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밀 길렐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밀 길렐스는 1916년 우크라이나 오데사에서 태어난 피아니스트이다. 절대 음감을 가진 그는 5세부터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해 뛰어난 재능을 보였고, 1933년 전 소련 연주자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이름을 알렸다. 이후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겐리흐 네이가우스를 사사했고, 1938년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길렐스는 2차 세계 대전 중 군인들을 위한 야외 공연을 펼쳤으며, 바이올리니스트 레오니트 코간, 첼리스트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와 실내악 트리오를 결성하기도 했다. 그는 1952년부터 모스크바 음악원 교수로 재직하며 후진 양성에 힘썼으며, 1985년 모스크바에서 사망했다. 길렐스는 베토벤, 브람스 등 고전 작품 해석에 뛰어났으며, 멜로디야, EMI, 도이치 그라모폰 등에서 수많은 음반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계 소련인 - 미하일 고르바초프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소련의 마지막 지도자로서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 정책을 추진하여 냉전 종식과 소련 붕괴에 영향을 미쳤으며, 1990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지만 그의 역할에 대한 논쟁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우크라이나계 소련인 - 니콜라이 포드고르니
니콜라이 포드고르니는 우크라이나 출신으로 소련 공산당에서 경력을 쌓아 흐루쇼프 시대 우크라이나 공산당 제1서기를 거쳐 소련 지도부에 진입했으나, 브레즈네프와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 해임된 후 사망했으며, 소련 내 자유주의적 인물로 평가받는다. - 우크라이나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발렌티나 리시차
발렌티나 리시차는 우크라이나 출신의 피아니스트로, 3세에 피아노를 시작하여 4세에 독주회를 열었으며, 유튜브에서 연주 영상을 공개하며 유명세를 얻었으나 친러시아적인 정치적 입장으로 논란을 겪었다. - 우크라이나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블라디미르 호로비츠는 러시아 태생 미국인 피아니스트로, 뛰어난 기교와 독창적인 연주 스타일로 20세기 최고의 피아니스트 중 한 명으로 인정받으며 낭만주의 레퍼토리, 특히 리스트 작품 해석에 뛰어났다. - 소련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스타니슬라프 부닌
스타니슬라프 부닌은 러시아 출신 피아니스트로,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 우승 후 일본에서 활동하며 센조쿠 학원 음악대학에서 강의했고, 1988년 서독으로 망명하여 2023년 음악 활동을 재개했다. - 소련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블라디미르 소프로니츠키
20세기 러시아의 피아니스트이자 교육자인 블라디미르 소프로니츠키는 스크랴빈 음악 해석에 영향을 받았으며 소련 내에서 최고의 피아니스트로 칭송받았고, 스크랴빈과 쇼팽 연주로 특히 유명하며 후대 거장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예밀 길렐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사무일 그리고리예비치 길렐스 |
출생 | 1916년 10월 19일 |
출생지 | 오데사, 러시아 제국 (현재의 우크라이나) |
사망 | 1985년 10월 14일 |
사망지 | 모스크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련 |
국적 | 소련 |
직업 | 피아니스트 |
장르 | 클래식 음악 |
악기 | 피아노 |
러시아어 표기 | |
러시아어 | Эми́ль Григо́рьевич Ги́лельс (에밀 그리고리예비치 길렐스) |
우크라이나어 표기 | |
우크라이나어 | Емі́ль Григо́рович Гі́лельс (에밀 흐리호로비치 힐렐스) |
교육 | |
학교 | 오데사 음악원 |
2. 생애
예밀 길렐스는 1916년 10월 19일 당시 러시아 제국의 오데사(현재 우크라이나)에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5]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음악적 재능을 보여 다섯 살 반에 피아노 교육을 받기 시작했으며[5][6], 오데사 음악원에서 베르타 레인발트의 지도를 받으며 성장했다.[7]
1933년 전 소련 연주자 콩쿠르 우승으로 소련 내에서 명성을 얻었고, 이후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하인리히 노이하우스에게 사사하며 국제 무대로 나아갔다. 1938년 브뤼셀에서 열린 이자이 국제 페스티벌(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세계적인 피아니스트로 발돋움했다. 이 시기 망명 중이던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는 길렐스를 자신의 피아노 계승자로 인정하기도 했다.[8]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프로코피예프의 피아노 소나타 8번을 초연(1944년)하고[9] 최전선 위문 공연에 참여했으며[10], 전쟁 후에는 레오니트 코간,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와 실내악 트리오를 결성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1946년 스탈린상을 수상했다.
1950년대부터는 서방 세계에서의 연주 활동이 허가되어 미국(1955년)[7], 영국(1951년)[11] 등지에서 성공적인 데뷔 무대를 가졌다. 동시에 1952년부터 모스크바 음악원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썼고, 1958년 제1회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심사위원장을 맡는 등 소련 음악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81년 암스테르담 공연 후 심장 마비를 겪으며 건강이 악화되었고, 1985년 10월 14일 모스크바에서 건강 검진 중 예기치 않게 사망했다.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둘러싸고 의료 사고 논란이 있었으나[12][13],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다. 길렐스는 두 번 결혼했으며, 두 번째 부인과의 사이에서 딸 엘레나를 두었다. 엘레나 역시 피아니스트로 활동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오데사 시절)
예밀 길렐스는 1916년 10월 19일(구력으로는 10월 6일) 당시 러시아 제국의 일부였던 오데사(현재 우크라이나)에서 유대인 가정의 게샤와 그리고리 길렐스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제당 공장에서 사무원으로 일했다.길렐스는 절대 음감을 가지고 있었고, 다섯 살 반의 나이에 오데사의 피아노 교육자 야코프 이사코비치 트카치에게 레슨을 받기 시작했다.[5] 그는 빠른 학습 능력을 보여 몇 달 안에 뢰슈호른 연습곡 3권을 모두 연주했고, 곧 클레멘티와 모차르트 소나티나를 연주하게 되었다. 길렐스는 나중에 트카치의 엄격한 훈련이 자신의 기술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고 말했다.[6] 트카치는 길렐스에 대해 "밀랴 길렐스는 피아니스트가 되기 위해 태어난 사람의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그의 발전에 필요한 관심을 기울인다면 소련은 미래에 세계적으로 유명한 피아니스트를 얻게 될 것이다."라고 언급했다.
1929년 5월, 12세의 길렐스는 첫 번째 공개 연주회를 가졌다.[6] 같은 해 길렐스는 오데사 음악원에 입학하여 베르타 레인발트의 지도를 받았다. 레인발트 아래에서 길렐스는 역사와 문학에 대한 특별한 재능을 보이며 문화적 관심의 폭을 넓혔다. 1931년 또는 1932년, 아르투르 루빈스타인이 오데사 음악원을 방문하여 길렐스를 만났고, 두 사람은 루빈스타인의 생애가 끝날 때까지 친구로 지냈다.[7] 레인발트는 길렐스가 라이브 연주회를 할 수 있도록 신중하게 지도했으며, 과도한 연주회 출연으로부터 제자를 보호했다.
1933년 길렐스는 모스크바에서 열린 제1회 전 소련 연주자 콩쿠르에 참가하여 만장일치로 1위를 차지했다. 이 승리로 길렐스는 소련 전역에서 유명해졌고, 전국적인 연주 투어로 이어졌다. 그러나 투어의 스트레스로 인해 길렐스는 투어를 중단하고 오데사로 돌아가 학업을 마쳤으며, 모스크바 음악원으로의 편입 제안조차 거절했다. 길렐스는 이후 레인발트를 자신의 진정한 스승, 멘토이자 평생의 친구로 여겼다.
길렐스는 1935년 가을 오데사 음악원을 졸업했다. 이후 그는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하인리히 노이하우스의 대학원생으로 입학하여 연주회 개최에 대한 헌신을 새롭게 했다. 1936년 그는 첫 번째 국제 콩쿠르인 빈 국제 음악 아카데미 콩쿠르에 참가하여 2위를 차지했고, 그의 친구이자 동료 학생인 야코프 플리어가 1위를 차지했다. 2년 후인 1938년, 길렐스와 플리어는 모두 브뤼셀에서 열린 이자이 국제 페스티벌(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 참가했다. 길렐스는 이 대회에서 1위를 수상했고, 플리어는 3위를 차지했다. 길렐스는 1938년 모스크바에서 학업을 마쳤다.
2. 2. 모스크바 음악원 시절과 국제 콩쿠르 석권
1935년 오데사 음악원을 졸업한 후 바로 모스크바 음악원에 입학하여 2년간 겐리흐 네이가우스에게 사사했다. 같은 문하생으로는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 아나톨리 베데르니코프, 1937년 제3회 쇼팽 콩쿠르에서 우승한 야코프 자크, 1970년 제4회 차이콥스키 콩쿠르에서 우승한 블라디미르 크라이네프 등이 있다.국외 콩쿠르에도 출전하여, 1936년에는 빈 국제 콩쿠르에서 2위를 차지했고, 1938년에는 브뤼셀에서 열린 이자이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했다. 이 대회에는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도 참가했지만 7위에 그쳤다.
또한, 이 무렵부터 소비에트 멜로디아에서 레코드 녹음을 시작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과 전후 활동
브뤼셀에서의 활동 이후, 예정되었던 순회 공연과 1939년 뉴욕 세계 박람회에서의 미국 데뷔는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로 인해 중단되었다. 러시아에서 망명 생활을 하던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는 길렐스의 명성을 듣고 그의 라디오 공연을 듣기 시작했으며, 이후 길렐스를 자신의 피아노 계승자로 여겨 자신의 메달과 졸업장을 그에게 보냈다. 이 메달에는 안톤 루빈스타인의 옆모습이 새겨져 있었고, 졸업장에는 라흐마니노프 자신이 루빈스타인으로부터의 계승을 상징하기 위해 길렐스의 이름을 추가했다. 길렐스는 평생 동안 이 유물을 소중히 여겼다.[8]1944년, 길렐스는 프로코피예프의 피아노 소나타 8번을 초연했다.[9]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최전선에서 사기를 북돋기 위해 야외 공연을 열어 소련 군인들을 즐겁게 했으며, 이에 대한 필름 기록이 남아있다.[10] 1945년에는 바이올리니스트 레오니트 코간 (처남)과 첼리스트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와 함께 실내악 트리오를 결성했다. 길렐스는 1946년 스탈린상을 수상했다. 전쟁 후, 그는 동유럽의 소련 블록 국가들을 순회하며 독주자로 활동했으며, 야코프 플리에와 함께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연주회를 열기도 했고, 바이올리니스트인 누이 엘리자베타와 함께 콘서트를 열기도 했다.
1952년, 그는 모스크바 음악원 교수가 되었다. 그의 제자들로는 발레리 아파나시에프, 이리나 자리츠카야, 마리나 고글리제-므디바니, 이리나 스모로디노바 (파리 마르그리트 롱-자크 티보 국제 피아노 콩쿠르 우승자), 이고르 주코프, 블라디미르 블록, 펠릭스 고틀리브 등이 있다. 그는 1958년 처음 개최된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의 심사위원장을 맡았으며, 이 대회에서 반 클라이번이 1위를 차지했다. 길렐스는 수년 동안 이 콩쿠르를 주관했다.

길렐스는 다비드 오이스트라흐와 함께 서방 세계를 여행하며 콘서트를 열 수 있도록 허가받은 최초의 소련 예술가 중 한 명이었다. 그의 미국 데뷔는 1955년 10월,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와 유진 오먼디와 함께 이루어졌다.[7] 그의 영국 데뷔는 1951년 코벤트리에서 이루어졌으며, 이고르 오이스트라흐, 갈리나 비슈네프스카야, 마르크 라이젠, 작곡가 카발레프스키와 함께 공연했다. 1952년에는 로열 앨버트 홀에서 연주했다.[11] 길렐스는 1969년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에 데뷔하여 모차르테움에서 베버, 프로코피예프, 베토벤의 피아노 독주회를 열었으며, 조지 셀과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함께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 3번을 연주했다.
1981년, 길렐스는 암스테르담의 콘서트헤보우에서 리사이틀을 한 후 심장 마비를 겪었고, 이후 건강이 악화되었다. 그는 1985년 10월 14일, 69번째 생일을 불과 며칠 앞두고 모스크바에서 건강 검진을 받던 중 예기치 않게 사망했다. 길렐스를 잘 알고 있었고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하인리히 노이하우스의 제자였던 스비아토슬라프 리흐테르는 길렐스가 크렘린 병원에서 정기 검진 중 약물이 잘못 주입되어 사고로 사망했다고 믿었다.[12] 그러나 덴마크 작곡가이자 작가인 칼 아게 라스무센은 리히터의 전기에서 이 가능성을 부인하며 이는 잘못된 소문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13]
길렐스는 두 번 결혼했다. 그는 1940년에 피아니스트 로자 타마르키나와 처음 결혼했다. 그의 두 번째 부인은 모스크바 음악원 졸업생인 파리세트 (랄라) 후치스토바였으며, 그는 1947년에 결혼했다. 그들은 딸 엘레나를 두었는데, 그녀는 플리에의 제자로 모스크바 음악원을 졸업했으며, 아버지와 함께 연주하고 음반을 녹음했다.
2. 4. 국제적인 명성과 교육 활동
브뤼셀에서의 활동 이후, 예정되었던 순회 공연과 1939년 뉴욕 세계 박람회에서의 미국 데뷔는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로 인해 중단되었다. 당시 러시아에서 망명 생활을 하던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는 길렐스의 명성을 듣고 그의 라디오 공연을 듣기 시작했으며, 이후 길렐스를 자신의 피아노 계승자로 여겨 자신의 메달과 졸업장을 그에게 보냈다. 이 메달에는 안톤 루빈스타인의 옆모습이 새겨져 있었고, 졸업장에는 라흐마니노프 자신이 루빈스타인으로부터의 계승을 상징하기 위해 길렐스의 이름을 추가했다. 길렐스는 평생 동안 이 유물을 소중히 여겼다.[8]1944년, 길렐스는 프로코피예프의 피아노 소나타 8번을 초연했다.[9]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최전선에서 야외 공연을 열어 소련 군인들의 사기를 북돋았으며, 이 모습은 필름 기록으로 남아있다.[10] 1945년에는 바이올리니스트 레오니트 코간 (처남)과 첼리스트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와 함께 실내악 트리오를 결성했다. 그는 1946년 스탈린상을 수상했다. 전쟁 후에는 동유럽의 소련 블록 국가들을 순회하며 독주자로 활동했으며, 야코프 플리에와 함께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연주회를 열거나 바이올리니스트인 누이 엘리자베타 길렐스와 함께 콘서트를 열기도 했다.
길렐스는 다비드 오이스트라흐와 함께 서방 세계를 여행하며 콘서트를 열 수 있도록 허가받은 최초의 소련 예술가 중 한 명이었다. 그의 영국 데뷔는 1951년 코벤트리에서 이루어졌으며, 이고르 오이스트라흐, 갈리나 비슈네프스카야, 마르크 라이젠, 작곡가 카발레프스키와 함께 공연했다. 1952년에는 런던 로열 앨버트 홀에서 연주했다.[11] 1955년 10월에는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및 지휘자 유진 오먼디와 협연하며 차이콥스키의 피아노 협주곡 1번을 연주하며 미국 데뷔를 했다.[7] 1956년에는 일본을 방문하는 등 활발한 국제 활동을 이어갔다. 길렐스는 1969년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에 데뷔하여 모차르테움에서 베버, 프로코피예프, 베토벤의 피아노 독주회를 열었으며, 조지 셀이 지휘하는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함께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 3번을 연주했다.
1952년부터는 모스크바 음악원 교수로 재직하며 후진 양성에도 힘썼다. 그의 제자들로는 발레리 아파나시에프, 이리나 자리츠카야, 마리나 고글리제-므디바니, 이리나 스모로디노바 (파리 마르그리트 롱-자크 티보 국제 피아노 콩쿠르 우승자), 이고르 주코프, 블라디미르 블록, 펠릭스 고틀리브, 프랑스 클리다 등이 있다. 그는 1958년 처음 개최된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의 심사위원장을 맡았으며, 이 대회에서 미국의 반 클라이번이 1위를 차지했다. 길렐스는 수년 동안 이 콩쿠르를 주관하며 영향력을 발휘했다.
2. 5. 말년과 죽음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최전선에서 야외 공연을 열어 소련 군인들의 사기를 북돋았다.[10] 1945년에는 바이올리니스트 레오니트 코간(처남)과 첼리스트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와 함께 실내악 트리오를 결성했다. 1946년에는 스탈린상을 수상했다. 전쟁 후 길렐스는 동유럽의 소련 블록 국가들을 순회하며 독주자로 활동했으며, 1947년부터는 유럽 전역으로 연주 활동 범위를 넓혔다. 또한 야코프 플리에와 함께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연주회를 열었고, 바이올리니스트인 누이 엘리자베타와 함께 콘서트를 열기도 했다.1952년부터는 모스크바 음악원 교수로 재직하며 후진 양성에 힘썼다. 그의 제자들로는 발레리 아파나시에프, 이리나 자리츠카야, 마리나 고글리제-므디바니, 이리나 스모로디노바, 이고르 주코프, 블라디미르 블록, 펠릭스 고틀리브 등이 있다.
스탈린 시대에는 서방 국가에서의 활동이 제한되었으나, 1955년 다비드 오이스트라흐,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등과 함께 서방 세계 연주 여행을 허가받은 최초의 소련 예술가 중 한 명이 되었다. 그의 미국 데뷔는 1955년 10월,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와 지휘자 유진 오먼디와 협연한 차이콥스키의 피아노 협주곡 1번 연주였다.[7] 이에 앞서 1951년 영국 코벤트리에서 데뷔했으며, 1952년에는 런던 로열 앨버트 홀에서 연주했다.[11] 1956년에는 일본을 방문하기도 했다.
1958년 처음 개최된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의 심사위원장을 맡아 반 클라이번에게 1위를 수여했으며, 이후 여러 해 동안 이 콩쿠르를 주관했다. 1969년에는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에 데뷔하여 모차르테움에서 베버, 프로코피예프, 베토벤의 피아노 독주회를 열었고, 조지 셀이 지휘하는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함께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 3번을 협연했다. 러시아 자택에서는 업라이트 피아노로 연습했다고 전해진다.
1981년, 암스테르담의 콘서트헤보우에서 리사이틀을 마친 후 심장 마비를 겪었고, 이후 건강이 점차 악화되었다. 그는 1985년 10월 14일, 69번째 생일을 불과 며칠 앞두고 모스크바의 한 병원에서 건강 검진을 받던 중 예기치 않게 사망했다. 그의 사망 원인에 대해 동료 피아니스트이자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함께 하인리히 노이하우스를 사사했던 스비아토슬라프 리흐테르는 크렘린 병원에서 정기 검진 중 간호사가 실수로 다른 약물을 주입하여 사망에 이르렀다고 주장했다.[12] 그러나 덴마크 작곡가이자 작가인 칼 아게 라스무센은 리히터의 전기를 통해 이러한 주장이 잘못된 소문에 불과하다고 반박했다.[13]
길렐스는 두 번 결혼했다. 1940년 피아니스트 로자 타마르키나와 처음 결혼했다. 이후 1947년에는 모스크바 음악원 졸업생인 파리세트 (랄라) 후치스토바와 재혼하여 딸 엘레나를 두었다. 엘레나 길렐스 역시 피아니스트(플리에의 제자)로 성장하여 아버지와 함께 연주하고 음반을 녹음하기도 했다.
3. 연주 스타일 및 레퍼토리
예밀 길렐스는 뛰어난 기술적 통제력과 윤기 넘치는 음색으로 널리 존경받았다.[14] 그는 강철 터치라고 불리는 완벽한 테크닉과 더불어 절제되고 세련된 연주 설계로 매우 높이 평가받았다.
길렐스는 스카를라티, 바흐와 같은 바로크 시대 작곡가부터 베토벤, 브람스, 슈만 등 독일-오스트리아 고전 및 낭만주의 작곡가들의 작품 해석에 뛰어났으며, 이는 그의 레퍼토리의 핵심을 이루었다. 또한 드뷔시, 바르토크, 라흐마니노프, 프로코피예프 등 20세기 작곡가들의 작품에서도 탁월한 연주를 선보였다. 특히 프로코피예프로부터는 피아노 소나타 8번을 헌정받았으며, 1944년 12월 29일 이 작품을 초연했다. 그의 리스트의 헝가리 광시곡 9번과 B단조 소나타 녹음은 고전적인 명반으로 꼽힌다.[15]
베토벤 연주로도 높은 평가를 받았는데, 음악 평론가 요시자와 빌헬름은 길렐스가 네이가우스 문하생 중 한스 폰 뷜로 이래의 전통을 가장 잘 계승했다고 평가했다. 길렐스는 독일 음반사 도이치 그라모폰에서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전곡 녹음을 진행하던 중 모스크바의 한 병원에서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나 전집을 완성하지 못했다.[16][17] 그의 "함머클라비어" 소나타 녹음은 1984년 그래모폰 상을 수상했으며, 미완성된 소나타 녹음들은 길렐스 만년의 음악적 경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남아있다.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은 쿠르트 마주어 및 조지 셀 지휘로 전집이 발매되었는데, 특히 조지 셀과의 협연 음반은 오케스트라의 뛰어난 반주와 함께 높은 완성도를 보여 대표적인 명반으로 꼽힌다.
브람스의 피아노 협주곡 1번과 2번을 오이겐 요훔 지휘, 베를린 필하모닉과 함께 도이치 그라모폰에서 녹음한 음반 역시 해당 곡들의 대표적인 명반으로 평가받는다.
만년에 길렐스의 연주 스타일은 뼈대 있는 표현보다는 힘을 억제한, 고담(枯淡)한 경지로 변화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녹음 활동은 주로 소련 국영 음반사 멜로디야에서 이루어졌으며, 이 녹음들은 EMI 레코드(미국에서는 엔젤 레코드 및 세라핌 레코드)를 통해 서방 세계에 소개되었다. 2013년 워너 클래식이 EMI 클래식을 인수하면서 길렐스의 녹음 대부분을 소유하게 되었다.
길렐스는 딸 엘레나 길렐스와 함께 모차르트의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 (카를 뵘 지휘, 빈 필하모닉 협연) 및 슈베르트의 피아노 듀엣을 위한 환상곡 f단조를 녹음했다. 또한 바이올리니스트 레오니트 코간, 첼리스트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와 함께 여러 실내악 작품을 녹음하기도 했다.
4. 주요 녹음
길렐스는 녹음 활동의 대부분을 소련 국영 음반사인 멜로디야에서 진행했다. 이 녹음들은 EMI 레코드를 통해 서방 세계에 배급되었고, 미국에서는 엔젤 레코드와 EMI의 저가 레이블 세라핌 레코드를 통해 라이선스되었다. 2013년 워너 클래식이 EMI 클래식을 인수하면서 길렐스 녹음의 상당 부분을 확보하게 되었다.[14]
길렐스는 독일 음반사 도이치 그라모폰(DG)과 계약하여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전곡 녹음을 진행하던 중 모스크바의 한 병원에서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났다.[16][17] 이로 인해 전집은 완성되지 못했지만, 그의 "함머클라비어" 소나타 녹음은 1984년 그래모폰 상을 수상하며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는 딸 엘레나 길렐스와 함께 모차르트의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을 카를 뵘 지휘,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녹음했으며, 슈베르트의 피아노 듀엣을 위한 환상곡 f단조도 함께 녹음했다. 또한 바이올리니스트 레오니트 코간, 첼리스트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와 함께 여러 실내악 작품을 녹음하기도 했다.
다음은 길렐스의 주요 녹음 목록이다.
연도 | 작곡가 | 작품명 | 비고 |
---|---|---|---|
1935년 | 리스트 | 모차르트의 "피가로의 결혼" 주제에 의한 환상곡 | |
1951년 | 리스트 | 헝가리 광시곡 9번 | |
1954년 | 생상스 | 피아노 협주곡 2번 g단조, 작품 22 | 지휘: 앙드레 클뤼탕스 |
1954년 | 메트너 | 피아노 소나타 5번 g단조, 작품 22 | |
1955년 | 차이콥스키 | 피아노 협주곡 1번 | 지휘: 프리츠 라이너 |
1955년 | 라흐마니노프 | 피아노 협주곡 3번 d단조, 작품 30 | 지휘: 클뤼탕스 |
1957년 | 베토벤 | 피아노 협주곡 4번 | 지휘: 레오폴드 루트비히 |
1957년 | 스크랴빈 | 피아노 소나타 4번 F#장조, 작품 30 | |
1957년 | 바인베르크 | 피아노 소나타 4번 b단조 | |
1958년 | 브람스 | 피아노 협주곡 2번 B♭장조, 작품 83 | 지휘: 라이너 |
1961년 | 바흐 | 전주곡 b단조 (BWV 855) | 편곡: 알렉산드르 질로티, 모스크바 녹음 |
1968년 | 베토벤 | 피아노 협주곡 1~5번; 피아노 독주곡 | 클리블랜드 오케스트라, 지휘: 조지 셀 |
1968년 | 메트너 | 피아노 소나타 10번 a단조, 작품 38 1번 ("Sonata Reminiscenza") | 모스크바 녹음 |
1968년 | 리스트 | 스페인 광시곡 | 레닌그라드 녹음 |
1970년 | 베토벤 | 피아노 협주곡 3번 c단조, 작품 37 | 오케스트르 나시오날 드 로르트, 로잔 실황 녹음 (클라베스 레코드) |
1971년 | 브람스 | 피아노 협주곡 2번 B♭장조, 작품 83 | 지휘: 마리오 로시, 쾰른 녹음 |
1972년 | 차이콥스키 | 피아노 협주곡 2번 G장조, 작품 44 | 지휘: 로린 마젤 |
1972년 | 브람스 | 피아노 협주곡 1번 d단조, 작품 15 및 피아노 협주곡 2번 B♭장조, 작품 83 | 지휘: 오이겐 요훔 |
1973년 | 베토벤 | 피아노 소나타 23번 f단조, 작품 57 ("열정") | |
1973년 | 드뷔시 | 영상, 1권 | |
1973년 | 모차르트 | 피아노 협주곡 27번 B♭장조, K595 | 지휘: 카를 뵘 |
1974년 | 그리그 | 서정 소품 | |
1974년 | 프로코피예프 | 소나타 3번 a단조, 작품 28 | 쾰른 녹음 |
1974년 | 프로코피예프 | 소나타 8번 B♭장조, 작품 84 | |
1976년 | 슈베르트 | 송어 5중주 (피아노 5중주 A장조 D667) | 아마데우스 사중주단과 협연 |
1977년 | 라흐마니노프 | 전주곡 c#단조 작품 3, 2번 | 모스크바 녹음 |
1978년 | 쇼팽 | 피아노 소나타 3번 b단조, 작품 58 | |
1979년 | 차이콥스키 | 피아노 협주곡 1번 | 뉴욕 녹음 |
1982년 | 베토벤 | 피아노 소나타 29번 B♭장조, 작품 106 함머클라비어 | 베를린 녹음 |
1984년 | 베토벤 | 피아노 소나타 29번 | 모스크바 녹음 |
1984년 | 스크랴빈 | 피아노 소나타 3번 f#단조, 작품 23 | 모스크바 녹음 |
1984년 | 슈만 | 교향적 연습곡 | 일본 실황 녹음 |
1985년 | 베토벤 | 피아노 협주곡 5번 E♭장조, 작품 73 |
만년의 길렐스는 힘을 억제하고 고담한 경지에 이른 표현으로 변화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도이치 그라모폰에서 녹음한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들은 비록 미완성으로 끝났지만, 그의 만년의 음악 세계를 잘 보여주는 기록으로 남아있다. 또한, 조지 셀 지휘의 클리블랜드 오케스트라와 협연한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전집은 오케스트라의 뛰어난 반주와 함께 높은 완성도를 보여주며 대표적인 명반으로 꼽힌다. 오이겐 요훔 지휘,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녹음한 브람스의 피아노 협주곡 1번과 2번 역시 해당 곡들의 대표적인 명반으로 평가받는다.
5. 수상 및 영예
연도 | 상훈명 | 비고 |
---|---|---|
1933 | 전소련 피아노 콩쿠르 1등 | |
1936 | 비엔나 국제 피아노 콩쿠르 2등 | |
1938 | 콩쿠르 외젠 이자이 1등 | 브뤼셀 |
1946 | 스탈린상 | |
1954 | 소련 인민 예술가 | |
1961, 1966 등 총 3회 | 레닌 훈장 | |
1962 | 레닌상 | |
1976 | 사회주의 노동 영웅 | |
1981 | 인민 우호 훈장 | |
연도 미상 | 노동 적기 훈장 | |
연도 미상 | 명예 훈장 |
연도 | 상훈명 | 수여 기관/국가 |
---|---|---|
1967 | 파리 문화예술 공로 훈장 코망되르 | 프랑스 |
연도 미상 | 파리시 금메달 | 프랑스 |
연도 미상 | 레오폴드 훈장 (벨기에) | 벨기에 |
연도 미상 | 산타 체칠리아 국립 아카데미 명예 회원 | 로마 |
연도 미상 | 왕립 음악원 명예 회원 | 런던 |
연도 미상 | 프란츠 리스트 음악원 명예 교수 | 부다페스트 |
6. 가족 관계
- 여동생: 옐리자베타 길렐스 - 바이올리니스트. 레오니드 코간의 아내.
- 아내: 로자 타마르키나 - 1937년 제3회 쇼팽 콩쿠르에서 2위를 차지한 피아니스트. 1950년, 30세의 나이로 결핵으로 사망.
- 딸: 엘레나 길렐스 - 피아니스트.
참조
[1]
서적
The Soviet Power; the Socialist Sixth of the World
International Publishers
[2]
서적
U.S.S.R. Speaks for Itself Volume Three: Democracy in Practice
Lawrence & Wishart
[3]
웹사이트
The 20 Greatest Pianists of all time
https://www.classica[...]
2022-04-14
[4]
웹사이트
The 10 Greatest Pianists Of All Time
http://www.limelight[...]
2015-01-07
[5]
웹사이트
Emil Gilels: A True Giant of the Keyboard
http://www.abc.net.a[...]
2013-09-21
[6]
서적
Great Contemporary Pianists Speak for Themselves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7]
웹사이트
Emil Gilels, Soviet Pianist, Dies at 68
https://www.nytimes.[...]
1985-10-16
[8]
웹사이트
Triumph in Brussels (1938 – 1941)
http://archiv.emilgi[...]
2020-10-26
[9]
서적
Prokofiev's Piano Sonatas: A Guide for the Listener and the Performer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0]
기타
Emil Gilels Plays
[11]
웹사이트
CalmView: Overview
http://catalogue.roy[...]
[12]
서적
Sviatoslav Richter: Notebooks and Conversation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3]
서적
Sviatoslav Richter: Pianis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14]
웹사이트
Emil Gilels
http://www.emil-gile[...]
2007-06-03
[15]
간행물
International Piano Quarterly
Orpheus Publications Limited
Winter 2001
[16]
웹사이트
Emil Gilels: The Early Recordings
https://www.theguard[...]
2006-12-21
[17]
웹사이트
Emil Gilels, Soviet Pianist, Dies at 68
https://www.nytimes.[...]
1985-10-16
[18]
웹사이트
(2009) Beethoven: Piano Concerto No. 3, Op. 37 (Live Recording, Lausanne 1970)
https://www.claves.c[...]
2019-03-31
[19]
웹사이트
Emil Gilels's searching recording of Grieg's Lyric Pieces
http://www.gramophon[...]
[20]
forvo
ウクライナ語の発音例
https://ja.forvo.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