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윌리엄 워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워커는 1824년 테네시주 내슈빌에서 태어난 미국의 군인, 변호사, 언론인이다. 그는 중앙 아메리카에서 여러 차례 군사 원정을 시도하여 바하칼리포르니아와 소노라 공화국을 세우고, 니카라과에서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노예 제도를 부활시키는 등 친미 정책을 펼쳤다. 그러나 주변 국가들의 반발과 미국의 지원 중단으로 인해 실패하고, 1860년 온두라스에서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그의 행적은 제국주의와 팽창주의의 전형적인 사례로 평가받으며, 영화와 소설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윌리엄 워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브래디가 찍은 윌리엄 워커
브래디가 찍은 윌리엄 워커
직함
니카라과 대통령 (미승인)재임 시작: 1856년 7월 12일
재임 종료: 1857년 5월 1일
이전: 파트리시오 리바스
다음: 막시모 헤레스 및 토마스 마르티네스
바하칼리포르니아 대통령 (미승인)재임 시작: 1853년 11월 3일
재임 종료: 1854년 1월 21일
소노라 대통령 (미승인)재임 시작: 1854년 1월 21일
재임 종료: 1854년 5월 8일
개인 정보
출생일1824년 5월 8일
출생지미국 테네시주 내슈빌
사망일1860년 9월 12일
사망지온두라스 콜론 트루히요
사망 원인총살형
안장지트루히요 옛 묘지, 트루히요, 콜론, 온두라스
배우자알려진 바 없음
정당니카라과 민주당
모교내슈빌 대학교
에든버러 대학교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서명
기타 정보
참고 자료
http://www.mined.gob.ni/gobern14.php
https://books.google.com/books?id=tbpTDwAAQBAJ

2. 생애

테네시주 내슈빌 출신인 윌리엄 워커는 14세에 내슈빌 대학교를 최우등으로 졸업하고, 19세에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의학을 전공하여 의사 자격을 취득했다. 그 후 유럽에서 의학을 계속 공부했지만, 다른 학문에도 관심을 가졌다.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로 이주하여 저널리스트로 활동하기도 했다.

19세기 중반, 미국에서는 영토 확장 기운이 높아졌고, 워커도 "자신의 나라를 갖겠다"는 야심을 품었다.[4] 1853년 45명의 부하를 이끌고 멕시코 영내로 쳐들어가 바하칼리포르니아 반도에 로우어 캘리포니아 공화국을, 이어서 1854년에는 소노라에 소노라 공화국을 선언했다. 그러나 이는 미국과 멕시코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고, 워커도 체포되었지만 곧 석방되었다.

1854년 12월, 워커는 니카라과 자유당으로부터 중앙 아메리카 연방 붕괴 이전부터 간헐적으로 계속되던 보수당과의 내전을 종결하기 위한 원군을 요청받았다. 1855년 6월, 57명의 부하를 이끌고 니카라과에 상륙한 워커 군은 쾌속 진격하여, 10월에는 그라나다를 점령하고 자유당의 정치인파트리시오 리바스를 대통령으로 앉혔다. 워커 자신은 군의 최고 사령관이 되어 실권을 장악했다. 그러나 당시 니카라과는 파나마와 함께 중미 지협에서의 운하 건설 후보지였으며, 이를 둘러싸고 워커는 리바스와 대립하게 되었다. 1856년, 워커는 스스로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자마자, 고향인 미국 남부의 제도를 따라 흑인노예제를 부활시켰다. 게다가 미국인이 토지를 취득하기 쉽게 하는 법률을 공포하고, 영어공용어로 지정하여, 니카라과를 미국 남부를 중심으로 한 환카리브해 제국을 건설하기 위한 거점으로 삼으려 했다.

그가 제정한 니카라과 국기


이러한 움직임에 불안을 느낀 인근 중미 국가들은 군대를 집결시키고 (Guerra Nacional de Nicaragua|국민 전쟁es), 영국이나 밴더빌트 재벌도 워커에게 적대적인 자세를 보였다. 또한 이러한 정책에 반발한 니카라과 국내의 반 워커 세력도 결집한 결과 그는 추방되었지만, 그 과정에서 그라나다에 방화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워커는 Second Battle of Rivas|리바스 전투영어 후, 1857년에 코스타리카군을 중심으로 한 중미 연합군에 항복하여, 미국 해군의 호위를 받으며 귀국했다. 미국 본국에서는 영웅으로 대접받았지만, "자신의 나라를 갖겠다"는 꿈을 포기하지 못하고 1860년에는 온두라스의 토르히요에 상륙했지만 현지의 협력을 얻지 못하고, 인접한 영국령 온두라스 (현 벨리즈)의 영국 해군에 체포되었다. 미국에서는 남북 전쟁 직전이었던 탓에 미국 국민으로부터 주목도 받지 못한 채 온두라스군에 넘겨져, 9월 12일에 처형되었다. 36세에 사망.[4]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윌리엄 워커는 1824년 테네시주 내슈빌에서 제임스 워커와 메리 노벨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잉글랜드 출신 정착민이었고,[4] 어머니는 버지니아 출신의 미국 독립 전쟁 장교인 립스콤 노벨의 딸이었다.[4] 워커의 외삼촌 중 한 명은 미시간 출신의 미국 상원 의원이자 ''필라델피아 인콰이어러''의 창립자인 존 노벨이었다.[5]

워커는 14세의 나이로 내슈빌 대학교에서 ''최우등''으로 졸업했고,[6] 1843년, 19세의 나이에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6] 이후 에든버러 대학교[7]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의학 연구를 계속했다.[8]

2. 2. 초기 경력

윌리엄 워커는 미국 테네시주 내슈빌에서 태어나 14세에 내슈빌 대학교를 졸업하고, 19세에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의학을 전공하여 의사 자격을 취득했다. 그 후 유럽에서 의학을 계속 공부했지만, 다른 학문에도 관심을 가졌다. 이후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로 이주하여 저널리스트로 활동하였다.

1851년 1월 12일, 워커는 법률 서기 윌리엄 힉스 그레이엄과의 결투로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다.[13] 워커는 ''헤럴드''에서 그레이엄과 그의 동료들을 비판했는데, 이는 그레이엄을 분노하게 하여 워커에게 결투를 신청하게 했다.[14] 그레이엄은 악명 높은 총잡이로, 미국 서부 개척 시대에서 여러 번의 결투와 총격전에 참여했다. 반면에 워커는 단발 권총으로 결투한 경험이 있었지만, 그레이엄과의 결투는 리볼버로 치러졌다.[15]

결투자들은 미션 돌로레스에서 만났고, 각자 5발의 탄창이 장전된 콜트 드라군을 받았다. 10보 떨어진 거리에서 서로 마주 보고 심판의 신호에 따라 조준하고 발사했다. 그레이엄은 두 발을 발사하여 워커의 헐렁한 바지와 허벅지에 명중시켜 심각한 부상을 입혔다. 워커는 여러 번 사격을 시도했지만, 한 발도 명중시키지 못했고 그레이엄은 무사했다. 워커가 항복하면서 결투는 끝났다. 그레이엄은 체포되었지만 곧 풀려났다. 결투는 ''더 데일리 알타 캘리포니아''에 기록되었다.[15]

3. 멕시코 침공

19세기 중반, 미국에서는 영토 확장 기운이 높아졌고, 워커도 "자신의 나라를 갖겠다"는 야심을 품었다. 1853년 45명의 부하를 이끌고 멕시코 영내로 쳐들어가 바하칼리포르니아 반도에 로우어 캘리포니아 공화국|Expedición de William Walker a Baja California y Sonoraes을, 이어서 1854년에는 소노라에 소노라 공화국|Republic of Sonora영어의 성립을 선언했다. 그러나 이는 미국과 멕시코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고, 워커도 체포되었지만 곧 석방되었다.

3. 1. 로어 캘리포니아 공화국과 소노라 공화국

1853년, 윌리엄 워커는 당시 미국에 남아있던 노예 제도를 옹호하고, 이를 확대하기 위해 노예주를 늘려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리하여 스스로 미국인들로 구성된 용병 조직을 결성하고, 멕시코의 바하칼리포르니아 준주와 소노라 지역을 공격하여 로어 캘리포니아 공화국을 설립하고 스스로 로어 캘리포니아의 대통령이 되었다. 그러나 윌리엄 워커의 용병단은 뒤이은 멕시코 군대의 공격을 이기지 못하고, 소노라 지역으로 달아났다. 이곳에서 다시 소노라 공화국을 선언하고 대통령직을 자칭하였으나, 1854년에 소노라 공화국도 멕시코 군대에 의해 점령당하여 해체되었고, 윌리엄 워커와 그의 용병단은 니카라과로 달아났다.[8]

1853년 여름, 워커는 식민지를 건설하기 위해 멕시코의 과이마스로 가서 멕시코 정부로부터 토지 허가를 요청했다. 그는 자신의 식민지가 인디언의 습격으로부터 미국 영토를 보호하는 요새화된 국경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멕시코는 이를 거절했고, 워커는 멕시코의 입장에 상관없이 식민지를 얻기로 결심하고 샌프란시스코로 돌아갔다.[16] 그는 주로 테네시와 켄터키 출신으로, 노예제도와 명백한 운명 교리를 지지하는 미국 지지자들을 모집하기 시작했다. 워커의 계획은 완충 식민지를 형성하는 것에서, 궁극적으로 연방의 일부가 될 수 있는 독립적인 소노라 공화국을 수립하는 것으로 확장되었다. 그는 "소노라의 토지로 상환 가능한 증권"을 판매하여 자신의 프로젝트에 자금을 조달했다.[8]

소노라 공화국 국기


1853년 10월 15일, 워커는 45명의 병력과 함께 멕시코의 바하칼리포르니아 준주와 소노라주를 정복하기 위해 출발했다. 그는 인구 밀도가 낮은 바하칼리포르니아의 수도인 라 파스, 바하칼리포르니아 수르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고, 스스로를 대통령으로, 전 법률 파트너인 헨리 P. 왓킨스[17]를 부통령으로 하여 새로운 바하칼리포르니아 공화국(1853년 11월 3일 선포)의 수도로 선포했다. 워커는 이 지역을 노예 제도를 합법화한 미국 루이지애나주의 법률에 따르게 했다.[17]

멕시코의 공격이 두려워 워커는 다음 3개월 동안 두 번이나 본부를 옮겼다. 처음에는 카보산루카스로, 그 다음에는 더 북쪽인 엔세나다로 옮겨 더 안전한 작전 기지를 유지했다. 비록 그는 소노라를 장악하지 못했지만, 바하칼리포르니아를 더 큰 소노라 공화국의 일부로 선언했다.[8] 물자 부족과 멕시코 정부의 강력한 저항으로 인해 워커는 곧 후퇴해야 했다.[17]

3. 2. 미국에서의 재판

캘리포니아로 돌아온 워커는 1794년 중립법을 위반하여 불법 전쟁을 벌인 혐의로 대배심에 의해 기소되었다. 그러나 명백한 운명의 시대에, 워커의 사략 프로젝트는 미국 남부미국 서부에서 대중의 지지를 받았다. 워커는 캘리포니아 남부 지방 법원의 판사인 아이작 스톡턴 키스 오지어 앞에서 재판을 받았다. 워커의 동료 2명이 이미 비슷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고 오지어 판사가 배심원에게 워커에 대한 증거를 요약했지만, 배심원들은 단 8분 만에 심의를 마치고 워커에게 무죄를 선고했다.[18]

4. 니카라과 침공

1854년, 니카라과 내전이 발발하자, 윌리엄 워커는 이 혼란을 틈타 권력을 장악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그는 미국제임스 뷰캐넌 대통령에게 니카라과미국의 주로 편입시키는 계획을 승인해달라고 요청했고, 뷰캐넌 대통령은 이를 승인했지만 적극적인 지원을 하지는 않았다.

1855년 5월, 워커는 약 60명의 병력을 이끌고 샌프란시스코를 출발했다.[20] 니카라과에 도착한 후, 워커의 부대는 현지인들의 합류로 증강되었다. 1856년니카라과마나과를 점령하고 자신을 니카라과의 국가 원수로 추대했다. 당시 니카라과는 내전 중이었기 때문에, 워커는 손쉽게 니카라과 정부를 장악하고 니카라과 제국을 선포하며 스스로 황제를 자칭했다.

그러나 워커는 니카라과스페인어권임에도 불구하고 영어 사용을 강요하고 백인귀족으로 하는 백인 우월주의 정책을 펼쳐 니카라과 국민들의 격렬한 반발을 샀다.[23] 이에 군벌 세력들이 힘을 합쳐 워커 정부를 공격하자, 워커는 니카라과 제국을 해체하고 니카라과를 공화국으로 되돌린 뒤 스스로 니카라과의 대통령으로 선언했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마나과가 함락되기 직전, 워커는 부하들과 함께 미국으로 도망쳤다.

윌리엄 워커의 니카라과 지도


당시 대서양태평양 사이에는 해상 항로가 없었고, 대륙횡단 철도도 없었기 때문에 뉴욕과 샌프란시스코 사이의 주요 무역로는 니카라과 남부를 통과했다. 배는 대서양에서 산후안 강으로 들어와 니카라과 호수를 건넜고, 사람과 물품은 리바스시 근처의 좁은 땅을 마차로 이동한 다음 태평양에 도착하여 샌프란시스코로 가는 배를 탔다. 이 항로의 상업적 이용 권한은 니카라과가 해운 재벌 코르넬리우스 반더빌트가 통제하는 액세서리 트랜싯 컴퍼니에 부여했다.[19]

4. 1. 니카라과 내전 개입

1854년 12월, 윌리엄 워커는 니카라과의 자유당으로부터 중앙 아메리카 연방 붕괴 이전부터 간헐적으로 계속되던 보수당과의 내전을 종결하기 위한 원군을 요청받았다. 1855년 6월, 그는 57명의 부하를 이끌고 니카라과에 상륙했다.[20] 상륙 후, 그 부대는 110명의 현지인의 도움으로 증강되었다.[21] 워커의 원정대에는 찰스 프레데릭 헤닝센과 버케트 D. 프라이를 포함한 유명 인사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카스텔론의 동의하에 워커는 대륙 횡단 항로 근처의 리바스에서 합법주의자들을 공격했으나 격퇴되었다. 이 리바스 1차 전투에서, 교사인 에마누엘 몽갈로 이 루비오는 필리버스터 본부를 불태우는 활약을 했다. 그러나 1855년 9월 3일 라 비르헨 전투에서 워커는 합법주의 군대를 격파했고,[21] 1855년 10월 13일에는 그라나다를 점령하며 실질적으로 국가를 장악했다. 처음에는 군 사령관으로서 워커는 임시 대통령 파트리시오 리바스를 통해 니카라과를 통치했다.[21]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피어스1856년 5월 20일 워커 정권을 니카라과의 합법 정부로 인정했다.[22]

4. 2. 니카라과 대통령 및 제국 선포

1856년, 윌리엄 워커는 니카라과마나과를 점령하고 스스로 니카라과의 국가 원수로 추대되었다. 당시 니카라과는 내전 중이었고, 윌리엄 워커는 손쉽게 니카라과 정부를 장악한 뒤 니카라과 제국을 선포하고 황제를 자칭하였다. 미국제임스 뷰캐넌 대통령은 윌리엄 워커의 미국의 주 편입 요청을 승인했지만, 별다른 지원은 하지 않았다.

윌리엄 워커는 스페인어권니카라과에서 영어 사용을 강요하고 백인귀족으로 하는 백인 우월주의 정책을 펴, 니카라과 국민들의 격렬한 반발을 샀다.[23] 군벌 세력들이 힘을 합쳐 윌리엄 워커 정부를 공격하자, 윌리엄 워커는 니카라과 제국의 해체를 선언하고 니카라과를 공화국으로 되돌린 뒤, 스스로를 니카라과의 대통령으로 선언하였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마나과가 점령당하기 직전에 미국으로 달아났다.[23]

워커는 사기 투표를 통해 그라나다에 정착하여 니카라과의 대통령이 되었다. 그는 1856년 7월 12일에 취임했으며, 곧 미국화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노예 제도를 부활시키고 영어를 공식 언어로 선언하고 통화 및 재정 정책을 재편하여 미국으로부터의 이민을 장려했다.[23]

4. 3. 친미 정책과 노예제 부활

워커는 미국 남부의 지지를 얻기 위해 1821년 니카라과의 해방령을 철회하여 노예제를 부활시키고 영어공용어로 지정하는 등 친미 정책을 펼쳤다.[23] 이러한 조치는 남부 백인들 사이에서 워커의 인기를 높였고, 뉴올리언스의 유력 정치인 피에르 술레의 관심을 끌었다.[23] 그러나 이러한 친미, 백인 우월주의 정책은 니카라과 국민들의 격렬한 반발을 불러 일으켰다.[23]

4. 4. 중앙아메리카 연합군과의 전쟁

워커의 중앙아메리카에서의 행보는 주변 국가들의 불안감을 증폭시켰다. 코스타리카,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과테말라는 연합군을 결성하여 워커에 대항했다. 특히 코스타리카는 후안 라파엘 모라 포라스 대통령의 지휘 아래 워커 군대에 맞서 싸웠다.[24]

1856-57년 '교통 캠페인' 동안, 코스타리카 군은 후안 산타마리아의 활약에 힘입어 리바스 2차 전투에서 워커 군을 격파하고,[25] 산후안 강을 장악하여 워커의 보급로를 차단하는 데 성공했다.[29] 이 과정에서 콜레라 전염병이 퍼져 코스타리카 인구의 약 10%가 사망하는 피해를 보기도 했다.[25]

북쪽에서는 호세 산토스 과르디올라 대통령이 플로렌시오 사트루치 형제의 지휘 아래 온두라스 군대를 파견했고, 이들은 살바도르 군대와 합류하여 워커와 싸웠다. 플로렌시오 사트루치는 리바스 3차 전투 (1857년 4월)에서 중앙아메리카 연합군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26] 온두라스인들이 사용하는 카트라초라는 별명은 사트루치의 이름에서 유래했다.[27][28]

코스타리카 군은 코르넬리우스 반더빌트와의 협력을 통해 워커에 대한 미국의 지원을 무력화시키는 데에도 기여했다.[29]

1856년 10월 12일, 과테말라의 호세 빅토르 자발라 대령은 워커의 깃발을 탈취하며 "필리버스터의 총알은 죽이지 못한다!"라고 외쳤다.

1856년 12월 14일, 찰스 프레데릭 헤닝센은 그라나다에서 후퇴하면서 도시에 불을 지르라는 명령을 내렸고, 도시는 폐허가 되었다.[30]

1857년 5월 1일, 워커는 미국 해군의 찰스 헨리 데이비스 사령관에게 항복하고 본국으로 송환되었다.

4. 5. 패배와 미국으로의 귀환

1856년부터 1857년까지 이어진 국민 전쟁에서 윌리엄 워커는 코스타리카를 중심으로 한 중앙아메리카 연합군과 니카라과 민중들의 저항에 직면했다. 특히 1856–57년 캠페인 동안 후안 라파엘 모라 포라스 코스타리카 대통령의 동생 호세 호아킨 모라 포라스 장군과 호세 마리아 카냐스 장군이 이끄는 코스타리카 군대는 리바스 2차 전투에서 워커 군대를 격파했다. 이 전투에서 군인이자 드러머였던 후안 산타마리아는 필리버스터의 요새에 불을 지르며 영웅적인 행동을 하였다.[25]

호세 산토스 과르디올라 대통령은 플로렌시오 사트루치의 지휘 아래 온두라스 군대를 파견했고, 이들은 살바도르 군대와 합류하여 워커에 대항했다. 리바스 3차 전투에서는 호세 호아킨 모라 포라스가 중앙 아메리카 연합군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26]

코스타리카 군대는 "교통 캠페인"(1857)을 통해 니카라과와의 국경에 있는 산후안 강에 대한 통제권을 확립하여 워커 군대의 증원을 막았다. 또한 코스타리카는 코르넬리우스 반더빌트와 윌리엄 워커 간의 분쟁을 이용하여 워커에 대한 미국의 지원을 무력화했다.[29]

그라나다, 니카라과의 워커 대통령의 집.


1856년 10월 12일, 과테말라의 호세 빅토르 자발라 대령은 워커의 깃발을 빼앗아 돌아오면서 "필리버스터의 총알은 죽이지 못한다!"라고 외쳤다.[30]

1856년 12월 14일, 찰스 프레데릭 헤닝센은 그라나다에서 후퇴하면서 도시에 불을 지르라는 명령을 내렸다.[30]

결국, 1857년 5월 1일, 윌리엄 워커는 미국 해군의 찰스 헨리 데이비스 사령관에게 항복하고 미국으로 돌아갔다. 뉴욕에서 그는 영웅으로 환영받았지만, 자신의 패배를 미국 해군 탓으로 돌리면서 여론을 잃었다.[33]

5. 온두라스에서의 최후

1860년 윌리엄 워커는 중앙아메리카를 다시 침공하려 했다. 로아탄, 바히아 제도의 영국 식민지 주민들의 제안을 받고 트루히요 항구 도시에 상륙했지만, 영국 해군 장교 노웰 샐먼에게 체포되었다.[31] 영국은 인접 지역인 영국령 온두라스모스키토 해안을 통제하고 있었으며, 중앙 아메리카를 가로지르는 대양 간 운하 건설에 상당한 전략적, 경제적 이해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영국은 워커를 이 지역에서의 자국 문제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했다. 샐먼은 워커를 미국으로 돌려보내는 대신 온두라스 정부에 넘겼고, 워커는 결국 사격형으로 처형당했다.[32]

5. 1. 온두라스 침공과 체포

영국령 온두라스(현재의 벨리즈)는 영어 사용 지역이었고, 이 점을 노린 윌리엄 워커는 이 곳을 공격했다. 그러나 그의 용병단은 영국 군대에 패하였고, 워커는 영국군의 포로가 되었다. 영국령 온두라스 총독은 온두라스에 우호적인 모습을 보이려던 영국 정부의 방침에 따라 워커를 온두라스로 압송하였다.[31]

중앙 아메리카 원정에 대한 기록을 쓴 후, 워커는 다시 그 지역으로 돌아왔다. 로아탄, 바히아 제도의 영국 식민지 주민들의 제안을 받고 트루히요 항구 도시에 상륙했지만, 영국 해군 장교 노웰 샐먼에게 체포되었다. 영국은 워커를 이 지역에서의 자국 문제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했다.

샐먼은 워커와 그의 참모장인 A. F. 루들러 대령을 온두라스 정부에 넘겨주었다. 두 사람은 군사 법원에서 재판을 받았다. 워커는 변호 과정에서 육지에서는 해적 행위를 저지를 수 없고, "필리버스터 행위"는 존재하지 않는 단어라고 주장했다.[31] 루들러는 온두라스 광산에서 4년간의 중노동형을 선고받았지만, 워커는 사형을 선고받아 1860년 9월 12일, 사격형에 처해졌다.[32] 윌리엄 워커는 36세였다. 그는 트루히요에 있는 "구 묘지"에 묻혔다.

5. 2. 처형

영국 해군 장교 노웰 샐먼은 워커를 미국으로 돌려보내는 대신, 트루히요로 항해하여 워커와 그의 참모장인 A. F. 루들러 대령을 온두라스 정부에 넘겨주었다. 이들은 군사 법원에서 해적 행위와 "필리버스터 행위" 혐의로 재판을 받았다. 워커는 변호 과정에서 육지에서는 해적 행위를 저지를 수 없고, "필리버스터 행위"는 존재하지 않는 단어라고 주장했다.[31] 루들러는 온두라스 광산에서 4년간의 중노동형을 선고받았지만, 워커는 사형을 선고받아 1860년 9월 12일, 현재 병원 부지 근처에서 사격형에 처해졌다.[32] 윌리엄 워커는 36세였다. 그는 온두라스 트루히요 콜론에 있는 "구 묘지"에 묻혔다.

윌리엄 워커의 묘비, 트루히요, 콜론, 온두라스

6. 유산과 평가

윌리엄 워커는 많은 남부인들에게 라틴 아메리카에 노예 제도를 유지하는 제국을 건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설득했다. 1861년, 미국 상원 의원 존 J. 크리텐던이 북위 36도 30분선을 자유 지역과 노예 지역을 구분하는 경계선으로 선언할 것을 제안했을 때, 일부 공화당원들은 그러한 조치를 비난했다. 로스코 콩클링 뉴욕 하원 의원은 이를 "여기에서 티에라 델 푸에고까지 한 뼘의 땅이라도 소유한 모든 민족, 부족, 국가에 대한 영원한 전쟁 협약과 같다"고 말했다.

6. 1. 미국 내 평가

미국 남북 전쟁 이전, 미국 남부와 서부에서는 워커를 "워커 장군"[35] 또는 "운명의 회색 눈을 가진 남자"라 부르며 영웅시했다. 그러나 북부에서는 대체로 그를 해적으로 간주했다. 워커는 지성과 매력을 갖췄지만, 군사 및 정치 지도자로서는 한계를 보였다. 세실 로즈와 달리, 그의 거창한 계획은 실패로 끝났다.

6. 2. 중앙아메리카에서의 평가

코스타리카 국립 기념비는 무기를 든 채 도망치는 윌리엄 워커와 연합된 5개 중앙 아메리카 국가를 나타낸다.


중앙 아메리카 국가들, 특히 니카라과와 코스타리카에서는 윌리엄 워커를 침략자로 규정하고, 그에 맞선 투쟁을 국가적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사건으로 기린다.[35] 특히 코스타리카에서는 리바스 전투에서 워커를 물리친 것을 기념하는 국경일(4월 11일)이 있으며, 이 전투에서 활약한 후안 산타마리아는 국민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산호세 (알라후엘라)를 운행하는 주요 공항은 산타마리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오늘날까지 코스타리카,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국가와 독립적인 니카라과 동맹국들 사이의 중앙 아메리카 "연합" 의식은 통합된 공유된 역사로 기억되고 기념된다.

6. 3. 현대적 해석

윌리엄 워커의 행적은 제국주의와 팽창주의의 전형으로 비판받으며, 그의 니카라과 침공은 국제법 위반이자 주권 침해로 간주된다.[35] 미국 남북 전쟁 이전, 워커는 미국 남부와 서부에서 "운명의 회색 눈을 가진 남자", "워커 장군"으로 불리며 인기를 얻었다. 그는 라틴 아메리카에 노예제 유지 제국을 건설하려는 남부인들의 열망을 자극했다.

그러나 북부인들은 워커를 해적으로 여겼고, 그의 군사적, 정치적 능력에는 한계가 있었다. 세실 로즈와 같은 야망을 가진 인물들과 달리, 워커의 계획은 실패로 끝났다.

1856~1857년 중앙 아메리카 국가들은 윌리엄 워커에 대항한 군사 작전을 통해 국가적 자부심과 정체성을 확립했다.[35] 이 사건은 독립 전쟁을 대체하는 역사적 사건으로 강조된다. 코스타리카는 리바스 전투에서 워커가 패배한 4월 11일을 국경일로 기념한다. 이 전투에서 활약한 후안 산타마리아는 후안 라파엘 모라와 함께 코스타리카의 국민 영웅으로 추앙받으며, 산호세의 주요 공항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오늘날까지 코스타리카,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그리고 니카라과 동맹국들은 윌리엄 워커에 맞선 중앙 아메리카 "연합"을 공유된 역사로 기념한다.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 윌리엄 워커의 사례는 강대국의 이익을 위한 약소국 침략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역사적 교훈으로 해석될 수 있다.

6. 4. 영화

알렉스 콕스 감독의 1987년 영화 《워커》는 에드 해리스가 윌리엄 워커를 연기하며 그의 생애를 다루고 있다.[38] 이 영화는 워커의 북부 멕시코 원정, 중립법 위반 혐의로 인한 재판과 무죄 판결, 니카라과 정복 성공, 그리고 그의 처형까지의 주요 사건들을 초현실적인 서사로 통합하여 묘사한다.[38] 워커의 이야기는 질로 폰테코르보 감독, 말론 브란도 주연의 《Burn!(1969)》에도 영감을 주었으나, 《Burn!》의 주인공은 역사 속 윌리엄 워커와는 다른 영국인으로 묘사된다.[37]

6. 5. 소설

알프레트 노이만의 역사 소설 'Der Pakt'(1949)는 워커의 캘리포니아 반도와 니카라과에서의 활동을 다룬다.[36]

참조

[1] 웹사이트 Gobernantes de Nicaragua http://www.mined.gob[...] Ministerio de Educación 2012-12-09
[2] 서적 Empire by Invitation: William Walker and Manifest Destiny in Central Americ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Gobernantes de Nicaragua: William Walker. https://web.archive.[...] Ministerio de Educacion de Nicaragua (Nicaragua Ministry of Education)
[4] 웹사이트 Lipscomb Norvell, September 1756 – March 2, 1843 http://www.thenashvi[...] Nashville City Cemetery 2018-05-01
[5] 서적 Michigan biographies, including members of Congress, elective state officers, justices of the Supreme court. Vol. II http://hdl.handle.ne[...] The Michigan historical commission
[6] 학술지 How Tennessee Adventurer William Walker became Dictator of Nicaragua in 1857 http://thenashvillec[...] 2012-03-01
[7] 학술지 William Walker https://www.jstor.or[...] 1898-01-01
[8] 웹사이트 California Filibusters: A History of their Expeditions into Hispanic America http://www.sfmuseum.[...] Native Sons and Native Daughters of the Golden West 1919-02-01
[9] 서적 Battle Cry of Freedom: The Civil War Era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An authentic exposition of the "K. G. C." "Knights of the golden circle https://archive.org/[...] Indianapolis
[11] 학술지 The Knights of the Golden Circle: The Career of George Bickley https://doi.org/10.2[...] 1941-10-01
[12] 서적 Knights of the Golden Circle : Secret Empire, Southern Secession, Civil War https://archive.org/[...] LSU Press
[13] 서적 Encyclopedia of Frontier Biography: G-O University of Nebraska Pr
[14] 서적 Age of the Gunfighter: Men and Weapons on the Frontier, 1840–1900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5] 서적 Pistols, Politics and the Press: Dueling in 19th Century American Journalism McFarland
[16] 학술지 Antonio Melendrez: Nemesis of William Walker in Baja California
[17] 웹사이트 William Walker: King of the 19th Century Filibusters http://www.historyne[...] 2010-03-04
[18] 웹사이트 The Biography of William Walker https://web.archive.[...] Latinamericanhistory.about.com 2014-03-07
[19] 백과사전 William Walker http://tennesseeency[...] University of Tennessee Press
[20] 서적 Everyman's Eden: a history of California https://books.google[...] Macmillan
[21] 문서 Walker
[22] 문서 McPherson
[23] 백과사전 Walker, William
[24] 학술지 La Guerra Contra los Filibusteros y la Nacionalidad Costarricense https://dialnet.unir[...] University of Costa Rica
[25] 학술지 El Cólera en la Costa Rica en 1856 http://www.kerwa.ucr[...] 1992-02-01
[26] 서적 Costa Rica y La Guerra Contra los Filibusteros Museo Histórico Cultural Juan Santamaría
[27] 뉴스 El general que trajo a los primeros catrachos https://web.archive.[...]
[28] 뉴스 El general que trajo a los primeros catrachos http://www-ni.lapren[...]
[29] 학술지 Juan Rafael Mora y las tres fases de la Campaña Nacional http://www.redalyc.o[...] Instituto Tecnológico de Costa Rica
[30] 서적 History of California N.J. Stone
[31] 서적 Revista del Archivo y de la Biblioteca Nacional de Honduras https://books.google[...] Tipografía Nacional 1906-01-01
[32] 웹사이트 Maps of Nicaragua, North and Central America: Population and Square Miles of Nicaragua, United States, Mexico, British and Central America, with Routes and Distances; Portraits of General Walker, Colonel Kinney, Parker H. French, and Views of the Battle of New-Orleans and Bunker Hill http://www.wdl.org/e[...] World Digital Library
[33] 서적 Battle cry of freedom: the Civil War e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4] 서적 John Tyler, the Accidental President https://books.google[...] Univ of North Carolina Press 2012-01-18
[35] 웹사이트 Costa Rica in 1856: Defeating William Walker While Creating a National Identity https://web.archive.[...] Miami University 2014-05-14
[36] 웹사이트 Strange Conquest, by Alfred Neumann https://neglectedboo[...] 2018-06-11
[37] 웹사이트 Life Imitating Art in Haiti? Pontecorvo's Movie Queimada (Burn!) as Presage for What May Go Down Next https://www.opednews[...] 2011-01-18
[38] 뉴스 Hollywood Invades Nicaragua The Washington Post 1987-08-20
[39] 서적 Gone With the Wind http://ebooks.adelai[...]
[40] 서적 With Walker in Nicaragua and Other Early Poems, 1949–1954 Wesleyan University Press 1985
[41] PhD The Life and Works of John Neal http://id.lib.harvar[...] Harvard University 1933
[42] PhD The Life and Works of John Neal http://id.lib.harvar[...] Harvard University 1933
[43] 서적 The War in Nicaragu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