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야다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다바는 인도 신화에 등장하는 야두 왕의 후손으로 알려진 씨족 또는 부족 연맹이다. 야다바는 하이하야, 체디, 비다르바, 사트바타, 안다카, 쿠쿠라, 보자, 브리슈니, 슈라세나 등 다양한 하위 부족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등 다양한 종교와 관련이 있었으며, 특히 크리슈나 숭배가 널리 퍼져 있었다. 쿠루크셰트라 전쟁 이후 동족 간의 전쟁으로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다바 - 크리슈나
    크리슈나는 힌두교의 주요 신이자 비슈누의 아바타로, 《마하바라타》의 주요 인물이며 《바가바드 기타》에서 아르주나에게 가르침을 주며, 인도 전역과 동남아시아, 서구 세계에까지 널리 영향을 미친다.
  • 야다바 - 체디
    체디는 기원전 6~5세기경 야무나 강 근처 분델칸드 지방에 위치한 고대 인도의 왕국으로, 철기 시대 남아시아의 중요한 국가 중 하나이자 십육대국 중 하나였으며, 수크티마티를 수도로 둔 왕국이다.
  • 인도의 고대 민족 - 캄보자
    캄보자는 베다 시대 후기 인도아리아어 문헌에 등장하는 고대 부족 또는 왕국으로, 현재의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지역에 주로 거주하며 이란어와 언어적 연관성을 갖고 말 사육 기술이 뛰어났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인도의 고대 민족 - 인도-스키타이
    인도-스키타이는 기원전 2세기부터 서기 1세기경 중앙아시아에서 남아시아 북서부로 이주한 스키타이인(사카족)의 한 갈래로, 월지족에 밀려 간다라 지방에 왕국을 세우고 인도-그리스 왕조를 멸망시키며 서북 인도에 세력을 확장, 불교와 연관되어 예술과 종교 분야에서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야다바
기본 정보
명칭야다바
어원야두의 후손을 의미
민족인도아리아인
종교브라만교
관련 부족푸루족, 아누족, 바라타족
국가
주요 국가수라세나
아반티
체디
하위 분파
분파브리슈니
안다카
아비라
쿠쿠라
하이하야
비다르바
역사적 배경
시대고대
관련 문헌마하바라타
푸라나
리그베다
하리밤사
사회 및 문화
특징목축 생활과 관련, 크리슈나 숭배와 관련
직업목동 (gopas)
신분크샤트리아
현대 사회
후손야다브

2. 기원

야다바는 인도 신화에 등장하는 전설적인 왕 야두의 후손으로 여겨진다.[75]

2. 1. 신화적 기원

야두족의 시조는 인도 신화의 전설적인 왕인 야두로 전해진다. 푸라나에 따르면 이들의 계통은 브라흐마에서 시작하여 아트리, 찬드라, 부드하, 푸루라바, 아유, 나후샤를 거쳐 야야티 왕에게 이어지고, 야야티의 아들인 야두로 이어진다. 야두의 아버지인 야야티 왕은 야두에게 남쪽 땅을 물려주었고, 이후 남쪽 땅에 정착한 야두의 후손들이 야다바의 시초가 되었다고 한다.[75]

3. 주요 부족

야다바족은 여러 주요 부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족은 인도 고대사 및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주요 부족들은 다음과 같다.


  • 하이하야: 야두의 후손으로 여겨지는 5개 씨족 연맹체.
  • 체디: 고대 야다바의 한 갈래.
  • 비다르바: 데칸 지역에 기반을 둔 야다바 왕국.
  • 사트바타: 마두의 후손으로 여겨지며, 여러 하위 부족으로 나뉨.
  • 안다카: 사트바타의 후손으로 여겨지는 부족.
  • 쿠쿠라: 드와르카 주변 지역을 점유했던 부족.
  • 보자: 사트바타의 한 지파로 여겨지는 부족.
  • 브리슈니: 크리슈나발라라마가 속한 부족으로 유명.
  • 슈라세나: 마투라를 수도로 했던 부족.


이들 각 부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하이하야

하이하야는 공통 조상 야두의 후손으로 여겨지는 5개의 씨족(''가나'')으로 이루어진 고대 연맹체였다. 이들 5개 씨족은 스스로를 탈라장가스라고 불렀다.[8] ''푸라나''에 따르면, 하이하야는 야두의 아들 사하스라지트의 손자였다.[7] 카우틸랴는 그의 저서 아르타샤스트라에서 하이하야에 대해 언급했다.[16]

하이하야 5개 씨족[8]
씨족명
비티호트라
샤랴타
보자
아반티
툰디케라



푸라나 기록에 따르면, 카르타비르야 아르주나는 카르코타카 나가로부터 마히슈마티를 정복하고 그곳을 자신의 수도로 삼았다.[17]

이후 하이하야는 그들 중 가장 지배적인 씨족이었던 비티호트라의 이름으로도 알려지게 되었다. ''푸라나''에 따르면 비티호트라는 카르타비르야 아르주나의 증손자이자 탈라장가의 장남이었다.[8] 우자이니의 마지막 비티호트라 통치자로 알려진 리푼자야는 그의 재상(''아마티야'') 풀리카에 의해 왕위에서 쫓겨났고, 풀리카는 자신의 아들 프라디오타를 새로운 왕으로 세웠다.[16][18] 한편, 불교 경전인 ''디가니카야''의 ''마하고빈다수탄타''에는 아반티 왕 베사부(비슈바부)와 그의 수도 마히사티(마히슈마티)가 언급되는데, 이 베사부 왕이 비티호트라 씨족의 통치자였을 가능성이 있다.[19]

3. 2. 체디

체디족 또는 차이디야스는 고대 야다바의 한 갈래이다. 이들의 영토는 쿠루 왕국의 왕 바수에게 정복되었으며, 바수는 이로 인해 '차이디요파리차라'(Chaidyoparichara|차이디요파리차라san, 체디족을 정복한 자) 또는 '우파리차라'(Uparichara|우파리차라san, 정복자)라는 칭호를 얻었다.[22] 푸라나에 따르면 체디족은 크로슈타의 후손인 비다르바의 손자이자 카이시카의 아들인 치디의 후손이라고 전해진다.

3. 3. 비다르바

비다르바 왕국은 야다바족의 주요 왕국 중 하나였다. 푸라나에 따르면, 비다르바스 또는 바이다르바스는 크로슈투의 후손인 자야마가의 아들 비다르바의 후손이었다.[8] 가장 잘 알려진 비다르바 왕은 루크미와 루크미니의 아버지인 비슈마카였다.[23] 마츠야 푸라나와 바유 푸라나에서 바이다르바스는 데칸(다크시나파타 바시나)의 주민으로 묘사된다.[24]

3. 4. 사트바타

아이타레야 브라흐마나(VIII.14)에 따르면, 사트바타스는 보자스에 의해 지배받는 남부 민족이었다.[30] 사타파타 브라흐마나(XIII.5.4.21)는 바라타가 사트바타스의 희생 말을 빼앗았다고 언급한다.[25] 파니니는 그의 아슈타드야이에서 사트바타스를 '크샤트리아 고트라' 출신으로, '상가'(부족 과두제) 형태의 정부를 가지고 있다고 언급하지만[29], 마누스므리티 (X.23)에서 사트바타스는 '브라티야 바이샤' 범주에 속한다고 보았다.[26]

하리밤사(95.5242-8)에 나오는 전통에 따르면, 사트바타는 야다바 왕 마두의 후손이었고, 사트바타의 아들 비마는 라마와 동시대 인물이었다. 비마는 라마와 그의 형제들이 죽은 후 익슈바쿠 왕조로부터 마투라 도시를 되찾았다. 비마 사트바타의 아들 안다카는 쿠샤, 즉 라마의 아들과 동시대 인물이었다. 그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마투라의 왕위에 올랐다.[27]

안다카족, 브리슈니족, 쿠쿠라족, 보자족, 수라세나족은 크로슈투의 후손인 사트바타의 후손으로 여겨진다.[28] 이 부족들은 사트바타 부족으로도 알려져 있었다.

3. 5. 안다카

파니니의 ''아슈타댜이''(IV.1.114)에 따르면, 안다카족은 크샤트리아 고트라 출신이며, 상가(부족 과두정) 형태의 정부를 가지고 있었다.[29] ''마하바라타''의 ''드로나 파르바''(141.15)에서는 안다카족을 브라트야(정통에서 벗어난 자)로 분류하기도 했다.[13] 푸라나에 따르면, 안다카족은 안다카의 아들이자 사트바타의 손자인 바자마나의 후손이었다.[8]

''마하바라타''에 따르면, 쿠룩셰트라 전쟁에서 안다카스, 보자스, 쿠쿠라스, 브리쉬니의 연합군은 안다카 출신인 흐리디카의 아들 크리타바르마가 이끌었다.[28] 그러나 같은 문헌에서 크리타바르마는 미리티카바티의 보자라고도 언급된다.[30]

3. 6. 쿠쿠라

카우틸리야는 자신의 ''아르타샤스트라''(XI.1.5)에서 쿠쿠라스족을 부족 형태로 묘사했다. 이들은 상가(부족 과두제) 형태의 정부를 가졌으며, 지도자는 ''라자''(''rājaśabdopajīvinah'')라는 칭호를 사용했다.[32] 바가바타 푸라나에 따르면, 쿠쿠라스족은 드와르카 주변 지역을 점유했다. 바유 푸라나는 야다바 통치자 우그라세나가 이 부족 출신(''Kukurodbhava'')이라고 언급한다.[33]

푸라나에 따르면 쿠쿠라족의 아후카는 카시 왕국의 공주와 결혼하여 우그라세나와 데바카 두 아들을 낳았다. 우그라세나에게는 아홉 아들과 다섯 딸이 있었는데, 캄사가 그중 장남이었다. 데바카에게는 네 아들과 일곱 딸이 있었고, 그중 한 명이 데바키였다. 캄사는 아버지 우그라세나를 투옥하고 마투라의 왕위를 찬탈했다. 그러나 캄사는 나중에 데바키의 아들인 크리슈나에게 살해당했고, 크리슈나는 우그라세나를 다시 왕위에 앉혔다.[34]

한편, 가우타미 발라슈리의 나시크 동굴 비문에는 그의 아들 가우타미푸트라 사타카르니가 쿠쿠라스족을 정복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또한 루드라다만 1세의 주나가드 암석 비문에도 그가 정복한 민족 목록에 쿠쿠라스족이 포함되어 있다.[33]

3. 7. 보자

아이타레야 바라흐마나(VIII.14)에 따르면 보자는 남부 민족이었으며, 그들의 군주는 사트바타를 지배했다고 한다. 비슈누 푸라나(IV.13.1-61)는 보자를 사트바타의 한 지파로 언급한다.[30] 이 문헌에 따르면, 므리티카바티의 보자는 사트바타의 아들인 마하보자의 후손이었다.[31] 그러나 다른 여러 푸라나 문헌에서는 보자가 사트바타의 손자인 바브루의 후손이라고 기록하고 있다.[8] 한편, 마하바라타의 아디 파르바(85.3533)와 ''맛스야 푸라나''(34.30)의 한 구절에서는 보자를 믈레차로 언급하기도 한다. 반면 ''맛스야 푸라나''(44.69)의 다른 구절에서는 그들을 경건하고 종교 의식을 수행하는 사람들로 묘사한다.[30]

3. 8. 브리슈니

박트리아 왕 아가토클레스(기원전 190년경–180년경)의 동전에 새겨진 두 명의 가장 유명한 브리슈니 영웅인 삼카르샤나바수데바의 이미지


브리슈니는 베다 문헌, 즉 타이티리야 삼히타 (III.2.9.3), 타이티리야 브라흐마나 (III.10.9.15), 샤타파타 브라흐마나 (III.1.1.4) 및 자이미니야 우파니샤드 브라흐마나 (I.6.1)에 언급되어 있다.[11] 타이티리야 삼히타와 자이미니야 우파니샤드 브라흐마나는 이 씨족에 속한 교사 고바라에 대해 언급한다.[35]

파니니는 자신의 저서 ''아슈타드야이'' (IV.1.114)에서 브리슈니를 '상가'(부족 과두제) 형태의 정부를 가진 ''크샤트리야 고트라'' 씨족 목록에 포함시켰다.[29] 그러나 ''마하바라타''의 ''드로나 파르바'' (141.15)에서는 브리슈니를 안다카스와 마찬가지로 ''브라티야''(이탈자)로 분류하였다. ''샨티 파르바'' (81.25)에서는 쿠쿠라스, 보자스, 안다카스, 브리슈니가 함께 ''상가''로 언급되었고, 바수데바 크리슈나는 ''상가무키야''(상가의 지도자)로 언급되었다.[13] 푸라나에 따르면 브리슈니는 야다바족 사트바타의 아들 중 하나였다.[8] 브리슈니에게는 아나미트라(또는 수미트라), 유드하지트, 데바미두샤라는 세 명(또는 네 명)의 아들이 있었다. 슈라는 데바미두샤의 아들이었으며, 그의 아들 바수데바는 발라라마크리슈나의 아버지였다.[28]

하리밤사(II.4.37-41)에 따르면 브리슈니는 여신 에카남샤를 숭배했는데, 같은 문헌의 다른 부분(II.2.12)에서는 그녀를 난다고파의 딸로 묘사한다.[36] 마투라 근처 마을에서 발견된 모라 우물 비문은 서기 초기 수십 년에 작성된 것으로, 토샤라는 인물이 돌로 만든 사원에 다섯 명의 브리슈니 ''비라''(영웅)의 이미지를 설치했음을 기록하고 있다. 이 다섯 브리슈니 영웅은 바유 푸라나(97.1-2)의 한 구절에서 삼카르샤나, 바수데바, 프라드윰나, 아니루다, 삼바로 확인되었다.[37]

알렉산더 커닝햄의 ''고대 인도 동전: 가장 초창기부터 7세기까지''(1891)에서 가져온 브리슈니 은화


브리슈니의 독특한 은화가 펀자브 지역의 호시아르푸르에서 발견되었다. 이 동전은 현재 런던의 대영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38] 이후 루디아나 근처의 수네트에서도 브리슈니가 발행한 여러 개의 구리 동전, 점토 인장 및 봉인이 발견되었다.[39]

3. 9. 슈라세나

불교자이나교 경전에는 기원전 6세기 초에 번성했던 16개의 강력한 국가(십육대국, "쇼다샤 마하 자나파다")가 언급되어 있다. 슈라세나는 불교 경전인 앙구타라 니카야에 언급된 그러한 국가 중 하나였다. 슈라세나의 수도는 마투라였으며, 마두라라고도 불렸다.[51]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 메가스테네스 (기원전 350년 ~ 290년)는 마투라 지역에 살았던 수라세노이(슈라세나)가 헤라클레스를 숭배했다고 언급했는데, 이는 그가 헤라클레스와 가장 유사한 인도의 신인 바수데바 크리슈나를 의미했을 수 있다. 바수데바 크리슈나 숭배는 마투라 지역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52]

슈라세나의 기원에 관해서는 여러 전승이 존재한다. 린가 푸라나 (I.68.19)에 나오는 전승에 따르면, 슈라세나는 아르주나 카르타비르야의 아들인 슈라세나의 후손이었다. 라마야나 (VII.62.6)와 비슈누 푸라나 (IV.4.46)에 나오는 또 다른 전승에 따르면, 슈라세나는 라마의 형제인 샤트루그나의 아들인 슈라세나의 후손이었다.[27] 데비바가바타 푸라나 (IV.1.2)에 따르면, 슈라세나는 크리슈나의 아버지인 바수데바의 아버지였다.[53] 알렉산더 커닝햄은 그의 저서 "인도의 고대 지리"에서 그의 할아버지인 수라세나 때문에 크리슈나와 그의 후손들이 수라세나로 알려지게 되었다고 진술한다.[54] 바사는 그의 희곡 "발라차리타"에서 캄사의 어머니가 슈라세나("샤우라세니마타")였다고 언급한다.[55]

4. 종교

야다바 사회에는 족장 외에도 종교적 권위를 상징하는 '피탐'(좌석) 제도가 있었다. 1425년(샤카력 기준) 와랑갈의 마하라자 스리 프라타파 루드라는 스리 곤디아 구루에게 14개 피탐의 수장 자격을 부여하는 '사나드'(칙령)를 내렸다.[56] 이후 1560년 쿠트브 샤히 왕조의 술탄 압둘라 쿠투브 샤가 바그야나가르(훗날의 하이데라바드)를 건국했을 때도 곤디아 구루의 권리는 인정되었으며, 이때 만갈 대신 골콘다라는 명칭이 사용되기도 했다.[56]

이슬람력 1071년(서기 1660-1661년경) 술탄 압둘라 쿠투브 샤가 수여한 헌장에 따르면, 곤디아는 신비로운 능력으로 술탄의 요새 건설을 돕고 지하에 묻힌 금화를 발견했다.[57] 이에 대한 보답으로 술탄은 곤디아에게 14개 피탐 수장의 권리와 특권을 부여하는 헌장을 하사했다.[57] 이 시기 야다바 공동체는 특정 종교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점차 더 큰 사회 범주 안으로 통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57]

5. 멸망

''마하바라타''의 ''마우살라 파르바''(7.185-253)에 따르면, 쿠루크셰트라 전쟁이 끝나고 몇 년 지나지 않아 드바라카의 안다카-브리슈니 야다바 씨족은 동족 간의 싸움으로 멸망했다.[43] 이 전쟁 직후 발라라마크리슈나도 사망했다. 살아남은 야다바족 중 크리타바르마의 아들은 미르티카바티의 통치자가 되었고, 유유다하나의 손자는 사라스바티 강 근처 영토의 통치자가 되었다. 나머지 야다바족 생존자들은 인드라프라스타로 피난했으며, 크리슈나의 증손자인 바즈라가 그들의 왕으로 즉위했다.[44]

바즈라는 비슈누 푸라나에서도 크리슈나의 증손자로 언급된다. 이 문헌의 한 구절(IV.15.34-42)에서는 바즈라가 아니루다와 수바드라의 아들이라고 설명하지만,[45] 다른 구절(V.32.6-7)에서는 아니루다와 바나의 딸이자 발리의 손녀인 우샤 사이의 아들이라고 기록하고 있다.[46] 바즈라의 아들은 바후(또는 프라티바후)이고, 손자는 수차루였다.[45] 비슈누 푸라나의 다른 부분(V.38.34)에서는 바즈라가 인드라프라스타가 아닌 마투라의 왕으로 즉위했다고 언급하기도 한다.[47]

야다바족의 동족 전쟁 이야기는 팔리 불교 경전의 자타카 이야기 중 ''가타 자타카''와 ''삼키차 자타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가타 자타카''에 따르면, 바수데바, 발라데바를 포함한 열 명의 Andhaka-veṇhu|안다카-벤후pi (산스크리트어 안다카-브리슈니에 해당하는 팔리어 Andhaka-veṇhi|안다카-벤히pi의 변형으로 추정됨) 형제들이 드바라바티를 점령하고 왕 캄사를 죽였다. 이후 형제들끼리 싸움이 벌어져 바수데바와 발라데바를 제외하고 모두 죽었으며, 이 둘 역시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 ''삼키차 자타카'' 역시 Andhaka-veṇhu|안다카-벤후pi가 서로 죽였다고 언급한다.[48] 또한, 카우틸리아는 그의 저서 아르타샤스트라(I.6.10)에서 브리슈니 씨족이 어리석음 때문에 멸망했다고 기록했다.[49]

6. 야다바족 출신 인물

야다바족 출신 인물에는 신화 속 인물과 역사 속 인물이 모두 포함된다.

6. 1. 신화상 인물

6. 2. 역사상 인물


  • 가전연: 야다바족이 다스리던 십육대국 국가 중 하나였던 아반티에서 태어난 사람으로, 고타마 싯다르타의 십대제자 중 한 명이다.
  • 아반티푸타: 가전연의 저서에서 언급된 수라세나 왕국의 왕이다.

참조

[1] 서적 Sanskrit English Dictionary: Etymologically and Philologically Arranged with Special Reference to Cognate Indo-Europe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rsidass
[2] 문서 "Franklin Southworth considers the word ''Yadava'' to be possibly [[Dravidian languages|Dravidian]], meaning \"herder\", as it has no known [[Indo-European languages|Indo-European]] etymology (Southworth, Franklin C. (1995). ''Reconstructing social context from language: Indo-Aryan and Dravidian prehistory'', in George Erdösy (ed.) [https://books.google.com/books?id=A6ZRShEIFwMC&pg=PA266 ''The Indo-Aryans of Ancient South Asia: Language, Material Culture and Ethnicity''], Indian Philology and South Asian Studies, Vol. I, Berlin: Walter de Gruyter & Co., {{ISBN|978-3-11-014447-5}}, p. 266n."
[3] 서적 Society and Religion: From Rugveda to Puranas https://books.google[...] Popular Prakashan 1996
[4] 서적 Hindu Polity A Constitutional History Of India In Hindu Times https://archive.org/[...] Delhi University House
[5] 문서 "While discussing about the Puranic accounts, [[Hem Chandra Raychaudhuri]] used the term, ''Yadava clans'' for the Andhakas, the Vrishnis and the Kukuras (Raychaudhuri, Hemchandra (1972).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Calcutta: University of Calcutta, p.447fn3). But [[Ramakrishna Gopal Bhandarkar]] used the term ''Yadava [[tribe]]s'' for the Satvatas, the Andhakas and the Vrishnis (Bhandarkar, R. G. (1995). [https://books.google.com/books?id=C5zKrCIBmBwC&pg=PA11 ''Vaisnavism, Saivism and Minor Religious Systems''], Delhi: Asian Educational Service, {{ISBN|978-81-206-0122-2}}, p. 11)."
[6] 문서 "Thapar, Romila (1978, reprint 1996). ''Ancient Indian Social History: Some Interpretations'', New Delhi: Orient Longman, {{ISBN|978-81-250-0808-8}}, p. 223."
[7] 문서 "Pargiter, F. E. (1972) [1922]. ''Ancient Indian Historical Tradition'', Delhi: Motilal Banarsidass, p. 87."
[8] 문서 "Pargiter, F. E. (1972) [1922]. ''Ancient Indian Historical Tradition'', Delhi: Motilal Banarsidass, pp. 102–4."
[9] 서적 Man in India https://books.google[...] A.K. Bose 1974
[10] 문서 "Thapar, Romila (1978, reprint 1996). ''Ancient Indian Social History: Some Interpretations'', New Delhi: Orient Longman, {{ISBN|978-81-250-0808-8}}, pp. 216–7."
[11] 서적 Studies in the Religious Life of Ancient and Medieval Indi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2]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UK 2014-04-18
[13] 문서 "Raychaudhuri, Hemchandra (1972).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Calcutta: University of Calcutta, pp. 127–8."
[14]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ns https://books.google[...] Cosimo Classics
[15] 문서 "Kosambi, D. D. (1988). ''The Culture and Civilization of Ancient India in Historical Outline'', New Delhi: Vikas Publishing House, {{ISBN|978-0-7069-4200-2}}, p. 116."
[16] 문서 "Raychaudhuri, Hemchandra (1972).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Calcutta: University of Calcutta, pp. 130–1."
[17] 문서 "Pargiter, F.E. (1972) [1922]. ''Ancient Indian Historical Tradition'', Delhi: Motilal Banarsidass, p.266"
[18] 문서 "Raizada, Ajit (1992). ''Ujjayini'' (in Hindi), Bhopal: Directorate of Archaeology & Museums, Government of Madhya Pradesh, p.21"
[19] 서적 Historical Geography of Madhya Pradesh from Early Record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20] 서적 The Vishnu Purana: A System of Hindu Mythology and Tradition https://books.google[...] Trübner & Co.
[21] 문서 "Pargiter, F.E. (1972) [1922]. ''Ancient Indian Historical Tradition'', Delhi: Motilal Banarsidass, p.261."
[22] 문서 "Pargiter, F.E. (1972) [1922]. ''Ancient Indian Historical Tradition'', Delhi: Motilal Banarsidass, p.118."
[23] 서적 A Classical Dictionary of Hindu Mythology, and Religion, Geography, History Rupa & Co.
[24] 문서 "Raychaudhuri, Hemchandra (1972).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Calcutta: University of Calcutta, p.83"
[25] 문서 "Pargiter, F. E. (1972) [1922]. ''Ancient Indian Historical Tradition'', Delhi: Motilal Banarsidass, p. 65."
[26] 서적 The Laws of Manu https://books.google[...] Cosmo Publications
[27] 문서 "Pargiter, F. E. (1972) [1922]. ''Ancient Indian Historical Tradition'', Delhi: Motilal Banarsidass, pp. 170–1, 171fn2."
[28] 문서 "Pargiter, F. E. (1972) [1922]. ''Ancient Indian Historical Tradition'', Delhi: Motilal Banarsidass, pp. 105–107."
[29] 문서 "Thapar, Romila (1978, reprint 1996). ''Ancient Indian Social History: Some Interpretations'', New Delhi: Orient Longman, {{ISBN|978-81-250-0808-8}}, pp. 303–4."
[30] 문서 "Law, B. C. (1973). ''Tribes in Ancient India'', Bhandarkar Oriental Series No.4, Poona: Bhandarkar Oriental Research Institute, pp. 366–73."
[31] 서적 The Vishnu Purana http://www.sacred-te[...] John Murray
[32] 문서 "Rangarajan, L. N. (ed. & tr.) (1992). ''The Arthashastra'', New Delhi: Penguin, {{ISBN|978-0-14-044603-6}}, p. 822."
[33] 문서 "Law, B. C. (1973). ''Tribes in Ancient India'', Bhandarkar Oriental Series No.4, Poona: Bhandarkar Oriental Research Institute, p. 389."
[34] 서적 Encyclopaedia of the Hindu World https://books.google[...] Concept Publishing
[35] 서적 Studies in the Religious Life of Ancient and Medieval Indi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36] 서적 The Indian Theogony: Brahmā, Viṣṇu and Śiva Penguin 2000
[37] 서적 Many Heads, Arms and Eyes : Origin, Meaning and Form of Multiplicity in Indian Art https://books.google[...] Brill
[38] 서적 Indigenous States of Northern India (Circa 200 B.C. to 320 A.D.) University of Calcutta 1974
[39] 서적 Sculptures from Haryana: Iconography and Style Indian Institute of Advanced Study
[40] 서적 Ancient Indian Historical Tradition Motilal Banarsidass 1972
[41] 서적 The Nighantu and the Nirukta:of Sri Yaskacarya The Oldest Indian Treatise on Etymology, Philology And Semantics, Part II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998
[42] 서적 A Classical Dictionary of Hindu Mythology, and Religion, Geography, History Rupa & Co. 1984
[43] 서적 Seer of the Fifth Veda: Kr̥ṣṇa Dvaipāyana Vyāsa in the Mahābhārata https://books.google[...] Motilal
[44] 서적 Ancient Indian Historical Tradition Motilal Banarsidass 1972
[45] 서적 The Vishnu Purana http://www.sacred-te[...] John Murray
[46] 서적 The Vishnu Purana http://www.sacred-te[...] John Murray
[47] 서적 The Vishnu Purana http://www.sacred-te[...] John Murray
[48] 서적 Kṛṣṇa Dvaipāyana Vyāsa and the Mahābhārata: A New Interpretation https://books.google[...] E. J. Brill
[49] 서적 The Arthashastra Penguin 1992
[50] 서적 Ancient Indian Social History: Some Interpretations Orient Longman 1996
[51] 서적 A History of Ancient and Early Medieval India: From the Stone Age to the 12th Century Pearson Education
[52] 서적 A History of Ancient and Early Medieval India: From the Stone Age to the 12th Century Pearson Education
[53] 서적 The S'rimad Devi Bhagawatam https://books.google[...] BiblioBazaar, LLC
[54] 서적 The ancient geography of India https://archive.org/[...] London: Trübner & Co. 1871
[55] 서적 Studies in the Religious Life of Ancient and Medieval Indi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56] 서적 through the ages, from ancient period to date https://books.google[...] Sharada Pub. House
[57] 서적 Social movements and social transformation: a study of two backward classes movements in India https://books.google[...] Macmillan 1979-05-01
[58] 서적 Sanskrit English Dictionary: Etymologically and Philologically Arranged with Special Reference to Cognate Indo-Europe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rsidass
[59] 서적 Reconstructing social context from language: Indo-Aryan and Dravidian prehistory Walter de Gruyter & Co.
[60] 서적 Society and Religion: From Rugveda to Puranas https://books.google[...] Popular Prakashan 1996
[61] 서적 Hindu Polity A Constitutional History Of India In Hindu Times https://archive.org/[...] Delhi University House
[62] 서적 Man in India Volume 54 https://books.google[...] A. K. Bose 1974-01-24
[63] 서적 Kṛṣṇa-cult https://books.google[...] Associated Publishing House 1978-10-24
[64] 서적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University of Calcutta 1972
[65] 서적 Ancient Indian Social History: Some Interpretations Orient Longman 1996
[66]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ns https://books.google[...] Cosimo Classics
[67] 서적 The Culture and Civilization of Ancient India in Historical Outline Vikas Publishing House 1988
[68] 서적 Encyclopaedia of Indian Tribes: The tribal world in transition https://books.google[...] Anmol Publications, 1994
[69] 서적 Epic India, Or, India as Described in the Mahabharata and the Ramayana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2001
[70] 서적 Man in India https://books.google[...] A.K. Bose 1974
[71] 서적 Ancient Indian Historical Tradition Motilal Banarsidass 1972
[72] 서적 Ancient Indian Social History: Some Interpretations Orient Longman 1978
[73]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UK 2014-04-18
[74] 서적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University of Calcutta 1972
[75] 서적 Gods, Sages and Kings: Vedic Secrets of Ancient Civiliz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