"이라는 기사를 통해 개발에 참여한 다른 과학자들의 기여를 강조했다.[36]

10.4 메가톤을 생성하는 ''마이크'' 버섯구름.

4. 오펜하이머와의 갈등

텔러는 1954년 오펜하이머의 보안 자격 심문에서 오펜하이머에게 불리한 증언을 하여 두 사람의 관계가 악화되었다.[108] 텔러는 로버트 오펜하이머와 수소폭탄 개발과 핵확산 문제를 두고 갈등을 겪었다. 텔러는 오펜하이머와 달리 정부의 수소폭탄 개발을 지지했고, 모든 핵무기를 유엔 관리하에 두자는 오펜하이머의 제안에 회의적이었다.[108]

텔러는 오펜하이머가 "보안 위험"이라고 생각하는지 묻는 질문에, 오펜하이머의 행동이 "혼란스럽고 복잡해 보였다"고 답하며, "이 나라의 중대한 이익이 제가 더 잘 이해하고 따라서 더 신뢰하는 사람의 손에 있기를 바랍니다."라고 증언했다.[33] 이는 오펜하이머의 보안 자격을 박탈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텔러는 또한 오펜하이머가 수소폭탄 프로그램에 대한 자신의 노력을 방해했다고 느꼈고, 오펜하이머의 결정을 비판하며 "만약 지혜와 판단의 문제라면, 1945년 이후의 행동으로 입증된다면, 그러면 보안 자격을 부여하지 않는 것이 더 현명할 것이라고 말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33]

결국 오펜하이머는 보안 자격을 잃었고, 텔러는 과학계에서 배척당했다.[39] 텔러는 자신의 증언이 오펜하이머에게 큰 피해를 주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39] 역사적 증거는 텔러의 증언이 오펜하이머의 경력을 파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41]

텔러는 1954년 오펜하이머의 보안 자격 심문에서 그에 대해 증언했다.


1945년 7월, 최초의 핵무기 실험(트리니티 실험) 전후, 레오 질라르드는 일본에 대한 원폭 투하에 반대하는 탄원서(질라르드 탄원)를 배포했다. 텔러는 오펜하이머와 상의했고, 오펜하이머는 국가의 운명은 워싱턴의 정치인들에게 맡겨야 한다고 설득하여 텔러는 탄원서에 서명하지 않았다.[27]

그러나 텔러는 나중에 오펜하이머가 임시위원회에서 원폭 투하를 지지했다는 사실을 알고 오펜하이머와의 관계가 악화되기 시작했다.[28] 텔러는 오펜하이머가 위선적이라고 비난했다.[29]

5. 평화적 핵폭발

텔러는 평화적 핵폭발의 강력한 지지자였다. 그는 아이젠하워 대통령을 핵무기의 실용적 용도를 찾기 위해 핵실험을 계속하도록 설득했다. 그가 내세운 평화적 핵폭발의 예시에는 석유 탐사, 운하 건설, 기상 조절 등이 있었다. 텔러의 주장에 설득된 미국 정부는 보습 기획을 실시했다.[108]

텔러는 비군사적 용도의 핵폭발 연구를 강력하게 주장한 대표적인 인물 중 한 명이었으며, 미국은 플로우셰어 작전 하에 이를 연구했다. 그가 제안한 가장 논란이 많은 프로젝트 중 하나는 석탄 및 석유 광산에서 자원을 운송하기 위한 1마일 이상의 길이와 0.5마일 이상의 폭을 가진 심해 항구를 건설하기 위해 수메가톤급 수소폭탄을 사용하는 계획이었다. 이 항구는 알래스카주 포인트 호프를 통해 이용될 예정이었다. 원자력 위원회는 1958년 텔러의 제안을 수락했고, 이는 프로젝트 캐리어로 명명되었다. 원자력 위원회가 알래스카 현장을 조사하고 토지를 공공 영역에서 제외하는 동안, 텔러는 공개적으로 이 계획의 경제적 이점을 주장했지만, 지역 정부 지도자들을 설득하여 이 계획의 재정적 타당성을 입증하는 데는 실패했다.[49]

다른 과학자들은 이 프로젝트가 지정된 지역 근처에 거주하는 이누피아트인을 포함하여 현지 야생 동물에 대한 안전 문제를 제기했다. 이누피아트인들은 1960년 3월까지 이 계획에 대해 공식적으로 알지 못했다. 게다가, 이 항구는 일 년 중 9개월 동안 얼음으로 덮여 있을 것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결국 프로젝트의 재정적 비실현성과 방사선 관련 건강 문제에 대한 우려로 인해 이 프로젝트는 1962년에 중단되었다.[50]

텔러가 지지한 관련 실험으로는 타르 샌즈에서 핵폭발을 이용하여 석유를 추출하는 계획인 프로젝트 오일샌즈가 있다. 이 계획은 실제로 알버타 주 정부의 지지를 받았지만, 캐나다에 핵무기를 반대했던 존 디펜베이커 총리의 캐나다 정부에 의해 거부되었다. 디펜베이커가 실각한 후, 캐나다는 1963년부터 1984년까지 미국의 핵 공유 협정을 통해 핵무기를 보유하게 되었다.[51][52]

텔러는 또한 강력한 허리케인으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핵폭탄을 사용하는 것을 제안했다. 그는 대서양에서 허리케인이 형성되기에 적합한 조건일 때, 적절한 위치에 핵폭발로 발생하는 열이 하나의 거대한 허리케인이 형성되는 것을 기다리는 대신 여러 개의 작은 허리케인을 유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53]

6. 전략방위구상

그는 지치지 않는 핵개발론 옹호자로 지속적인 핵개발을 주장했다. 로널드 레이건 정권에서 적국의 핵 미사일을 요격할 목적으로 SDI(Strategic Defense Initiative), 일명 스타워즈 계획을 논의했을 당시 그 역시 SDI 체계를 지지했다.[109]

1980년대, 텔러는 비평가들에 의해 "스타워즈"라고 조롱받았던 전략방어구상(SDI)을 강력히 지지하기 시작했다. 이 계획은 지상 및 위성 기반 레이저, 입자빔, 미사일을 사용하여 소련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요격한다는 개념이었다. 텔러는 정부 기관에 로비를 벌여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의 승인을 얻어, 원자무기를 사용하여 들어오는 미사일을 향해 X선 레이저를 발사하는 정교한 위성을 사용하는 시스템 개발 계획을 세웠다.[57]

텔러(그리고 그의 동료 로웰 우드)가 프로그램을 의도적으로 과장하고, 오류를 수정하려고 시도했던 연구소 소장(로이 우드러프)의 해임을 조장했을지도 모른다는 비난을 받으면서 스캔들이 발생했다.[58] 그의 주장은 과학계에 새로운 유형의 근거 없는 낙관주의 단위를 "텔러"라고 명명하는 농담으로 이어졌다. 한 텔러는 너무 커서 대부분의 사건은 나노텔러 또는 피코텔러로 측정해야 했다.[59]

많은 저명한 과학자들은 이 시스템이 무용지물이라고 주장했다. 한스 베테IBM 물리학자 리처드 가윈과 코넬 대학교 동료 쿠르트 고트프리트와 함께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기사를 기고하여 이 시스템을 분석하고, 어떤 적국이라도 SDI 프로그램 비용의 극히 일부에 해당하는 적절한 미끼를 사용하여 이러한 시스템을 무력화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60]

1987년 텔러는 민간 방위와 능동 방어 시스템을 지지하는 ''방패가 칼보다 낫다(Better a Shield than a Sword)''라는 제목의 책을 출판했다. SDI에서 레이저의 역할에 대한 그의 견해는 1986~87년 레이저 학회 발표 논문에 발표되었고, 이용 가능하다.[61][62]

비현실적이고 너무 비싸다는 과학자들과 정치인들의 비판에도 계속되던 SDI는 1993년 이미 300억달러의 예산을 쓴 후 중단됐다.[109]

7. 말년과 사망

텔러는 1975년 은퇴 후 리버모어 연구소 명예소장 및 후버 연구소 연구원으로 활동했다.[46] 2003년 9월 9일, 95세의 나이로 캘리포니아주 스탠퍼드에서 사망했다.[46] 사망 이틀 전 뇌졸중을 겪었고, 오랫동안 고령과 관련된 여러 질환을 앓고 있었다.

말년의 에드워드 텔러


텔러는 핵무기 개발에 대한 강력한 옹호로 인해 "미친 과학자"의 전형으로 여겨지기도 했다.[46] 1991년에는 "평화의 의미를 바꾸려는 평생의 노력"을 인정받아 최초의 이그노벨상 평화상을 수상했다.[46] 그는 또한 스탠리 큐브릭의 1964년 영화 닥터 스트레인지러브의 등장인물 중 한 명의 모티브가 되었다는 소문도 있었다.[46] 그러나 텔러는 1999년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인터뷰에서 자신은 스트레인지러브와 관련이 없다고 강하게 부인했다.[7]

아이작 아이작 라비는 "텔러가 없었다면 세상이 더 나았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66]

텔러는 다양한 상을 수상했는데, 주요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연도상 이름
1986년미국 육군 사관학교 실바너스 세이어 상
1948년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펠로우
미국 과학 발전 협회 펠로우
미국 원자력 학회 펠로우[69]
미국 물리학회 펠로우[70]
1958년알버트 아인슈타인 상[71]
1962년엔리코 페르미 상[71]
1983년미국 과학 메달[71]
1989년대통령 시민 메달[71]
2003년대통령 자유 훈장[46]



그의 마지막 논문은 사후에 발표되었으며, 액체 플루오르화 토륨 원자로 시제품 건설을 주장했다.[77][78]

텔러는 1980년 TV 미니시리즈 ''오펜하이머''에서 데이비드 수셰가, 2023년 영화 ''오펜하이머''에서 베니 사프디가 연기했다.[80]

8. 대중매체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1964년 풍자 영화 닥터 스트레인지러브에서 매드 사이언티스트 스트레인지러브 박사의 모델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46] 그러나 텔러는 "제 이름은 스트레인지러브가 아닙니다. 스트레인지러브에 대해서는 모릅니다. 스트레인지러브에 관심 없습니다."라며 이러한 주장을 반박했다.[7]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2023년 전기 영화 오펜하이머에서는 베니 사프디가 텔러를 연기했다.[80]

9. 수상 및 영예

텔러는 1991년에 "우리가 알고 있는 평화의 의미를 바꾸려는 평생의 노력"을 인정받아 최초의 이그노벨상 평화상을 수상했다.[46] 그는 또한 스탠리 큐브릭의 1964년 영화 닥터 스트레인지러브의 인물 중 하나의 모티브가 되었다는 소문이 있었다.[46]

1986년에는 미국 육군 사관학교의 실바너스 세이어 상을 수상했다. 1948년에는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68]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미국 과학 발전 협회, 미국 원자력 학회,[69] 미국 물리학회의 펠로우였다.[70]

그가 받은 영예는 다음과 같다:

연도상 이름
1958년알버트 아인슈타인 상[71]
1959년렘슨상
1961년미국 업적 아카데미의 골든 플레이트 상[72]
1962년엔리코 페르미 상[71]
1975년하비 상[107]
1978년헤르츨 상
1980년에린겐 메달[73]
1982년미국 국가과학상
1989년대통령 시민 메달[71]
2001년Corvin-lánc|코르빈 훈장hu[74]
2003년대통령 자유 훈장[46]



그는 또한 1960년 ''타임''지의 올해의 인물로 선정된 "미국 과학자" 그룹의 일원이었다.[75] 소행성 5006 텔러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76]

10. 저서


  • 《우리의 핵 미래; 사실, 위험, 그리고 기회》 (1958년), 앨버트 L. 레터 공저[81]
  • 《물리학의 기본 개념》 (1960년)
  • 《히로시마의 유산》 (1962년), 앨런 브라운 공저[82][83]
  • 《핵폭발의 건설적 이용》 (1968년)
  • 《하늘과 땅의 에너지》 (1979년) (일본어 번역: 《에너지 부활―천지로부터의 선물》, 교립출판, ISBN 978-4-320-07086-8)
  • 《단순함의 추구》 (1980년)
  • 《방패가 칼보다 낫다: 방위와 기술에 대한 관점》 (1987년)[84]
  • 《물리학의 어두운 비밀에 대한 대화》 (1991년), 웬디 텔러와 윌슨 탈리 공저[85][86]
  • 《회고록: 과학과 정치에서의 20세기 여정》 (2001년), 주디스 슐러리 공저[87]

참조

[1] 논문 Equation of State Calculations by Fast Computing Machines
[2] 서적 The Martians of Science: Five Physicists Who Changed the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3] 서적 Edward Teller Centennial Symposium: Modern Physics and the Scientific Legacy of Edward Teller: Livermore, CA 2008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4] 뉴스 Edward Teller Is Dead at 95; Fierce Architect of H-Bomb https://www.nytimes.[...] 2003-09-10
[5] 논문 Theodore Karman, Paul Wigner, John Neumann, Leo Szilard, Edward Teller and Their Ideas of Ultimate Reality and Meaning 1997-06
[6] Youtube Video in which Teller recalls his earliest memories https://www.youtube.[...]
[7] 논문 Infamy and honor at the Atomic Café: Edward Teller has no regrets about his contentious career http://www.sciam.com[...] 2007-11-25
[8] 웹사이트 Edward Teller - Nuclear Museum https://ahf.nuclearm[...] 2023-06-10
[9] 웹사이트 Manhattan Project Scientists: Edward Teller (U.S. National Park Service) https://www.nps.gov/[...] 2023-06-10
[10] 웹사이트 Edward Teller - The inspiration of Herman Mark (segment 18 of 147) https://www.webofsto[...] Web of Stories 2008-01-24
[11] 웹사이트 Edward Teller Facts https://web.archive.[...]
[12] 웹사이트 Edward Teller – Wave-particle duality sparked a fascination with physics (segment 16 of 147) https://www.webofsto[...] Web of Stories 2008-01-24
[13] 웹사이트 Edward Teller – Permission to become a physicist (segment 17 of 147) https://www.webofsto[...] Web of Stories 2008-01-24
[14] Youtube Edward Teller – Jumping off the moving train (segment 20 of 147) https://www.youtube.[...] Web of Stories 2008-01-24
[15] Youtube Edward Teller and the Other Martians of Science by Istvan Hargittai https://www.youtube.[...] NIST 2012-06-26
[16] 웹사이트 Glimpses of an exceptional man https://str.llnl.gov[...] 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 2015-11-13
[17] 웹사이트 Interview with Edward Teller, part 40. Going to Rome with Placzek to visit Fermi http://www.webofstor[...] Peoples Archive 2015-11-13
[18] 서적 Edward Teller, the Real Dr. Strangelov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 서적 Budapest Scientific: A Guidebook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 논문 Stability of Polyatomic Molecules in Degenerate Electronic States. I. Orbital Degeneracy 1937
[21] 논문 Edward Teller, RIP
[22] 웹사이트 Robert F. Christy http://www.atomicher[...] Atomic Heritage Foundation 2015-11-14
[23] 웹사이트 Christy's Gadget: Reflections on a death http://blog.nuclears[...] Restricted data blog 2014-10-07
[24] 웹사이트 Hans Bethe 94 – Help from the British, and the 'Christy Gadget' http://www.webofstor[...] Web of Stories 2014-10-12
[25] 웹사이트 Constructing the Nagasaki Atomic Bomb http://www.webofstor[...] Web of Stories 2014-10-12
[26] 논문 Edward Teller, RIP http://www.thenewatl[...] 2015-11-15
[27] 웹사이트 Edward Teller to Leo Szilard http://blog.nuclears[...] Nuclear Secrecy blog 2015-11-15
[28] 웹사이트 Recommendations on the Immediate Use of Nuclear Weapons by the Scientific Panel of the Interim Committee, June 16, 1945 http://www.nuclearfi[...] Nuclear Age Peace Foundation 2011-03-02
[29] 논문 Essay Review-From the A-Bomb to Star Wars: Edward Teller's History. Better A Shield Than a Sword: Perspectives on Defense and Technology 1990-10
[30] 웹사이트 Early Research on Fusion Weapons http://nuclearweapon[...] Nuclear Weapons Archive 2015-11-15
[31] 논문 The Khariton version 1993-05
[32] 웹사이트 Memorandum on the History of the Thermonuclear Program https://fas.org/nuke[...]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07-12-15
[33] 웹사이트 Testimony in the Matter of J. Robert Oppenheimer http://www.atomicarc[...] Atomic Archive 2006-11-10
[34] 논문 How Ulam set the stage 2003-07
[35] 잡지 An American Tragedy https://www.nybooks.[...] 2023-07-16
[36] 논문 Review of Edward Teller's Memoirs https://web.archive.[...] 2003-07-22
[37] 논문 Comments on The History of the H-Bomb https://fas.org/sgp/[...]
[38] 웹사이트 Basic Principles of Staged Radiation Implosion ("Teller–Ulam Design") http://nuclearweapon[...]
[39] 웹사이트 A Final Interview with Edward Teller https://web.archive.[...] 2005-06-01
[40] 웹사이트 In the Matter of J. Robert Oppenheimer: Transcript of Hearing Before Personnel Security Board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54-04-28
[41] 뉴스 Transcripts Kept Secret for 60 years Bolster Defense of Oppenheimer's Loyalty https://www.nytimes.[...] 2014-10-11
[42] 잡지 Megaton Man https://web.archive.[...] 2002-04-25
[43] 웹사이트 Richard Rhodes on: Edward Teller's Role in the Oppenheimer Hearings https://web.archive.[...] PBS
[44] 뉴스 Rockefeller Report Calls for Meeting It With Better Military Setup, Sustained Will https://archive.toda[...] 1958-01-13
[45] 보도자료 Hertz Foundation Makes US$1 Million Endowment in Honor of Edward Teller http://www.news.ucda[...] UC Davis News Service 1999-06-14
[46] 뉴스 Edward Teller, 'Father of the Hydrogen Bomb,' is dead at 95 http://news.stanford[...] Stanford News Service 2003-09-10
[47] 논문 The Earth's Carbon Cycle 1959-10-08
[48] 뉴스 On its 100th birthday in 1959, Edward Teller warned the oil industry about global warming https://www.theguard[...] 2018-01-01
[49] 웹사이트 Project Chariot: The Nuclear Legacy of Cape Thompson, Alaska Norman Chance – Part 1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Connecticut
[50] 웹사이트 Project Chariot: The Nuclear Legacy of Cape Thompson, Alaska Norman Chance – Part 2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Connecticut
[51] 뉴스 Review of ''Nuclear Dynamite'' http://www.umanitoba[...] University of Manitoba 2002-04-26
[52] 뉴스 Canadian Nuclear Weapons https://web.archive.[...] Dundurn Press (Toronto)
[53] 뉴스 Nuke Hurricanes, Teller Proposes https://www.orlandos[...] 1990-06-09
[54] 논문 The Hungarian Phenomenon in Israeli Science http://www.scs.illin[...]
[55] 뉴스 Edward Teller in Israel To Advise on a Reactor https://www.nytimes.[...] 1982-12-06
[56] 뉴스 I was the only victim of Three-Mile Island http://archives.chic[...] 1979-10-17
[57] 논문 Teller on SDI, Competitiveness http://www.the-scien[...] 1987-09-21
[58] 뉴스 The Man Who Blew the Whistle on 'Star Wars': Roy Woodruff's Ordeal Began When He Tried to Turn the Vision of an X-ray Laser into Reality https://www.latimes.[...] 1988-07-17
[59] 논문 Edward Teller: the Man Behind the Myth https://web.archive.[...] 2003-09-15
[60] 논문 Space-Based Ballistic-Missile Defense http://www.scientifi[...] 1984-10-01
[61] 서적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asers '85 STS, McLean, Va
[62] 서적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asers '87 STS, McLean, Va
[63] 웹사이트 Planetary defense workshop LLNL 1995 https://web.archive.[...]
[64] 웹사이트 The mother of all bombs would sit in wait in an orbitary platform https://web.archive.[...] 2013-10-17
[65] 웹사이트 A new use for nuclear weapons: hunting rogue asteroids https://web.archive.[...] 2013-10-16
[66] 뉴스 Megaton megalomaniac http://books.guardia[...] 2004-05-02
[67]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consejocu[...] World Cultural Council
[68] 웹사이트 Edward Teller http://www.nasonline[...]
[69] 웹사이트 About the lab:Edward Teller – A Life Dedicated to Science http://www.llnl.gov/[...] 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 2004-01-07
[70] 웹사이트 APS Fellow Archive https://www.aps.org/[...]
[71] 웹사이트 In Memoriam: Edward Teller http://senate.univer[...]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2015-11-14
[72] 웹사이트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https://www.achievem[...]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73] 웹사이트 SES Medallists http://ses.egr.uh.ed[...] Society of Engineering Science 2015-11-14
[74] 뉴스 Hungarians recognize H-bomb physicist Teller http://www.deseretne[...] 2001-08-16
[75] 잡지 Time Person of the year, 1960: U.S. Scientists http://www.time.com/[...] 1961-01-02
[76] 웹사이트 The Ames Astrogram: Teller visits Ames http://www.nasa.gov/[...] NASA 2000-11-27
[77] 비디오 Motherboard TV: Doctor Teller's Strange Loves, from the Hydrogen Bomb to Thorium Energy http://www.ritholtz.[...] Motherboard TV 2012-03-07
[78] 논문 Thorium-Fueled Underground Power Plant Based on Molten Salt Technology http://www.new.ans.o[...] American Nuclear Society
[79] 웹사이트 Material on Teller's last paper to consider for the Edward Teller Centennial. Edward Tellr – Ralph Moir 2007 http://ralphmoir.com[...]
[80] 뉴스 'Oppenheimer' Cast and Character Guide: Who's Who in Christopher Nolan's Historical Epic https://collider.com[...] 2023-07-19
[81] 논문 Review of ''Our Nuclear Future: Facts, dangers and opportunities'' by Edward Teller and Albert L. Latter
[82] 논문 Review of ''The Legacy of Hiroshima'' by Edward Teller and Allen Brown
[83] 논문 Mini-review of ''The Legacy of Hiroshima'' by Edward Teller and Allen Brown https://digital-comm[...] 1962-09
[84] 논문 Reviewed work: ''Better a Shield Than a Sword: Perspectives on Defense and Technology'' by Edward Teller
[85] 웹사이트 Review of ''Conversations on the Dark Secrets of Physics'' by Edward Teller with Wendy Teller and Wilson Talley https://www.publishe[...] 2000-01-01
[86] 논문 Review of ''Conversations on the Dark Secrets of Physics'' by Edward Teller with Wendy Teller and Wilson Talley
[87] 논문 Review of ''Memoirs: A Twentieth-Century Journey in Science and Politics'' by Edward Teller with Judith Shoolery
[88] 서적 足立 (1987) pp.282-283
[89] 잡지 Infamy and honor at the Atomic Café: Edward Teller has no regrets about his contentious career http://www.sciam.com[...]
[90] 서적 足立 (1987) pp.289
[91] 서적 足立 (1987) pp.292
[92] 서적 Memoirs: A Twentieth-Century Journey in Science and Politics Perseus Books
[93] 서적 億万長者はハリウッドを殺す 講談社
[94] 서적 広島の遺産 時事通信社
[95] 서적 広島の遺産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99] 뉴스 「威嚇投下で十分だった」「水爆の父」エドワード・テラー博士、毎日新聞と単独会見 1998-07-04
[100] 회의록 Congressional Record 1969-08-04
[101] 비디오 テラー博士ピアノ演奏録画 https://www.youtube.[...]
[102] 서적 Memoirs
[103] 서적
[104] 서적 Memoirs
[105] 서적 ローズ(1995),pp.589-591(上)
[106] 웹사이트 Radio Address Before the Eighth Pan American Scientific Congress. Washington, D.C. https://www.presiden[...] The American Presidency Project 2023-11-26
[107] 문서 null null null null
[108] 웹인용 Edward Teller: The Real Dr. Strangelove- A Book Review https://www.wagingpe[...] 2005-01-15
[109] 웹인용 Why Reagan's 'Star Wars' Defense Plan Remained Science Fiction https://www.history.[...] 2019-0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