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로보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로보암은 에브라임 지파 출신으로, 솔로몬 왕의 치세에 요셉 지파의 강제 노역 감독관으로 임명되었다. 예언자 아히야로부터 이스라엘이 분열될 것이라는 예언을 듣고 이집트로 도망쳤다가 솔로몬 사후 북이스라엘 왕국의 왕이 되었다. 그는 백성들이 예루살렘 성전으로 가는 것을 막기 위해 벧엘과 단에 금송아지를 세우고, 일반 백성을 제사장으로 임명하는 등 우상 숭배를 조장했다. 유다 왕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하고, 아들 아비야가 죽는 등 불행한 말년을 보냈다. 랍비 문학에서는 악인으로 묘사되며, 그의 통치는 성경적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송아지 - 벧엘
    벧엘은 성경에 여러 번 등장하는 지명으로, 야곱이 꿈을 꾸고 제단을 쌓았던 곳이며, 북이스라엘 왕국의 여로보암이 금송아지를 세운 곳으로도 언급된다.
  • 금송아지 - 단 (도시)
    단은 이스라엘 북부의 고대 도시로, 단 지파가 정착한 곳이자 종교적, 정치적 중심지였으며, 금송아지 숭배와 이스라엘 분열의 상징인 동시에 텔단 석비와 천연보호구역으로 역사적, 자연적 가치를 지닌다.
  • 기원전 10세기 사망 - 르호보암
    르호보암은 솔로몬의 아들이자 유다 왕국의 초대 왕으로, 강압적인 정책으로 이스라엘 왕국을 분열시키고 이집트의 침공으로 국력이 쇠퇴했다.
  • 기원전 10세기 사망 - 미중
    미중은 현재 내용이 없는 빈 문서이다.
여로보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장 오노레 프라그나르 - 우상에게 제물을 바치는 여로보암
장 오노레 프라그나르의 "우상에게 제물을 바치는 여로보암" (1752년) 부분
이름여로보암
통치
칭호북이스라엘 왕
재위기원전 931/22 – 910/901년 (추정)
이전직책 수립됨
후임나답
가족
배우자아노 (칠십인역에만 언급됨)
자녀아비야
나답
왕가새 왕조, 에브라임 지파
아버지느밧
어머니스루아
출생과 사망
출생알 수 없음
출생지이스라엘 왕국
사망기원전 910/901년 (추정)
사망지디르사, 북이스라엘

2. 금송아지 전승의 기원

광야의 금송아지 이야기는 여로보암의 이야기와 많은 유사점을 보인다. 여로보암의 아들들은 아론의 아들들인 나답과 아비'후'와 거의 동일한 이름인 나답과 아비'야'였으며, 여로보암 역시 백성들을 위해 금송아지를 세워 숭배하게 했다. 이러한 유사성 때문에 학계에서는 광야의 금송아지 이야기가 여로보암의 제사 회복이 여호와 신앙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비판적 시각과 반발심에서 비롯되어 구성된 이야기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36].

여로보암이 그의 우상에게 제물을 바치는 모습, 클라스 코르넬리소온 모에야르트의 유화, 1641년


여로보암은 북이스라엘 왕국의 수도로 세겜을 재건하고 요새화했다. 그는 백성들이 토라가 규정한 예루살렘의 성전으로 순례를 떠나면 옛 유다 왕국에 대한 충성심을 되찾을 것을 우려했다. 이를 막기 위해 그는 금송아지를 둔 두 개의 국립 성전을 세웠는데, 하나는 벧엘에, 다른 하나는 단에 세웠다. 이 행위는 열왕기상 14장에서 이름 없는 예언자에게 비난받으며, 주님은 여로보암이 야훼를 등졌다고 선언하신다.[6][7] 또한 여로보암은 숙곳 축제를 전통적인 일곱째 달 대신 여덟째 달로 옮겨 거행함으로써(아마도 엘룰월에 윤달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정통 토라 율법에서 벗어났다.[8]

랍비 문학에 따르면, 게하시는 여로보암이 만든 우상을 공중에 뜨게 하는 자석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결과 우상은 하늘과 땅 사이에 떠 있는 것처럼 보였다고 한다. 게하시는 그 우상 위에 "야훼"라는 이름을 새겼고, 그 결과 송아지 우상이 십계명의 처음 두 구절을 말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9]

열왕기상에 따르면,[10] 여로보암이 벧엘의 제단에서 향을 피우고 있을 때, 한 "하나님의 사람"이 나타나 그에게 경고했다. 그는 다윗의 가문에서 요시야라는 이름의 아들이 태어나 여로보암이 세운 제단을 파괴할 것이라고 예언했다(이는 약 300년 후 유다를 통치하게 될 유다 왕 요시야를 가리킨다). 여로보암이 이 예언자를 체포하려 손을 내밀자, 그의 손은 즉시 말라붙었고 그가 서 있던 제단은 갈라졌다. 하나님의 사람의 간청으로 여로보암의 손은 회복되었지만, 이 기적적인 사건도 그의 마음을 돌리지는 못했다.[11] 여로보암은 하나님의 사람에게 호의를 베풀려 했으나, 그는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이를 거절했다.[12] 이 예언은 훗날 열왕기하에서 성취된다.[13]

3. 생애

여로보암은 느밧과 과부 스루아(또는 체루아)[2]의 아들로, 에브라임 지파의 스레다(또는 제레다, 체레다) 출신이었다. 젊은 시절 솔로몬 왕 밑에서 능력을 인정받아 요셉 지파의 강제 노역 감독관으로 일했으나, 예언자 아히야로부터 장차 북쪽 열 지파의 왕이 될 것이라는 예언을 듣고 솔로몬의 위협을 피해 이집트로 망명했다.[4] 그는 이집트 파라오 시삭의 보호 아래 지내다가 솔로몬 사후 귀환했다.

솔로몬의 아들 르호보암이 과중한 세금과 노역 부담을 줄여달라는 백성들의 요구를 거절하자, 북쪽 열 지파는 다윗 왕조에서 이탈하여 여로보암을 북이스라엘 왕국의 초대 왕으로 추대했다. 왕이 된 여로보암은 세겜과 브누엘 등을 건설하고 수도로 삼았다. 그러나 백성들이 예루살렘 성전으로 가는 것을 막기 위해 벧엘과 단에 금송아지 우상을 세우고 새로운 종교 제도를 도입하는 등[6][7], 성경에서는 이스라엘을 우상 숭배의 길로 이끌었다고 평가받는 정책을 시행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유다 왕국과는 계속 전쟁 상태에 있었으며, 특히 아비얌 왕과의 즈마라임 산 전투에서 크게 패배하여 세력이 약화되었다.[22][23] 또한 아들 아비야가 병들어 죽고[16], 예언자 아히야로부터 가문의 멸망을 예고받는 등 불운을 겪었다. 성경 기록에 따르면 그는 결국 하나님의 징벌을 받아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나답이 왕위를 계승했다. 여로보암에게는 최소 두 아들, 아비야[3]와 나답이 있었으며, 그의 아내는 70인역에 따르면 이집트 공주 Ano|아노egy였다고 전해진다.[15]

3. 1. 즉위 전

여로보암은 느밧과 과부 스루아(또는 체루아)[2]의 아들로, 에브라임 지파의 스레다(또는 제레다, 체레다) 출신이다. 젊은 시절, 솔로몬 왕은 여로보암이 강한 용사일 뿐 아니라 근면하다는 것을 보고 그를 발탁했다. 솔로몬이 예루살렘의 요새인 밀로 궁을 건설하고 다윗 성의 갈라진 틈을 보수하는 등 공공 사업을 벌일 때, 여로보암은 자신의 지파인 요셉 지파 사람들의 강제 노역을 감독하는 관리자로 임명되었다.[2] 이 과정에서 그는 솔로몬 통치 시기 사치스러운 정책으로 인해 백성들 사이에 퍼져 있던 불만을 자연스럽게 알게 되었다.

어느 날 여로보암이 예루살렘으로 가던 중, 실로 사람 예언자 아히야를 만났다.[4] 아히야는 이스라엘이 남북으로 분열될 것이며, 여로보암이 북쪽 열 지파의 왕이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4] 이 이야기가 솔로몬 왕에게 알려지자, 여로보암은 왕이 자신을 죽이려 한다는 것을 알고 이집트로 도망쳤다. 그는 이집트의 파라오 시삭의 보호를 받으며 솔로몬이 죽을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3. 2. 즉위와 통치

기원전 931년경 솔로몬 왕이 죽자, 이집트에서 돌아온 여로보암은 이스라엘 10지파의 지지를 받아 북이스라엘 왕국의 초대 왕으로 즉위했다. 그는 원래 요르단강 계곡의 체레다 출신으로, 아버지는 네바데, 어머니는 체레다 출신의 에브라임 사람이었다. 젊은 시절 솔로몬에게 능력을 인정받아 요셉 지파의 노동 감독관으로 일했으나, 실로 사람 예언자 아히야로부터 장차 10지파의 왕이 될 것이라는 예언을 들은 후 솔로몬의 위협을 피해 이집트로 망명하여 파라오 시삭의 보호를 받았다. 솔로몬 사후 그의 아들 르호보암이 왕위를 계승하자, 백성들은 여로보암을 불러 과중한 세금과 노역 부담을 줄여달라고 요구했으나 르호보암이 이를 거절하면서 10개 지파는 다윗 왕조에서 이탈하여 여로보암을 왕으로 추대했다.

왕이 된 여로보암은 처음에는 에브라임 산지에 거주하다가 세겜을 수도로 정하고 요새화했으며, 이후 브누엘도 건설했다. 그는 북이스라엘 백성들이 예루살렘의 성전으로 순례를 떠나 유다 왕국르호보암에게 마음이 돌아설 것을 우려했다. 이를 막기 위해 벧엘과 단 두 곳에 금송아지 우상을 만들어 새로운 예배 중심지로 삼았다. 이는 백성들이 예루살렘으로 가지 못하게 하려는 정치적 목적이 컸으며, 결과적으로 이스라엘 민족을 우상 숭배의 길로 이끌었다는 비판을 받는다.[6][7] 또한 토라에 규정된 레위 지파가 아닌 일반 백성 중에서 제사장을 임명하고, 숙곳 축제(초막절)를 기존의 일곱째 달이 아닌 여덟째 달 십오일로 임의로 변경하는 등[8] 기존의 종교 질서를 바꾸는 정책을 시행했다(열왕기상 12:31-33).

열왕기상에 따르면,[10] 어느 날 여로보암이 벧엘의 제단에서 분향하려 할 때, 한 '하나님의 사람'이 나타나 장차 다윗의 가문에서 요시야라는 왕이 태어나 그 제단을 파괴할 것이라고 예언했다. 여로보암이 그를 체포하려 손을 내밀자 손이 마비되었고 제단이 갈라지는 일이 벌어졌다. 하나님의 사람이 기도하자 손은 다시 회복되었으나, 이 기적은 그에게 지속적인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11] 여로보암은 하나님의 사람에게 호의를 베풀려 했지만, 그는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이를 거절했다.[12] 이 예언은 약 300년 후 요시야 왕에 의해 성취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3]

랍비 문학에서는 게하시가 자석을 이용해 여로보암이 만든 우상을 공중에 떠 있게 했으며, 우상에 '야훼'라는 이름을 새기자 십계명의 첫 두 구절을 말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9]

3. 3. 벧엘에서의 사건과 죄악

북이스라엘 왕국의 왕이 된 여로보암은 백성들이 예루살렘의 성전으로 가서 유다 왕국의 왕 르호보암에게 돌아갈 것을 염려했다. 이를 막기 위해 그는 벧엘과 단 두 곳에 금송아지 우상을 세우고 백성들에게 이것이 그들을 이집트에서 인도해 낸 신이라고 선언하며 예루살렘 순례를 금지했다. 이 행위는 열왕기상 14장에서 이름 없는 예언자에 의해 야훼를 저버린 행위로 비판받았다.[6][7]

또한 여로보암은 레위인 제사장이 아닌 일반 백성들을 제사장으로 임명하였으며, 원하는 사람은 누구나 산당의 제사장이 될 수 있도록 허용했다. 그는 토라에 명시된 일곱째 달의 숙곳 축제를 임의로 여덟째 달 십오일로 변경하여 지키게 함으로써[8], 온 이스라엘 민족을 우상 숭배의 길로 이끌었다(열왕기상 12:31-33).

어느 날, 여로보암이 벧엘에 세운 제단 옆에서 분향을 하려 할 때, 유다에서 온 하나님의 사람이 나타나 그에게 경고했다. 예언자는 다윗의 가문에서 요시야라는 이름의 아들이 태어나 이 제단을 더럽히고 파괴할 것이라고 예언했다(이는 약 300년 후에 실제로 통치하게 될 유다 왕 요시야를 가리킨다).[10] 분노한 여로보암이 예언자를 체포하기 위해 손을 내밀자, 그의 손은 즉시 마비되어 움직일 수 없게 되었고 동시에 제단이 갈라지는 표적이 나타났다. 여로보암이 간청하자 하나님의 사람이 기도하여 그의 손을 다시 회복시켜 주었다.[11] 여로보암은 예언자에게 음식과 선물을 주며 호의를 베풀려 했으나, 예언자는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어떤 대접도 받지 않고 다른 길로 돌아갔다.[12] 이 예언은 훗날 열왕기하에서 그대로 성취되었다.[13]

열왕기상 14장에 따르면, 이러한 놀라운 일을 직접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여로보암은 자신의 악한 길에서 돌이키지 않았다. 그는 계속해서 일반 백성들을 산당의 제사장으로 임명하는 등 죄악을 멈추지 않았다. 이러한 불순종과 우상 숭배는 결국 하나님의 진노를 사게 되었고, 그는 남왕국 유다의 왕 아비얌과의 에브라임 전투에서 50만 명에 달하는 막대한 병력을 잃는 참패를 당했으며, 이 패배를 생전에 회복하지 못했다.

랍비 문학에는 게하시가 자석을 사용하여 여로보암이 만든 금송아지 우상을 공중에 떠 있게 만들었으며, 그 우상에 야훼의 이름을 새겨 십계명의 첫 두 구절을 말하게 했다는 전승도 있다.[9]

3. 4. 유다 왕국과의 전쟁

열왕기상 14장에 따르면, 여로보암은 악한 길에서 돌아서지 않고 일반 백성을 산당의 사제로 임명하는 일을 계속했다. 이로 인해 하나님께서 그를 버리셨고, 유다 왕국과의 전쟁에서 큰 패배를 겪어 생전에 그 세력을 회복하지 못했다.

히브리 성경에 따르면 여로보암은 "유다 가문과 끊임없이 전쟁"을 벌였다.[18] 비록 남쪽 왕국 유다가 북쪽 이스라엘을 다시 지배하기 위해 대규모 군사적 노력을 기울이지는 않았지만, 양측 여러 왕의 통치 기간 동안 국경 분쟁은 계속되었다.

여로보암 통치 18년, 르호보암의 아들 아비얌(아비야라고도 불림)이 유다의 왕이 되었다.[19] 아비얌은 3년의 짧은 통치 기간 동안 이스라엘 왕국을 자신의 통제 하에 두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에브라임 산지에서 여로보암을 상대로 대규모 전투를 벌였다. 역대기에 따르면 아비얌은 40만 명의 병력을, 여로보암은 80만 명의 병력을 동원했다.[20]

성경 자료에 따르면 아비얌은 이스라엘 군대에게 항복하고 왕국이 다시 하나가 되도록 촉구했으나[21], 여로보암 측은 이를 무시했다. 아비얌은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우리의 지도자이시다"라는 말로 자신의 군대를 격려했고, 그의 군대는 포위 공격을 막아내고 여로보암 군대를 격파하여 50만 명의 사상자를 냈다.[22]

이 전투에서 심각한 패배를 당한 여로보암은 크게 약화되었고, 그의 남은 통치 기간 동안 유다 왕국에 거의 위협이 되지 못했다.[23] 그는 또한 벧엘, 예사나, 그리고 에브론과 그 주변 마을들을 유다에게 빼앗겼다.[24] 특히 벧엘은 여로보암이 세운 금송아지 숭배의 중요한 중심지였으며[25], 본래 여호수아에 의해 베냐민 지파에게 할당된 이스라엘 남쪽 경계 지역이었다.[26]

여로보암은 아비얌이 죽은 직후 사망했다.

3. 5. 아들의 죽음과 최후

열왕기상 14장에 따르면, 여로보암의 아들 아비야가 병에 걸렸다. 이에 여로보암은 아내에게 변장을 시켜 실로에 있는 예언자 아히야에게 보냈다. 아히야는 과거 여로보암이 왕이 될 것이라고 예언했던 인물이다. 여로보암의 아내는 늙어서 눈이 어두워진 아히야에게 아들의 운명을 묻고자 했다.[16]

여로보암의 아내는 히브리 성경의 마소라 본문에는 이름이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70인역에서는 고대 이집트의 공주이자 시삭 왕의 처형인 '아노'(Ano|아노egy)로 언급된다.[15]

하나님의 계시를 받은 아히야는 여로보암의 아내가 도착하기 전에 그녀의 정체를 알았고, 그녀에게 아들 아비야의 죽음뿐만 아니라 여로보암 가문의 멸망과 이스라엘을 향한 심판의 메시지를 전했다. 아히야는 여로보암의 아내가 성읍으로 돌아가는 즉시 아들이 죽을 것이라고 예언했다.

헤라르트 호엣, ''아히야가 여로보암에게 한 예언'', 1728.


아히야의 예언대로 여로보암의 아내가 집에 도착하자마자 아들 아비야는 죽었다. 유대 백과사전과 랍비 문학에 따르면, 아비야는 예루살렘으로 순례하는 것을 막기 위해 여로보암이 국경에 세운 감시병들을 제거하는 선행을 행했기 때문에 이스라엘 백성들의 애도 속에 장사될 수 있었다고 해석된다. 어떤 이들은 아비야 자신이 직접 순례를 떠났다고 보기도 한다.[17] 요세푸스와 제롬은 여로보암에게 경고한 "하나님의 사람"을 잇도라는 선견자로 보기도 한다.[14]

아들의 죽음 이후에도 여로보암은 악한 길에서 돌아서지 않고 일반 백성들을 산당의 제사장으로 삼는 등 우상 숭배를 계속했다. 이로 인해 하나님께서 그를 버려 남왕국 유다아비얌(아비야라고도 불림)과 에브라임 전투에서 크게 패배하여 50만 명의 군사를 잃고 영토 일부를 빼앗겼으며, 생전에 이 패배를 회복하지 못했다. 성경은 여로보암이 이후 하나님의 징벌을 받아 죽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4. 성경 외 자료

(내용 없음)

4. 1. 어원

이름 '''여로보암'''(יָרָבְעָם|여로보암heb)은 일반적으로 רִיב|리브heb와 עַם|암heb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지며, "백성이 다툰다" 또는 "그가 백성의 소송을 변호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또한 "그의 백성이 많다" 또는 "그가 백성을 증가시킨다"(רבב|rbbheb, "증가하다"라는 의미에서 유래) 또는 "백성을 반대하는 자"로 번역되기도 한다. 70인역에서는 Ἱεροβοάμ|히에로보암grc으로 불린다.[1]

4. 2. 랍비 문학에서의 평가

랍비 문학에서 여로보암은 전형적인 악인으로 간주되며, 내세에서 제외될 인물로 여겨진다(얄크, 열왕기, 196).[27] 칠십인역(2판)에서는 그의 어머니조차 품행이 좋지 않은 여성으로 묘사될 정도이다. 그의 이름은 "백성들 사이에 분쟁을 일으킨 자" 또는 "백성과 하늘의 아버지 사이에 분쟁을 일으킨 자"로 해석되며(산헤드린 108b), 아버지 느밧의 이름은 조상에게 결함이 있었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풀이된다.[27]

여로보암이 왕위에 오른 것은 솔로몬을 꾸짖었기 때문이지만, 이를 공개적으로 행한 것에 대해 벌을 받았다고 전해진다(얄크, 열왕기, 196). 랍비들은 여로보암이 아히야 선지자를 만난 사건에서 그의 뻔뻔함과 부도덕한 혁신에 대한 열정을 간파했다고 본다(얄크, 열왕기, 196). 그의 오만함은 파멸을 자초했으며(산헤드린 101b), 우상숭배를 도입한 정치적 이유 역시 비판받았다(산헤드린 90).[27] 많은 사람을 죄로 이끌었기에 그 죄가 여로보암에게 돌아간다고 여겨진다(아봇 5:18).[27] 그는 자신의 행위를 정당화하기 위해 제사장 제도와 관련하여 율법에 대한 103가지 해석을 만들어냈다고도 한다.[27]

랍비 문헌은 선지자 아히야가 장차 우상 숭배 왕국을 세울 여로보암에게 신성한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 경위를 설명한다. 아히야는 여로보암의 우상 숭배자 친구들의 계략에 넘어갔는데, 그들은 여로보암을 왕으로 추대하고 벧엘금송아지를 세우도록 하는 문서에 아히야의 서명을 받았다. 아히야는 여로보암을 굳게 믿었으나, 이는 제자를 잘못 판단한 것이었다. 여로보암은 뛰어난 지혜와 학식을 지녔고, 아히야는 그가 "새 옷처럼 순수하다"(열왕기상 11:29)고 보았으며, 다른 제자들보다 뛰어나 율법의 비밀까지 전수해주었다(산헤드린 101b 등). 성경에서 이삭이 에서를 편애하여 영적으로 눈이 멀었다고 해석되듯("그의 눈이 흐려져 볼 수 없었다", 창세기 27:1), 아히야 역시 악한 제자를 편애하고 통치자로 세운 영적인 눈멂 때문에 재앙을 겪었다고 본다("아히야는 나이 때문에 눈이 어두워져 볼 수 없었다", 열왕기상 14:4)(창세기 랍바 65장, 예루살렘 탈무드 예브 16:15c 등).[27]

반면, 여로보암의 아들 아비야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가 존재한다. 열왕기상 14장 13절의 "이스라엘의 주 하나님을 향한 선한 일"은 아비야가 예루살렘 순례를 막기 위해 아버지가 국경에 세운 감시병들을 제거한 용감하고 경건한 행동을 의미한다고 해석된다(M. Ḳ. 28b). 일부는 아비야 자신이 직접 순례를 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17]

하나님은 처음에 여로보암의 경건함을 기뻐하셨으나, 그가 소년 시절 악으로 기울자 천사 회의에서 그를 제거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살려두었고, 후에 하나님은 그를 에덴으로 올리려 하셨다. 하지만 여로보암은 이새의 아들(다윗)이 그곳에서 최고의 영광을 누릴 것이라는 말을 듣고 거절했다. 그는 심지어 "전차의 신비"를 배웠다고도 전해진다(미드라쉬 테힐림).[27]

비록 여로보암이 내세에서 제외될 죄인으로 여겨지지만, 탈무드는 그가 죽은 지 여러 해 후에 그의 유해가 불태워지는 모욕을 당했기 때문에, 이것이 죄를 속죄하여 부활의 때에 다시 살아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한다.[28]

5. 평가 및 영향

여로보암은 솔로몬 사후, 르호보암의 통치에 불만을 품은 백성들의 추대로 북이스라엘 왕국의 초대 왕이 되어 왕국 분열을 이끌었다. 정치적으로는 새로운 왕국을 세우는 데 성공했지만, 종교적으로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예루살렘 성전 중심의 신앙에서 벗어나게 하려는 정책을 펼쳤다. 이를 위해 세겜과 브누엘을 재건하고, 벧엘금송아지 우상을 만들어 세웠다. 또한 레위 자손이 아닌 일반 백성 중에서 제사장을 임명하고, 율법에 정해진 초막절 날짜를 임의로 변경하는 등 기존의 종교 질서를 무너뜨렸다. 이러한 여로보암의 종교 정책은 우상 숭배를 조장하여 이스라엘 역사에 깊은 부정적 영향을 끼쳤으며, 이후 북이스라엘 왕들의 죄악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작용하며 왕국의 멸망에까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받는다.

참조

[1] 웹사이트 Study dictionary: Jeroboam http://net.bible.org[...] NeXtBible Learning Environment
[2] Bible 1 Kings 11:26
[3] Bible 1 Kings 14:1
[4] Bible 1 Kings 11:29–39
[5] 서적 A short introduction to the Hebrew Bible Fortress Press
[6] Bible 1 Kings 14:9
[7] 서적 The "Sin" of Jeroboam https://brill.com/di[...]
[8] 간행물 The Leap-Month Fabricated by Jeroboam https://tobias-lib.u[...]
[9] 문서 Gehazi at Jewish Encyclopedia
[10] Bible 1 Kings 13:1–6
[11] Bible 1 Kings 13:33
[12] 기타 Gill's Exposition of the Entire Bible on 1 Kings 13 http://biblehub.com/[...] 2017-10-19
[13] Bible 2 Kings 23:15–16
[14] 웹사이트 IDDO - JewishEncyclopedia.com http://www.jewishenc[...]
[15] 기타 1 Kings 12:24e http://ccat.sas.upen[...]
[16] Bible 1 Kings 14
[17] 기타 Jewish Encyclopedia - "The passage, I Kings, xiv. 13, in which there is a reference to 'some good thing [found in him] toward the Lord God of Israel,' is interpreted (M. Ḳ. 28b) as an allusion to Abijah's courageous and pious act in removing the sentinels placed by his father on the frontier between Israel and Judah to prevent pilgrimages to Jerusalem. Some assert that he himself undertook a pilgrimage." http://jewishencyclo[...]
[18] 기타 Smith's Bible Dictionary: Jeroboam http://biblehub.com/[...] 2017-08-02
[19] Bible 2 Chronicles 13:1
[20] Bible 2 Chronicles 13:3
[21] Bible 2 Chronicles 13:4–12
[22] Bible 2 Chronicles 13:17
[23] Bible 2 Chronicles 13:20
[24] Bible 2 Chronicles 13:19
[25] Bible 1 Kings 12:25–33
[26] Bible Joshua 18:20–28
[27] 기타 Jerobaum "Jewish Encyclopedia" https://www.jewishen[...]
[28] 기타 Who Will Be Resurrected? https://www.chabad.o[...]
[29] Bible 1 Kings 14
[30] Bible 1 Kings 14:15
[31] Bible 1 Kings 12:28
[32] 간행물 How Jeroboam II became Jeroboam I
[33] 서적 Jeroboam I? Jeroboam II? Or Jeroboam 0? Jeroboam in History and Tradition Eisenbrauns
[34] 웹사이트 Liquor Bottle Sizes: A Complete Guide https://www.tricorbr[...] 2024-08-18
[35] 인용 The Mysterious Numbers of the Hebrew Kings Zondervan/Kregel
[36] 서적 Encyclopaedia Judaica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