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일리와 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리와 베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오딘의 형제들이다. 이름은 각각 '거룩한'을 의미하는 베(Vé), '의지'를 뜻하는 빌리(Vili)에서 유래했다. 오딘, 빌리, 베는 이미르를 죽이고 세상을 창조했으며, 최초의 인간인 아스크와 엠블라에게 각기 다른 능력을 부여했다. 또한, 잉글링가 사가에서는 오딘이 부재한 동안 그의 왕국을 다스리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딘 - 율 (게르만)
율은 게르만 민족의 겨울 축제로서, 오딘 신과 관련되며, 현대의 크리스마스와 유사한 시기에 율 보드, 율 로그 등의 다양한 전통과 함께 기념된다. - 오딘 - 궁니르
궁니르는 북유럽 신화에서 드베르그가 만든 오딘의 창으로, 던지면 반드시 맞고 되돌아오는 강력한 무기이며 라그나로크에서 오딘이 사용할 것으로 예언되었다. - 아스 - 토르
토르는 게르만 신화에서 천둥, 번개, 폭풍, 힘을 관장하는 신으로, 그의 이름은 여러 게르만어파 언어에서 유래했으며 목요일의 어원이 되었고, 바이킹 시대에는 숭배의 대상이었으며, 다양한 문헌과 현대 대중문화에서 등장한다. - 아스 - 발드르
발드르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오딘의 아들로, 가장 아름답고 현명하며 자비로운 신이지만 로키의 계략으로 죽음을 맞이하고 라그나로크 이후 부활하여 새로운 세상을 다스릴 것으로 예언된다. - 남신 - 임호테프
임호테프는 고대 이집트 제3왕조 시대의 재상이자 건축가로, 사카라의 조세르 피라미드 건설을 주도했으며 후대에 의학의 신으로 숭배받았으나, 영화 미이라 시리즈의 묘사는 역사적 사실과 차이가 있다. - 남신 - 사탄
사탄은 원래 "적대자"를 뜻하는 히브리어 단어였으나,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등에서 악마, 유혹자, 또는 인간 내면의 부정적인 면모를 상징하는 존재로 다양하게 해석되며 문화 예술 분야에서도 악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우일리와 웨 |
---|
2. 어원
고대 노르드어 신격 ''베''(Vé, 또는 Véi)는 고트어의 ''weiha''(사제)와 어원이 같으며, 둘 다 원시 게르만어 *''wīhōn''에서 유래했다. 이는 '거룩한'을 의미하는 원시 게르만어 형용사 *''wīhaz''(고트어 ''weihs'', 고대 고지 독일어 ''wīh'' 등 참조)에서 파생된 것이다. 이와 관련된 명사 *''wīhan''('성소')는 고대 노르드어 ''vé''('성소'), 고대 영어 ''wēoh''('우상'), 고대 작센어 ''wīh''('사원') 등을 통해 그 존재를 추정할 수 있다.
원시 노르드어에서 세 형제 오딘, 빌리, 베의 이름은 두운을 이루는데, 각각 *''Wōdinaz, Wiljô, Wīhaz''*[1]로 표기된다. 이는 그들이 *''wōdaz, wiljô, wīhą''*의 삼위일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대략 영감(초월적, 예언적 지식), 인지(의지, 욕망, 행동으로 이어지는 내면적 사고), 그리고 누멘(신성한 대상에 존재하는 영적 힘)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빌리''(Vili)는 고대 노르드어에서 '의지'를 뜻한다. 이 이름은 '의지' 또는 '소망'을 의미하는 원시 게르만어 명사 *''weljōn'' 또는 *''weljan''(고트어 ''wilja'', 고대 영어 ''willa'', 고대 고지 독일어 ''willo'' 등 참조)에서 유래되었다.
3. 북유럽 신화
빌리와 베는 오딘과 함께 거인 이미르를 죽여 거인족의 시대를 끝내고 최초의 에시르 신족을 형성한 세 형제로 묘사된다. 셋 중 오딘이 맏이, 빌리가 중간, 베가 막내이다. 또한 이들 세 형제는 최초의 인간 부부인 아스크와 엠블라를 창조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인 역할 분담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한다.
노르드 신화에서 빌리와 베는 형제인 오딘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는다. 오딘은 에시르 신족의 최고신이자 토르, 프레이르와 함께 가장 강력한 세 신 중 하나로 숭배된다. 산문 에다의 첫 번째 책인 길파기닝에서 오딘은 '셋째'라는 의미의 ''Þriði''로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높음'을 뜻하는 ''하르''와 '같은 높이'를 뜻하는 ''야프나르르''와 함께 언급될 때 사용된다. 오딘-빌리-베 삼위일체와 관련하여, 일부 학자들은 이를 "정신, 의지, 성스러움"으로 해석하며, 빌리와 베가 결국 오딘이라는 포괄적인 세계 정신에 통합되는 게르만적 삼위일체 개념으로 보기도 한다.[2][3]
로키의 말다툼과 헤임스크링글라 등에서는 오딘이 자리를 비운 사이 빌리와 베가 오딘의 아내 프리그와 부적절한 관계를 맺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는 세 형제의 근본적인 정체성이 같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삭소 그라마티쿠스의 기록에서도 오딘(Othinus|오티누스la)이 외국으로 떠나자 미토디(Mithothyn|미토틴la)나 울르(Ollerus|올레루스la)가 그의 자리를 대신했다는 유사한 이야기가 나타난다.[4][5][6]
3. 1. 에다
《스노리 에다》의 제1부인 『길피의 속임수』 제6장에 따르면, 빌리와 베는 거인 여성 베스틀라와 최초의 신 보르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들이다. 두 형제는 오딘과 함께 힘을 합쳐 최초의 거인 이미르를 살해했다.[7]
『길피의 속임수』 제9장[8]에서는, 이 세 형제가 해안에서 두 그루의 나무(물푸레나무와 느릅나무)를 발견하고 여기에서 최초의 인간 부부인 아스크와 엠블라를 창조했다고 설명한다. 이때 오딘은 생명과 영혼을 주었고, 빌리는 움직이는 힘과 지성을, 베는 언어, 청각, 시각을 주었다고 한다.[9]
한편, 『고 에다』의 『무녀의 예언』에서는 최초의 인간 남성 아스크와 여성 엠블라를 만들 때 오딘을 도운 신들이 헤니르와 로두르였다.[10] 그러나 『길피의 속임수』에서는 이들 대신 빌리와 베가 등장한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은 『무녀의 예언』의 내용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헤니르"가 빌리의, "로두르"가 베의 또 다른 이름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고 에다』의 『로키의 말다툼』에서는, 로키가 오딘의 아내 프리그가 빌리와 베(베이)와 성적인 관계를 맺었다고 폭로하는 장면이 나온다.[11] 헤임스크링글라의 3장에서도 비슷한 이야기가 언급되는데, 오딘이 오랫동안 떠나있는 동안 그의 형제들이 왕국을 다스렸다고 한다. 오딘이 너무 오랫동안 돌아오지 않자 에시르는 그가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고 믿었고, 그의 형제들은 오딘의 유산을 나누기 시작했는데, "하지만 그의 아내 프리그는 그들이 서로 나누어 가졌다. 그러나 나중에 [오딘]이 돌아와서 다시 그의 아내를 차지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3. 2. 로키의 말다툼
《고 에다》의 시 중 하나인 〈로키의 말다툼〉에는 로키가 오딘의 아내 프리그가 그의 형제인 빌리와 베와 부적절한 관계를 맺었다고 폭로하는 내용이 나온다.[11] 그림은 이를 세 형제의 근본적인 정체성을 반영하는 일화로 해석하기도 했는데, 이런 관점에서는 프리그가 세 형제 중 누구의 아내로도 여겨질 수 있다고 본다. 이 이야기에 따르면, 오딘이 오랫동안 자리를 비운 사이 그의 형제들이 대신 통치했다고 한다.
이와 유사한 이야기는 다른 문헌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삭소 그라마티쿠스의 기록에는 오딘(Othinus|오티누스la)이 외국으로 떠나자 미토디(Mithothyn|미토틴la)가 그의 자리를 대신했다는 내용이 있다.[4][5] 또한 헤임스크링글라 3장에는 오딘이 너무 오랫동안 돌아오지 않자, 에시르는 그가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 믿고 빌리와 베가 오딘의 유산을 나누면서 그의 아내 프리그까지 공유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물론 이후 오딘은 돌아와 다시 아내를 되찾았다.
3. 3. 윙글링 일족의 사가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헤임스크링글라 첫 부분인 《윙글링 일족의 사가》에서는 오딘에게 빌리와 베라는 두 형제가 있었다고 전한다. 이 이야기는 《헤임스크링글라》의 다른 부분(제3장)에서도 유사하게 언급된다. 내용에 따르면, 오딘이 돈 강(Tanakvisl) 동쪽에 위치한 아사랜드(Asaland) 또는 아시르(아시아)를 떠나 장기간 부재하자, 그의 형제들이 왕국을 다스렸다. 오딘이 너무 오랫동안 돌아오지 않자, 에시르를 포함한 사람들은 그가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고 믿었다. 이에 빌리와 베는 오딘의 유산을 나누었을 뿐만 아니라, 그의 아내 프리그마저 공유했다. 그러나 결국 오딘은 귀국하여 다시 아내 프리그를 되찾았다고 한다.[12]
《윙글링 일족의 사가》는 이어서 오딘과 열두 명의 신전 사제들이 사람들을 이끌고 아사랜드를 떠나 북쪽으로 향했지만, 빌리와 베는 아사랜드에 남았다고 덧붙인다.[13]
4. 해석 및 기타
원시 노르드어에서 세 형제의 이름은 *Wōdinaz, Wiljô, Wīhaz*[1]로 두운을 이룬다. 이는 *wōdaz*(영감), *wiljô*(인지), *wīhą*(영적 힘)의 삼위일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이 해석은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Northern Mythology
https://books.google[...]
D.S. Brewer
2015-06-29
[2]
문서
Grimm, ch.7, 19
[3]
서적
The Religion Of The Northmen (Nordmændenes Religionsforfatning I hedendommen)
http://www.northvegr[...]
2009-06-27
[4]
웹사이트
Erläuterungen zu den ersten neun Büchern der Dänischen Geschichte des Saxo Grammaticus Teil I Anhang
https://de.wikisourc[...]
2010-07-02
[5]
웹사이트
Saxo Grammaticus, Gesta Danorum, Liber 1, Caput 7
http://www2.kb.dk/el[...]
2010-07-08
[6]
웹사이트
Saxo Grammaticus, Gesta Danorum, Liber 3, Caput 4
http://www2.kb.dk/el[...]
2010-07-08
[7]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8]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9]
서적
『北欧の神話』
[10]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11]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12]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 - 北欧王朝史 - (一)』
[13]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 - 北欧王朝史 - (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