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치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치성은 일제강점기 황해도 출신으로, 육군사관학교 8기 졸업 후 5·16 군사 정변에 참여했다. 육군 준장으로 예편 후 정계에 입문하여 국회의원을 4선 역임했으며, 내무부 장관과 민주공화당 사무총장 등을 지냈다. 1971년 내무장관 재직 중 위안부의 성병 예방책을 강구하도록 지시했고, 같은 해 해임안이 가결되어 사퇴했다. 이후 1980년 신군부 등장으로 정계를 떠나 연구 활동을 했으며, 2017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국대학교 명예박사학위 동문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 단국대학교 명예박사학위 동문 - 고은
    고은은 1958년 등단하여 《만인보》를 포함한 다수의 작품을 발표하고 민주화 운동과 남북한 작가 교류에 기여했으나, 2018년 성추문 논란으로 재평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의 시인이자 소설가, 수필가, 사회 운동가이다.
  • 대한민국의 무임소장관 - 허정
    허정은 일제강점기 임시정부에서 활동하고 해방 후 제헌 국회의원, 교통부 장관, 사회부 장관, 서울특별시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4·19 혁명 후 대통령 권한대행 및 국무총리를 지내며 제2공화국 수립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무임소장관 - 김재춘 (1927년)
    김재춘은 경상북도 영일군 출신의 김녕 김씨로, 경상공립중학교를 졸업한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교육자이다.
  • 황해남도 출신 - 김상돈
    김상돈은 일제 강점기 언론인 출신으로 해방 후 제헌 국회의원,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부위원장, 민주당 창당 참여, 민의원의원, 최초의 민선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했으며, 군사 정권 시절에는 미국으로 망명하여 반독재 운동을 전개한 정치인이다.
  • 황해남도 출신 - 장덕수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교육자, 정치인이었던 장덕수는 와세다 대학교 유학 중 조선인 유학생 단체를 이끌고 신한청년당 결성에 참여했으며, 동아일보 주필과 고려공산당 상하이파 국내 지부 조직 등의 활동을 하였고, 광복 후 한국민주당 창당에 참여했으나 암살당했으며,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지정되었다.
오치성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오치성
현지어 표기吳致成
별명호(號)는 산은(汕隱), 호담(岵潭)
출생1926년 2월 7일
사망2017년 12월 9일 (92세)
출생지황해도 신천군
사망지인천광역시
본관해주(海州)
종교유교(성리학)
병역
근무육군본부 정보참모부
국가재건최고회의
복무 기간1949년 ~ 1963년
주요 참전 전투/전쟁한국 전쟁
지휘육군본부 정보참모부 기획과 과장
국가재건최고회의 내무분과위원장
정치 활동
정당무소속
기타 이력제33대 내무부 장관
前 국회의원
신민주공화당 부총재 겸 최고위원
자유민주연합 상임고문 겸 최고위원
가족 관계
웹사이트
웹사이트대한민국헌정회

2. 생애

육사 8기 출신으로, 박정희, 장도영, 김종필 등이 주동한 5·16 쿠테타에 참여했다. 5·16 군사 정변을 주도한 8인의 핵심 멤버 중 한 명이었다.

1971년 8월 내무장관 재직 중에는 각 경찰에 공문을 보내 보건 당국과 협조하여 위안부의 성병 예방책을 강구하고 교양을 강화하도록 명령했다.[4] 이는 위안부의 인권을 침해하는 조치로, 진보 진영에서는 비판적인 평가를 받는다.

1971년 내무장관 해임건의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돼 사퇴했다.[5]

일제강점기 황해도 신천군 (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신천군) 출신으로, 5·16 군사 정변 이후 육군 준장으로 예비역에 편입하였다. 정계 입문 후 제6대, 제7대, 제8대, 제10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무임소 장관(1970년), 제33대 내무부 장관 (1971년 6월 3일 ~ 10월 7일), 국가재건최고회의 내무위원장·운영위원장·당무위원, 국회 내무위원장, 민주공화당 사무총장 (1969년)·경기도 당 위원장, 신민주공화당 부총재를 역임했다.[1]

1980년 신군부 등장 이후 정계를 떠나, 하버드 대학교 등에서 연구 활동을 했다. 2017년 12월 9일 노환으로 별세하였다.[6]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오치성한국어은 일제강점기 황해도 신천군 (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신천군) 출신이다.[1] 단국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육군사관학교 8기로 임관했다.[1] 육군보병학교, 육군대학을 졸업했다.[1] 미국 오리건 주립 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 학위를,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1] 5·16 군사정변에 핵심 인물로 참여했으며,[1] 육군 준장으로 예편했다.[1]

학력


2. 2. 정치 경력

5·16 군사 정변에 참여한 후, 육군 준장으로 예비역에 편입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다. 제7대, 제8대,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 4선 국회의원을 역임했다.[1]

1970년 정무담당 무임소 장관에 임명되었고,[1] 1971년 6월 3일에는 제33대 내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1] 내무부 장관 재직 중에는 각 경찰에 공문을 보내 보건 당국과 협조하여 위안부의 성병 예방책을 강구하고 교양을 강화하도록 명령했다.[4]

1971년 6월, 대통령 박정희김종필을 국무총리로, 오치성을 내무부 장관으로 발탁하여 3선 개헌 이후 과도한 권력을 가진 공화당 4인방 (金成坤|김성곤 (1913년)한국어, 白南檍|백남억한국어, 吉在号|길재호한국어, 김진만)을 견제하려 했다. 김종필에 따르면, 오치성의 내무부 장관 임명 직후, 당시 경찰국장들은 무슨 일이 있으면 활동비를 대주는 공화당 재정위원장 김성곤에게 먼저 보고했기 때문에, 오치성은 강력하게 개입하여 4인방의 수하 경찰을 대폭 교체했다.[3]

같은 해 9월 30일, 야당인 신민당은 오치성 내무부 장관, 김학렬 경제기획원 장관, 申稙秀|신직수한국어 법무부 장관의 해임 건의안을 제출했다. 원래라면 국회의원 204명 중, 공화당의 113명이 일제히 부결표를 던지면 통과될 수 없었지만, 4인방은 오치성을 눈엣가시처럼 적대했기 때문에, 결국 10월 2일 찬반 투표에서 오치성의 해임안만 찬성 107표, 반대 90표로 가결되었다. 이른바 10·2 항명 파동 이후 박정희가 격노하여 중앙정보부에 주동자 수사를 지시했다. 그 결과, 공화당 의원 23명이 중앙정보부에 체포되었고, 김성곤과 길재호는 정계 은퇴를 강요받았다.[3] 이 사건으로 1971년 10월 7일 내무부 장관직에서 물러났다.[1]

민주공화당 사무총장 (1969년), 경기도 당 위원장, 신민주공화당 부총재를 역임했다.[1] 1980년 신군부 등장 이후 정계를 떠났다.[3]

2. 3. 정계 은퇴 이후

1980년 신군부 등장 이후 정계를 떠나 하버드 대학교 등에서 연구 활동을 했다.[3] 대한민국 헌정회 회원, 헌정회 부회장을 역임했다.

1971년 내무장관 재직 시절, 각 경찰에 공문을 보내 보건 당국과 협조하여 위안부의 성병 예방책을 강구하고 교양을 강화하도록 명령했다.[4] (이는 위안부의 인권을 침해하는 조치로, 진보 진영에서는 비판적인 평가를 받는다.)

2017년 12월 9일 노환으로 별세하였다.[6]

3. 학력

3. 1. 명예 박사 학위

단국대학교 명예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1][2]

4. 경력

순서직책
1하버드대학교 극동아시아문제 연구소 수료[1][2]
25·16 군사 정변 참여
3국가재건최고회의 내무위원장·운영위원장·당무위원
4국회 내무위원장
5민주공화당 사무총장 (1969년)[1]
6정무담당 무임소 장관 (1970년)[1]
7제33대 내무부 장관 (1971년 6월 3일 ~ 10월 7일)[1]
8대한민국 헌정회 회원
9헌정회 부회장
10신민주공화당 부총재[1]


5. 수상 경력

6.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대수직책지역구소속 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락횟수
총선제6대국회의원전국구민주공화당3,112,985표33.5%전국구 8번당선초선
총선제7대국회의원경기 포천군·가평군·연천군민주공화당68,327표66.71%1위당선재선
총선제8대국회의원경기 포천군·가평군·연천군민주공화당75,061표79.95%1위당선3선
총선제10대국회의원경기 연천군·포천군·가평군·양평군민주공화당109,595표70.72%1위당선4선
총선제13대국회의원경기 가평군·양평군신민주공화당23,590표32.14%2위낙선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3-11-12
[2] 웹사이트 제8대 국회의원선거 경기 제7지역구 국회의원 오치성 선전벽보 https://terms.naver.[...] 2023-11-13
[3] 웹사이트 (삶과 추억)공화당 4인방과 일전 불사했던 오치성 전 내무부장관 https://www.joongang[...] 2017-12-10
[4] 뉴스 대한민국 정부가 포주였다 성매매 단속하는 척하며 여성을 외화벌이 수단으로 여겼던 한국 정부… 한국전쟁 때 위안소 설치하고, 독재정권은 주한미군·일본인 대상 성매매 조장해 http://h21.hani.co.k[...] 한겨레 2011-11-28
[5] 뉴스 친박 강경파 “총리 해임안 땐 찬성표”…야당 ‘71년 오치성 파동’ 기대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0-02-06
[6] 뉴스 ‘5·16쿠데타’ 오치성 전 의원 별세 http://www.hani.co.k[...] 한겨레 2017-1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