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고속도로 40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럽 고속도로 40호선(E40)은 프랑스에서 시작하여 벨기에, 독일, 폴란드, 우크라이나, 러시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키르기스스탄을 거쳐 카자흐스탄까지 이어지는 국제 간선도로이다. 프랑스 칼레에서 시작하여 각 국가의 고속도로 및 간선도로를 경유하며, 주요 경유 도시로는 됭케르크, 브뤼셀, 쾰른, 브로츠와프, 키이우, 볼고그라드, 아티라우, 타슈켄트, 알마티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의 도로 - 유럽 고속도로 25호선
유럽 고속도로 25호선(E25)은 네덜란드에서 시작하여 이탈리아까지 육로와 페리를 통해 연결되는 국제 고속도로이다. - 벨기에의 도로 - 유럽 고속도로 404호선
유럽 고속도로 404호선은 벨기에의 고속도로이며, E40, E34, E403과 교차한다. - 폴란드의 도로 - 유럽 고속도로 75호선
유럽 고속도로 75호선(E75)은 노르웨이 바르되에서 그리스 아테네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약 5,639km의 남북축 고속도로로, 여러 국가의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는 핵심적인 교통망 역할을 한다. - 폴란드의 도로 - 유럽 고속도로 30호선
유럽 고속도로 30호선(E30)은 아일랜드 코크에서 시작하여 러시아 옴스크까지 이어지는 총 길이 약 5,800km의 유럽 고속도로로, 여러 국가를 통과하며 국제 연합 유럽 경제 위원회에 의해 명명되었다. - 투르크메니스탄의 도로 - 아시안 하이웨이 78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78호선은 투르크메니스탄 아시가바트에서 시작하여 초브돈 검문소와 초브도안 고개를 지나 이란의 국도 제875호선, 국도 제87호선, 국도 제91호선을 경유하며 바즈기란, 쿠찬, 사브제바르, 바제스탄, 페르두스, 케르만 등의 도시를 연결하는 노선이다. - 투르크메니스탄의 도로 - 아시안 하이웨이 5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5호선(AH5)은 중국 상하이에서 출발하여 여러 아시아 국가를 거쳐 불가리아 국경까지 이어지는 아시아 횡단 주요 도로망으로, 물류 이동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정치적 불안정, 열악한 도로 환경, 복잡한 통관 절차 등의 문제점과 국제 협력 및 투자 유치, 물류 시스템 현대화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유럽 고속도로 40호선 | |
---|---|
노선 정보 | |
노선 번호 | E40 |
총 길이 | 8641km |
서쪽 종점 | 칼레, 프랑스 (E15) |
동쪽 종점 | 리데르, 카자흐스탄 |
경유 국가 | 프랑스 벨기에 독일 폴란드 우크라이나 러시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키르기스스탄 |
![]() | |
![]() | |
주요 경유지 | |
주요 교차로 | E17, 헨트, 벨기에 E19, 브뤼셀, 벨기에 E25, 리에주, 벨기에 E35, 쾰른, 독일 E36, 볼레스와비에츠, 폴란드 E45, 키르히하임, 독일 E55, 드레스덴, 독일 E65, 레그니차, 폴란드 E75, 미스와비체, 폴란드 E85, 두브노, 우크라이나 E95, 키이우, 우크라이나 E105, 하르키우, 우크라이나 E50, 데발체베, 우크라이나 E119, 아스트라한, 러시아 E123,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E125, 알마티, 카자흐스탄 |
2. 경로
유럽 고속도로 40호선(E40)은 프랑스 칼레에서 시작하여 카자흐스탄 리더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8,000km가 넘는 유럽에서 가장 긴 고속도로이다. 이 도로는 서쪽의 프랑스 칼레에서 동쪽의 카자흐스탄 리더까지 10개국 이상을 통과한다.
유럽 고속도로 40호선은 다음과 같은 주요 국가와 도시를 경유한다.
- '''프랑스''': 칼레, 됭케르크
- '''벨기에''': 푀르너, 니우포르트, 오스텐더, 브루게, 겐트, 알스트, 브뤼셀, 루뱅, 리에주, 오이펜
- '''독일''': 아헨, 쾰른, 올페, 지겐, 베츨라르, 기센, 키르히하임, 아이제나흐, 에르푸르트, 바이마르, 예나, 게라, 켐니츠, 드레스덴, 괴리츠
- '''폴란드''': 즈고젤레츠, 볼레스와비에츠, 브로츠와프, 글리비체, 자브제, 야보주노, 크라쿠프, 제슈프, 야로스와프, 프셰미실
- '''우크라이나''': 르비우, 브로디, 두브노, 리우네, 코레츠, 즈뱌헬, 지토미르, 키이우, 보리스필, 야호틴, 루브니, 하롤, 폴타바, 하르키우, 이줌, 슬로우얀스크, 바흐무트, 루한스크
- '''러시아''': 볼고그라드, 카멘스크샤흐틴스키, 벨라야칼리트바, 모로조브스크, 수로비키노, 칼라치나도누, 나리마노브, 아스트라한
- '''카자흐스탄''': 아티라우, 비노이, 쿤그라드, 누쿠스
- '''투르크메니스탄''': 다쇼구즈
- '''우즈베키스탄''': 부하라, 나보이, 사마르칸트, 지자흐, 타슈켄트
- '''카자흐스탄''': 심켄트, 타라즈
-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 '''카자흐스탄''': 코르다이, 알마티, 사르요젝, 탈디쿠르간, 우차랄, 외스케멘, 리더
2. 1. 프랑스
A16 (칼레 - 됭케르크): 칼레 (E15 / E402) - 됭케르크 - 기벨드[1]2. 2. 벨기에
벨기에 구간은 다음과 같다.[1]
벨기에 구간은 아딘케르크에서 시작하여 페르네, 자베케(E404), 브뤼헤(E403), 헨트(E17), 브뤼셀(E19, E411), 루벤(E314), 리에주(E25, E42, E313, E46 방면), 베르비에(E42), 리히텐부쉬(E421) 등을 거친다.[1]
2. 3. 독일
- A44: 아헨 (E 314)
- A4: 아헨 (E 314) - 쾰른 (E 31 / E 35, E 29 / E 37) - 올페 (E 41)
- A45: 올페 (E 41 중첩) - 지겐 - 기센 (E 44, E 41 중첩 해제)
- B49: 기센 (E 41 / E 44)
- B429: 기센
- A480: 기센 (E 451)
- A5: 기센 (E 451) - 바트헤르스펠트 (E 45)
- A7: 바트헤르스펠트 (E 45)
- A4: 바트헤르스펠트 (E 45) - 아이제나흐 - 에르푸르트 - 츠비카우 (E 49 / E 51 / E 40) - 켐니츠 (E 441) - 드레스덴 (E 55) - 괴를리츠
2. 4. 폴란드
즈고젤레츠, 볼레스와비에츠, 브로츠와프, 글리비체, 자브제, 야보주노, 크라쿠프, 제슈프를 경유하는 E40의 폴란드 구간은 다음과 같다.[1]구간 | 주요 경유지 |
---|---|
A4 고속도로 | 즈고젤레츠 - 볼레스와비에츠 (E36) - 레그니차 (E65) - 브로츠와프 (E67) - 오폴레 - 글리비체 - 카토비체 - 미슬로비체 (E75, E462와 중복) - 크라쿠프 (E77, E462와 중복) - 제슈프 (E371) - 코르초바 |
4 | 제슈프, 야로스와프 |
77 | 야로스와프, 프셰미실, Korczowa |
4 | 프셰미실, Korczowa |
2. 5. 우크라이나
구간 | 주요 경로 |
---|---|
М-11 | 모스티스카, 호로도크, 르비우 |
М-06 | 르비우, 브로디, 라디빌리우, 두브노, 리우네, 코레츠, 즈뱌헬, 지토미르, 코로스티시우, 키이우 |
М-03 | 키이우, 보리스필, 야호틴, 피리아틴, 루브니, 하롤, 폴타바, 하르키우, 추후이우, 이줌, 슬로우얀스크, 바흐무트 |
М-04 | 데발체베, 루한스크, 크라키베츠 - 리비우(E372영어, E471영어), 두브노 (E85), 리브네 - 지토미르 (E583), 키이우 (E95 / E101), 루브니 - 폴타바 (E584), 하르키우 (E105), 슬로비얀스크 - 데발체베 (E50), 데발체베 (E50) - 루한스크 - 이즈바리네 |
2. 6. 러시아
볼고그라드를 시점으로, М21 카멘스크샤흐틴스키, 벨라야칼리트바, 모로조브스크, 수로비키노, 칼라치나도누, 볼고그라드, М6 나리마노브, 아스트라한을 거쳐 А340 고속도로와도 연결된다. 주요 경유 도로는 다음과 같다.도로 번호 | 구간 |
---|---|
R260 | 도네츠크 - 카멘스크샤흐틴스키 (E40) - 볼고그라드 (E119) |
P22[1] | 볼고그라드 (E119와의 중복 구간 시작) - 아스트라한 (E119와의 중복 구간 종료) |
12A-235 | 아스트라한 - 크라스니 야르 |
2. 7. 카자흐스탄
- 아티라우, 비노이
- А 27|A27kk: 코트야예브카 - 아티라우 (E121과의 중복 구간 시작) - 도소르
- А 33|A33kk: 도소르 - 베이네우 (E121과의 중복 구간 종료)
- Р 1|P1kk: 베이네우 (E121) - 아크지기트 - 우즈베키스탄 국경
2. 8. 우즈베키스탄
쿤그라드, 누쿠스를 경유한다.[1]2. 9. 투르크메니스탄
2. 10.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간을 통과한다.도로 번호 | 주요 경로 |
---|---|
М37 | 부하라, 나보이, 사마르칸트 |
M39 | 사마르칸트, 지자크, 타슈켄트, 시르다리야 (E123 합류 시작), 치노즈, 기쉬트쿠프릭, 카자흐스탄 국경 |
4P159 도로 | 투르크메니스탄 국경 - 쇼보트 - 우르겐치 |
4P156 도로 | 우르겐치 - 하자라스프 |
A380 도로 | 4P156 도로 - 부하라 |
A373 도로 | 사르도바 - 오칼틴 |
M34 도로 | 오칼틴 - 시르다리야 |
2. 11. 카자흐스탄
2. 12. 키르기스스탄
- 비슈케크
- ЭМ-03 도로: 카자흐스탄 국경 - 찰도바르 - 카라발타
- ЭМ-04 도로: 카라발타 - 비슈케크 (E010, E125와 중복)
- ЭМ-02 도로: 비슈케크 우회 도로
- ЭМ-01 도로: 비슈케크 - 카자흐스탄 국경
2. 13. 카자흐스탄
유럽 고속도로 40호선은 카자흐스탄에서 다음 경로를 거친다.3. 한국과의 관계
유럽 고속도로 40호선은 유라시아 대륙의 동서를 잇는 주요 교통망으로, 대한민국과 직접 연결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한국의 대외 관계 및 경제 협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