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도회는 불교, 그리스도교, 이슬람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신앙생활에 전념하기 위해 형성된 단체이다. 불교에서는 승려와 비구니로 구성되어 특정 종파의 가르침을 따르며, 참선 수행을 위한 선원이 존재한다. 그리스도교의 수도회는 세속을 떠나 신앙생활에 전념하는 공동체로, 가톨릭 수도회는 다양한 사명과 카리스마를 가지고 활동한다. 이슬람교의 수피즘에서는 타리카라는 종교 단체가 존재하며, 영적 지도자를 중심으로 신비적 가르침과 수행을 한다. 또한, 개신교, 초교파 선교 공동체, 그리고 아프리카 및 남아메리카의 부족 종교에서도 수도회와 유사한 형태의 종교적 삶이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수도회 - 사막 교모
사막 교모는 초기 기독교 시대에 금욕주의를 실천하며 영적 성장을 추구한 여성들을 지칭하며, 세속적인 욕망을 절제하고 신에 대한 헌신을 강조하는 삶을 살았던 대표적인 인물로는 알렉산드리아의 테오도라, 사막의 사라, 멜라니아 등이 있다. - 기독교 수도회 - 상트 오틸리엔 베네딕토 선교수도회
상트 오틸리엔 베네딕토 선교수도회는 독일에서 시작되어 외방 선교를 위해 설립된 수도원 연합체이며, 전 세계에서 선교 활동을 펼치고 있고, 한국에는 왜관 수도원이 운영되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수도회 | |
---|---|
개요 | |
유형 | 기독교 조직 |
목적 | 신앙심 강화 공동체 생활 사회 봉사 |
역사 및 발전 | |
기원 | 초기 기독교 공동체 |
발전 | 수도원 운동 다양한 규칙과 전통 형성 |
특징 | |
서약 | 청빈 정결 순명 |
생활 방식 | 공동체 생활 기도와 묵상 노동과 봉사 |
규칙 | 베네딕도 규칙 프란치스코 규칙 아우구스티노 규칙 등 |
역할 및 영향 | |
종교적 역할 | 신앙 전파 영성 지도 |
사회적 역할 | 교육 및 연구 의료 및 복지 문화 보존 |
문화적 영향 | 예술 및 건축 발전 기여 사회 윤리 및 가치관 형성 영향 |
주요 수도회 | |
남성 수도회 | 베네딕도회 프란치스코회 도미니코회 예수회 |
여성 수도회 | 클라라회 가르멜회 사랑의 딸회 |
현황 | |
세계적 분포 | 전 세계 다양한 국가 및 지역 |
활동 | 교육 의료 사회 복지 선교 |
과제 | 회원 감소 사회 변화 적응 |
같이 보기 | |
관련 주제 | 수도원 수도 생활 성직자 평신도 |
2. 불교
불교에서 수도회는 승려와 비구니들이 모여 수행하고 불법을 전파하는 공동체이다. 불교 사회에는 여러 수도 단체가 있으며, 이들은 특정 종파의 가르침을 따른다.
2. 1. 선원
불교에서 수행의 길에 들어서려는 승려들은 '''선원'''에서 참선 중심의 수행을 정진한다. 한국에는 2005년 현재 90여 개의 선원이 운영되고 있다.[21]2. 2. 기타 불교 종단
불교 사회에서 종교 단체는 여러 수도 단체 중 하나로, 승려와 비구니로 구성되며, 많은 단체가 특정 종파의 가르침을 따른다. 예를 들어, 태국의 담마윳티카는 몽꿋 왕(라마 4세)이 창건한 승원이다.[21] 잘 알려진 중국 불교 단체로는 선불교의 고대 소림 단체가 있으며, 현대에는 허윈 종단이 있다.원불교에는 '교당'이 있다.
3. 그리스도교
그리스도교의 수도회는 세속을 떠나 신앙생활에 전념하고자 하는 신자들이 모여 형성된 공동체이다. 초기 그리스도교 수도회는 로마 제국이 국교로 된 이후 교회가 세속화되자, 이를 극복하고 순수한 신앙생활을 추구하려는 움직임에서 비롯되었다. 이들은 수도원 운동을 통해 발생하여, 창립자의 영성을 유지하면서 점차 회칙이나 조직을 정비해 나갔다. 각 수도회는 고유한 사명, 즉 카리스마를 가지며, 그 정신에 따라 활동한다.
중세 시대 수도회는 기도를 중시하여 매일 엄숙하게 기도를 드렸지만, 근대에 들어 예수회와 같이 선교를 주 목적으로 하는 수도회는 회원의 매일 기도 의무를 면제하기도 하였다. 17세기 이후 서유럽에서는 사회복지단체가 지역 주교의 보호 아래 여자 수도회 형태로 설립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교육이나 선교를 위한 수도회가 융성하였다.
그리스도교 수도회는 활동 형태에 따라 관상 수도회, 탁발 수도회, 교육 수도회, 선교 수도회, 기사 수도회 등으로 나뉜다.
3. 1. 가톨릭
가톨릭 수도회는 교황청 또는 교구의 인준을 받아 설립되며, 각 수도회는 고유한 영성과 카리스마를 가지고 활동한다.초기 가톨릭 수도회는 로마 제국이 가톨릭을 국교로 받아들인 이후, 교회가 세속화되자 순수한 신앙생활을 추구하던 기독교인들이 수도원 운동을 하면서 발생하였다. 이들은 창립자의 영성을 유지하며 점차 회칙과 조직을 갖추어 나갔다. 각 수도회는 고유한 사명, 즉 카리스마를 가지고 그 정신에 따라 활동한다.
중세 시대에는 기도를 중시하여 매일 엄숙하게 기도를 드렸지만, 근대에 들어 예수회와 같이 선교를 주 목적으로 하는 수도회는 회원의 매일 기도 의무를 면제하기도 하였다. 17세기 이후 서유럽에서는 사회복지단체가 지역 주교의 보호 아래 여자 수도회 형태로 설립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살레시오회처럼 교육이나 선교를 위한 수도회가 융성하였다.
가톨릭 교회 내에서 수도회는 구성원(수도자)이 교회 대표자의 승인을 받아 대서원을 하고, 수도복을 착용하며, 형제 또는 자매로서 공동 생활을 하는 단체를 의미한다.[1] 수도회는 구성원이 단순 서원을 서약하는 수도회와 구별되며, 재속회, 사도적 생활 단체, 평신도 교회 운동을 포함한 세속 수도회와도 구별된다. 성직자가 아닌 수도회 구성원은 평신도이다. 그러나 특정 수도회와 단체는 그들의 카리스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성직자 또는 평신도로 분류된다.[3]
대서원을 한 전통적인 형태의 수도회에는 네 가지 주요 범주가 있다.
- 수도자: 수도원에서 생활하고 일하며 성무일도를 암송하는 수도승 또는 수녀
- 정규 참사회: 성무일도를 암송하고 교회와 본당을 섬기는 정규 참사회와 참사회 수녀
- 탁발 수도회: 구걸로 생활하고 성무일도를 암송하며 남성의 경우 사도적 활동에 참여하는 수도회 또는 수녀
- 정규 성직자: 수도 서원을 하고 활동적인 사도적 생활을 하는 사제
수도 생활은 3세기 초 라틴 교회에서 시작되었으며, 529년에 성 베네딕도 수도회가 창설되었다. 초기 수도회는 수도원 봉쇄 또는 사목에 얼마나 중점을 두느냐에 따라 수도원적이거나 참사회적이었다. 처음에는 공동체마다 생활 규칙이 달랐지만, 10세기까지 성 베네딕도의 규칙은 라틴 교회의 수도승과 수녀들 사이에서, 성 아우구스티노 규칙은 참사회와 참사회 수녀들 사이에서 표준화된 규범이 되었다.
13세기에는 카르멜회, 작은 형제회, 설교자회, 삼위일체회, 성 아우구스티노 수도회와 같은 탁발 수도회가 결성되었다. 이들은 수도 공동체를 위해 재산을 소유하지 않고 구걸하여 필요한 곳으로 갔다. 16세기에는 예수회, 테아티노회, 바르나바회, 소마스키와 같은 정규 성직자회가 등장했다.
잘 알려진 로마 가톨릭 수도회로는 아우구스티노회, 성 바실 대수도회, 베네딕토회, 베들레헴 형제회, 브리지타회, 카말돌리회, 카르멜회, 카르투지오회, 시토회, 잉태 수녀회, 성 십자가 참사회원, 도미니코회, 프란체스코회, 히에로니모회, 예수회, 최소 수도회, 피아르회, 살레시오회, 올리베토회, 테아티노회, 트라피스트회, 성모 방문회가 있다.
십자군 동안 일부 수도회는 군사적 사명을 통합하여 군사 수도회가 되었으며, 예루살렘 성 요한 기사단, 성전 기사단, 성묘 기사단이 이에 해당한다.
3. 1. 1. 가톨릭 수도회의 분류
가톨릭 수도회는 활동 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뉜다.[1]- 관상 수도회
- 탁발 수도회
- 교육 수도회
- 선교 수도회
- 기사 수도회
초기 수도원은 중세 수도원 운동에서 발생했으며, 창립자의 영성을 유지하면서 점차 회칙과 조직을 정비해 나갔다. 각 수도회는 그 사명, 즉 카리스마를 가지며, 그 정신에 따라 활동하고 있다.[22]
중세까지 수도회는 기도를 중시하여, 매일 일과 중 기도를 전원이 엄숙히 행하였다. 그러나 근세에 들어 선교를 주 목적으로 세워진 예수회는 회원의 매일 일과 기도의 의무를 면제하였다. 또한 17세기 이후, 특히 서유럽 지역에서는, 영주로부터 독립한 사회복지단체가 그 지역 주교의 보호 하에 여자 수도회 형태로 세워지게 되는 경우가 적지 않았으며, 살레시오회 등 교육 수도회와 선교 수도회가 융성하였다.
가톨릭 수도회는 같은 신앙을 가진 교회 내의 그룹이며, 서로 다른 교리를 가지고 대립하는 것이 아니므로, "예수회"를 "예수 교단" 또는 "예수회파" 등으로 번역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3. 1. 2. 한국 가톨릭 수도회
한국에는 다양한 가톨릭 남자 수도회와 여자 수도회가 활동하고 있다. 다음은 한국에서 활동하는 가톨릭 수도회 목록이다.남자 수도회
- 속죄 프란치스코 수도회 SA
- 예수회 SJ
- Congregation of the Sacred Hearts of Jesus and Mary|예수 마리아 성심회영어 sscc
- Missionary Oblates of Mary Immaculate|오블라트회영어 OMI
- 카푸친 프란치스코 수도회 OFM.Cap
- 가르멜 수도회 OCD
- 엄률 시토회 O.Cist
- 성 클라레치안 선교회 CMF
- 수난 수도회 CP
- 콘벤투알 성 프란치스코 수도회 OFM.Conv
- 살레시오회 SDB
- 순심회 CICM
- 말씀 수도회 SVD
- 성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OSA
- 성 비아토르 수도회 CSV
- 성 술피스회 SS
- 성 바오로 수도회 SSP
- 성 베네딕토회 OSB
- 도미니코회 OP
- 프란치스코회 OFM
- 라 살 수도회 FSC
- 마리아회 SM
- 레뎀토리스트회 CSSR
- 에스콜라피오 수도회 SP
여자 수도회
- 애덕 가르멜 수도회 CCV
- 예수 카리타스 수녀회 SCG
- 예수 작은 자매 우애회 PS
- Sisters of Marie-Auxiliatrice|원조 마리아 수도회영어 OCN
- 오사카 성 요셉 선교 수녀회 CSMSJO
- Sisters of the Infant Jesus|어린 예수회영어 (구 생몰 수도회) IJ
- 오타와 애덕 수녀회 SCO
- 주님의 천사 수녀회 CMA
- 하느님 사랑 선교자회 MC
- 가르멜 수도회 OCD
- Sisters of St. Joseph|카론데레의 성 요셉 수도회영어 CSJ
- 그리스도·예수의 선교회 MCJ
- 기류 성 클라라 수도원
- Marianist Sisters|무염 시마리아 수도회영어 FMI
- 깨끗하지 않은 성모 기사 성 프란치스코 수녀회
- 엄률 시토회 O.Cist
- 성체 선교 클라라 수도회 MC
- 콩그레가시옹 드 노르트르담 수도회 CND
- 살레시오 수녀회 FMA
- 스승 예수 수녀회 PDDM
- 샤르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 SPC
- 수호 천사 자매 수도회 SAC
- 쇼파유의 어린 예수회 EJ
- Sisters of St. Francis of the Martyr St. George|순교자 성 게오르기오의 프란치스코 수도회영어
- 스피노라 수녀회 ADC
- 성심회 RSCJ
- 성심 시녀 수도회 ACI
- Suore orsoline missionarie del Sacro Cuore di Gesù|성심의 우르슬라 선교 수녀 수도회it
- 성체 봉사회
- 성 도미니코 여자 수도회 DSRC
- 성 빈첸시오 아 바오로의 애덕 자매회 DCSVP
- 성 프란치스코 병원 수녀회 HSSF
- 성 베르나르도 여자 수도회 BEC
- 성 베네딕토 여자 수도원
- 성모 승천 수도회 SASV
- 성모 봉헌 수도회 PM
- 성 마리아 수도회 ODN
- 성 마리아의 깨끗하지 않은 마음의 프란치스코 자매회
- 성 마리아의 무원죄 교육 선교 수도회 RCM
- Sisters of St. Joseph|성 요셉 수도회영어 CSJ
- 성령 봉사 포교 수녀회(성령회) SSpS
- 영구 래페 성령 봉사 수도회 SSpSAP
- 성 바오로 여자 수도회 FSP
- 나가사키 준심 성모회 ICM
- Sisters of Notre Dame de Namur|나뮈르 노트르담 수녀회영어 SND
- 파리 미션 여자회 ISME
- 복음의 빛 수도회 SLE
- 복음사가 성 요한 포교 수도회 (요한회) SMSJ
- 베다니아 수녀회
- 베리스 메르세스 선교 수도회 MMB
- Sisters of Charity of Nevers|뇌베르 애덕 수도회영어 SCN
- 노트르담 교육 수녀회 SSND
- 무원죄 성모 선교 수녀회 MIC
- 마리아의 선교사 프란치스코 수도회 FMM
- 마리아의 어심회 SDHM
- 마리아의 딸 에스코라피아스 수녀회 SchP
- 마리아 포교 수도회
- 메리놀 여자 수도회 MM
- Sisters of the Good Samaritan|선한 사마리아인 수도회영어 SGS
- 선한 목자의 애덕 성모 수도회 RGS
- 레뎀토리스트 선교 수도회 MSsR
- 예배회 AASC
- 레뎀토리스친 수도회 (엄률 지지 성속죄 주 여자 수도회)
3. 2. 개신교
마르틴 루터는 종교개혁 당시 수도원 생활의 영적 가치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7] 루터교회 설립 후, 아멜룽스보른 수도원(네겐보른 인근), 로쿰 수도원(레부르크-로쿰 소재), 엡스토르프 수도원(위엘첸 마을 근처), 부르스펠데 수도원(부르스펠데 소재) 등 루터교 국가의 일부 수도원과 수녀원이 루터교 신앙을 받아들였다.[8]미국의 "루터교 프란체스코회"는 루터교 종교 단체의 또 다른 예시이다. 1958년 미시간주 옥스퍼드의 성 아우구스티누스 하우스에서 아서 크라인헤더 신부가 수도원 생활과 기도를 관찰하던 중 다른 남성들이 합류하면서 성 베네딕토 규칙을 따르는 루터교 종교 단체 "그리스도의 종회"가 설립되었다.[9] 이 단체는 외스탄백 수도원(스웨덴)과 성 위그베르트 수도원(독일)의 루터교 베네딕토회와 강한 유대 관계를 맺고 있다.
3. 2. 1. 성공회
옥스퍼드 운동으로 보편교회 전통이 부활하면서 성공회 수도회가 다시 생겨났다.[10] 헨리 8세가 잉글리칸 교회를 로마 수위권에서 분리하면서 잉글랜드의 수도회는 해산되었다. 이후 300년 동안 성공회에는 공식적인 수도회가 없었지만, 리틀 기딩 공동체와 같은 비공식적인 공동체는 때때로 생겨났다. 19세기 중반 영국 성공회와 전 세계 성공회에서 옥스퍼드 운동이 시작되면서 여러 수도회가 등장했는데, 1841년에 여성 수도회가 처음으로 설립되었고, 남성 수도회는 25년 후에 설립되었다.[10]성공회 수도자는 자발적으로 평생 또는 일정 기간 동안 재산을 공동으로 소유하거나 신탁에 맡기고, 공동체에서 독신 생활을 하며, 규칙과 헌장에 순종할 것을 서약한다.[10] 현재 남성 수도회 13개, 여성 수도회 53개, 남녀 혼성 수도회 8개가 활동하고 있다.
3. 2. 2. 감리교
영국 감리교회와 그 조상들은 여러 여집사 서품을 설립했으며, 현재 이들은 성직자로 안수를 받고 사제 동료들과 동등한 자격으로 사역을 수행한다.[1] 감리교 집사회(MDO)는 남녀 모두를 집사로 받아들이며, 이들은 모두 집사로 알려져 있다.[1] 집사의 기능이 주로 목회에 있기 때문에, MDO는 수도 성직자의 서품으로 간주될 수 있다.[1]성 루가 수도회는 연합 감리교회의 수도회로, 성례전과 전례 연구, 교육 및 실천에 전념하고 있다.[2]
3. 2. 3. 기타 개신교 교단
씨알수도회는 진보적인 성향의 개신교 수도 공동체이다.[25] 대한기독교수도원은 감리교 수도원으로, 정식 명칭은 기독교대한수도원이다. '수도원'이라는 명칭과 달리 '닦을 수, 빌 도, 동산 원'이라는 한자어 의미를 가지며, 일반적인 수도원보다는 기도원에 가깝다.마르틴 루터는 종교개혁 당시 수도원 생활의 영적 가치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7] 루터교회 설립 후, 아멜룽스보른 수도원(네겐보른 인근), 로쿰 수도원(레부르크-로쿰 소재), 엡스토르프 수도원(위엘첸 마을 근처), 부르스펠데 수도원(부르스펠데 소재) 등 루터교 국가의 일부 수도원과 수녀원이 루터교 신앙을 받아들였다.[8]
미국의 "루터교 프란체스코회"는 루터교 종교 단체의 또 다른 예시이다. 아서 크라인헤더 신부가 수도원 생활과 기도를 관찰하던 중, 1958년 미시간주 옥스퍼드의 성 아우구스티누스 하우스에 다른 남성들이 합류하면서 성 베네딕토 규칙을 따르는 루터교 종교 단체 "그리스도의 종회"가 설립되었다.[9] 이 단체는 외스탄백 수도원(스웨덴)과 성 위그베르트 수도원(독일)의 루터교 베네딕토회와 강한 유대 관계를 맺고 있다.
3. 3. 초교파 선교 공동체
떼제 공동체는 개신교와 로마 가톨릭교회의 에큐메니컬 수도원이다. 1940년 로제 수사가 프랑스에 세웠으며, 대한민국에는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동에 한국 떼제공동체가 있다.[1] 마리아슈베스터[2]4. 이슬람교
이슬람교에서 수피즘은 신비주의적 전통을 따르는 종교 단체를 타리카라고 부른다.
4. 1. 수피즘
타리카는 수피즘에서 종교 단체를 설명하는 방식이며, 특히 "궁극적 진리"인 ''ḥaqīqah''를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종단의 신비적 가르침과 영적 수행을 지칭한다. 타리카는 보통 지도자 또는 영적 지도자인 ''무르시드''를 둔다. 타리카의 구성원과 추종자는 ''murīdīn''(단수 ''murīd'')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신을 알고 신을 사랑하는 지식을 원하는 자"를 의미한다(''faqīr'' فقير|파키르ar라고도 함). 타리카는 해당 종단의 셰이크들의 영적 계보인 실실라()를 가지고 있으며, 거의 모든 종단은 자신들의 실실라가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여긴다. 타리카는 무슬림 세계 전역에 퍼져 있다.[1]4. 2. 시아파
누르바흐시야 이슬람은 수피즘의 원리와 시아파 교리를 융합한 종단이다. 이 종단은 시아파 이슬람의 초대 이맘인 알리를 통해 이슬람의 예언자 무함마드에게 직접적인 영적 계보(실실라)가 이어진다고 주장한다.4. 3. 살라피즘
수피즘의 특정 분파와 살라피즘 사이에는 해당 종파의 역사로 인해 역사적 연관성이 있다.[17]이븐 압드 알-와하브는 14세기 학자이자 독실한 수피였던 이븐 타이미야에게 영감을 받았는데, 그는 당대 수피즘의 특정 분파의 과도한 행위에 대해 비판적인 발언을 한 인물로 주로 기억된다.[17]
5. 기타 종교 전통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 부족 종교, 그리고 잉글랜드 일부 지역에서도 작은 규모로 정돈된 형태의 종교적 삶이 나타난다. 이러한 소규모 종교 단체들은 비조직적인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다른 잘 조직된 종교들만큼 수도회가 눈에 띄지 않는다.
사이비 종교와 사이언톨로지 및 통일교와 같은 강압적인 단체들은 신도들을 세뇌하고 통제하기 위한 전술로 독실한 수도회에 크게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18] 예를 들어, 사이언톨로지의 바다 조직은 10억 년 계약에 서명해야 하며,[19] 창시자 L. 론 허바드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조직 내 고위 관리직을 맡는다.[20]
참조
[1]
웹사이트
Code of Canon Law, canon 1192 §2
https://www.vatican.[...]
[2]
웹사이트
Code of Canon Law, canons 607 §2
https://www.vatican.[...]
[3]
웹사이트
The Code of Canon Law 1983, canon 207
https://www.vatican.[...]
[4]
웹사이트
An Outline of Orthodox Monasticism
http://www.roca.org/[...]
[5]
웹사이트
Orthodox Nuns
http://www.kurskroot[...]
[6]
서적
The A to Z of the Orthodox Church
Scarcrow Press
2010
[7]
웹사이트
The Benedictines
http://www.kwl.com.a[...]
[8]
웹사이트
Kloster Ebstorf
http://www.medievalh[...]
Medieval Histories
2017-11-20
[9]
웹사이트
Saint Augustine's House Lutheran Monastery in Oxford, Michigan
http://www.staugusti[...]
[10]
웹사이트
Religious Communities
http://communities.a[...]
[11]
Citation
What is the Bruderhof?
https://www.youtube.[...]
2017-05-26
[12]
뉴스
Learning from the Bruderhof: An Intentional Christian Community
https://christlife.o[...]
2018-08-27
[13]
뉴스
Nigeria: Governor's Visit
EBS TV News
2001-08-03
[14]
간행물
Preaching and Teaching Earth Wide—2008 Grand Totals
2009 Yearbook of Jehovah's Witnesses
[15]
웹사이트
Beliefs—Membership and Organization
http://jw-media.org/[...]
Authorized Site of the Office of Public Information of Jehovah's Witnesses
[16]
문서
Dickinson v. United States
http://caselaw.lp.fi[...]
U.S. Supreme Court
1953
[17]
웹사이트
nsweringwhabismandsalafism.wordpress.com
http://answeringwhab[...]
[18]
서적
Combatting Cult Mind Control
Park Street Press
1990
[19]
웹사이트
Understanding Scientology
https://www.cs.cmu.e[...]
Carnegie Mellon University
2023-05-08
[20]
웹사이트
The Sea Org
https://www.theseaor[...]
2023-05-08
[21]
웹인용
대한불교조계종 - 선원현황
http://www.buddhism.[...]
2007-11-20
[22]
서적
한국 천주교회 총람(1995~2003년)
[23]
문서
한국 진출, 방인 수도회 현황(여자수도회)
2013-09-24
[24]
서적
2008년 성서정과 부록-대한성공회 기관,대한성공회
[25]
뉴스
한겨레 - 서울 도심에 개신교 1호 명상원 연 씨알수도회
http://www.hani.co.k[...]
2004-06-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