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올가 토카르추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올가 토카르추크는 1962년 폴란드에서 태어난 소설가이자 에세이 작가이다. 심리학을 전공하고 치료사로 일하다가 작가로 전향하여 1993년 소설 《책의 사람들의 여정》으로 데뷔했다. 2018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채식주의자이자 페미니스트로서 사회적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태고의 시간들》, 《방랑자들》, 《야곱의 책들》 등이 있으며, 작품 세계는 간결하고 실험적인 문체로 인간의 심리와 역사를 탐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의 심리학자 - 카지미에 다브로프스키
    카지미에시 다브로프스키는 폴란드 심리학자이자 정신과 의사로, 긍정적 해체 이론, 과잉흥분성, 5단계 다단계 발달 이론을 제시하며 인간의 심리적 성장과 발달을 설명했고, 《긍정적 부적응: 정신건강에 대한 정신역동적 연구》 등의 저서를 남겼다.
  • 술레후프 출신 - 티모테우시 푸하치
    티모테우시 푸하치는 폴란드 축구 선수로, 레흐 포즈난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여러 팀을 거쳐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에서 2023-24 시즌에 1골 13도움을 기록했으며, 폴란드 국가대표팀으로 UEFA 유로 2020에 참가하고 UEFA 유로 2024 최종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 술레후프 출신 - 멜라 코텔루크
    멜라 코텔루크는 폴란드의 음악가로, 2012년 《스파도크론》을 시작으로 여러 앨범을 발매했으며, 싱글 "To nie ja"와 "Dlaczego milczysz"로 차트 상위권에 오르기도 했다.
  • 폴란드의 소설가 - 헨리크 시엔키에비치
    헨리크 시엔키에비치는 폴란드의 소설가이자 언론인으로, 역사소설 삼부작과 《쿠오 바디스》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어 1905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폴란드 민족의 자긍심을 고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폴란드의 소설가 - 타데우시 미친스키
    타데우시 미친스키는 폴란드의 시인, 소설가, 극작가로서 젊은 폴란드 운동의 대표적인 인물 중 한 명이며, 신비주의, 상징주의, 잠재의식 탐구에 기반하여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했고 폴란드 모더니즘 문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중 의문사했다.
올가 토카르추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9년의 토카르추크
토카르추크 (2019년)
출생 이름올가 나보야 토카르추크
출생일1962년 1월 29일
출생지폴란드 술레후프
직업작가
심리학자
각본가
언어폴란드어
모교바르샤바 대학교 (MA)
활동 기간1989년–현재
분야현대 문학
장르소설
여행기
에세이
사조마법적 사실주의
주요 작품《원시적이고 다른 시대》 (1996년)
《비행》 (2007년)
《죽은 자의 뼈 위로 쟁기를 끌어라》 (2009년)
《야곱의 책》 (2014년)
수상
수상 내역나이키상 (2008년, 2015년)
빌레니차상 (2013년)
브뤼케프라이스 (2015년)
맨부커 국제상 (2018년)
얀 미할스키상 (2018년)
노벨 문학상 (2018년)
프리 로르 바타이용 (2019년)
기타 정보
서명
문화 협회Mount Babel Cultural Association

2. 생애

올가 토카르추크는 1962년 폴란드 서부에서 교사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학생 시절 지그문트 프로이트나 카를 구스타프 융 등의 서적을 즐겨 읽었으며, 바르샤바 대학교에서 심리학을 전공했다. 1985년 바르샤바 대학교를 졸업한 후 치료사로 일했지만, 직업에 환멸을 느꼈다. 이후 여행 비자를 취득하여 1989년 폴란드로 귀국, 시집을 간행하기 전까지 런던에서 다른 직업에 종사했다. 1993년 첫 소설 ''Podróż ludzi Księgi|책 사람들의 여행영어''을 출판[90]하여 폴란드 출판사 상(Polish Publisher’s Prize)을 수상하며 데뷔했다. 이후 수많은 저서를 출판했으며, 2018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면서 더욱 유명해졌다. 채식주의자이자 페미니스트로서도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다.[91][92][93][94][95]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올가 토카르추크는 1962년 폴란드 서부 술레후프 근처에서 교사인 완다 스와보프스카와 유제프 토카르추크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여동생이 있었다. 그녀의 부모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구 폴란드 동부 지역에서 재정착한 사람들이었고, 할머니 중 한 명은 우크라이나 출신이었다. 가족은 지에로나구라에서 약 약 17.70km 떨어진 클레니차의 시골에서 살았는데, 그곳에서 부모는 인민 대학교에서 가르쳤다. 그녀의 아버지는 학교 도서관을 운영하며 폴란드 통일 노동자당의 당원이었다. 토카르추크는 이 도서관에서 문학에 대한 사랑을 키웠다. 어린 시절, 토카르추크는 헨리크 시엔키에비치의 소설 ''사막과 황야에서''와 동화 등을 즐겨 읽었다.

그 후 가족은 남동쪽 오폴란 실레지아의 키에트르로 이사했고, 토카르추크는 그곳에서 키프리안 노르비드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1979년, 청소년 스카우트 잡지 ''Na Przełaj'' 39호에 나타샤 보로딘이라는 필명으로 두 편의 단편 소설을 발표하며 데뷔했다.

1980년, 토카르추크는 바르샤바 대학교에서 임상 심리학을 공부하기 시작했고, 학업 기간 동안 행동 장애가 있는 청소년을 위한 보호 시설에서 자원 봉사 활동을 했다. 1985년 졸업 후 브로츠와프로 이사했고, 나중에는 바우브지흐로 이사하여 1986년부터 1989년까지 심리 치료사로, 1989년부터 1996년까지 교사 연수 강사로 일했다.

2. 2. 문학 경력

올가 토카르추크의 첫 책은 1989년에 출판된 시집 ''Miasta w lustrach''(거울 속의 도시들)이다.[19] 1993년에는 그녀의 데뷔 소설인 ''Podróż ludzi księgi''(책의 사람들의 여행)가 출판되었다. 이 소설은 17세기를 배경으로, 두 연인이 인생의 의미에 대한 은유인 "책의 비밀"을 찾아 피레네 산맥의 수도원으로 떠나는 여정을 그린 우화이다. 반전으로 끝을 맺으며, 비평가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아 폴란드 출판사 최고의 데뷔작 상을 수상했다.[20]

1995년에 출간된 후속 소설 ''E.E.''는 문학적 모더니즘 심리 소설의 관습을 따르며, 주인공인 십 대 소녀 에르나 엘츠너의 이름에서 제목을 따왔다. 에르나는 초능력을 발휘하는데, 1920년대 브로츠와프(당시 독일 도시 브레슬라우)에서 부유한 독일-폴란드 가족으로 성장하며 매개자가 되었다고 한다. 그녀의 어머니는 이를 이용하여 강령회를 조직하기 시작한다. 토카르추크는 과학자, 정신과 의사-환자 관계를 소개하며, 심령주의, 오컬트뿐만 아니라 영지주의 요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심리적 사실주의와 인식적 회의주의를 나타낸다. 올가 토카르추크의 작품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문학 연구가 카타르지나 칸트너는 C. G. 융의 박사 논문 "소위 오컬트 현상의 심리학 및 병리학에 관하여"를 영감으로 지목한다.[15][21]

1996년에 출판된 세 번째 소설 ''프라이미벌과 다른 시대들''(Prawiek i inne czasy, 영문판 2010)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 소설은 폴란드 중심부에 위치한 가상의 마을 프라이미벌을 배경으로 하며, 다소 괴짜스러운, 원형적 인물들이 살고 있다. 유럽의 소우주인 이 마을은 4명의 대천사에 의해 지켜지며,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 해부터 80년 동안 마을 주민들의 삶을 연대기적으로 기록한다.[22] 이 책은 독자들의 눈앞에서 신화가 창조되는 모습을 보여주며, "닫힌 스노우볼, 그 자체로 세계"와 같다고 묘사된다.[23] 안토니아 로이드-존스가 번역한 영어판을 포함하여 여러 언어로 번역된 ''프라이미벌과 다른 시대들''은 토카르추크를 동시대 폴란드 문학의 가장 중요한 대표자 중 한 명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확립했다.[24][25]

''프라이미벌과 다른 시대들'' 이후, 그녀의 작품은 소설 장르에서 벗어나 짧은 산문 텍스트와 에세이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1997년에 출간된 ''Szafa''(옷장)는 세 개의 단편 소설 모음집이었다.

''낮의 집, 밤의 집''(Dom dzienny, dom nocny, 1998, 영문판 2003)은 토카르추크가 '별자리 소설'이라고 칭하는 것으로, 작가가 입양한 크라야노프의 과거와 현재의 삶에 대한 느슨하게 연결된 다양한 이야기, 스케치, 에세이의 모음집이다. 이는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하고 더 깊은 심리적 수준에서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그녀의 목표는 이러한 이미지, 서술 및 모티프의 조각들이 독자의 의식에 들어갈 때만 융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중앙 유럽 역사에 익숙하지 않은 일부 사람들은 이 작품을 토카르추크의 가장 "어려운" 작품이라고 칭했지만, 영어로 출판된 그녀의 첫 번째 책이었고, 2004년 더블린 국제 문학상 최종 후보에 올랐다.[26][27]

2017년 토카르추크(왼쪽)와 감독 아그니에슈카 홀란드


''낮의 집, 밤의 집''에 이어 단편 소설 모음집인 ''Gra na wielu bębenkach''(여러 드럼 연주, 2001)과 볼레슬라프 프루스의 고전 소설 ''인형''을 주제로 한 비소설 에세이 ''Lalka i perła''(인형과 진주, 2000)가 출판되었다.[28] 그녀는 또한 동료 작가 예르지 필흐 및 안제이 스타시우크와 함께 세 개의 현대적인 크리스마스 이야기를 담은 책(''Opowieści wigilijne'', 2000)을 출판했다.[29] 2004년의 ''Ostatnie historie''(마지막 이야기)는 세 세대의 관점에서 죽음을 탐구하고, 소설 ''세상의 무덤 속 안나''(2006)는 폴란드 출판사 Znak의 캐노게이트 신화 시리즈에 기고되었다.

2007년에 출간된 소설 ''플라이츠''(Bieguni, 영문판 2018)는 에세이와 소설을 혼합한 접근 방식으로 돌아가며, 주요 주제는 현대의 유목민이다. 이 책은 사람이 시간과 공간을 어떻게 이동하는지, 그리고 여행의 심리학을 탐구한다.[30][31][32] ''플라이츠''로 그녀는 2008년 폴란드 니케 문학상의 심사위원 및 독자상을 모두 수상했으며, 2018년에는 맨 부커 국제상(번역: 제니퍼 크로프트)을 수상했다.[3] 이 소설은 미국의 권위 있는 전미 번역 문학상의 "번역 문학" 부문 최종 후보에 올랐다.[33]

2009년, 실존적이고 느와르 스릴러 소설인 ''너의 쟁기를 죽은 자들의 뼈 위로''(Prowadź swój pług przez kości umarłych, 영문판 2019)를 출판했는데, 이것은 전통적인 범죄 이야기가 아니라 산성적인 사회 풍자로 변모한다. 주인공이자 화자는 폴란드 클로즈코 계곡의 시골 지역에 사는 60대 여성 야니나 두셰이코로, 점성술을 통해 다른 사람들을 인식하고 윌리엄 블레이크의 시를 좋아한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이 책의 제목은 그의 작품에서 따왔다. 그녀는 지역 사냥 클럽 회원들의 살인 사건을 조사하기로 결심하고, 처음에는 이 죽음이 사냥꾼에게 복수하는 야생 동물에 의해 발생한 것이라고 설명한다.[34][35][36] 이 소설은 폴란드에서 베스트셀러가 되었다.[37] 이 소설은 아그니에슈카 홀란드가 감독한 범죄 영화 ''스푸어''(2017)의 기초가 되었으며, 제67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알프레드 바우어 상(은곰상)을 수상했다.[38] 안토니아 로이드-존스의 영어 번역은 토카르추크에게 두 번째 맨 부커 국제상 후보 지명을 안겨주었다.

베를린 영화제 2017에서 영화 ''스푸어''를 소개하는 토카르추크


서사 소설 ''야곱의 책들''(2014, 영어 번역 2021, 제니퍼 크로프트)은 일곱 개의 국경, 다섯 개의 언어, 세 개의 주요 종교를 넘나드는 여정이다. 1752년 현재의 서부 우크라이나인 역사적인 동갈리시아 동부 갈리시아 지역에서 시작하여, 논란이 많은 18세기 폴란드의 유대인 역사 종교 지도자이자 신비주의자인 야곱 프랑크를 비롯한 역사적 인물들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20세기 중반 폴란드 코로로프카로 이어진다. 이곳에서 지역 유대인 가족은 홀로코스트로부터 숨어 있었다. 유대인의 권리와 해방을 위해 싸우는 프랑크주의 분파를 설립한 프랑크는 추종자들에게 도덕적 경계를 넘도록 권장했으며, 심지어 향락적인 의식을 조장했다. 프랑크주의자들은 유대인 사회에서 박해를 받았으며, 특히 프랑크가 추종자들을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세례를 받도록 이끈 후 더욱 심해졌다. 교회는 나중에 그를 이단으로 10년 이상 투옥했지만, 프랑크는 자신이 메시아라고 선언했다. 3인칭 시점을 통해 사건은 현재 터키, 그리스, 오스트리아, 독일에서 벌어지며, 지역 정신, 기후, 흥미로운 관습을 포착한다.[39]

폴란드 문학의 역사적, 이념적 분열과 관련하여 이 책은 반-헨리크 시엔키에비치로 특징지어졌다. 이 책은 곧 비평가와 독자 모두에게 호평을 받았지만, 일부 폴란드 민족주의계에서는 적대적인 반응을 보였고 올가 토카르추크는 인터넷 혐오 및 괴롭힘 캠페인의 대상이 되었다.[40][41]

2022년에는 ''The Empusium: A Health Resort Horror Story''를 출판했다. 이 책은 토마스 만의 ''마의 산''에서 영감을 받아 2024년 안토니아 로이드-존스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었다.[42][43][44][45]

2. 3. 개인사

올가 토카르추크는 1962년 폴란드 서부 술레후프 근처에서 교사인 부모님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아버지는 폴란드 통일 노동자당의 당원이었다. 할머니 중 한 명은 우크라이나 출신이었다. 가족은 클레니차의 시골에서 살았으며, 아버지가 운영하는 학교 도서관에서 문학에 대한 사랑을 키웠다. 어린 시절 토카르추크는 헨리크 시엔키에비치의 소설과 동화를 즐겨 읽었다. 이후 키에트르로 이사하여 키프리안 노르비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9년 청소년 잡지에 단편 소설을 발표하며 작가로 데뷔했다.

토카르추크는 바르샤바 대학교에서 임상 심리학을 공부하며 행동 장애 청소년을 위한 시설에서 자원 봉사 활동을 했다. 1985년 졸업 후 심리 치료사와 교사 연수 강사로 일했지만, 문학에 전념하기 위해 직업을 그만두었다. 그녀는 카를 융의 심리학을 자신의 문학 작품에 영감으로 삼는다.[15][16][17]

1998년부터 돌니실롱스크주 크라야누프와 브로츠와프 사이에서 거주하고 있다. 노바 루다 근처 크라야누프의 집은 수데티 산맥에 위치하며, 이 지역은 그녀의 문학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14] 1998년, 첫 남편과 함께 소규모 출판사를 설립하여 운영했다.[8] 야기엘론 대학교와 오폴레 대학교에서 산문 워크숍을 진행하기도 했다.

토카르추크는 동료 심리학자인 로만 핑가스와 결혼했으나 이혼했고, 아들 즈비그니에프가 1986년에 태어났다. 현재 남편은 그제고시 지가드이다. 그녀는 채식주의자이다.[13]

토카르추크와 카롤 말리셰프스키 (2018년) 문학의 고원 축제


2015년부터 매년 열리는 문학의 고원 축제의 공동 주최자이며, 이 축제는 그녀의 마을에서 다양한 문화 행사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3. 작품 세계

올가 토카르추크는 1989년 동유럽 혁명 이후 민주화된 폴란드를 배경으로 등장한 '신세대' 작가들 중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녀의 소설은 겉보기에는 실험적이지만 문체는 간결하고 읽기 쉬우며 난해하지 않다. 하지만 그 배경에는 마치 밤하늘의 별과 같은 압도적인 지성이 펼쳐져 있으며, 독자는 그 속에서 자신만의 의미를 찾아낼 수 있다. 특히 2007년에 출판한 116개의 단편을 모은 장편 소설 『비에구니』에 대해 본인은 '별자리 소설(Constellation novel)'이라고 칭하고 있다.

2014년에 출판된 대작 『야쿠프의 서(책)』(미번역)는 유대교 종교 지도자 야코프 프랑크와 그 시대를 다루며, 폴란드가 역사적으로 억압의 희생자였을 뿐만 아니라 때로는 다른 민족을 억압해 왔음을 공공연하게 지적하고 있다.[40][41]

3. 1. 주제와 스타일

토카르추크는 스스로를 카를 융의 제자라고 여기며, 그의 심리학을 자신의 문학 작품의 영감으로 꼽는다.[15][16][17]

1998년부터 돌니실롱스크주 크라야누프와 브로츠와프 사이에서 거주하고 있다. 노바 루다 근처 크라야누프에 있는 그녀의 집은 다문화적인 폴란드-체코 접경 지역의 수데티 산맥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은 그녀의 문학 작품에 영향을 미쳤다.[14] 소설 《낮의 집, 밤의 집》(1998)은 그녀가 선택한 고향에서의 삶을 다루고 있으며, 《야콥의 책》(2009)의 이야기는 그림 같은 클로츠코 계곡에서 펼쳐진다.

동료 심리학자인 로만 핑가스는 토카르추크의 첫 번째 남편이었고, 23세에 결혼하여 나중에 이혼했다. 그들의 아들 즈비그니에프는 1986년에 태어났다. 그제고시 지가드는 그녀의 두 번째 남편이다. 그녀는 채식주의자이다.[13]

토카르추크의 소설 ''E.E.''(1995)는 문학적 모더니즘 심리 소설의 관습을 가지며, 주인공인 십 대 소녀 에르나 엘츠너의 이니셜에서 제목을 따왔다. 에르나는 초능력을 발휘한다. 1920년대 브로츠와프 (당시에는 브레슬라우라는 독일 도시)에서 부유한 독일-폴란드 가족으로 성장한 그녀는 매개자가 되었다고 하며, 그녀의 어머니는 이를 이용하여 강령회를 조직하기 시작한다. 토카르추크는 과학자, 정신과 의사-환자 관계를 소개하며, 심령주의, 오컬트뿐만 아니라 영지주의 요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심리적 사실주의와 인식적 회의주의를 나타낸다. 올가 토카르추크의 작품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문학 연구가 카타르지나 칸트너는 C. G. 융의 박사 논문 "소위 오컬트 현상의 심리학 및 병리학에 관하여"를 영감으로 지목한다.[15][21]

그녀의 세 번째 소설인 ''프라이미벌과 다른 시대들''(Prawiek i inne czasy, 영문판 2010)는 1996년에 출판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 소설은 폴란드의 중심부에 위치한 가상의 마을 프라이미벌을 배경으로 하며, 그곳에는 다소 괴짜스러운, 원형적 인물들이 살고 있다. 유럽의 소우주인 이 마을은 4명의 대천사에 의해 지켜지며, 책은 그들의 관점에서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 해부터 80년 동안 마을 주민들의 삶을 연대기적으로 기록한다.[22] 이 책은 독자들의 눈앞에서 신화가 창조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곳은 프라이미벌이다: 닫힌 스노우볼, 그 자체로 세계이며, 떠날 수 있을지 없을지 모른다. [...] 하지만 프라이미벌 마을이 역사의 거듭된 파괴를 겪는 만큼, 생물적 마법과 경이로움으로 가득 찬 또 다른 꿈도 존재한다."[23] 안토니아 로이드-존스가 번역한 영어판을 포함하여 여러 언어로 번역된 ''프라이미벌과 다른 시대들''은 토카르추크를 동시대 폴란드 문학의 가장 중요한 대표자 중 한 명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확립했다.[24][25]

''낮의 집, 밤의 집''(Dom dzienny, dom nocny, 1998, 영문판 2003)은 토카르추크가 '별자리 소설'이라고 칭하는 것으로, 작가가 입양한 크라야노프의 과거와 현재의 삶에 대한 느슨하게 연결된 다양한 이야기, 스케치, 에세이의 모음집이다. 이는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하고 더 깊은 심리적 수준에서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그녀의 목표는 이러한 이미지, 서술 및 모티프의 조각들이 독자의 의식에 들어갈 때만 융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중앙 유럽 역사에 익숙하지 않은 일부 사람들은 이 작품을 토카르추크의 가장 "어려운" 작품이라고 칭했지만, 이 작품은 영어로 출판된 그녀의 첫 번째 책이었고, 2004년 더블린 국제 문학상 최종 후보에 올랐다.[26][27]

토카르추크의 소설 ''플라이츠''(Bieguni, 2007, 영문판 2018)는 에세이와 소설을 혼합한 접근 방식으로 돌아가며, 주요 주제는 현대의 유목민이다. 이 책은 사람이 시간과 공간을 어떻게 이동하는지, 그리고 여행의 심리학을 탐구한다.[30][31][32] ''플라이츠''로 그녀는 2008년 폴란드 니케 문학상의 심사위원 및 독자상을 모두 수상했으며, 2018년에는 맨 부커 국제상 (번역: 제니퍼 크로프트)을 수상했다.[3]

2009년, 토카르추크는 실존적이고 느와르 스릴러 소설인 ''너의 쟁기를 죽은 자들의 뼈 위로''(Prowadź swój pług przez kości umarłych, 영문판 2019)를 출판했는데, 이것은 전통적인 범죄 이야기가 아니라 산성적인 사회 풍자로 변모한다. 주인공이자 화자는 폴란드 클로즈코 계곡의 시골 지역에 사는 60대 여성 야니나 두셰이코로, 점성술을 통해 다른 사람들을 인식하고 윌리엄 블레이크의 시를 좋아한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이 책의 제목은 그의 작품에서 따왔다. 그녀는 지역 사냥 클럽 회원들의 살인 사건을 조사하기로 결심하고, 처음에는 이 죽음이 사냥꾼에게 복수하는 야생 동물에 의해 발생한 것이라고 설명한다.[34][35][36]

서사 소설 ''야곱의 책들''(2014, 영어 번역 2021, 제니퍼 크로프트)은 일곱 개의 국경, 다섯 개의 언어, 세 개의 주요 종교를 넘나드는 여정이다. 1752년 현재의 서부 우크라이나인 역사적인 갈리시아 지역에서 시작하여, 논란이 많은 18세기 폴란드의 유대인 역사 종교 지도자이자 신비주의자인 야곱 프랑크를 비롯한 역사적 인물들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20세기 중반 폴란드 코로로프카로 이어진다. 이곳에서 지역 유대인 가족은 홀로코스트로부터 숨어 있었다. 유대인의 권리와 해방을 위해 싸우는 프랑크주의 분파를 설립한 프랑크는 추종자들에게 도덕적 경계를 넘도록 권장했으며, 심지어 향락적인 의식을 조장했다. 프랑크주의자들은 유대인 사회에서 박해를 받았으며, 특히 프랑크가 추종자들을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세례를 받도록 이끈 후 더욱 심해졌다. 교회는 나중에 그를 이단으로 10년 이상 투옥했지만, 프랑크는 자신이 메시아라고 선언했다. 3인칭 시점을 통해 사건은 현재 터키, 그리스, 오스트리아, 독일에서 벌어지며, 지역 정신, 기후, 흥미로운 관습을 포착한다.

2022년에는 ''The Empusium: A Health Resort Horror Story''를 출판했다. 이 책은 토마스 만의 ''마의 산''에서 영감을 받아 2024년 안토니아 로이드-존스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었다.[42][43][44][45]

올가 토카르추크의 작품은 '신세대'로 칭해진 1989년 동유럽 혁명 이후 민주화된 폴란드를 배경으로 등장한 작가들 중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그녀의 소설은 겉보기에는 실험적이지만 문체는 간결하고 읽기 쉬우며 난해하지 않다. 하지만 그 배경에는 마치 밤하늘의 별과 같은 압도적인 지성이 펼쳐져 있으며, 독자는 그 속에서 자신만의 의미를 찾아낼 수 있다. 특히 2007년에 그녀가 출판한 116개의 단편을 모은 장편 소설 『비에구니』에 대해 본인은 'Constellation novel(별자리 소설)'이라고 칭하고 있다.

2014년에 출판된 대작 『야쿠프의 서(책)』(미번역)는 유대교 종교 지도자 야코프 프랑크와 그 시대를 다루며, 폴란드가 역사적으로 억압의 희생자였을 뿐만 아니라 때로는 다른 민족을 억압해 왔음을 공공연하게 지적하고 있다.

3. 2. 주요 작품


  • Zgubiona duszapl (사계절, 2018년 10월)
  • Prawiek i inne czasypl (은행나무, 2019년 1월)
  • Biegunipl (민음사, 2019년 10월)


올가 토카르추크의 첫 번째 책은 1989년에 출판된 시집 ''Miasta w lustrachpl''(거울 속의 도시들)이었다.[19] 그녀의 데뷔 소설인 ''Podróż ludzi księgipl''(책의 사람들의 여행)은 1993년에 출판되었다. 17세기를 배경으로 한 이 소설은 두 연인이 "책의 비밀"을 찾아 떠나는 여정을 그린 우화로, 인생의 의미에 대한 은유를 담고 있다. 삶의 미스터리를 드러내는 책을 찾아 피레네 산맥의 수도원으로 떠나는 여정을 묘사하며, 반전으로 끝을 맺는다. 이 소설은 비평가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고, 폴란드 출판사 최고의 데뷔작 상을 수상했다.[20]

후속 소설 ''E.E.''(1995)는 문학적 모더니즘 심리 소설의 관습을 차용하여, 주인공인 십 대 소녀 에르나 엘츠너의 이니셜에서 제목을 따왔다. 에르나는 초능력을 발휘하는데, 1920년대 브로츠와프(당시에는 브레슬라우라는 독일 도시)에서 부유한 독일-폴란드 가족으로 성장한 그녀는 매개자가 되었다고 하며, 그녀의 어머니는 이를 이용하여 강령회를 조직하기 시작한다. 토카르추크는 과학자, 정신과 의사-환자 관계를 소개하며, 심령주의, 오컬트뿐만 아니라 영지주의 요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심리적 사실주의와 인식적 회의주의를 나타낸다.[15][21]

1996년에 출판된 세 번째 소설 ''프라이미벌과 다른 시대들''은 큰 성공을 거두었다. 폴란드 중심부에 위치한 가상의 마을 프라이미벌을 배경으로, 다소 괴짜스러운, 원형적 인물들이 등장한다. 유럽의 소우주와 같은 이 마을은 4명의 대천사에 의해 지켜지며,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부터 80년 동안 마을 주민들의 삶을 연대기적으로 기록한다.[22] 이 책은 독자들의 눈앞에서 신화가 창조되는 모습을 보여주며, "닫힌 스노우볼, 그 자체로 세계이며, 떠날 수 있을지 없을지 모르는" 프라이미벌 마을이 역사의 파괴를 겪으면서도 생물적 마법과 경이로움으로 가득 찬 꿈을 담고 있다고 묘사한다.[23] 안토니아 로이드-존스가 번역한 영어판을 포함하여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토카르추크를 동시대 폴란드 문학의 가장 중요한 대표자 중 한 명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확립했다.[24][25]

''프라이미벌과 다른 시대들'' 이후, 토카르추크의 작품은 소설에서 짧은 산문 텍스트와 에세이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다음 책인 ''Szafapl''(옷장, 1997)는 세 개의 단편 소설 모음집이었다.

''낮의 집, 밤의 집''(1998, 영문판 2003)은 토카르추크가 '별자리 소설'이라고 칭하는 것으로, 작가가 입양한 크라야노프의 과거와 현재의 삶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 스케치, 에세이를 느슨하게 연결한 모음집이다. 이는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하고 더 깊은 심리적 수준에서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그녀의 목표는 이러한 이미지, 서술 및 모티프의 조각들이 독자의 의식에 들어갈 때만 융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중앙 유럽 역사에 익숙하지 않은 일부 사람들은 이 작품을 토카르추크의 가장 "어려운" 작품이라고 칭했지만, 영어로 출판된 그녀의 첫 번째 책이었고, 2004년 더블린 국제 문학상 최종 후보에 올랐다.[26][27]

''낮의 집, 밤의 집''에 이어 단편 소설 모음집 ''Gra na wielu bębenkachpl''(여러 드럼 연주, 2001)과 볼레슬라프 프루스의 고전 소설 ''인형''을 주제로 한 비소설 에세이 ''Lalka i perłapl''(인형과 진주, 2000)가 출판되었다.[28] 그녀는 또한 동료 작가 예르지 필흐 및 안제이 스타시우크와 함께 세 개의 현대적인 크리스마스 이야기를 담은 책 (''Opowieści wigilijnepl'', 2000)을 출판했다.[29] 2004년의 ''Ostatnie historiepl''(마지막 이야기)는 세 세대의 관점에서 죽음을 탐구하고, 소설 ''Anna In w grobowcach światapl''(세상의 무덤 속 안나, 2006)는 폴란드 출판사 Znak의 캐노게이트 신화 시리즈에 기고되었다.

토카르추크의 소설 ''플라이츠''(2007, 영문판 2018)는 에세이와 소설을 혼합한 접근 방식으로, 현대 유목민을 주요 주제로 다룬다. 이 책은 사람이 시간과 공간을 어떻게 이동하는지, 그리고 여행의 심리학을 탐구한다.[30][31][32] ''플라이츠''로 그녀는 2008년 폴란드 니케 문학상 심사위원 및 독자상을 모두 수상했으며, 2018년에는 맨 부커 국제상 (제니퍼 크로프트 번역)을 수상했다.[3] 이 소설은 미국의 권위 있는 전미 번역 문학상 "번역 문학" 부문 최종 후보에 올랐다.[33]

2009년, 토카르추크는 실존적이고 느와르 스릴러 소설 ''너의 쟁기를 죽은 자들의 뼈 위로''(영문판 2019)를 출판했다. 이 소설은 전통적인 범죄 이야기가 아니라 산성적인 사회 풍자로, 주인공이자 화자는 폴란드 클로즈코 계곡의 시골 지역에 사는 60대 여성 야니나 두셰이코이다. 그녀는 점성술을 통해 다른 사람들을 인식하고 윌리엄 블레이크의 시를 좋아하며, 지역 사냥 클럽 회원들의 살인 사건을 조사하면서 처음에는 이 죽음이 사냥꾼에게 복수하는 야생 동물에 의해 발생한 것이라고 설명한다.[34][35][36] 이 소설은 폴란드에서 베스트셀러가 되었다.[37] 아그니에슈카 홀란드가 감독한 범죄 영화 ''스푸어''(2017)의 기초가 되었으며, 제67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알프레드 바우어 상 (은곰상)을 수상했다.[38] 안토니아 로이드-존스의 영어 번역은 토카르추크에게 두 번째 맨 부커 국제상 후보 지명을 안겨주었다.

서사 소설 ''야곱의 책들''(2014, 영어 번역 2021, 제니퍼 크로프트)은 일곱 개의 국경, 다섯 개의 언어, 세 개의 주요 종교를 넘나드는 여정을 다룬다. 1752년 현재의 서부 우크라이나인 역사적인 동갈리시아 지역에서 시작하여, 논란이 많은 18세기 폴란드의 유대인 역사 종교 지도자이자 신비주의자인 야곱 프랑크를 비롯한 역사적 인물들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20세기 중반 폴란드 코로로프카로 이어진다. 이곳에서 지역 유대인 가족은 홀로코스트로부터 숨어 있었다. 유대인의 권리와 해방을 위해 싸우는 프랑크주의 분파를 설립한 프랑크는 추종자들에게 도덕적 경계를 넘도록 권장했으며, 심지어 향락적인 의식을 조장했다. 프랑크주의자들은 유대인 사회에서 박해를 받았으며, 특히 프랑크가 추종자들을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세례를 받도록 이끈 후 더욱 심해졌다. 교회는 나중에 그를 이단으로 10년 이상 투옥했지만, 프랑크는 자신이 메시아라고 선언했다. 3인칭 시점을 통해 사건은 현재 터키, 그리스, 오스트리아, 독일에서 벌어지며, 지역 정신, 기후, 흥미로운 관습을 포착한다.[39]

폴란드 문학의 역사적, 이념적 분열과 관련하여 이 책은 반-헨리크 시엔키에비치로 특징지어졌다. 이 책은 곧 비평가와 독자 모두에게 호평을 받았지만, 일부 폴란드 민족주의계에서는 적대적인 반응을 보였고 올가 토카르추크는 인터넷 혐오 및 괴롭힘 캠페인의 대상이 되었다.[40][41]

2022년에는 ''Empuzjonpl: A Health Resort Horror Story영어''를 출판했다. 이 책은 토마스 만의 ''마의 산''에서 영감을 받아 2024년 안토니아 로이드-존스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었다.[42][43][44][45]

; 단편집

  • Gra na wielu bębenkachpl (여러 개의 북을 치는 연주: 19개의 단편, 2001)
  • Opowiadania bizarnepl (기이한 이야기들, 2018)


; 단편[87]

제목연도초판 발행재수록/수록비고
옌테2021


4. 사회적 활동 및 관점

토카르추크는 스스로를 좌파 페미니스트라고 밝히고 있다.[48][49][50] 그녀는 폴란드의 일부 민족주의 단체로부터 비애국적이고, 반기독교적이며, 생태 테러리즘을 조장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51][49] 그러나 토카르추크는 이러한 주장을 부인하며 자신을 "진정한 애국자"라고 칭했고, 자신을 비판하는 단체들이 외국인 혐오적이며 폴란드의 국제적 평판을 훼손한다고 말했다.[63][52][53]

폴란드의 반유대주의에 대해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온 토카르추크는 "유대 문화가 없는 폴란드 문화는 없다"고 강조했다. 그녀는 폴란드가 과거 "식민주의자, 소수[유대인]를 억압한 민족 다수, 노예 소유주, 유대인 살해자로서 끔찍한 행위를 저질렀다"고 비난하며, 폴란드 내 반유대주의에 대한 공개적인 비판은 폴란드 민족주의 우파 일부로부터 반발을 샀다.[54]

2020년, 토카르추크는 마거릿 애트우드, 존 밴빌, J. M. 쿠체에 등 저명한 작가들과 함께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위원장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에게 공개 서한을 보냈다. 이 서한에서 이들은 유럽 연합에 "폴란드에서 명백히 침해되고 있는 핵심 유럽 가치, 즉 평등, 비차별, 소수자 존중을 옹호하기 위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하고, 폴란드 정부에 성 소수자를 표적으로 삼는 것을 중단하고 혐오증을 조장하는 단체에 대한 지원을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55][56]

4. 1. 사회 참여



올가 토카르추크는 2015년 창립 이후 매년 열리는 문학의 고원 축제의 공동 주최자이며, 이 축제는 그녀의 마을에서 열리는 행사들을 포함한다. 이 축제는 교육 세션과 워크숍, 토론, 콘서트, 영화 상영, 다양한 전시회 등 풍성한 문화 행사 프로그램을 갖추고 있다.[46]

2019년 11월, 토카르추크는 진보적인 지적, 예술적 중심지를 만들기 위해 문학 관련 광범위한 활동을 계획하는 동명의 재단을 설립했다. 폴란드 시인 티모테우시 카르포비치의 브로츠와프에 있는 빌라가 미래의 본부가 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46] 작가는 노벨상 상금의 10%를 재단에 할당했으며, 그녀 외에 아그니에슈카 홀란드와 이레니우시 그린이 재단 이사회에 합류했다. 재단은 2020년 10월부터 교육 프로그램 시행, 작문 대회 및 공개 토론 조직, 젊은 작가 지망생을 위한 장학금 지원, 그리고 국제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시작했다.[47]

4. 2. 정치적, 사회적 관점

토카르추크는 좌파이자 페미니스트이다.[48][49][50] 그녀는 폴란드의 일부 민족주의 단체로부터 비애국적이고 반기독교적이며 생태 테러리즘을 조장한다는 비판을 받았다.[51][49] 이러한 주장에 대해 그녀는 스스로를 "진정한 애국자"라고 칭하며, 자신을 비판하는 단체들이 외국인 혐오적이며 폴란드의 국제적 평판을 훼손한다고 반박했다.[63][52][53] 폴란드의 반유대주의에 대해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온 토카르추크는 "유대 문화가 없는 폴란드 문화는 없다"고 강조했다. 그녀는 폴란드가 과거 "식민주의자, 소수[유대인]를 억압한 민족 다수, 노예 소유주, 유대인 살해자로서 끔찍한 행위를 저질렀다"고 비난하며, 폴란드 내 반유대주의에 대한 공개적인 비판은 폴란드 민족주의 우파 일부로부터 반발을 샀다.[54]

2015년, 『야곱의 서』 출판 이후, 토카르추크는 노바 루다 애국자 협회로부터 폴란드 민족의 명예를 훼손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 협회는 시의회에 작가의 명예 시민권 박탈을 요구했으며, 법과 정의당 소속 폴란드 상원 의원 발데마르 본코프스키는 토카르추크의 문학적 업적과 공개 발언이 "폴란드 역사 정치의 전제와 절대적으로 모순된다"고 주장하며 이를 지지했다. 이에 대해 토카르추크는 자신이야말로 진정한 애국자이며, 자신을 비판하는 사람들과 단체들이야말로 외국인 혐오적이고 인종차별적인 태도로 폴란드와 해외의 이미지에 해를 끼친다고 주장했다.[63][52][53]

2020년, 토카르추크는 마거릿 애트우드, 존 밴빌, J. M. 쿠체에 등 저명한 작가들과 함께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위원장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에게 공개 서한을 보냈다. 이 서한에서 이들은 유럽 연합에 "폴란드에서 명백히 침해되고 있는 핵심 유럽 가치, 즉 평등, 비차별, 소수자 존중을 옹호하기 위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하고, 폴란드 정부에 성 소수자를 표적으로 삼는 것을 중단하고 혐오증을 조장하는 단체에 대한 지원을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55][56]

5. 수상 및 영예

올가 토카르추크는 폴란드 국내외에서 수많은 문학상을 받았으며, 그녀의 작품은 수십 건의 학술 논문과 논문의 주제가 되었다.[57]

1998년 소설 ''밤의 집, 낮의 집''의 영어 번역(번역자: 안토니아 로이드-존스)은 2004년 더블린 국제 문학상 최종 후보에 올랐다.[58]

토카르추크의 책 5권은 폴란드 최고의 문학상인 니케 상 최종 후보에 올랐으며, 그중 ''방랑자들''(2008년)과 ''야곱의 책''(2015년) 두 권이 상을 받았다.[60][48]

2010년, 토카르추크는 문화 공로 훈장 실버 글로리아 아르티스 훈장을 받았다.[61] 2013년에는 슬로베니아 빌레니차 상을 수상했다.[16]

토카르추크(왼쪽)와 ''방랑자들'' 및 ''야곱의 책'' 번역가 제니퍼 크로프트, 그리고 2018년 맨 부커 국제상 심사위원장 리사 아피냐네시


2015년, 토카르추크는 독일과 폴란드의 국경 자매 도시가 공동으로 수여하는 브뤼케프라이스를 수상했다. 심사위원단은 특히 토카르추크가 사람, 세대, 문화를 연결하는 문학적 다리를 창조한 점과, 돌나시롱스크 지역의 복잡한 다국적, 다문화적 과거를 "재발견"하고 해명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62][63][64][65]

''야곱의 책''으로 2016년 스톡홀름 문화의 집 국제 문학상을 수상했다.[66] 이 소설의 프랑스어 번역은 2018년 프랑스 문화 잡지 ''트랑스퓌주''에서 "최고의 유럽 소설"로 선정되었고, 같은 해 스위스 얀 미할스키 상과 2019년 프랑스 로르 바타이용 상을 수상했다.[39][67]

2018년, ''방랑자들''(번역: 제니퍼 크로프트)은 맨 부커 국제상을 수상했다.[3][68] 1년 후, ''너의 쟁기를 죽은 자들의 뼈 위로''(번역: 안토니아 로이드-존스)가 2019년 맨 부커 국제상 최종 후보에 올랐다.[69]

토카르추크 at 2024 Nobel Week


2019년, 토카르추크는 "백과사전적 열정으로 경계의 횡단을 삶의 형태로 표현하는 서사적 상상력"을 인정받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그해 12월 7일에 노벨 강연 ''다정한 내레이터''를 발표했다.[70] 2018년 시상식은 노벨 위원회 내 논란으로 인해 연기되었다.[71][72][73][74]

2020년, 문학적 업적을 기려 바르샤바 명예 시민 칭호를 받았다.[75]

2021년, 바르샤바 대학교, 브로츠와프 대학교, 크라쿠프의 야기엘론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76][77][78] 크라쿠프 명예 시민이 되었다.[79] 같은 해 11월에는 왕립 문학 학회 국제 작가로 선출되었다.[80]

2022년 3월, ''야곱의 책''(번역: 제니퍼 크로프트)은 2022년 국제 부커상 롱리스트에 올랐으며,[81] 4월에 최종 후보에 올랐다.[82] 같은 해 6월에는 소피아 대학교에서 명예 학위를 받았으며[83][84] 2023년 5월에는 텔아비브 대학교에서 명예 학위를 받았다.[85]

2024년 9월, 그녀의 최신 저서 ''엠푸시움''이 유럽 문학상을 수상했다.[86]

6. 한국 출간 작품


  • 《잃어버린 영혼》 (사계절, 2018년 10월)[1]
  • 《태고의 시간들》 (은행나무, 2019년 1월)[2]
  • 《방랑자들》 (민음사, 2019년 10월)[3]

참조

[1] 웹사이트 Stowarzyszenie Kulturalne Góry Babel https://rejestr.io/k[...] 2019-10-10
[2] 웹사이트 Nobelove ceny za literatúru sú známe: Laureátom za rok 2018 je Olga Tokarczuková, za rok 2019 Peter Handke https://style.hnonli[...] 2019-10-10
[3] 웹사이트 Olga Tokarczuk's 'extraordinary' Flights wins Man Booker International prize http://www.theguardi[...] 2018-05-22
[4] 뉴스 Translators from across the globe discuss works of Nobel Prize winner Olga Tokarczuk https://www.thefirst[...] Polish Press Agency 2020-10-04
[5] 웹사이트 Olga Tokarczuk's magnum opus finally gets English release – after seven years of translation http://www.theguardi[...] 2021-02-26
[6] 뉴스 'The Books of Jacob,' a Nobel Prize Winner's Sophisticated and Overwhelming Novel https://nyti.ms/3IyT[...] 2022-01-24
[7] 웹사이트 The Books of Jacob https://thebookerpri[...]
[8] 웹사이트 Olga Tokarczuk – Polscy pisarze i badacze literatury przełomu XX i XXI wieku http://www.ppibl.ibl[...] Polish Academy of Sciences's Literary Research Institute 2019-10-10
[9] 간행물 «Всесвіт», 2009, No. 11–12. — С. 181
[10] 웹사이트 Лауреат Нобелівської премії з літератури за 2018: що відомо про українське походження Токарчук – Lifestyle 24 https://24tv.ua/life[...]
[11] 웹사이트 Ольга ТОКАРЧУК: "Коли бачу вулицю Бандери, у мене мороз по шкірі" http://gk-press.if.u[...] 2011-09-25
[12] 웹사이트 "Gazeta Polska" o Tokarczuk. "Gdyby jej ojciec był w Solidarności Walczącej..." https://dorzeczy.pl/[...] 2019-12-11
[13] 웹사이트 Nie uważa się za idealną żonę i matkę. Kim prywatnie jest Olga Tokarczuk? https://viva.pl/kult[...] 2020-12-10
[14] 뉴스 Sąsiedzi Olgi Tokarczuk: Jesteśmy dumni https://www.fakt.pl/[...] Fakt.pl 2019-10-11
[15] 논문 Podmiotowość 'mediumiczna': 'E.E.' Olgi Tokarczuk jako powieść psychologiczna https://ruj.uj.edu.p[...] 2015
[16] 웹사이트 Vilenica Prize Winner 2013: Olga Tokarczuk https://vilenica.si/[...] Vilenica International Literary Festival
[17] 웹사이트 Olga Tokarczuk: 'I was very naive. I thought Poland would be able to discuss the dark areas of our history' https://www.theguard[...] 2018-04-20
[18] 웹사이트 About Krytyka Polityczna http://politicalcrit[...] Krytyka Polityczna
[19] 논문 The Works of Olga Tokarczuk: Postmodern aesthetics, myths, archetypes, and the feminist touch http://womenswriting[...]
[20] 뉴스 "Księgi Jakubowe" z najważniejszym francuskim wyróżnieniem dla przekładu literackiego https://www.tvn24.pl[...] 2019-07-10
[21] 웹사이트 Rewriting Poland http://bostonreview.[...] 2018-09-14
[22] 웹사이트 Primeval and Other Times: Olga Tokarczuk https://tskymag.com/[...] TS 2010-11-27
[23] 웹사이트 Staff Picks: Primeval and Other Times and Flights https://malvernbooks[...] 2019-01-21
[24] 웹사이트 Primeval and Other Times https://www.twisteds[...] Twisted Spoon Press
[25] 잡지 Olga Tokarczuk's Novels Against Nationalism https://www.newyorke[...] 2019-07-29
[26] 서적 International Who's Who of Authors and Writers 2004 https://books.google[...] Europa Publications
[27] 웹사이트 Poles apart http://www.theguardi[...] 2002-10-20
[28] 뉴스 Olga Tokarczuk wins Man Booker Prize 2018: Other novels by the Polish author https://indianexpres[...] 2019-10-10
[29] 웹사이트 Vilenica 2008 Prize Winner https://vilenica.si/[...] Vilenica International Literary Festival 2008-05-22
[30] 웹사이트 Flights by Olga Tokarczuk review – the ways of wanderers http://www.theguardi[...] 2017-06-03
[31] 잡지 "Flights," a Novel That Never Settles Down https://www.newyorke[...] 2018-09-24
[32] 뉴스 Fables Leap Back and Forth Through Time in 'Flights' https://www.nytimes.[...] 2018-08-14
[33] 웹사이트 Olga Tokarczuk https://www.national[...]
[34] 웹사이트 Fiction Book Review: Drive Your Plow over the Bones of the Dead by Olga Tokarczuk, trans. from the Polish by Antonia Lloyd-Jones https://www.publishe[...] 2019-05-14
[35] 웹사이트 Drive Your Plow Over the Bones of the Dead by Olga Tokarczuk – the entire cosmic catastrophe https://www.theguard[...] 2018-09-21
[36] 웹사이트 Drive Your Plow Over the Bones of the Dead https://bookmarks.re[...] Book Marks 2019-08-13
[37] 웹사이트 Bestsellery 2009 http://www.rp.pl/art[...] 2010-02-20
[38] 웹사이트 Prizes of the International Jury https://www.berlinal[...] 2017-02-18
[39] 웹사이트 Jan Michalski Prize – Edition 2018 http://www.fondation[...] Fondation Jan Michalski 2018-11-21
[40] 웹사이트 Nagroda Nike 2015 dla Olgi Tokarczuk. ''Księgi Jakubowe'' książką roku! http://wyborcza.pl/1[...] 2015-10-04
[41] 웹사이트 Internetowy lincz na Oldze Tokarczuk. Zabić pisarkę http://wyborcza.pl/1[...] 2015-10-15
[42] 뉴스 Nobel prize winner Olga Tokarczuk: ‘We live with violence and misogyny like some sort of constant illness’ https://www.theguard[...] 2024-10-05
[43] 웹사이트 Book Review: ‘The Empusium,’ by Olga Tokarczuk https://www.nytimes.[...] 2024-09-25
[44] 웹사이트 Has Olga Tokarczuk Been Struck by the Nobel Curse? https://www.vulture.[...] 2024-09-24
[45] 웹사이트 The Enlightenment Is Just One Side of the Story https://www.theatlan[...] 2024-10-03
[46] 뉴스 The Olga Tokarczuk Foundation in the Karpowicz Villa https://www.wroclaw.[...] Wrocław.pl
[47] 웹사이트 Fundacja Olgi Tokarczuk rusza z działalnością. Pierwsze projekty w ramach Jesieni we Wrocławiu Mieście Literatury https://wydawca.com.[...] 2020-10-05
[48] 웹사이트 Olga Tokarczuk, laureatka Nike 2015: Ludzie, nie bójcie się! http://wyborcza.pl/1[...] 2015-10-10
[49] 웹사이트 Olga Tokarczuk: the dreadlocked feminist winner the Nobel needed http://www.theguardi[...] 2019-10-10
[50] 웹사이트 Nobel laureate Olga Tokarczuk: why populist nostalgia will pass https://www.ft.com/c[...] 2020-02-14
[51] 뉴스 Agnieszka Holland: Pokot reflects divided nature of Polish society https://www.theguard[...] 2017-02-16
[52] 웹사이트 Nowa polityka historyczna wg PiS. Żądają odebrania Tokarczuk obywatelstwa Nowej Rudy http://wyborcza.pl/1[...] 2015-12-15
[53] 웹사이트 Czapliński: list otwarty do senatora Waldemara Bonkowskiego http://www.krytykapo[...] Krytyka Polityczna 2015-10-15
[54] 웹사이트 The Nobels In Literature: Olga Tokarczuk and Peter Handke https://www.newengli[...] New English Review 2019-10-21
[55] 뉴스 LGBT+ Community in Poland: a Letter of Solidarity and Protest https://wyborcza.pl/[...]
[56] 뉴스 'Stop targeting sexual minorities': Stars sign letter supporting Poland's LGBT+ rights https://www.euronews[...]
[57] 웹사이트 Olga Tokarczuk at the Jagiellonian University https://ruj.uj.edu.p[...]
[58] 뉴스 Nobel Prize in Literature: Olga Tokarczuk and Peter Handke win awards https://www.irishtim[...] 2019-10-10
[59] 웹사이트 Nike 2015 dla Olgi Tokarczuk https://culture.pl/p[...] 2015
[60] 뉴스 Nike 2008 dla Olgi Tokarczuk — "Bieguni" książką roku http://wyborcza.pl/1[...] 2008-10-05
[61] 웹사이트 Gloria Artis dla Olgi Tokarczuk http://www.mkidn.gov[...] Ministry of Culture and National Heritage of the Republic of Poland
[62] 웹사이트 Międzynarodowa Nagroda Mostu dla Olgi Tokarczuk http://www.wydawnict[...] Wydawnictwo Literackie 2015-12-06
[63] 웹사이트 Olga Tokarczuk: To ja jestem patriotką, a nie nacjonalista palący kukłę Żyda http://wroclaw.wybor[...] 2015-12-10
[64] 웹사이트 Nagroda Mostu dla Olgi Tokarczuk http://www.zinfo.pl/[...] ZINFO 2015-12-03
[65] 웹사이트 Bridge Award https://zgorzelec.eu[...] Zgorzelec City council
[66] 뉴스 Kulturhuset Stadsteaterns första internationella litteraturpris tilldelas romanen Jakobsböckerna http://kulturhusetst[...]
[67] 뉴스 Prestigious award for Olga Tokarczuk and her translator into French https://instytutksia[...] The Polish Book Institute 2019-07-09
[68] 뉴스 Olga Tokarczuk of Poland Wins Man Booker International Prize https://www.nytimes.[...] 2018-05-22
[69] 뉴스 Women Dominate Shortlist for Booker International Prize https://www.nytimes.[...] 2019-04-09
[70] 노벨상
[71] 웹사이트 All Nobel Prizes in Literature https://www.nobelpri[...] Nobel Foundation
[72] 뉴스 Nobelove ceny za literatúru získali Olga Tokarczuková a Peter Handke https://kultura.prav[...] 2019-10-10
[73] 뉴스 Olga Tokarczuk and Peter Handke Awarded Nobel Prizes in Literature https://www.nytimes.[...] 2019-10-10
[74] 뉴스 Olga Tokarczuk and Peter Handke win Nobel prizes in literature https://www.theguard[...] 2019-10-10
[75] 뉴스 Olga Tokarczuk honorową obywatelką stolicy https://kultura.onet[...] Ringier Axel Springer Media AG 2020-06-21
[76] 웹사이트 Doktorat honoris causa UW dla Olgi Tokarczuk https://www.uw.edu.p[...] 2022-03-12
[77] 웹사이트 Uniwersytet Wrocławski nadał tytuł doktora honoris causa noblistce Oldze Tokarczuk https://www.wroclaw.[...] Wrocław City Hall 2022-03-12
[78] 웹사이트 Uniwersytet Jagielloński przyzna tytuł doktora honoris causa Oldze Tokarczuk https://www.uj.edu.p[...] Jagiellonian University 2021-10-07
[79] 웹사이트 Honorowe obywatelstwo Miasta Krakowa dla Olgi Tokarczuk https://www.radiokra[...] 2022-03-12
[80] 웹사이트 Inaugural RSL International Writers Announced https://rsliterature[...] 2021-11-30
[81] 웹사이트 The 2022 International Booker Prize Longlist announcement https://thebookerpri[...] 2022-03-12
[82] 뉴스 International Booker prize shortlist delivers 'awe and exhilaration' https://www.theguard[...] 2022-04-07
[83] 웹사이트 Nobel-winning Polish Author Olga Tokarczuk Awarded Honorary Doctor's Degree by Sofia University https://bta.bg/en/ne[...] 2022-06-10
[84] 웹사이트 Nobel Prize winner Olga Tokarczuk to visit Sofia https://bnr.bg/en/po[...] 2022-06-08
[85] 웹사이트 IAS Guest Olga Tokarczuk bestowed an honorary degree by Tel Aviv University https://ias.tau.ac.i[...] 2023-06-15
[86] 웹사이트 'The Empusium' wins European Literature Prize 2024 https://www.letteren[...] 2024-09-30
[87] 문서 Short stories unless otherwise noted.
[88] 웹사이트 STOWARZYSZENIE KULTURALNE "GÓRY BABEL" Rejestr.io https://rejestr.io/k[...] 2019-10-10
[89] 웹사이트 Olga Tokarczuk and Peter Handke win Nobel prizes in literature https://web.archive.[...] www.theguardian.com 2019-10-10
[90] 웹사이트 Olga Tokarczuk https://culture.pl/j[...]
[91] 웹사이트 2019年ノーベル文学賞 2年分発表 ポーランドとオーストリアの2人|ノーベル賞2020 NHK特設サイト https://www3.nhk.or.[...] 2020-11-15
[92] 웹사이트 18年ノーベル文学賞、オルガ・トカルチュクさんとは 絶え間ない越境、自由な想像力 沼野充義・東京大教授寄稿|好書好日 https://book.asahi.c[...] 2020-11-15
[93] 뉴스 オルガ・トカルチュク氏にノーベル文学賞 ヒエラルキーを壊す菌糸=小椋彩(東洋大助教 ロシア・ポーランド文学者) https://mainichi.jp/[...] 2019-10-17
[94] 뉴스 Olga Tokarczuk: the dreadlocked feminist winner the Nobel needed https://www.theguard[...] 2019-10-10
[95] 웹사이트 Olga Tokarczuk Biography, Books, & Facts https://www.britanni[...] 2020-11-15
[96] 웹사이트 Olga Tokarczuk’s Novels Against Nationalism https://www.newyorke[...] 2020-11-15
[97] 웹사이트 逃亡派 (EXLIBRIS) オルガ トカルチュク https://www.amazon.c[...] 2020-11-15
[98]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2018 https://www.nobelpri[...] www.nobelprize.org 2019-10-10
[99] 웹인용 STOWARZYSZENIE KULTURALNE "GÓRY BABEL" Rejestr.io https://rejestr.io/k[...] 2019-10-1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