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왕이신 그리스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이신 그리스도는 예수가 왕으로 묘사되는 기독교 개념이다. 성경에서는 예수가 다윗의 왕좌를 이어받아 영원히 다스릴 것이라고 묘사하며, "왕들의 왕, 주들의 주"로 칭송받는다. 이러한 개념은 4세기부터 예술 작품으로 묘사되었으며, 1925년 교황 비오 11세는 그리스도의 왕권을 강조하는 회칙을 발표하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우주의 왕 대축일'을 제정했다. 이 축일은 로마 전례력에서 전례력의 마지막 주일로 기념되며, 학교나 수도회 등의 명칭으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도론 - 로고스
    로고스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비롯된 다의어로, 철학, 종교, 심리학 등 다양한 사상에서 이성, 논리, 세계의 원리, 신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핵심 개념으로 사용된다.
  • 그리스도론 - 예수의 동정녀 탄생
    예수의 동정녀 탄생은 기독교의 핵심 교리로서 예수가 인간 아버지 없이 성령으로 마리아에게 잉태되어 태어났다는 신념이며, 예수의 신성을 강조하고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전승을 바탕으로 하지만 역사적 근거에 대한 학계의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며, 기독교 미술, 전례, 마리아 공경, 서구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왕이신 그리스도
왕이신 그리스도
하기아 소피아의 그리스도 판토크라토르 모자이크
하기아 소피아의 판토크라토르 그리스도 모자이크
다른 이름만왕의 왕, 주님 중의 주님, 우주의 통치자
유형기독교의 칭호
중요도예수 그리스도의 왕권
기독교 종말론
성경적 근거
구약성경시편 2편
시편 110편
이사야 9장 6절
다니엘 7장 13-14절
신약성경마태복음 2장 2절
마태복음 27장 11절
요한복음 1장 49절
요한복음 19장 19-22절
사도행전 17장 7절
디모데전서 6장 15절
요한계시록 17장 14절
요한계시록 19장 16절
신학적 의미
기독교예수의 왕권과 통치
세상에 대한 예수의 주권
미래의 정의와 평화의 왕국
전례적 사용
로마 가톨릭 교회왕이신 그리스도 왕국 축일
성공회왕이신 그리스도 주일
예술적 표현
도상학그리스도 판토크라토르, 심판자 그리스도, 개선하는 그리스도
예시왕이신 그리스도 성당 (크리스투스 렉스)
그리스도 왕상

2. 성경적 근거

누가복음에서 가브리엘 대천사는 마리아에게 다음과 같이 선포한다. "보라, 네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니, 그 이름을 예수라 하여라. 그는 위대한 분이 되실 것이며, 지극히 높으신 분의 아들이라 불릴 것이다. 주 하느님께서는 그에게 그의 조상 다윗의 왕좌를 주실 것이며, 그는 야곱의 집을 영원히 다스릴 것이고, 그의 나라는 끝이 없을 것이다."[3]

요한 계시록 (17:14)에는 어린 양이 "왕들의 왕, 주들의 주"라고 선언되어 있다.[3]

2. 1. 누가복음

가브리엘 대천사는 마리아에게 "보라, 네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니, 그 이름을 예수라 하여라. 그는 위대한 분이 되실 것이며, 지극히 높으신 분의 아들이라 불릴 것이다. 주 하느님께서는 그에게 그의 조상 다윗의 왕좌를 주실 것이며, 그는 야곱의 집을 영원히 다스릴 것이고, 그의 나라는 끝이 없을 것이다."라고 선포한다.[3] 요한 계시록 (17:14)에는 어린 양이 "왕들의 왕, 주들의 주"라고 선언되어 있다.[3]

2. 2. 요한 계시록

요한 계시록(17:14)에는 어린 양이 "왕들의 왕, 주들의 주"라고 선언되어 있다.[3]

3. 역사적 배경

그리스도가 왕이라는 개념은 314년경 유세비우스가 행한 연설의 주제였다.[4] 황제적 그리스도의 묘사는 4세기 후반에 나타난다.[4] 그리스도 판토크라토르("만물의 통치자")는 정교회에서 가장 흔한 종교적 성상 중 하나이다. 서방의 이에 해당하는 것은 위엄 안의 그리스도이다.

3. 1. 초대 교회

그리스도가 왕이라는 개념은 314년경 유세비우스가 행한 연설의 주제였다.[4] 황제적 그리스도의 묘사는 4세기 후반에 나타난다.[4] 그리스도 판토크라토르("만물의 통치자")는 정교회에서 가장 흔한 종교적 성상 중 하나이다. 서방의 이에 해당하는 것은 위엄 안의 그리스도이다.

3. 2. 중세 시대

그리스도가 왕이라는 개념은 314년경 유세비우스가 행한 연설의 주제였다. 황제적 그리스도의 묘사는 4세기 후반에 나타난다.[4] 그리스도 판토크라토르("만물의 통치자")는 정교회에서 가장 흔한 종교적 성상 중 하나이다. 서방의 이에 해당하는 것은 위엄 안의 그리스도이다.

4. 교황 비오 11세

스테인드 글라스로 제작된 왕이신 그리스도, 아일랜드 티퍼레리


교황 비오 11세의 첫 번째 회칙은 1922년 12월의 ''우비 아르카노 데이 콘실리오''였다.[5]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 글을 쓴 비오 11세는 적대 행위는 중단되었지만 진정한 평화는 없다고 지적했다.[5] 그는 계급 분열과 무절제한 민족주의의 부상을 개탄하며, 진정한 평화는 "평화의 왕"으로서 그리스도의 왕권 아래에서만 찾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5] "예수 그리스도는 그의 가르침으로 개인의 마음을 다스리고, 그의 사랑으로 그들의 마음을 다스리며, 그의 법에 따라 살고 그의 모범을 따름으로써 각자의 삶을 다스리신다."[5]

그리스도의 왕권은 1925년에 발표된 교황 비오 11세의 회칙 ''Quas primas''에서 다시 언급되었다. 마이클 D. 그리니는 이 회칙을 "아마도 역사상 가장 오해받고 무시된 회칙 중 하나일 것이다."라고 평했다.[6] 교황은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를 인용하며 예수의 왕권이 폭력이 아닌 아버지로부터 주어졌다고 언급하며 승인했다. 그는 "그리스도는 모든 피조물에 대한 지배권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폭력으로 빼앗거나 찬탈된 것이 아니라 본질과 본성으로 그에게 속한 것이다."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교황 레오 13세의 1899년 회칙 Annum sacrum을 언급하며 레오가 그리스도의 왕권을 예수 성심에 대한 헌신과 연결시킨 점을 언급했다.[7]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우주의 왕 대축일은 1925년 교황 비오 11세에 의해 제정되었다. 1969년 로마 일반 전례력은 로마 전례에서의 이 축일을 전례력의 마지막 주일인 평범한 시기의 마지막 주일로 옮겼다. 대부분의 성공회 신자, 루터교 신자 및 일부 개신교 신자들도 같은 날에 이를 기념한다. 그러나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의 1960년 로마 일반 전례력을 따르는 가톨릭 신자들과 성공회 가톨릭 교회 신자들은 1925년에 지정된 날인 모든 성인 대축일 전 주일인 10월 마지막 주일에 이를 기념한다.

매사추세츠주 로즐린데일의 수태고지 멜키트 가톨릭 대성당의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으로, 비잔틴 제국의 군주 복장을 한 그리스도 왕을 묘사하고 있다.

4. 1. ''Ubi arcano Dei consilio'' (1922)

교황 비오 11세의 첫 번째 회칙은 1922년 12월의 ''우비 아르카노 데이 콘실리오''였다.[5]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 글을 쓴 비오 11세는 적대 행위는 중단되었지만 진정한 평화는 없다고 지적했다.[5] 그는 계급 분열과 무절제한 민족주의의 부상을 개탄하며, 진정한 평화는 "평화의 왕"으로서 그리스도의 왕권 아래에서만 찾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5] "예수 그리스도는 그의 가르침으로 개인의 마음을 다스리고, 그의 사랑으로 그들의 마음을 다스리며, 그의 법에 따라 살고 그의 모범을 따름으로써 각자의 삶을 다스리신다."[5]

4. 2. ''Quas primas'' (1925)

그리스도의 왕권은 1925년에 발표된 교황 비오 11세의 회칙 ''Quas primas''에서 다시 언급되었다. 마이클 D. 그리니는 이 회칙을 "아마도 역사상 가장 오해받고 무시된 회칙 중 하나일 것이다."라고 평했다.[6] 교황은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를 인용하며 예수의 왕권이 폭력이 아닌 아버지로부터 주어졌다고 언급하며 승인했다. 그는 "그리스도는 모든 피조물에 대한 지배권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폭력으로 빼앗거나 찬탈된 것이 아니라 본질과 본성으로 그에게 속한 것이다."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교황 레오 13세의 1899년 회칙 Annum sacrum을 언급하며 레오가 그리스도의 왕권을 예수 성심에 대한 헌신과 연결시킨 점을 언급했다.[7]

4. 3. 그리스도 왕 대축일 제정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우주의 왕 대축일은 1925년 교황 비오 11세에 의해 제정되었다. 1969년 로마 일반 전례력은 로마 전례에서의 이 축일을 전례력의 마지막 주일인 평범한 시기의 마지막 주일로 옮겼다. 대부분의 성공회 신자, 루터교 신자 및 일부 개신교 신자들도 같은 날에 이를 기념한다. 그러나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의 1960년 로마 일반 전례력을 따르는 가톨릭 신자들과 성공회 가톨릭 교회 신자들은 1925년에 지정된 날인 모든 성인 대축일 전 주일인 10월 마지막 주일에 이를 기념한다.

5. 그리스도 왕 대축일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우주의 왕 대축일은 1925년 교황 비오 11세에 의해 제정되었다. 1969년 로마 일반 전례력은 로마 전례에서의 이 축일을 전례력의 마지막 주일인 평범한 시기의 마지막 주일로 옮겼다. 대부분의 성공회 신자, 루터교 신자 및 일부 개신교 신자들도 같은 날에 이를 기념한다. 그러나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의 1960년 로마 일반 전례력을 따르는 가톨릭 신자들과 성공회 가톨릭 교회 신자들은 1925년에 지정된 날인 모든 성인 대축일 전 주일인 10월 마지막 주일에 이를 기념한다.

6. 그리스도 왕의 이름을 딴 것들

wikitable

종류명칭
학교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가톨릭계 학교
수도회예수 고난회


참조

[1] 서적 A Commentary on the Epistle to the Hebrews 1988
[2] 웹사이트 The Cyclopedia of Biblical, Theological, and Ecclesiastical Literature https://www.biblical[...] Harper and Brothers 1880
[3] 서적 The Kingly Office of Christ https://books.google[...] Presbyterian Board of Publication and Sabbath-School Work 1887
[4] 서적 Rex Gloriae: The Kingship of Christ in the Early Church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4
[5] 간행물 Ubi Arcano Dei Consilio https://www.vatican.[...] 1922-12-23
[6] 웹사이트 A Just Third Political Way The Concept of Sovereignty in Quas Primas http://www.socialjus[...]
[7] 서적 Heart of the Redeemer https://books.google[...] Ignatius Press 1992
[8] 웹사이트 History https://ourlordchris[...] 2021-07-19
[9] 서적 A Commentary on the Epistle to the Hebrews 1988
[10] 웹사이트 The Cyclopedia of Biblical, Theological, and Ecclesiastical Literature https://www.biblical[...] Harper and Brothers 188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