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기는 고대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요가를 수행하는 남성 수행자를 지칭하며, 여성 수행자는 요기니라고 불린다. 힌두교에서 요기는 요가 수행자를 의미하며, 텍스트 기록과 여러 경전에서 그들의 수행과 윤리적 의무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요기는 불교와 힌두교, 다양한 종교적 전통에서 수행자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때로는 나트 시다와 같은 특정 종교 집단을 지칭하기도 한다. 요기들은 고대부터 존경받기도 하고, 사회적으로 비판받기도 했으며, 무굴 제국 시대에는 박해를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기 - 브야사
브야사는 베다와 푸라나를 정리한 힌두교 전통의 존경받는 인물로, 본명은 크리슈나 드바이파야나이며, 마하바라타의 저자이자 18개의 푸라나와 브라흐마 수트라를 저술했다. - 요기 - 비크람 차우드리
인도 출신 요가 지도자 비크람 차우드리는 비크람 요가를 창시하여 미국에서 활동하며 요가 강사 자격증 과정을 통해 전 세계로 확산시켰으나, 저작권 주장 논란과 성희롱 및 성폭력 혐의, 그리고 넷플릭스 다큐멘터리를 통한 학대 행태 폭로로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 - 밀교도 - 요기니
요기니는 6세기 힌두교 문헌에서 처음 언급된 여성적 존재로, 힌두교, 불교 탄트라에서 여신 데비의 측면으로 묘사되며, 초자연적인 힘을 얻는 것을 목표로 숭배되었다. - 힌두교의 성직과 칭호 - 구루
구루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하여 삶의 지혜와 영적 깨달음을 이끄는 존재를 뜻하며, 힌두교에서 신성한 존재로 여겨지지만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 등 다른 종교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서구에서는 영적 지도자로서 관심이 높아졌으나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 힌두교의 성직과 칭호 - 푸자리
역사 기록이 존재하지 않는 지명이 푸자리다.
| 요기 | |
|---|---|
| 요기 | |
![]() | |
| 개요 | |
| 요기 | 요가를 수행하는 사람 |
| 종교적 의미 | |
| 종교 |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
| 역사적 의미 | |
| 역사 | 고대 인도 |
2. 어원
고전 산스크리트어에서 '요기'(남성형 yogī|요기sa, 데바나가리: योगी; 여성형 yoginī|요기니sa)는 요가를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하는 '요긴'에서 파생되었다.[2] '요기'는 엄밀히 말해 남성을 지칭하며, 여성 수행자를 지칭하는 용어는 '요기니'이다.[2] 이 두 용어는 오늘날에도 이러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요기'라는 단어는 종종 모든 종교나 영적 수행법에 속하는 요가 및 관련 명상 수행자(남성 및 여성)를 통칭하는 용어로도 사용된다.
힌두교에서 ''요기''는 요가 수행자를 지칭한다.[6] 이 용어는 나타 전통에 속한 사람을 지칭하기도 하며, 이들은 대개 샤이바 전통에 속하지만 일부는 바이슈나바 전통에 속하기도 한다.[29] 이들은 요가를 수행하며, 그들의 주된 신은 니르구나 (형태가 없고 반일원론적인 신)이 되는 경향이 있다.[29]
요기니라는 용어는 또한 신성한 여신과 깨달은 어머니들을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되며, 이들은 모두 어머니 여신인 데비의 한 부분으로 숭배받는다.[5]
요기는 고행과 과도한 자기 학대를 실천하는 사람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1]
3. 힌두교
3. 1. 텍스트 기록
카렐 베르너에 따르면, 요가 수행자와 그들의 영적 전통에 대한 초기 증거는 리그베다의 케신 찬가 10.136절에서 발견된다.[6] 이 찬가는 후기 힌두교에서 요가의 주(主)로 숭배받는 시바로 진화한 루드라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6] 리그베다는 요가 수행자들을 케신이라 부르며 칭송하는데, 이들은 자신 안에 불과 독, 하늘과 땅, 열정과 창의성에서 우울과 고통, 영적 행복의 절정에서 땅에 묶인 노동의 무거움까지를 짊어진 존재로 묘사된다.[6] 케신은 빛과 깨달음 자체이며, 일반적인 삶을 살지 않고 오랜 시간 몰입, 묵상, 명상을 하기에 "현자"(무니)라 불린다. 그들은 바람에 펄럭이는 누런 헝겊 옷을 입거나 벌거벗고 다니며, 신들이 그들에게 들어갈 때 신비로운 바람의 길을 따른다고 묘사된다.[6]
요긴(yogi)이라는 용어는 ''카티야야나 슈라우타-수트라''와 마이 트리 우파니샤드의 6장에서 "요가 시스템의 추종자, 묵상하는 성자"라는 의미로 등장한다.[7] 이 용어는 때때로 나타 전통에 속한 사람을 지칭하기도 한다. 이들은 대개 샤이바 전통에 속하지만, 일부는 바이슈나바 전통에 속하기도 한다.[29] 이들은 요가를 수행하며, 그들의 주된 신은 니르구나 (형태가 없고 반일원론적인 신)이 되는 경향이 있다.[29]
요가-수트라에 대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해설서인 요가-바샤(400 CE)는 요가 수행자들을 다음과 같이 4가지로 분류한다:[10]
| 분류 | 설명 |
|---|---|
| 프라타마-칼피카 | 수행 초심자/초보자, 헌신적인 자 |
| 마두-부미카 | 노력 없이 영적인 추구를 즐기기 시작한 자 |
| 프라즈나-요티 | 영적 개념을 아는 숙련된 수행자 |
| 아티크란타-바바니야 | 가르침을 받을 수 있는 것을 달성하고, 싯다를 얻었으며, 궁극적인 통찰을 위한 개인적인 길을 걷고 있는 자 |
3. 2. 성(性)
요기 또는 요기니는 브라흐마차리야(산스크리트어: ब्रह्मचर्य)를 추구하는데, 이는 독신일 경우 금욕을 의미하며, 파트너가 있는 경우에는 불륜을 저지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11][12]힌두교 경전에는 요기와 요기니의 성에 대해 두 가지 상반된 견해가 존재한다. 한 가지 견해는 수도자와 수녀와 같은 무성애적 성향으로, 세속적인 욕망에서 벗어나 영적인 길로 나아가기 위해 성적인 활동을 자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3] 스튜어트 소바츠키는 이를 도덕적인 억압의 한 형태가 아니라, 요가 수행자가 자신의 에너지를 다른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적인 선택으로 본다.[13] 데이비드 고든 화이트에 따르면, 특히 탄트라 전통에서 나타나는 두 번째 견해는, 요기 또는 요기니가 성을 통해 "자신을 위해 깨달은 신의식"의 희열을 경험하고 도달하는 추가적인 수단이라고 주장한다. 두 번째 견해에서 성은 요가 수행의 한 형태이며,[14] 힌두 신화 속 신성한 요기–요기니인 시바–파르바티의 ''링감''–''요니'' 도상학을 통해 널리 존경받는다.[15]
3. 3. 윤리적 의무
요기 또는 요기니는 야마와 니야마라고 불리는 자발적인 윤리적 계율에 따라 살아간다.[16][17]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18][19][20]- 아힘사 (अहिंसा|아힘사sa): 불살생, 다른 생명체를 해치지 않음[21]
- 사티아 (सत्य|사트야sa): 진실함, 거짓이 아님[11][21]
- 아스테야 (अस्तेय|아스테야sa): 도둑질하지 않음[21]
- 다야 (दया|다야sa): 친절, 자비[23]
- 아르자바 (आर्जव|아르자와sa): 위선하지 않음, 성실함[22]
- 크샤마 (क्षमा|크샤마sa): 용서[23]
- 드리티 (धृति|드리티sa): 인내
- 미타하라 (मितहार|미타하라sa): 양과 질 모두에서 절제된 식단
- 샤우차 (शौच|샤우차sa): 순수함, 청결함
- 타파스 (तपस्|타파스sa): 자기 목적에 대한 고행, 끈기 및 끈기[24][25]
- 산토샤 (संतोष|산토샤sa): 만족, 타인과 자신의 상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자신에 대한 낙관주의[26]
- 다나 (दान|다나sa): 관대함, 자선, 다른 사람과 나누는 것[27]
4. 나트 시다
सिद्ध|시다sa(''Siddha'')는 '깨달은 자, 완성된 자'를 의미하며,[28] 수행(''사다나'')을 통해 초인적인 힘(''siddhis'', '깨달음', '완성')과 육체적 불멸(''지반묵티'')이라는 이중 목표를 실현한 수행자(''사다카'', ''사두'')에게 적용되는 용어이다. 나트 시다는 11세기와 12세기에 남인도의 불교도들이 시바 힌두교로 개종하고 사원과 수도원 건립을 도우면서 발전하기도 했다.[29]
4. 1. 역사와 특징

데이비드 화이트에 따르면, 시드다(Siddha)는 '깨달은 자, 완성된 자'를 의미한다.[2] 이는 수행(사다나)을 통해 초인적인 힘(siddhis, '깨달음', '완성')과 육체적 불멸(지반묵티)이라는 이중 목표를 실현한 수행자(사다카, 사두)에게 적용되는 용어이다.
4. 2. 존경과 박해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일부 맥락과 지역에서 나트 시다 전통의 요기는 인도에서 존경받고 인정받았다. 예를 들어, 비문은 야다바 왕 라마찬드라의 장군이 13세기에 한 요기에게 마을을 기증했음을 시사한다.[29] 나중에 나트 요기의 중심지가 된 망갈로르 근처에서 10세기에 수도원과 사원이 요기들에게 헌정되었다.[29]데이비드 로렌젠은 나트 요기가 남부 아시아의 농촌 인구에게 매우 인기가 있었으며, 중세 시대의 "고라크나트, 마츠옌드라, 잘란다르, 고피찬드, 바르타리, 칸하파, 차우랑기 등 나트 요기에 대한 이야기와 일화"가 오늘날에도 인도 데칸, 서부 및 북부 주와 네팔에서 기억되고 있다고 말한다.[29]

일부 맥락에서 화이트(White)는 "요기(yogi)"라는 용어가 중세 인도에서 특히 인도의 사회, 문화, 종교 엘리트층에게 나타 시다(Nath siddha)를 비하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고 덧붙인다. 시다(siddha)라는 용어는 데칸 고원의 사바 신자(''마헤슈바라 시다''), 타밀나두의 연금술사(''시다르'' 또는 ''시타르''), 벵골 출신의 초기 불교 탄트라 수행자 집단(''마하시다'', ''시다차리아''), 중세 인도의 연금술사(''라사 시다''), 그리고 주로 북인도에서 ''나트 시다''로 알려진 집단에 적용되는 광범위한 종파적 칭호가 되었다. 나트 시다는 과도한 행위로 인해 사라진 중세 탄트라 전통의 유일하게 현존하는 대표자들이다. 나트 시다는 지속적인 대중적 성공을 누렸지만 엘리트 계층의 경멸을 받았다.[29]
화이트(White)에 따르면 "요기(yogi)"라는 용어는 "적어도 800년 동안 정통 힌두교도가 교리와 수행에서 의심스럽고, 이단적이며, 심지어 이교적이라고 여겼던 사바 전문가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는 만능 용어"였다. 화이트(White)는 이 요가 수행자들이 수행한 요가는 단어의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요가보다는 흑마술, 마법, 성적 변태와 비평가들의 눈에 더 가깝게 동일시된다고 말한다.[29]
나트 요기는 무굴 제국에서 이슬람교의 박해 대상이었다. 이 시기의 요기 전통의 문헌들은 샤일 마야람(Shail Mayaram)은 총독과 같은 무굴 관료들의 억압을 언급하고 있다. 무굴 문서들은 각 파르가나(가구 주거 지역)에 나트 요기가 존재했고, 아우랑제브에 의해 나트 요기가 참수되는 박해가 있었음을 확인해준다.[31]
4. 3. 저항과 문화적 기여
데이비드 로렌젠에 따르면, 인도 이슬람 정복 이후 박해에 저항하기 위해 무장하고 무기를 든 힌두교 종교 단체들은 흔히 요기 또는 조기라고 불리는 나트 또는 칸파타 요기들 사이에서 나타났다.[32]전사 수도자들은 고라크나트에 의해 종교 단체로 제도화되었으며, 인도에 최초의 이슬람 술탄국이 설립된 후인 13세기에 확장되었다. 그들은 수피 무슬림 ''파키르''와 교류하고 협력했다.[33] 데이비드 화이트는 요기들이 델리 술탄국과 무굴 제국 시대의 공식 문서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무슬림 행정부의 통치 엘리트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고 아크바르와 같은 경우 토지 보조금을 받기도 했다고 말한다. 또한, 엘리트 상인들을 표적으로 삼아 도시 지역의 행정 이슬람 엘리트의 사업을 방해하기도 했다.[33][34] 다른 경우에는 힌두교의 시바이즘, 바이슈나비즘 및 샥티즘 전통에서 온 요기들이 무굴과 영국 식민지 군대에 맞서 무장 저항을 조직했다.[33][34]
참조
[1]
서적
Philosophy of Gorakhnath with Goraksha-Vacana-Sangraha
Motilal Banarsidass
2014
[2]
서적
Buddhism After Patriarchy
SUNY Press
1993
[3]
서적
Tantra in Practice
Motilal Banarsidass
2013
[4]
서적
The Presence of Siva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4
[5]
서적
Devi: The Great Goddess
Smithsonian Institution
1999
[6]
간행물
Yoga and the Ṛg Veda: An Interpretation of the Keśin Hymn (RV 10, 136)
1977
[7]
웹사이트
yogin
http://www.sanskrit-[...]
Cologne Digital Sanskrit Lexicon, Germany
2019-06-07
[8]
서적
Religious Movements in South Asia, 600–1800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9]
서적
Yogi Heroes and Poets: Histories and Legends of the Naths
SUNY Press
2012
[10]
서적
Yoga Philosophy of Patanjali
SUNY Press
1983
[11]
간행물
"The dharma of ethics, the ethics of dharma: Quizzing the ideals of Hinduism"
2002
[12]
웹사이트
योगयाज्ञवल्क्य १-५५
http://sanskritdocum[...]
SanskritDocuments Archives
2016-01-20
[13]
간행물
The pleasures of celibacy
1987-03
[14]
서적
A Woman's Book of Yoga
Penguin
2002
[15]
서적
Siva: The Erotic Ascetic
Oxford University Press
1981
[16]
서적
Thirty Minor Upanishads
Kessinger Publishing
1914
[17]
서적
The Kāpālikas and Kālāmukha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2
[18]
웹사이트
योगयाज्ञवल्क्य प्रथमोऽध्याय
http://sanskritdocum[...]
SanskritDocuments Archives
2016-01-20
[19]
서적
Pātañjalayogasūtrāṇi
https://archive.org/[...]
Ānandāśrama
1904
[20]
서적
The Hatha Yoga Pradipika
https://books.google[...]
Forgotten Books
1997
[21]
서적
Yama (2)
Rosen Publishing
[22]
서적
Indian Psychology
Motilal Banarsidas
[23]
서적
Words from the Soul: Time East/West Spirituality and Psychotherapeutic Narrativ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8
[24]
간행물
"'Tapas', Birth, and Spiritual Rebirth in the Veda"
1976
[25]
간행물
Yoga and Sustainability
2008
[26]
서적
Teaching Yoga for Life
2009
[27]
서적
Moral Issues in Six Religions
Heinemann
1991
[28]
서적
Philosophy of Gorakhnath with Goraksha-Vacana-Sangrah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983
[29]
서적
Yogi Heroes and Poets: Histories and Legends of the Naths
SUNY Press
2012
[30]
서적
Is the Goddess a Feminist?: The Politics of South Asian Goddesses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0
[31]
서적
Against History, Against Stat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3
[32]
서적
Who Invented Hinduism?
Yoda Press
2006
[33]
서적
Sinister Yogi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1
[34]
서적
Warrior Ascetics and Indian Empir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35]
서적
Buddhism After Patriarchy
SUNY Press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