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국-미얀마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국-미얀마 전쟁은 18세기 말부터 꼰바웅 왕조의 영토 확장과 영국령 인도와의 국경 분쟁으로 시작되어, 1824년부터 1885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발생한 일련의 전쟁을 의미한다. 제1차 전쟁(1824-1826)에서 영국은 승리하여 아삼, 마니푸르, 아라칸, 테나세림 지역을 획득했다. 제2차 전쟁(1852-1853)에서 페구 지방을 점령했으며, 제3차 전쟁(1885-1886)에서 꼰바웅 왕조를 멸망시키고 미얀마를 영국령 인도에 병합했다. 이로 인해 버마 왕조는 멸망하고 영국령 인도에 편입되었으며, 버마는 1948년 영국 연방을 탈퇴한 이후 완전한 독립을 회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얀마가 참전한 전쟁 - 제1차 영국-미얀마 전쟁
    제1차 영국-미얀마 전쟁은 1824년부터 1826년까지 영국과 미얀마 간에 아라칸 지역 분쟁, 미얀마의 아삼 침략, 영국의 제국주의적 팽창 등으로 인해 발발했으며 영국군의 승리로 얀다보 조약이 체결되어 미얀마가 아삼, 마니푸르, 아라칸 등을 영국에 할양하고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하게 되었다.
  • 미얀마가 참전한 전쟁 - 동남아시아 전구 (제2차 세계 대전)
    동남아시아 전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제국의 동남아시아 군사 작전과 연합국의 대응을 포괄하는 태평양 전쟁의 중요한 부분으로, 복잡한 지형과 열악한 환경 속에서 다양한 국적의 군대가 참여하여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전장이었다.
  • 영국이 참전한 전쟁 - 나폴레옹 전쟁
    나폴레옹 전쟁은 1803년부터 1815년까지 나폴레옹 1세의 프랑스 제국과 유럽 열강 간의 대규모 전쟁으로, 프랑스 혁명 전쟁에서 비롯되어 프랑스의 유럽 대륙 영향력 확장을 가져왔으나 몰락했고, 유럽 정치 지형 변화, 민족주의 발흥, 군사 혁신, 빈 회의를 통한 세력 균형, 나폴레옹 법전 등의 유산을 남겼다.
  • 영국이 참전한 전쟁 - 장미 전쟁
    장미 전쟁은 1455년부터 1487년까지 랭커스터 가문과 요크 가문의 왕위 계승 분쟁으로 시작되어 헨리 7세의 승리로 튜더 왕조가 건국되면서 종결된 일련의 내전입니다.
영국-미얀마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분쟁 개요
분쟁명영국-미얀마 전쟁
관련동남아시아의 유럽 식민지화
시기1824년 3월 5일 – 1885년 11월 29일
장소미얀마
동벵골
아삼
마니푸르
카차르
자intia
결과영국 승리
콘바웅 왕조의 종말
영국령 버마의 시작
미얀마 저항의 시작
영토 변경콘바웅 왕조의 모든 영토가 영국령 인도에 합병됨
교전 세력
교전 1
(1858년까지)
(1858년부터)
협력 교전국(1826년까지)
교전 2
샨주
지휘관 및 지도자
지휘관 1헨리 고드윈
가넷 울슬리
해리 프렌더개스트
로드 암허스트
에드워드 파겟 경
아치볼드 캠벨 경
조지프 원턴 모리슨 #
협력 지휘관라마 3세
차오프라야 마하요타
프라야 수라세나
프라야 춤폰
지휘관 2바기다우
티보 민
파간 민
마웅 기
캬욱 론
마하 반둘라
마하 네 묘
민캬우 제야 투라
병력 규모
병력 150,000명 이상 (샴족 포함)
병력 240,000명 이상
부대
부대 1주재군
왕립 연대
협력 부대로열 시암 육군
부대 2왕립 미얀마군
샨족 징집병
사상자 및 피해
사상자 1알려지지 않음 (질병으로 인한 사망자 일부 발생)
사상자 2알려지지 않음
관련 이미지
제3차 영국-미얀마 전쟁, 미얀마 군대의 항복 사진
랑군 전투

2. 배경

18세기 말부터 꼰바웅 왕조의 확장 정책으로 영국령 인도와 국경 분쟁이 발생하였다.[1] 1824년 5월 영국 군함이 양곤에 도착하면서 전투가 시작되었고, 영국군의 승리로 끝났다. 미얀마는 1826년 양드보 조약을 체결하여 영국에 아삼, 마니푸르, 아라칸, 테나세림 지역을 넘겨주었다.

영국 동인도 회사는 미얀마의 문호를 완전히 개방하려는 경제적 야심으로 1852년부터 1853년까지 제2차 전쟁을 일으켰다.[1] 1851년 양곤에서 미얀마 당국이 영국 선장 두 명을 거칠게 다룬 사건을 빌미로 전쟁을 일으켰고, 미얀마는 패전하여 남부 핵심 지역인 페구 지방을 영국에 넘겨주었다.

꼰바웅 왕조 하의 미얀마(현재의 미얀마) 확장은 국경 지역 문제를 야기했다. 이 국경은 영국 제국의 동인도 회사와 이후 영국령 인도 제국에 점점 더 가까워졌고, 불분명한 국경을 넘는 난민 문제와 군사 작전이 발생했다.[1]

영국은 1600년 동인도 회사 설립 후 인도, 특히 동부 벵골 지방을 식민지화했다. 19세기 초, 동인도 회사는 인도 대부분을 지배했고, 무굴 제국은 쇠퇴했다. 버마는 1752년 알라웅파야가 세운 꼰바웅 왕조가 흥성한 후 샴과 윈난 침공을 반복했다. 인도를 구축하는 영국을 틈타 서쪽 영토 확장을 시도했고, 1818년 버마 국왕은 벵골 지방 동쪽 절반까지 할양을 요구했지만, 영국은 응하지 않았다. 1822년 버마군은 벵골에 침입했으나, 산업 혁명으로 영토 확장을 원했던 영국을 자극하는 무모한 행위였다.

3. 제1차 영국-미얀마 전쟁 (1824-1826)

꼰바웅 왕조가 18세기 말부터 서쪽으로 세력을 넓히면서 영국령 인도와 국경 분쟁을 일으켜 전쟁이 일어났다.[1] 1824년 5월에 영국 군함이 양곤에 도착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된 전투는 영국군의 승리로 끝났다. 1826년 얀다보 조약 체결로 미얀마는 아삼, 마니푸르, 아라칸, 테나세림 지역을 영국에 넘겨주었으며, 민족적 자존심에 큰 손상을 입었다.[2]

제1차 영국-미얀마 전쟁 (1824–1826)은 영국 동인도 회사의 승리로 끝났으며, 얀다보 조약에 따라 버마는 아삼, 마니푸르, 아라칸을 영국에 할양했다.[2] 영국은 또한 테나세림을 차지하여 버마나 샴과의 향후 협상에서 협상 카드로 사용할 의도를 가졌다.[3]

4. 제2차 영국-미얀마 전쟁 (1852-1853)

1852년부터 1853년까지 계속된 제2차 전쟁은, 영국 동인도 회사가 미얀마의 문호를 완전히 개방하려는 경제적 야심에서 일으킨 전쟁이다.[2] 영국은 1851년에 양곤에서 미얀마 당국이 영국 선장 두 명을 거칠게 다룬 사건을 빌미로 전쟁을 일으켰다. 미얀마는 이 전쟁에서도 패해, 영국에 미얀마 남부의 핵심 지역인 페구 지방을 넘겨주었다.[1]

1852년, 달후지 경은 이전 조약과 관련된 몇 가지 사소한 문제로 람버트 제독을 미얀마에 파견했다. 미얀마는 영국이 ''개전 사유''로 삼았던 총독을 해임하는 것을 포함하여 즉각 양보했다. 람버트는 결국 매우 의심스러운 상황에서 해상 대결을 유발했고, 그리하여 제2차 영국-미얀마 전쟁을 시작했다. 이 전쟁은 영국이 페구 주를 병합하면서 끝났고, 이곳은 로우어 버마로 개명되었다. 이 전쟁의 결과로 미얀마에서 궁정 혁명이 일어났고, 파간 민 왕(1846–1853)은 그의 이복 동생인 민돈 민(1853–1878)으로 교체되었다.[2]

영국은 버마 남부를 손에 넣음으로써 더욱 동아시아 진출을 목표로 하였다.

5. 제3차 영국-미얀마 전쟁 (1885-1886)

1885년 미얀마 정부가 조약을 지키지 않고 프랑스에 접근하여 영국을 견제하려 하자, 영국은 다시 제3차 전쟁을 일으켰다.[1] 전쟁의 구실은 미얀마 정부가 영국의 티크 목재 회사에 과도한 벌금을 부과한 것이었다. 전투 시작 2주 만에 수도 만달레이가 함락되었고, 꼰바웅 왕조는 무너졌다. 영국은 1886년 1월 1일에 미얀마를 합병한다고 공식 선포했다.[1]

1885년 11월, 영국은 미얀마를 완전히 지배하기 위해 세 번째 침공을 시작했다. 1886년 미얀마 국왕 티보는 영국에 항복했고, 상부 버마는 영국령 인도에 병합되었다. 1890년까지 영국 점령에 저항하는 전투가 계속되었지만 결국 진압되었다.

미얀마 왕조는 멸망하고 1886년 영국령 인도에 병합되었다. 티보 왕 부부는 봄베이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사망했다. 수도 만달레이는 영국 병사들에게 약탈당했으며, 왕궁의 보물 대부분이 빼앗겼다. (이 보물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부분 반환되었지만, 일부는 아직도 영국이 소유하고 있다.)

1886년 7월, 영국은 베이징에서 청나라와 "버마와 티베트에 관한 조약"[8]을 체결했다. 이 조약에서 청나라는 영국의 미얀마 병합을 인정하고 미얀마에 대한 종주권 주장을 포기했다. 대신, 청나라와 미얀마 간의 조공 무역은 계속 유지되었다.

6. 결과 및 영향

1886년 영국은 미얀마(버마)를 영국령 인도에 병합했고, 티보 왕 부부는 영국령 인도의 봄베이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생을 마감했다.[8] 수도 만달레이는 영국 병사들에게 약탈당했고, 왕궁의 보물들은 대부분 영국으로 옮겨졌다.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대부분 반환되었지만, 일부는 아직도 영국이 소유하고 있다.)

같은 해 7월, 영국은 베이징에서 청나라와 "버마와 티베트에 관한 조약"을 체결했다.[8] 이 조약으로 청나라는 영국의 미얀마 병합을 인정하고 종주권 주장을 포기했으며, 미얀마와 청나라 간의 조공 무역은 계속 유지되었다. 대신 영국은 지푸 조약에서 얻은 티베트에 대한 사절 파견 및 통상권을 포기했다.

미얀마는 1937년 영국령 인도에서 분리되어 자치령이 되었으나, 1948년 1월 4일 영국 연방을 탈퇴하면서 완전한 독립을 이루었다. 그러나 영국-미얀마 전쟁은 미얀마인들에게 굴욕적인 사건으로 기억되었고, 이는 반영 감정과 반서구적 정서로 이어져 버마식 사회주의와 현재까지 이어지는 군사 정권의 등장 배경이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San Beck Org. http://www.san.beck.[...]
[2] 서적 History of Burma Susil Gupta
[3] 서적 Burma http://mission.itu.c[...] Hutchinson University Library
[4] 서적 The River of Lost Footsteps Farrar, Straus and Giroux
[5] 웹사이트 German Language Institute http://www.e-gli.com[...] 2015-01-03
[6] 웹사이트 www.enotes.com http://www.enotes.co[...]
[7] 서적 The River of Lost Footsteps Farrar, Straus and Giroux
[8] 웹사이트 Convention Relating to Burma and Thibet, 1886*, CHINA'S EXTERNAL RELATIONS - A HISTORY http://www.chinafo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