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사카 모노레일 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사카 모노레일 본선은 오사카 국제공항과 가도마시를 잇는 고가 노선이다. 1990년 센리추오역 ~ 미나미이바라키역 구간을 시작으로, 1994년 시바하라한다이마에역, 1997년 오사카 공항역, 가도마시역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현재는 오사카 공항역에서 가도마시역까지 총 21.2km 구간을 운행하며, 2029년에는 가도마시에서 우류도까지 연장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사카 고속철도 - 오사카 모노레일 사이토선
오사카 모노레일 사이토선은 반파쿠키넨코엔역에서 사이토니시역을 잇는 6.8km 길이의 오사카 모노레일 지선으로, 국제문화공원도시 접근성 향상을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나, 연장 계획은 채산성 문제로 취소되었고 일부 구간은 폐지되었다. - 오사카 국제공항 - 오사카 공항역
오사카 공항역은 오사카 모노레일 본선의 역으로, 오사카 국제공항과 직결되어 있으며 1997년에 영업을 시작했고, 2023년에는 1일 평균 승차 인원이 7,961명이다. - 오사카 국제공항 - J-에어
J-에어는 1991년 일본항공 자회사로 설립된 일본 지역 항공사로, 엠브라에르 E-Jet 시리즈와 봄바디어 CRJ200 기종을 도입하여 국내선 노선을 운항하며 일본항공과 코드셰어 협정을 맺고 JAL 마일리지 뱅크와 연계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 199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1985년 개통 이후 단계적 연장을 거쳐 노포역과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잇는 40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시설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199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3호선
수도권 전철 3호선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고양시를 연결하는 49.6km 광역철도로, 1985년 개통 이후 일산선 직결, 구간 연장, 환승역 개통 등을 통해 확장되었으며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출퇴근 시간 혼잡이 심하다.
오사카 모노레일 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노선 종류 | 모노레일 |
노선 상태 | 운영 중 |
지역 | 오사카 |
기점 | 오사카 공항역 |
종점 | 가도마시 역 |
역 수 | 14 (운영 중) |
노선 길이 (km) | 21.2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 V |
일반 정보 | |
노선 명칭 | 오사카 모노레일 본선 |
일본어 명칭 | 大阪モノレール線 (Ōsaka Monorēru sen) |
노선 색상 | #111986 |
통칭 | 본선 |
소재지 | 오사카부 |
운영 주체 | 오사카 모노레일 |
사용 차량 | 오사카 모노레일 차량 참조 |
복선 유무 | 복선 |
폐색 방식 | 차내 신호 폐색식 |
보안 장치 | ATC |
최대 구배 | 50 ‰ |
최소 곡선 반지름 (미터) | 100 |
최고 속도 (km/h) | 75 |
개통 정보 | |
개업일 | 1990년 6월 1일 |
최종 연장일 | 1997년 8월 22일 |
2. 역사
오사카 모노레일 본선은 오사카시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뻗어 있는 여러 사철 노선들을 환상형으로 연결하여, 오사카 주변 도시 간의 이동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건설되었다. 노선은 대부분 오사카부도 2호 오사카 중앙순환선과 오사카부도 11호 오사카 국제공항선의 도로 구역 내에 건설되었으며, 궤도법의 적용을 받아 건설 과정에서 국가로부터 높은 비율의 보조금을 지원받았다. 또한 궤도와 교각 등이 도로 시설로 취급되어 도로 예산으로 건설된 덕분에, 운영사인 오사카 모노레일의 감가상각 부담이 줄어 제3섹터 운영 노선임에도 비교적 양호한 경영 실적을 거두는 기반이 되었다.
노선 건설은 오사카 국제공항(이타미 공항)에서 가도마시까지 계획되었으나, 호타루가이케역 부근의 부지 매입 난항과 일부 구간에서의 건설 반대 운동으로 인해[13] 오사카 국제공항까지의 완전 개통이 지연되었다. 이 때문에 1990년 처음 일부 구간이 개통된 이후[6], 초기에는 이용객 수가 저조하여 적자에 시달렸다. 당시에는 엑스포랜드(현재의 EXPOCITY) 방문객이나 감바 오사카 축구 경기 관람객 수송에 크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1997년 오사카 공항과 가도마시까지 전 구간이 개통되면서[6] 상황이 반전되었다. 오사카 국제공항 이용객과 호쿠세츠 지역 및 게이한 전철 연선에서 파나소닉 그룹 등으로 출퇴근하는 직장인들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점차 흑자 기조로 전환되었다.
한편, 우노베역과 미나미이바라키역 사이에서 도카이도 본선(JR 교토선) 위를 지나지만, JR 노선과의 환승역은 없다. 건설 당시 국철에 환승역 신설이나 JR 이바라키역 이전을 요청했으나, 당시 국철의 재정 상황으로 인해 실현되지 못했다. 이 때문에 개통 당시 '이바라키역'으로 명명되었던 현재의 우노베역은 JR 이바라키역과 거리가 멀어 승객들에게 혼란을 주었고, 결국 1997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6]
현재 가도마시에서 남쪽으로 히가시오사카시의 (가칭)우류도까지 약 8.9km를 연장하는 계획이 진행 중이다. 이 연장 계획은 과거 오사카 국제공항과 사카이센보쿠 임해 공업 지대를 잇는 구상의 일부였으며, 1989년 운수 정책 심의회 답신 제10호[26]와 2004년 긴키 지방 교통 심의회 답신 제8호[27][28] 등에서 검토되다가, 2013년 마쓰이 이치로 당시 오사카부지사의 지시로 본격적인 사업화 검토가 시작되었다.[30] 2019년 3월 국토교통성으로부터 사업 특허를 취득했으며[33][34], 당초 2029년 개통을 목표로 했다.[31] 총 사업비는 약 1050억엔으로 예상되었다.[35] 그러나 2020년 연장 사업 관련 입찰 정보 유출 사건[36][37]과 2023년 종점 부근의 연약 지반 발견으로 인한 공법 재검토[38] 등으로 인해 개통 목표 시기는 2033년경으로 연기되었으며, 사업비도 약 650억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38]
2. 1. 연혁
- 1990년 (헤이세이 2년) 6월 1일: 센리추오 ~ 미나미 이바라키 구간 개업.[6]
- 1994년 (헤이세이 6년) 9월 30일: 시바하라(현재의 시바하라한다이마에) ~ 센리추오 구간 개업.[6]
- 1997년 (헤이세이 9년)
- * 4월 1일: 오사카 공항 ~ 시바하라 구간 개업.[6] 당시 이바라키역이었던 역을 우노베역으로 개칭.[6]
- * 8월 22일: 미나미 이바라키 ~ 가도마시 구간 개업.[6]
- 2018년 (헤이세이 30년)
- * 6월 18일: 오사카부 북부 지진 발생으로 전 노선 운행 중단.[14][15]
- * 6월 20일: 오사카 공항 ~ 반파쿠키넨코엔 구간 운행 재개.[14][16][17]
- * 6월 22일: 반파쿠키넨코엔 ~ 미나미 이바라키 구간 운행 재개.[18][19]
- * 6월 23일: 미나미 이바라키 ~ 가도마시 구간 운행 재개하며 전 구간 복구 완료.[20][21]
- * 6월 24일: 부품 낙하 가능성이 있는 차량 발견으로 시발 열차부터 운행 중단.[22][21]
- * 6월 25일: 시발 열차부터 운행 재개.[21]
- 2019년 (레이와 원년) 10월 1일: 시바하라역을 시바하라한다이마에역으로 개칭.[23]
- 2020년 (레이와 2년) 6월 1일: 운영 회사인 오사카 고속 철도 주식회사가 오사카 모노레일 주식회사로 사명 변경.[24]
- 2029년 (레이와 11년): 가도마시 ~ (가칭)우류도역 구간 개업 예정.[39]
3. 운행 형태
평일 오전과 심야 시간을 제외하고는 10~12분 간격, 토요일과 공휴일에는 12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아침 러시 아워에는 7~8분 간격으로 운행된다.[12] 일부 열차를 제외하고는 반파쿠 기념공원역에서 사이토 선 열차와 연결된다.[12]
기본적으로 오사카 공항역에서 가도마시역까지 전 구간을 운행하지만, 아침이나 심야 시간대에는 미나미이바라키역, 반파쿠 기념공원역, 센리추오역을 시종착으로 하는 구간 열차도 운행된다. 평일 아침과 저녁 이후에는 사이토 선으로 정기 직통 운행하는 열차가 센리추오역과 사이토니시역 사이에서 운행되며, 이 외에도 센리추오역에서 사이토 선으로 직통하는 임시 열차가 운행될 수 있다. 사이토 선 직통 열차가 운행될 때는 센리추오역과 반파쿠 기념공원역 사이 구간의 운행 간격이 아침 러시 아워에는 3~6분, 밤에는 4~6분으로 짧아진다.
행락 시즌의 토요일과 공휴일에는 반파쿠 기념공원 방문객이나 수이타 시립 축구 경기장에서 열리는 축구 경기에 대응하기 위해 임시 열차가 운행된다. 이 임시 열차는 주로 센리추오역 (일부 오사카 공항역 출발)에서 미나미이바라키역이나 가도마시역까지 운행하며 (드물게 센리추오역-반파쿠 기념공원역 구간 열차도 있음), 이 구간은 정기 열차를 포함하여 6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과거 만박 기념 경기장에서 J리그 시합이 있을 때에도 임시 열차가 운행되었다.
2010년 3월 28일에는 러시 아워 시간대의 열차 지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간표가 개정되었다. 주요 역의 정차 시간을 늘리는 방식으로 '여유 시간표'를 확보하여, 전체 운행 소요 시간은 다소 길어졌다.
전 구간에서 1인 승무를 실시하고 있어 차장용 벨은 설치되어 있지만 사용되지 않는다 (사이토 선도 동일). 운전사에게 운전 속도를 지시하는 차내 신호는 0, 25, 35, 50, 75 km/h의 5단계로 나뉘어 있다 (사이토 선도 동일). 실제 운전은 선로변 속도 제한 표시에 따라 이루어진다.
4. 노선 정보
오사카 국제공항(이타미 공항)에서 국도 제176호선 교차점(시바하라 역 부근)까지는 오사카 부도 11호 오사카 국제공항선 구역 내에, 교차점에서 가도마시역까지는 오사카 부도 2호 오사카 중앙환상선 구역 내(일부 고속 자동차 국도부와 중용)에 각각 건설되었다. 시바하라 역 ~ 반파쿠 기념공원역 구간은 주고쿠 자동차로와 나란히 달리고, 반파쿠 기념공원역 ~ 가도마시역 구간은 긴키 자동차도로와 병행한다. 사이토선이 분기하는 반파쿠 기념공원역을 제외한 모든 역은 1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구조이다.
오사카 모노레일 본선은 오사카시 중심부에서 방사형으로 뻗어 나간 사철 노선들을 원형으로 연결하여, 오사카 주변 도시 간의 이동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건설되었다. 하지만 오사카 시 중심부를 통과하지 않고, 호타루가이케역 부근의 용지 매입 문제로 오사카 국제공항까지의 연장이 늦어져 개업 초기에는 적자를 면치 못했다. 당시에는 엑스포랜드(현재의 EXPOCITY) 이용객이나 감바 오사카 축구 경기 관람객 수송에 크게 의존했다.
이후 오사카 국제공항 연장(1997년 4월 1일)과 가도마시역 연장(1997년 8월 22일)이 비슷한 시기에 완료되면서 상황이 개선되었다. 호쿠세쓰 지역과 게이한 전철 연선을 연결하게 되었고, 오사카 국제공항이 국내선 전용 공항으로 전환된 후에도 이용객이 증가했으며, 파나소닉 그룹 계열사 직원들의 통근 수요가 더해져 흑자 기조로 전환되었다.
노선 전체가 오사카 부도 구역 내를 통과하여 일본 궤도법의 적용을 받았다. 이 덕분에 건설 과정에서 일본 중앙정부로부터 높은 비율의 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었다. 또한, 궤도와 교각이 도로 시설로 취급되어(오사카 모노레일 전용 도로) 건설 비용 부담이 줄었고, 역과 차고를 제외한 시설 건설에 도로 예산이 투입되는 등 운영사인 오사카 모노레일의 감가상각 부담이 가벼워졌다. 이는 제3섹터 방식으로 운영되는 노선 중에서는 드물게 양호한 경영 실적을 올리는 요인이 되었다.
우노베역과 미나미이바라키역 사이에서 도카이도 본선(JR 교토선)과 교차하지만 환승역은 없다. 노선 건설 계획 당시 국철(현 JR)과의 환승을 위해 신역 건설이나 이바라키역 이전을 요청했으나, 당시 국철의 재정 상황이 좋지 않아 무산되었다. 참고로 우노베역은 개업 당시 '이바라키 역'이었으나, JR 이바라키역과 거리가 멀어 승객 혼란을 막기 위해 오사카 공항역 연장 개통 시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오사카 모노레일선'이라는 명칭은 지선인 사이토선 개업 전에 정해졌기 때문에, 사이토선을 포함한 오사카 고속철도 전체 노선을 '오사카 모노레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안내 시에는 이 노선을 '''본선'''이라고 칭한다.[44]
항목 | 내용 |
---|---|
노선 거리 (영업 킬로미터) | 21.2km |
방식 | 과좌식 모노레일 |
역 수 | 14개 (기종점 포함) |
복선 구간 | 전 구간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V |
폐색 방식 | 차내 신호 방식 |
영업 최고 속도 | 75km/h[7] |
최고 경사도 | 50‰ (쇼지 - 센리추오역 구간, 셋츠 - 미나미셋츠 구간) |
최소 곡선 반경 | 100m (호타루가이케 - 시바하라한다이마에 구간) |
주행 방향 | 좌측 통행 |
혼잡률 | 79% (2020년도: 우노베역 → 반파쿠 기념공원역 구간)[11] |
=== 개통 역사 ===
- 1990년 6월 1일: 센리추오역 ~ 미나미이바라키역 구간 개통
- 1994년 9월 30일: 시바하라한다이마에역 ~ 센리추오역 구간 연장 개통
- 1997년 4월 1일: 오사카 공항역 ~ 시바하라한다이마에역 구간 연장 개통 (오사카 국제공항 연결)
- 1997년 8월 22일: 미나미이바라키역 ~ 가도마시역 구간 연장 개통 (현재 노선 완성)
본선 전 구간을 편도로 이동하는 데 약 36분이 소요되며, 요금은 550엔이다.
=== 연장 계획 ===
가도마시역에서 우류도(瓜生堂)까지 8.9km 구간에 5개 역을 신설하는 연장 공사가 진행 중이며, 2029년 개통 예정이다.
5. 역 목록
오사카 모노레일 본선은 오사카 국제공항(이타미 공항)에서 가도마시 역까지 이어지는 노선이다. 오사카시 중심부에서 방사형으로 뻗어나간 사철 노선들을 원 형태로 연결하여, 오사카 주변 도시 간 이동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건설되었다. 초기에는 오사카 국제공항까지의 연장이 용지 매입의 어려움으로 늦어져 적자를 면치 못했으나, 공항 연장 및 가도마시 역 연장이 완료된 이후 공항 이용객 증가와 파나소닉 그룹 계열사 통근 수요 등으로 흑자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노선 전 구간이 오사카 부도 구역 내를 통과하며 일본 궤도법의 적용을 받아 건설 과정에서 정부 보조금을 지원받았다. 궤도와 교각이 도로 시설로 취급되어 감가상각 부담이 적은 점도 제3섹터 운영 노선임에도 양호한 경영 성과를 내는 데 기여했다.
우노베 역과 미나미이바라키 역 사이에서 도카이도 본선(JR 교토선)과 교차하지만 환승역은 없다. 건설 계획 당시 국철과의 환승역 신설 또는 이바라키역 이전 요구가 있었으나, 당시 재정 상황으로 인해 실현되지 못했다. 참고로 우노베 역은 개업 당시 '이바라키 역'이었으나, JR 이바라키 역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지선인 국제문화공원도시선(사이토선) 개통 전에 '오사카 모노레일선'이라는 명칭이 정해졌기 때문에, 안내 시에는 구분을 위해 이 노선을 '''본선'''이라고 부른다.[44]
모든 역은 오사카부 내에 위치한다. 다만, 호타루가이케역과 시바하라 한다이 앞역 사이의 일부 구간은 이케다시를 지나며, 오사카 공항역 부근은 도요나카시, 이케다시, 효고현 이타미시의 경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 오사카 공항역의 공식 소재지는 도요나카시이다.
5. 1. 영업 중인 구간
전 구간 오사카부에 소재한다.역 번호 | 역명 | 역간 거리 (km) | 누적 거리 (km) | 접속 노선 | 소재지 |
---|---|---|---|---|---|
11 | 오사카 공항역 | - | 0km | 도요나카시 | |
12 | 호타루가이케역 | 1.4km | 1.4km | 한큐 전철 한큐 다카라즈카 본선 | |
13 | 시바하라 한다이 앞역 | 1.7km | 3.1km | ||
14 | 쇼지역 | 1.7km | 4.8km | ||
15 | 센리추오역 | 1.8km | 6.6km | 기타오사카 급행 전철 난보쿠선 | |
16 | 야마다역 | 1.9km | 8.5km | 한큐 전철 한큐 센리선 | 스이타시 |
17 | 반파쿠키넨코엔역 | 1.4km | 9.9km | 오사카 모노레일 사이토선 | |
18 | 우노베역 | 2.2km | 12.1km | 이바라키시 | |
19 | 미나미이바라키역 | 1.2km | 13.3km | 한큐 전철 한큐 교토 본선 | |
20 | 사와라기역 | 1.2km | 14.5km | ||
21 | 셋쓰역 | 1.5km | 16km | 셋쓰시 | |
22 | 미나미셋쓰역 | 1.8km | 17.8km | ||
23 | 다이니치역 | 2.1km | 19.9km | 오사카 메트로 다니마치선 | 모리구치시 |
24 | 가도마시역 | 1.3km | 21.2km | 게이한 전기 철도 게이한 본선 | 가도마시 |
- 역은 없지만, 호타루가이케역 - 시바하라 한다이 앞역 사이의 반지름 100m 급커브 구간에서 오사카부 이케다시를 통과한다.
- 또한, 오사카 공항역 부근은 오사카부 도요나카시, 이케다시와 효고현 이타미시의 경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으며, 모노레일 노선도 이들 시를 지난다.
- 오사카 공항역 건물은 도요나카시와 이케다시에 걸쳐 있지만, 역장실 위치를 기준으로 역 소재지는 도요나카시로 간주된다.
5. 2. 연장 예정 구간
오사카 국제공항과 사카이센보쿠 임해 공업 지대를 잇는 구상에서 출발하여, 오사카부도 2호 오사카 중앙 환상선을 따라 사카이시 방면으로 연장하는 계획이 있었다. 1989년 운수 정책 심의회 답신 제10호에서는 오사카 국제공항 - 가도마 구간을 "목표 연도(2005년)까지 정비하는 것이 적당한 구간"으로, 가도마 - 이바라다 - 아라모토・사카이 방면 및 오사카 국제공항에서 이타미 부근을 거쳐 무코노소 방면을 "향후 노선 정비에 대해 검토해야 할 구간・방향"으로 제시했다.[26] 그러나 2004년 긴키 지방 교통 심의회 답신 제8호에서는 "게이한신권에서 중장기적으로 희망되는 철도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새로운 노선"으로 가도마시에서 히가시오사카시 우리도(긴테쓰 나라선과의 교차점에서 야오노사토역과 와카에이와타역의 거의 중간 지점)까지의 연장안만 제시되었다.[27][28]2012년 오사카부의 교통 체계 재검토안에 따라 사카이까지의 연장을 2050년까지 추진하고, 효고현과 조정을 거쳐 오사카 공항역에서 서쪽으로 연장하는 안을 검토하기로 하면서 연장 계획을 지속하는 방향성이 다시 제시되었다.[29]
가도마시 - 우리도 간 8.9km 연장 구간은 2013년 4월, 당시 오사카부 지사였던 마쓰이 이치로가 "2001년도부터 지속된 흑자 경영을 부민에게 환원해야 한다"고 하며 사업화를 위한 루트 등 검토 업무 개시를 관계 부서에 지시하면서 구체화되기 시작했다.[30] 2016년 1월 전략 회의에서 2019년 착공, 2029년 개통을 목표로 설정했고,[31] 2018년 7월 11일 국토교통대신에게 궤도법에 따른 운수 사업 특허(가도마시 - 우리도 간 8.9km 연장)를 신청했다.[32] 국토교통성은 2019년 3월 19일자로 신청대로 특허를 내고 국토교통성 긴키 운수국에서 특허장을 교부했다.[33][34] 특허 신청 당시 총 사업비는 약 1050억엔(인프라부 사업비 약 740억엔)으로 예상되었으며, 사회 자본 정비 종합 교부금, 국고 보조금, 오사카부・히가시오사카시・오사카시의 부담금, 일본정책투자은행 및 기타 금융기관 차입금으로 충당할 계획이었다.[35]
그러나 2020년 7월, 오사카부 도시 정비부 직원이 연장 사업 관련 입찰 자료 일부를 특정 업체에 누설한 사실이 드러나 입찰이 일시 중단되었다.[36] 오사카부 경찰은 해당 직원을 같은 해 9월 24일 지방공무원법상 기밀 유지 의무 위반 혐의로 서류 송치했다.[37]
2023년에는 보링 조사 결과, 종점인 우리도역 부근 지반이 예상보다 연약한 것으로 밝혀져 역사 공법 재검토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개통 목표 시기는 2033년경으로 연기되었으며, 사업비는 약 650억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38]
연장 구간의 역 정보는 다음과 같다 (궤도법 특허 관련 국토교통성 [운수심의회](https://ja.wikipedia.org/wiki/%E9%81%8B%E8%BC%B8%E5%AF%A9%E8%AD%B0%E4%BC%9A) 배포 자료[35] 및 오사카 모노레일 연장 사업 팸플릿[39] 기준. 가도마시역 외 역명은 가칭이며, 역 번호는 미정).
6. 추가 연장 계획
오사카 모노레일은 원래 오사카 국제공항과 사카이센보쿠 임해 공업 지대를 연결하는 장대한 구상에서 시작되었다. 오사카부도 2호 오사카 중앙 환상선을 따라 사카이시 방면으로 연장할 계획이었다.[45] 1989년 운수 정책 심의회 답신 제10호에서는 오사카 국제공항 ~ 가도마 구간을 "목표 연도(2005년)까지 정비하는 것이 적당한 구간"으로, 가도마 ~ 아라모토・사카이 방면 및 오사카 국제공항 ~ 이타미 부근 ~ 무코노소 방면을 "향후 노선 정비에 대해 검토해야 할 구간・방향"으로 제시했다.[26]
그러나 이 연장 계획은 점차 잊혀졌고, 2004년 긴키 지방 교통 심의회 답신 제8호에서는 '게이한신(교토·오사카·고베)권에서 중장기적으로 바람직한 철도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새로운 노선'으로서, 가도마시에서 히가시오사카시 우리도(긴테쓰 나라선의 야오노사토역과 와카에이와타역 사이)까지의 연장안만이 제시되었다.[46][27][28] 이 연장안조차 오사카히가시 선과의 경쟁이나 연장선 주변 인구 감소 등의 문제로 실현 가능성이 불확실했다.
하지만 2012년 오사카부의 교통 체계 재검토 과정에서 사카이까지의 연장을 2050년까지 실시하고, 효고현과 조정을 거쳐 오사카 공항역에서 서쪽으로 연장하는 안을 검토하기로 하면서 연장 계획이 다시 논의되기 시작했다.[29]
특히 가도마시 ~ 우리도 구간에 대해서는 2013년 4월, 당시 오사카부 지사였던 마쓰이 이치로가 2001년부터 이어진 흑자 경영을 바탕으로 사업화를 위한 검토 개시를 지시했다.[30] 이후 검토를 거쳐 2016년 1월 전략 회의에서 2019년 착공, 2029년 개통을 목표로 설정했다.[31] 상세 루트 검토 후, 2018년 7월 11일 국토교통대신에게 궤도법 제3조에 따른 운수 사업 특허(가도마시 ~ 우리도 간 8.9km 연장)를 신청했고[32], 국토교통성은 2019년 3월 19일자로 특허를 발급했다.[33][34] 총 사업비는 약 1050억엔(인프라부 사업비 약 740억엔)으로 예상되었으며, 사회 자본 정비 종합 교부금, 오사카부·히가시오사카시·오사카시의 부담금, 일본정책투자은행 및 기타 금융기관 차입금 등으로 충당할 계획이었다.[35]
그러나 2020년 7월, 오사카부 도시 정비부 직원이 연장 사업 관련 경쟁 입찰 자료 일부를 특정 업체에 누설한 사실이 드러나 입찰이 일시 중단되었다.[36] 오사카부 경찰은 해당 직원을 같은 해 9월 24일 지방공무원법상 기밀 유지 의무 위반 혐의로 서류 송치했다.[37]
설상가상으로 2023년 실시된 보링 조사 결과, 종점인 우리도역 부근 지반이 예상보다 연약한 것으로 밝혀져 역사 공법 재검토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개통 목표는 2033년경으로 연기되었으며, 사업비 또한 약 650억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38]
참조
[1]
서적
週刊 歴史でめぐる鉄道全路線 公営鉄道・私鉄
朝日新聞出版
[2]
웹사이트
申し訳ありませんが、ご指定のページは見つかりませんでした
https://www.pref.osa[...]
pref.osaka.lg.jp
[3]
웹사이트
申請者の概要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2019-01-17
[4]
웹사이트
東部大阪都市計画 都市高速鉄道(大阪モノレール)及び道路の都市計画変更について
https://www.mlit.go.[...]
2022-01-26
[5]
문서
わずかに[[兵庫県]]を通過。
[6]
서적
週刊 歴史でめぐる鉄道全路線 公営鉄道・私鉄
朝日新聞出版
2011-10-16
[7]
문서
寺田裕一『改訂新版 データブック日本の私鉄』 - ネコ・パブリッシング
[8]
웹사이트
路線図・駅情報
http://www.osaka-mon[...]
大阪モノレール
2020-06-09
[9]
웹사이트
時刻表
http://www.osaka-mon[...]
大阪モノレール
2020-06-09
[10]
웹사이트
公式サイトの路線図
http://www.osaka-mon[...]
[11]
웹사이트
最混雑区間における混雑率(令和2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2-03-03
[12]
문서
2023年2月27日のダイヤ改正までは平日日中などで彩都線が20分間隔の運転となっており、半数の列車だけが接続していた。
[13]
간행물
『鉄道ファン』2009年7月号、140・141頁
[14]
뉴스
大阪北部地震で運休の大阪モノレール、6/20始発から一部区間再開
https://news.mynavi.[...]
マイナビニュース
2018-06-19
[15]
PDF
大阪府北部を震源とする地震について(第3報)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災害情報
2018-06-18
[16]
PDF
大阪府北部を震源とする地震について(第8報)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災害情報
2018-06-20
[17]
Twitter
大阪モノレール運行情報<公式> (@OsakaMonorail) 2018年6月20日 05:43 (JST) のTwitterコメント
[18]
Twitter
大阪モノレール運行情報<公式> (@OsakaMonorail) 2018年6月22日 02:09 (JST) のTwitterコメント
[19]
PDF
大阪府北部を震源とする地震について(第13報)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災害情報
2018-06-22
[20]
뉴스
大阪震度6弱:大阪モノレール再開 鉄道網すべて復旧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8-06-23
[21]
PDF
大阪府北部を震源とする地震について(第14報)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災害情報
2018-06-25
[22]
뉴스
大阪震度6弱:大阪モノレール、再び不通に 全車両点検 - 毎日新聞
https://mainichi.jp/[...]
2018-06-24
[23]
보도자료
2019年10月1日(火)から「柴原」→「柴原阪大前」に駅名を変更します
https://www.osaka-mo[...]
大阪高速鉄道
2019-10-02
[24]
보도자료
社名変更について
https://www.osaka-mo[...]
大阪高速鉄道
2020-06-06
[25]
서적
令和6年版 交通政策白書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4
[26]
PDF
平成元年5月31日運輸政策審議会答申第10号 大阪圏における高速鉄道を中心とする交通網の整備に関する基本計画について(抄)
https://www.mlit.go.[...]
[27]
웹사이트
鉄道整備・地方交通計画
https://wwwtb.mlit.g[...]
国土交通省近畿運輸局
[28]
문서
近畿地方交通審議会答申第8号では、大阪国際空港 - 伊丹間の鉄道計画については、[[JR福知山線分岐線構想|大阪国際空港広域レールアクセス]]という別の構想が取り上げられた。
[29]
뉴스
大阪府:鉄道「第2環状線」モノレールを堺へ延伸、JR桜島線は長居まで--見直し案
http://mainichi.jp/k[...]
2014-12-09
[30]
뉴스
大阪モノレール延伸/第1四半期に一般入札/大阪府8.7㌔のルート検討
http://www.kensetsun[...]
2013-04-04
[31]
뉴스
大阪モノレール延伸、29年開業 大阪府が方針
https://www.nikkei.c[...]
2016-01-16
[32]
뉴스
大阪モノレール本線、門真市駅から南へ延伸 - 2029年の開業めざす
https://news.mynavi.[...]
2019-03-21
[33]
보도자료
大阪高速鉄道株式会社申請の軌道事業の特許について
http://www1.mlit.go.[...]
国土交通省鉄道局都市鉄道政策課
2021-02-05
[34]
뉴스
大阪モノレール延伸へ 4駅新設、国交省が許可
https://www.sankei.c[...]
2019-03-21
[35]
PDF
大阪モノレールからの延伸に係る軌道事業の特許申請事案 配付資料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運輸審議会
2019-01-17
[36]
뉴스
大阪府職員、モノレール延伸事業の入札資料を業者に渡す 府が厳正処分へ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0-07-29
[37]
뉴스
大阪府職員を書類送検 モノレール延伸事業の入札資料を業者に提供 府警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0-09-24
[38]
뉴스
大阪モノレール延伸、29年→33年 資材高騰で建設費8割増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4-04-24
[39]
웹사이트
大阪モノレール延伸事業(門真市駅~(仮称)瓜生堂駅)
https://www.osaka-mo[...]
2022-04-01
[40]
웹사이트
東部大阪都市計画 都市高速鉄道(大阪モノレール)及び道路の都市計画変更について
https://www.pref.osa[...]
大阪府
2021-09-10
[41]
웹사이트
大阪モノレール門真市駅・(仮称)門真南駅間新駅設置事業/門真市
https://www.city.kad[...]
[42]
뉴스
大阪モノレール延伸 門真市~南駅間に新駅 松生町付近、交通不便解消へ まちの新拠点に/大阪
https://mainichi.jp/[...]
2021-05-12
[43]
뉴스
変わるか 門真まちづくり 大阪モノレール延伸計画
https://www.nnn.co.j[...]
2021-05-10
[44]
웹인용
大阪モノレール > 路線図・駅情報
http://www.osaka-mon[...]
2012-03-15
[45]
문서
1989년 일본 운수정책심의회의 답신 제 10호
http://www.mlit.go.j[...]
[46]
웹사이트
철도 정비·지방 교통 계획
http://wwwtb.mlit.go[...]
일본 국토교통성 긴키 운수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