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타마치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타마치선은 서일본 여객철도와 일본화물철도가 운영하는 철도 노선으로, 기즈역에서 교바시역까지 44.8km 구간을 운행한다. 교토부와 오사카부를 지나며, 마쓰이야마테역부터 교바시역까지는 복선 구간이다. 쾌속, 직통 쾌속, 구간 쾌속, 보통 열차 등 다양한 종류의 열차가 운행되며, JR 도자이선, JR 다카라즈카선 등과 직결 운행한다. 가타마치선에는 207계와 321계 전동차가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오사카 순환선
오사카 순환선은 오사카시를 순환하는 JR 서일본의 철도 노선으로, 오사카역과 덴노지역을 연결하며 사쿠라지마선, 간사이 본선, 한와선과 직결 운행하고, 1964년 니시쿠조역 고가화로 완전한 순환 운행을 시작했다. - 189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닛포 본선
규슈의 고쿠라역과 가고시마역을 잇는 467.2km의 철도 노선인 닛포 본선은 JR 규슈가 운영하며 일부 구간은 JR 화물이 담당하고, 1067mm 협궤, 복선 및 전철화 구간, 다양한 열차 운행을 통해 규슈의 주요 교통망을 이룬다. - 교토부의 철도 - 도카이도 신칸센
도카이도 신칸센은 도쿄역과 신오사카역을 연결하는 일본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1964년 도쿄 올림픽에 맞춰 개통되었으며, 현재 JR 도카이가 운영하고 최고 시속 285km로 운행하며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노선 개량을 통해 운행 시간을 단축해왔다. - 교토부의 철도 - 야마토지선
야마토지선은 서일본 여객철도가 운영하며 가모역과 JR난바역을 잇는 54.0km의 복선 전철화 노선으로, 나라와 오사카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수단이며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2024년 새로운 역이 개통될 예정이다. - 오사카부의 철도 - 산요 신칸센
산요 신칸센은 신오사카역에서 하카타역까지를 잇는 JR 서일본의 신칸센 노선으로, 1972년 개통되어 1987년 JR 서일본에 계승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차량과 여러 등급의 열차가 운행된다. - 오사카부의 철도 - 한큐 고베 본선
한큐 고베 본선은 오사카와 고베를 잇는 32.3km의 복선 전철 노선으로, 다양한 등급의 열차가 운행되며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현재 신역 설치 계획과 고베 시영 지하철 직통 운전이 검토되고 있다.
가타마치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노선 명칭 | 가타마치 선 |
다른 명칭 | 갓켄토시 선 |
일본어 명칭 | 片町線 (かたまちせん) |
일본어 명칭 (가나) | がっけんとしせん |
노선 색상 | 분홍색 (#FF1493) |
노선 종류 | 간선 철도 |
시스템 | 어반 네트워크 |
상태 | 운영 중 |
관할 | 오사카부와 교토부 |
기점 | 기즈 역 |
종점 | 교바시 역 |
역 수 | 24 |
개업일 | 1895년 8월 22일 |
소유주 | 서일본 여객철도 |
운영자 | 서일본 여객철도 일본화물철도 |
사용 차량 | 207계 321계 |
노선 길이 | 55.4 km |
복선 구간 | 마쓰이야마테 역 ~ 교바시 역 |
단선 구간 | 마쓰이야마테 ~ 기즈 역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
열차 보호 장치 | ATS-P 및 ATS-SW |
최고 속도 | 110 km/h |
노선 정보 | |
노선 기호 | KH (지선 제외) |
전보 약호 | 카타세 |
운행 | |
차량 기지 | 아보시 종합 차량소 아카시 지소 아보시 종합 차량소 하나텐 파출소 외 |
역사 | |
일부 폐지 | 교바시 역 - 가타마치 역 (1997년 3월 8일) |
기타 | |
통칭 | 갓켄토시 선 (기즈 역 - 교바시 역 간) |
병행 노선 | 조토 화물선 (간자키가와 신호장 - 스이타 화물 터미널 역 간) 조토 화물선 (쇼가쿠지 신호장 - 히라노 역 간) |
노선 거리 (화물선) | 3.7 km (간자키가와 신호장 - 스이타 화물 터미널 역 간) 1.5 km (쇼가쿠지 신호장 - 히라노 역 간) |
2. 노선 정보
항목 | 내용 |
---|---|
노선 거리 (영업 거리) | |
궤간 | 1067mm |
역 수 | 24개 역 (기종점역 포함, 화물지선 제외) |
복선 구간 | 마쓰이야마테 - 교바시 간 |
전철화 구간 | 쇼가쿠지 신호장 - 히라노 구간을 제외한 전 구간 (직류 1500V) |
폐색 방식 | |
보안 장치 | 기즈 - 교타나베 간 ATS-SW, 교타나베 - 교바시 간 ATS-P |
영업최고속도 | 110km/h |
운전 지령소 | 신오사카 종합 지령소 |
보선 구역 |
서일본 여객철도 어번 네트워크의 한 축을 이루는 노선으로, 이코마 산지 북단을 돌아 오사카부 북부 지역의 각 도시나 교토부 남부의 넓은 주택지와 오사카·한신 방면 통근·통학 노선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학연도시선'''(学研都市線, がっけんとしせん|갓켄토시센일본어)이라는 애칭대로 간사이 문화학술연구도시 다나베 지구의 연계 철도 노선 역할을 하고 있다.
전 구간이 JR 서일본 오사카 지사의 직할에 있다.
3. 연선 개황
정식 노선명인 가타마치 선은 작명 당시 종점이 오사카시내의 '''가타마치 역'''이었던 것에서 유래했지만, JR 도자이 선 개업과 동시에 가까이에 오사카 성 키타즈메 역이 개업하면서 폐역되고 교바시 역까지 노선이 연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정식 노선 명칭은 변경되지 않고 있다.
간사이의 국철 (지금의 JR)선에서는 처음으로 전철화되었으며, 무사시노 선 (현재는 동일본 여객철도 소속) 다음으로, 일본국유철도 노선 중에서는 두 번째로 자동개찰기가 채용된 노선이기도 하다.
여객 영업 구간 전 구간이 오사카시 근교 구간에 포함되며, 나가오 ~ 교바시 간이 전차특정구간에 포함된다. 모든 역이 교통 카드로서 이코카 및 제휴 IC 카드 이용이 가능하다.
일본화물철도 소속 화물 열차가 운행되어왔던 조토 화물선(城東貨物線|조우토우카모쓰센일본어)의 시기노역 ~ 스이타 역 부근 간은 제3섹터 (제3종 사업자) 회사인 오사카 외환상 철도에 의한 오사카히가시 선으로서 여객 노선화를 위한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2008년 3월 15일에는 조토 화물선의 일부였던 남쪽의 하나텐 ~ 규호지 간이 우선 영업을 개시하였다. 당초 2006년에 신오사카 ~ 규호지 전 구간 개업이 예정되어 있었지만 용지 매수의 난항[103]이나 신오사카 부근에 있는 '열리지 않는 건널목'으로 인한 사고[104] 우려 등으로 인하여 아직 착공조치 하지 않은 상태이다.
오사카부 내에서는 시조나와테역까지 이코마 산지 북측에서 서측으로 달려 선로를 바꾸어 서진한다. 오사카부에 들어가면 바로 나가오 역, 후지사카역에 도착한다. 쓰다역에서는 섬식 2면 4선 용지가 확보되어 있지만 실제 건설된 곳은 내선 2선과 보선 기지를 위한 동측 1선뿐이다. 게이한 전기 철도 가타노 선과 환승역인 가와치이와후네역을 지나면 고가 역인 호시다역, 고가에서 다시 지상선으로 내려와 굴착역인 히가시네야가와 역에 도착한다. 다시 주택지가 많이 보이면서 고가선으로 올라와 시노부가오카역, 다시 고가를 내려와 지상역인 2면 4선의 시조나와테역에 도착하게 된다. 시조나와테 역은 교바시 방면에서의 열차가 어떤 승강장에서든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 역으로서, 출퇴근 시간대에는 시조나와테 역 발착 열차가 다수 설정되어 있다.
노자키 역은 지겐지의 노자키 관음상에서 가장 가까운 역으로, 참배길은 상점가가 형성되어 있다. 반경이 큰 우경 커브를 거쳐 온지가와 강을 건너, 2면 4선의 고가역인 스미노도역, 고노이케신덴역을 지나 지상선으로 다시 내려와 도쿠안역을 거친다. 다시 반경이 큰 우경 커브를 지나 하행선은 오사카히가시 선을 위로 지나기 위해 고가가 되어 하나텐역에 도착하는데, 그 고가선에서는 모리노미야 전차구 하나텐 전차구를 볼 수 있다. 하나텐역에서는 오사카히가시 선과 합류하여, 규호지 방면에서 운행하는 직통 쾌속으로 갈아탈 수 있다. 시기노역은 커브 구간에 승강장이 있어, 위험 방지를 위해 역무원이 종일 승강장에 상주하고 있다. 좌경 커브를 지나 가타마치 선의 현재 종점인 교바시 역에 도착한다. 덧붙여 일부 회차 열차를 제외한 대부분의 열차가 여기서 JR 도자이 선으로 직통한다.3. 1. 기즈 - 마쓰이야마테 구간
서일본 여객철도 어번 네트워크의 한 축을 이루는 가타마치선은 이코마 산지 북단을 돌아 오사카부 북부 지역 도시나 교토부 남부의 넓은 주택지와 오사카·한신 방면 통근·통학 노선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학연도시선'''(学研都市線, がっけんとしせん|갓켄토시센일본어)이라는 애칭대로 간사이 문화학술연구도시 다나베 지구 연계 철도 노선 역할도 한다.
교토부 내에서는 거의 전 구간이 단선이다. 간사이 문화학술연구도시 연선이기에 최근 이용자가 증가하여 기즈 ~ 교타나베 간 전 역의 개량 공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교토부 남단에 위치한 가타마치선 기점인 기즈 역에서는 1번 선만 사용한다. 기즈 역에서 나온 직후, 교바시 방면 전방의 큰 좌경(左傾) 커브와 주택지 사이 커브를 지나면 오른쪽에만 승강장이 있는 니시키즈역과, 전방의 우경 커브를 거쳐 긴키 닛폰 철도 교토 선을 아래로 지난다. 이후 긴키 닛폰 철도선과 병주하면서 엇갈림 설비가 있는 호소노역에 도착한다. 좌측에 승강장이 있는 시모코마역을 지나면 오른쪽에는 긴테쓰 사이다이지 검차구 미야즈 차고가 넓게 펼쳐져 있고, 종단에 해당하는 엇갈림 설비를 가진 JR 미야마키 역, 이어서 도시샤 대학 교타나베 캠퍼스에서 가장 가까운 역인 도시샤 앞역, 덴쇼가와 강을 건너는 교타나베역에서 모든 열차 병결·분리가 진행된다. 이는 교타나베 역 이남에서는 4량 편성으로밖에 운전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교타나베를 지나면 다시 덴쇼가와 강을 건너, 게이나와 자동차도와의 교차부에 오스미역, 좌·우경 커브를 지나면서 점점 주택지가 많아져, 굴착역인 마쓰이야마테역에 도착한다. 마쓰이야마테역은 가타마치선에서는 가장 최근에 지어진 역으로, 역 주변 뉴타운 개발에 따라 개업하였다. 마쓰이야마테부터는 복선이며, 교바시·니시아카시 방면 보통 열차가 이곳에서 회차하기 때문에 인상선 (끌어올림선)도 1개 설치되어 있다. 제2 게이한 도로를 넘으면서 오사카부로 진입한다.
3. 2. 마쓰이야마테 - 교바시 구간
마쓰이야마테역부터 복선 구간이다. 제2게이한 도로를 넘으면 오사카부에 들어간다.
1989년 3월 마쓰이야마테 역 개업 및 나가오 이동 전철화·복선화 이전까지, 오스미역 - 나가오 역 간에는 오타니 터널 및 오쿠오타니 터널, 2개의 터널이 있었다. 오타니 터널은 개착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마쓰이야마테 역이 구 오타니 터널 위치에 있다고 여겨지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으며 오타니 터널을 포함한 구 선로는 마쓰이야마테 역보다 조금 동쪽에 위치한다. 오쿠오타니 터널은 교토와 오사카의 부 경계에 있었지만, 터널 노후화 및 복선화 대응을 위해 터널 북쪽을 절개하여 선로가 변경되었다. 구 선로 노반은 매립되었지만, 교바시 쪽 터널 입구 상부가 지상에 남아있어 현재 선로의 차창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18]
1989년 나가오 이동이 전철화되기 전에는 가타마치 선의 이 구간은 운행 빈도가 적어 불편했기 때문에 이용객이 매우 적었다. 연선의 세이카초나 교타나베시(당시는 다나베정) 주민들은 가타마치 선 연선(다이토시나 시조나와테시 등)이나 간사이 본선 기즈 이동이 목적지가 아닌 이상, 대부분 긴테쓰 교토선을 이용했다. 교바시로 이동하는 경우조차 야마토사이다이지역이나 단바바시역을 경유하거나, 혹은 게이한 본선 구즈하역으로 버스를 타고 이동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4. 운행
서일본 여객철도의 어번 네트워크 노선 중 하나이다. JR 도자이선 개통 후에는 JR 도자이선과 일체적인 운행 형태로 짜여져, 후쿠치야마선(JR 다카라즈카선) 및 JR 고베선과 직결 운행을 실시한다.
보통, 쾌속 외에 출퇴근 시간대와 심야에는 구간 쾌속이 운행된다. 오사카히가시선을 경유하는 직통 쾌속을 제외한 모든 열차는 7량 편성으로 운행되지만, 교타나베역 이남에서는 4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이 때문에 교타나베 역에서 차량 병결 및 분리가 이루어진다.[105] 2010년 3월 13일 다이아 개정으로 기즈 역 ~ 도시샤 앞역 간 승강장 연장이 완료되어 전 구간 7량 편성이 가능하게 되었다.
가타마치선은 오사카 도심의 JR 도자이선을 통해 도카이도 본선(JR 고베선) 및 후쿠치야마선(JR 다카라즈카선)과 연결된다. 이 연결을 통해 나라에서 서쪽으로 고베, 히메지, 산다 등으로 운행하는 열차가 가능하다. 추가 요금 없이 여러 종류의 쾌속 운행도 제공된다. 일부 열차는 기즈까지 단선 구간 때문에 마쓰이야마테역에서 종착한다.
종별\역명 | 기즈 | … | 도시샤마에 | … | 시조나와테 | … | 교바시 | … | ||
---|---|---|---|---|---|---|---|---|---|---|
구간 쾌속 | 2편 | JR 도자이선·JR 다카라즈카선 방면 쓰카구치 발착 | ||||||||
2편 | ||||||||||
보통 | 4편 | JR 도자이선·JR 고베선 방면 니시아카시 발착 |
4. 1. 쾌속
1989년 3월부터 쾌속 열차가 본격적으로 운행되기 시작했다.[105] 평일 아침 시간대와 심야에는 약 20분 간격으로 운전되며, 낮 시간대에는 도시샤 앞역 또는 기즈 역까지 15~30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평상시에는 시조나와테역에서, 출퇴근 시간대에는 기본적으로 스미노도역에서 보통 열차와 완급 접속을 한다.[105]1989년 운행 초기에는 평일에만 상행 1편, 하행 3편이 운전되었고, 정차역은 나가오, 시조나와테 역, 스미노도역, 하나텐역, 교바시 역, 가타마치 역이었다. 초기 1년간은 전 구간 3량 편성으로 운행했지만, 수요 증가로 1990년 3월부터 4량 편성으로 증결되었다.[105]
1997년 JR 도자이 선과 직결 운행 전까지는 아침 도시샤 대학 통학용으로 가타마치 역에서 출발하는 도시샤 앞역 행(7량 편성, 마쓰이야마테역에서 3량 분리) 열차가 2편 운행된 것을 제외하고는 아침 출근 시간대 쾌속 열차는 없었다. 낮에는 1시간에 3편(도시샤 앞역 ~ 기즈 역 간은 40분 간격), 저녁 이후에는 4량 편성으로 1시간에 4편이 운행되었다.[105]
4. 2. 직통 쾌속
오사카히가시 선이 부분 개통한 2008년 3월 15일부터 나라역 ~ 아마가사키 역 간에 간사이 본선 (야마토지 선)·오사카히가시 선을 경유하는 직통쾌속 열차가 출퇴근 시간대에 운행되었다.[106] 운행 편수는 아침에 나라 발 아마가사키 행 4편, 저녁에 아마가사키 발 나라 행 4편이었다. 차량은 207계와 321계로, 7량 편성으로 운행되었다.가타마치선은 오사카 도심의 JR 도자이선을 통해 도카이도 본선 (JR 고베선) 및 후쿠치야마선 (JR 다카라즈카선)과 연결된다. 이 연결을 통해 나라에서 서쪽으로, 예를 들어 고베, 히메지, 산다로 운행하는 열차가 가능하다.
직통 쾌속은 오사카히가시선에서 직통 운행하며, 이 노선에서는 하나텐역에서 교바시역까지만 운행했다. 아침에는 나라역에서 출발하여 아마가사키역으로 가는 열차가 4편, 저녁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운행하는 열차가 4편 있었다. 이 열차는 오사카히가시선의 신오사카역 연장 개통과 함께 2019년 3월 16일부터 가타마치선에서의 운행이 중단되었다.
2008년 3월 15일 오사카히가시선 부분 개통일부터 해당 노선이 전 구간 개통하기 전날인 2019년 3월 15일까지, 직통 쾌속 열차가 나라역 - 아마가사키역 구간을 야마토지선・오사카히가시선을 경유하여 아침, 저녁으로 운행되었다.[32] 노선 내에서는 하나텐역・교바시역에 정차하고, 시기노역을 통과했다. 차량은 2011년 3월 11일 아마가사키행까지 223계 6000번대 4량 편성 2개를 연결한 8량 편성이, 같은 날 저녁 나라행 이후에는 207계가 사용되었다.[33] 이후 321계도 운용되었다.[34] 2019년 3월 16일 오사카히가시선 신오사카역 - 하나텐역 구간 개통에 따라 모든 열차가 신오사카 기점・종착이 되면서, 해당 노선・JR 도자이선에서의 운행이 폐지되었다.[35][36]

4. 3. 구간 쾌속
구간 쾌속은 조조와 아침 출근 시간대, 저녁 퇴근 시간대와 심야에 운행된다. 교바시 방면 행은 조조와 아침 출근 시간대에, 기즈 방면은 저녁 퇴근 시간대와 심야에 운행된다. 교바시 역~시조나와테역 간은 쾌속 구간으로, 시조나와테역 이후부터는 각 역에 정차한다. 조조에는 기본적으로 나라역, 기즈 역에서 출발하지만, 출퇴근 시간대와 심야에는 도시샤 앞역, 교타나베역, 마쓰이야마테역 발착 열차도 있다. JR 다카라즈카 선, JR 고베 선에서는 구간 쾌속이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행선은 아마가사키 역에서 쾌속에서 구간 쾌속으로, 하행선은 교바시 역에서 구간 쾌속에서 보통으로 종별이 바뀐다. 2010년 3월 13일의 시간표 개정부터 일부 보통·쾌속을 대체하여 증편할 예정으로, 토요일·휴일 시간표에는 대낮에도 운전될 예정이다.[105]4. 4. 보통
대부분의 열차가 JR 고베 선 산노미야역·니시아카시역 방면과 직통 운전하며, 대낮에는 마쓰이야마테역~니시아카시역 간 매시 4편이 운행된다. 아침 출근 시간대에는 가코가와역 시발 보통 열차나 JR 다카라즈카 선 직통 열차 외에 교바시 역, 하나텐역, 시조나와테역 발착 열차가 있다. 저녁부터 밤까지는 니시아카시역행 시조나와테역 시발 열차가 운행된다. 새벽과 오후 11시대 막차는 기즈 역 착발로 설정되어 있다.[105] 2006년 3월 17일까지는 나가오행이 있었다.종별/역명 | 기즈 | … | 도시샤 앞 | … | 마쓰이야마테 | … | 교바시 | |||
---|---|---|---|---|---|---|---|---|---|---|
시간 당 운행 편수 | 쾌속 | 2편 | ||||||||
colspan="3" | | 2편 | |||||||||
보통 | colspan="3" | | colspan="3" | | 4편 |
5. 사용 차량
207계와 321계 전동차가 사용되고 있다. 두 차량 모두 아보시 종합 차량소에 소속되어 아카시 품질 관리 센터에 배치되어 있다.[107]
- 207계: 1991년 4월 30일부터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 F1편성으로 불리는 시제차 7량 편성 하나와, 3량 편성 및 4량 편성이 가타마치 선에서 운용되고 있다. 3량 편성은 교다나베역 이동 구간에서는 운용되지 않으며, 4량 편성은 간사이 본선(야마토지 선) 나라역까지 연장 운행된다.[108] F1 편성은 후쿠치야마 선 탈선 사고 등의 이유로 가타마치 선에 일시 복귀와 이탈을 반복하기도 했다.
6. 역사
1895년 8월 22일: 나니와 철도(浪速鉄道|나니와 철도일본어)에 의해 가타마치 역 ~ 시조나와테역 간이 개업하였다. 전 구간 단선이었다.
1897년 2월 9일: 나니와 철도가 간사이 철도에 노선을 양도하였다.
1898년
- 4월 12일: 시조나와테역 ~ 나가오 역 간이 개업하였다.
- 6월 4일: 나가오 역 ~ 신키즈 역 간이 연장 개업하였다. 동시에 다나베 역, 호소노역, 신키즈 역이 개업하였다.
- 9월 16일: 기즈 역 ~ 신키즈 역 간이 연장 개업하여, 현재의 나라 선인 나라 철도와 접속하게 되었다. 이와 동시에 기점을 가타마치 역에서 기즈 역으로 변경하였다.
1907년 10월 1일: 간사이 철도 계열 전면 국유화로 일본국유철도 소속이 되었다.
1909년 10월 12일: 선로 명칭 제정으로 기즈 역 ~ 사쿠라노미야 간이 사쿠라노미야 선, 하나텐역 ~ 가타마치 역 간이 가타마치 선이 되었다.
1913년 11월 15일: 하나텐 역 ~ 사쿠라노미야 역 간이 폐지되어 기즈 역 ~ 가타마치 역 간이 가타마치 선이 되었다.
1932년 12월 1일: 가타마치 역 ~ 시조나와테역 간이 전철화되었다.
1950년 12월 15일: 나가오 역 ~ 시조나와테역 간이 전철화되었다.
1989년 3월 11일: 기즈 역 ~ 나가오 역 간이 전철화되었다. 또 오스미역 ~ 나가오 역 간 사이에 마쓰이야마테역이 개업하여 마쓰이야마테 ~ 나가오 간이 복선화되었다.
1997년 3월 8일: JR 도자이 선 개업으로 가타마치 역이 폐지되었다. 또 다나베 역은 교타나베역으로, 우에타나베 역은 JR 미야마키 역으로 개칭되었다.
2008년 3월 15일: 오사카히가시 선 개통으로 나라역 ~ 아마가사키 역 간에 '직통 쾌속' 운행이 개시되었다.
7. 역 목록
쾌속
쾌속
거리
거리
■ 나라 선
세이카정
쓰루미구
조토구
■ JR 도자이 선
■ 게이한 전기 철도 게이한 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