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수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럽 수구 선수권 대회는 유럽 수영 연맹(LEN)이 주최하는 수구 대회로, 1926년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남자부 경기는 1926년부터, 여자부 경기는 1985년부터 시작되었다. 헝가리가 남자부에서 13회, 여자부에서 16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헝가리와 네덜란드는 남녀부 모두 가장 많은 대회에 참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구 대회 - 올림픽 수구
올림픽 수구는 하계 올림픽의 정식 종목으로 남자 경기는 1900년, 여자 경기는 2000년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7명의 선수로 구성된 두 팀이 4쿼터 동안 공을 상대팀 골대에 넣어 득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헝가리와 미국이 각각 남자와 여자 수구에서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했다. - 유럽의 스포츠 -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는 유럽 유도 연맹 주관으로 시작되어 남자 개인전 위주로 진행되다가 여자부 경기와 혼성 단체전이 추가되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종목과 연령대별 대회를 통해 유럽 유도 발전에 기여하는 유럽 최고 권위의 유도 대회이다. - 유럽의 스포츠 - 유럽 수영 선수권 대회
유럽 수영 선수권 대회는 유럽 국가들이 참가하는 국제 수영 대회로, 수구 종목이 분리된 후 수영, 다이빙, 아티스틱 스위밍, 오픈 워터 스위밍, 하이 다이빙 등의 종목으로 구성되며, 동독, 헝가리, 러시아, 이탈리아 등이 메달 순위에서 강세를 보인다. - 1926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혼바쇼
혼바쇼는 스모의 공식 토너먼트를 지칭하며 에도 시대부터 주요 도시에서 개최되어 일본 스모 협회 설립 후 연간 6회 홀수 달에 15일간 진행되고 각 등급별 우승자를 가린다. - 1926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유럽 수영 선수권 대회
유럽 수영 선수권 대회는 유럽 국가들이 참가하는 국제 수영 대회로, 수구 종목이 분리된 후 수영, 다이빙, 아티스틱 스위밍, 오픈 워터 스위밍, 하이 다이빙 등의 종목으로 구성되며, 동독, 헝가리, 러시아, 이탈리아 등이 메달 순위에서 강세를 보인다.
유럽 수구 선수권 대회 | |
---|---|
대회 정보 | |
종목 | 수구 |
창설 | 1926년 |
관할 | 유럽 수영 연맹(LEN) |
최근 시즌 | 2024년 |
최다 우승 | 남자: 헝가리 수구 국가대표팀(13회) |
현재 챔피언 | 남자: 스페인 수구 국가대표팀(1회) |
2. 역사
유럽 수구 선수권 대회의 역사는 1926년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첫 대회로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헝가리가 1926년부터 1938년까지 5회 연속 우승하며 독보적인 강세를 보였다. 1947년에는 이탈리아가 첫 우승을 차지하며 헝가리의 독주를 막았다.
1950년대부터 1991년까지는 헝가리, 유고슬라비아, 소련이 번갈아 가며 우승하는 경쟁 구도가 이어졌다. 소련은 1966년, 1970년, 1983년, 1985년, 1987년에 우승하며 강팀으로 부상했다. 서독은 1981년과 1989년에 우승했다. 1991년 대회에서는 유고슬라비아가 금메달을 획득하며 이 시기의 경쟁은 막을 내렸다.
1991년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등 여러 국가들이 독립하여 대회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헝가리, 이탈리아, 스페인 등이 강세를 이어갔으며, 세르비아는 2006년부터 2018년까지 5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새로운 강자로 떠올랐다.
2. 1. 초기 (1926~1947)
European Water Polo Championship영어의 초기 역사는 1926년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시작되었다. 첫 대회에서는 헝가리가 금메달, 스웨덴이 은메달, 독일이 동메달을 차지했다.[1] 1927년 이탈리아 볼로냐에서 열린 두 번째 대회에서도 헝가리가 금메달을 획득했고, 프랑스와 벨기에가 각각 은메달과 동메달을 차지했다.초기 대회는 헝가리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헝가리는 1926년부터 1938년까지 5회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초기 유럽 수구계를 지배했다. 1947년 모나코 몬테카를로에서 열린 대회에서는 이탈리아가 첫 우승을 차지하며 헝가리의 독주를 막았다.
팀 | 1926년 (4) | 1927년 (12) | 1931년 (7) | 1934년 (10) | 1938년 (7) | 1947년 (10) |
---|---|---|---|---|---|---|
align=left| | • | 6위 | 3위 | • | • | 10위 |
align=left| | 4위 | 3위 | 4위 | 3위 | 4위 | 3위 |
align=left| | • | 7위 | 5위 | 8위 | • | 9위 |
align=left| | • | 2위 | 6위 | 6위 | 6위 | 7위 |
3위 | 5위 | 2위 | 2위 | 2위 | • | |
align=left| | • | 8위 | • | • | 7위 | 6위 |
align=left| | 1위 | 1위 | 1위 | 1위 | 1위 | 4위 |
align=left| | • | 12위 | • | 10위 | 5위 | 1위 |
align=left| | • | 11위 | • | 9위 | 3위 | 5위 |
align=left| | • | 10위 | • | 7위 | • | • |
align=left| | 2위 | 4위 | 7위 | 4위 | • | 2위 |
align=left| | • | 9위 | • | 5위 | • | 8위 |
2. 2. 헝가리, 유고슬라비아, 소련의 경쟁 (1950~1991)
1950년 빈에서 열린 대회에서는 네덜란드가 금메달, 스웨덴이 은메달, 유고슬라비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1] 1954년 토리노 대회에서는 헝가리가 금메달, 유고슬라비아가 은메달, 이탈리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1] 1958년 부다페스트 대회에서는 헝가리가 다시 금메달을 차지했고, 유고슬라비아가 은메달, 소련이 동메달을 획득했다.[1]1962년 라이프치히 대회에서 헝가리는 또다시 금메달을 차지했고, 소련과 유고슬라비아가 공동 은메달을 획득했다.[1] 1966년 위트레흐트 대회에서는 소련이 금메달, 동독이 은메달, 유고슬라비아가 동메달을 차지했다.[1] 1970년 바르셀로나 대회에서는 소련이 다시 금메달을 획득했고, 헝가리가 은메달, 유고슬라비아가 동메달을 차지했다.[1]
1974년 빈 대회에서는 헝가리가 금메달, 소련이 은메달, 유고슬라비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1] 1977년 옌셰핑 대회에서 헝가리는 다시 금메달을 차지했고, 유고슬라비아가 은메달, 이탈리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1] 1981년 스플리트 대회에서는 서독이 금메달, 소련이 은메달, 헝가리가 동메달을 차지했다.[1]
1983년 로마 대회에서는 소련이 금메달, 헝가리가 은메달, 스페인이 동메달을 획득했다.[1] 1985년 소피아 대회에서 소련은 다시 금메달을 차지했고, 유고슬라비아가 은메달, 서독이 동메달을 획득했다.[1] 1987년 스트라스부르 대회에서는 소련이 또다시 금메달을 획득했고, 유고슬라비아가 은메달, 이탈리아가 동메달을 차지했다.[1]
1989년 본 대회에서는 서독이 금메달, 유고슬라비아가 은메달, 이탈리아가 동메달을 차지했다.[1] 1991년 아테네 대회에서는 유고슬라비아가 금메달, 스페인이 은메달, 소련이 동메달을 획득하며 이 시기의 경쟁 구도가 마무리되었다.[1]
연도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1950 | 네덜란드 | 스웨덴 | 유고슬라비아 |
1954 | 헝가리 | 유고슬라비아 | 이탈리아 |
1958 | 헝가리 | 유고슬라비아 | 소련 |
1962 | 헝가리 | 소련 유고슬라비아 | - |
1966 | 소련 | 동독 | 유고슬라비아 |
1970 | 소련 | 헝가리 | 유고슬라비아 |
1974 | 헝가리 | 소련 | 유고슬라비아 |
1977 | 헝가리 | 유고슬라비아 | 이탈리아 |
1981 | 서독 | 소련 | 헝가리 |
1983 | 소련 | 헝가리 | 스페인 |
1985 | 소련 | 유고슬라비아 | 서독 |
1987 | 소련 | 유고슬라비아 | 이탈리아 |
1989 | 서독 | 유고슬라비아 | 이탈리아 |
1991 | 유고슬라비아 | 스페인 | 소련 |
2. 3.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1991~현재)
팀 | 1993년 (12) | 1995년 (12) | 1997년 (12) | 1999년 (12) | 2001년 (12) | 2003년 (12) | 2006년 (12) | 2008년 (12) | 2010년 (12) | 2012년 (12) | 2014년 (12) | 2016년 (16) | 2018년 (16) | 2020년 (16) | 2022년 (16) | 2024년 (16) |
---|---|---|---|---|---|---|---|---|---|---|---|---|---|---|---|---|
크로아티아 | 5위 | 4위 | 4위 | 2위 | 4위 | 2위 | 7위 | 4위 | 1위 | 9위 | 5위 | 7위 | 3위 | 4위 | 1위 | 2위 |
조지아 | • | • | • | • | • | • | • | • | • | • | 12위 | 14위 | 13위 | 10위 | 8위 | 10위 |
독일 | 9위 | 3위 | 10위 | 8위 | 9위 | 6위 | 8위 | 6위 | 6위 | 5위 | 9위 | 11위 | 9위 | 9위 | 13위 | 12위 |
그리스 | 7위 | 9위 | 7위 | 4위 | 7위 | 8위 | 6위 | 6위 | 11위 | 9위 | 6위 | 4위 | 5위 | 7위 | 5위 | 5위 |
헝가리 | 2위 | 2위 | 1위 | 1위 | 3위 | 3위 | 2위 | 3위 | 4위 | 3위 | 2위 | 3위 | 8위 | 1위 | 2위 | 4위 |
이스라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위 | 16위 |
이탈리아 | 1위 | 1위 | 6위 | 3위 | 2위 | 9위 | 5위 | 5위 | 2위 | 4위 | 3위 | 6위 | 4위 | 6위 | 4위 | 3위 |
몰타 | • | • | • | • | • | • | • | • | • | • | • | 15위 | 16위 | 16위 | 14위 | 15위 |
몬테네그로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 [1] | 1위 | 5위 | 2위 | 4위 | 2위 | 6위 | 3위 | 7위 | 6위 | |||||
네덜란드 | 8위 | 10위 | 9위 | 12위 | 10위 | 11위 | 10위 | • | • | 10위 | • | 12위 | 10위 | 15위 | 11위 | 11위 |
북마케도니아 | • | • | • | • | • | • | • | 8위 | 12위 | 11위 | • | • | • | • | • | • |
루마니아 | 4위 | 11위 | • | 9위 | 11위 | 10위 | 4위 | 9위 | 7위 | 8위 | 8위 | 10위 | 11위 | 11위 | 10위 | 8위 |
러시아 | 6위 | 6위 | 3위 | 5위 | 5위 | 4위 | 9위 | 10위 | 11위 | • | 11위 | 8위 | 7위 | 8위 | DQ | DQ |
세르비아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1위 | 2위 | 3위 | 1위 | 1위 | 1위 | 1위 | 5위 | 9위 | 7위 |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 | • | 2위 | 7위 | 1위 | 1위 | 해체 | |||||||||
슬로바키아 | 10위 | • | 8위 | 10위 | 8위 | 7위 | 11위 | 12위 | • | • | • | 13위 | 14위 | 14위 | 15위 | 13위 |
슬로베니아 | • | • | • | 11위 | • | 12위 | 12위 | • | • | • | • | • | • | • | 16위 | 14위 |
스페인 | 3위 | 5위 | 5위 | 6위 | 6위 | 5위 | 3위 | 7위 | 7위 | 8위 | 7위 | 5위 | 2위 | 2위 | 3위 | 1위 |
튀르키예 | • | • | • | • | • | • | • | • | • | 10위 | 12위 | • | 16위 | 15위 | 12위 | • |
우크라이나 | 11위 | 7위 | 11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몬테네그로는 2006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가 해체된 후 처음으로 대회에 참가했다.
3. 남자부 경기 결과
3. 1. 역대 메달 순위
wikitext
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헝가리 | 13 | 7 | 7 | 27 |
세르비아[1] | 5 | 1 | 1 | 7 |
소련 | 5 | 6 | 2 | 13 |
이탈리아 | 4 | 6 | 10 | 20 |
스페인 | 3 | 5 | 5 | 13 |
크로아티아 | 2 | 3 | 1 | 6 |
유고슬라비아[1] | 1 | 7 | 4 | 12 |
러시아 | 2 | 3 | 2 | 7 |
독일1 | 1 | 3 | 4 | 8 |
몬테네그로 | 1 | 2 | 1 | 4 |
네덜란드 | 1 | 0 | 1 | 2 |
그리스 | 0 | 1 | 1 | 2 |
스웨덴 | 0 | 3 | 0 | 3 |
동독 | 0 | 1 | 0 | 1 |
벨기에 | 0 | 0 | 3 | 3 |
오스트리아 | 0 | 0 | 1 | 1 |
'''각주'''
- 1 서독과 동독으로 분리되었다가 통일되었다.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 해체되면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세르비아 등으로 분리되었다.
3. 2. 참가국 현황
팀 | 참가 횟수 | 년도 |
---|---|---|
오스트리아 | 9 | 1931, 1947, 1950, 1954, 1958, 1974, 1995 |
벨기에 | 11 | 1926, 1927, 1931, 1934, 1938, 1947, 1954, 1958, 1962, 1966, 1970 |
불가리아 | 7 | 1958, 1966, 1985, 1987, 1989, 1991, 1995 |
크로아티아 | 16 |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2022, 2024 |
체코슬로바키아 | 7 | 1927, 1931, 1934, 1947, 1966, 1989, 1991 |
덴마크 | 1 | 1991 |
핀란드 | 1 | 1970 |
프랑스 | 19 | 1927, 1931, 1934, 1938, 1947, 1950, 1954, 1958, 1970, 1974, 1987, 1989, 1991, 2001, 2014, 2016, 2018, 2020, 2024 |
조지아 | 6 | 2014, 2016, 2018, 2020, 2022, 2024 |
독일 서독 | 33 | 1926, 1927, 1931, 1934, 1938, 1954, 1958, 1966, 1970, 1974, 1977,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2022, 2024 |
동독 | 3 | 1958, 1962, 1966 |
영국 | 10 | 1927, 1938, 1947, 1954, 1958, 1962, 1966, 1991, 1993, 2012 |
그리스 | 20 | 1970, 1985,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2022, 2024 |
헝가리 | 35 | 1926, 1927, 1931, 1934, 1938, 1947, 1954, 1958, 1962, 1966, 1970, 1974, 1977,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2022, 2024 |
아일랜드 | 2 | 1966, 1970 |
이스라엘 | 2 | 2022, 2024 |
이탈리아 | 34 | 1927, 1934, 1938, 1947, 1950, 1954, 1958, 1962, 1966, 1970, 1974, 1977,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2022, 2024 |
몰타 | 5 | 2016, 2018, 2020, 2022, 2024 |
몬테네그로 | 9 |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2022, 2024 |
네덜란드 | 30 | 1927, 1934, 1938, 1947, 1950, 1954, 1958, 1962, 1966, 1970, 1974, 1977,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12, 2016, 2018, 2020, 2022, 2024 |
북마케도니아 | 3 | 2008, 2010, 2012 |
폴란드 | 4 | 1958, 1962, 1989, 1991 |
루마니아 | 26 | 1954, 1962, 1966, 1970, 1974, 1977, 1981, 1983, 1987, 1989, 1991, 1993, 1995, 1999, 2001, 2003,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2022, 2024 |
러시아 | 13 |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6, 2010, 2012, 2016, 2018, 2020, 2022 |
세르비아 | 10 |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2022, 2024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4 | 1997, 1999, 2001, 2003 |
슬로바키아 | 12 | 1993, 1997, 1999, 2001, 2003, 2006, 2008, 2016, 2018, 2020, 2022, 2024 |
슬로베니아 | 5 | 1997, 2003, 2006, 2022, 2024 |
소련 | 13 | 1954, 1958, 1962, 1966, 1970, 1974, 1977,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
스페인 | 30 | 1927, 1934, 1954, 1958, 1970, 1974, 1977,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2022, 2024 |
스웨덴 | 10 | 1926, 1927, 1931, 1934, 1947, 1950, 1962, 1966, 1977, 1989 |
스위스 | 1 | 1950 |
튀르키예 | 7 | 1966, 1991, 2010, 2012, 2016, 2018, 2020 |
우크라이나 | 3 | 1993, 1995, 1997 |
유고슬라비아 | 17 | 1927, 1934, 1947, 1954, 1958, 1962, 1966, 1970, 1974, 1977,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
4. 여자부 경기 결과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참가 팀 수 |
---|---|---|---|---|---|
1985 | 오슬로, 노르웨이 | Nederlands waterpoloteam|네덜란드nl | Magyar női vízilabda-válogatott|헝가리hu | Deutsche Wasserballnationalmannschaft der Frauen|독일de | 8 |
1987 | 스트라스부르, 프랑스 | Nederlands waterpoloteam|네덜란드nl | Magyar női vízilabda-válogatott|헝가리hu | Équipe de France féminine de water-polo|프랑스프랑스어 | 7 |
1989 | 본, 서독 | Nederlands waterpoloteam|네덜란드nl | Magyar női vízilabda-válogatott|헝가리hu | Équipe de France féminine de water-polo|프랑스프랑스어 | 9 |
1991 | 아테네, 그리스 | Magyar női vízilabda-válogatott|헝가리hu | Nederlands waterpoloteam|네덜란드nl | Nazionale di pallanuoto femminile dell'Italia|이탈리아it | 8 |
1993 | 리즈, 영국 | Nederlands waterpoloteam|네덜란드nl | Женская сборная России по водному поло|러시아ru | Magyar női vízilabda-válogatott|헝가리hu | 12 |
1995 | 비엔나, 오스트리아 | Nazionale di pallanuoto femminile dell'Italia|이탈리아it | Magyar női vízilabda-válogatott|헝가리hu | Nederlands waterpoloteam|네덜란드nl | 12 |
1997 | 세비야, 스페인 | Nazionale di pallanuoto femminile dell'Italia|이탈리아it | Женская сборная России по водному поло|러시아ru | Nederlands waterpoloteam|네덜란드nl | 12 |
1999 | 프라토, 이탈리아 | Nazionale di pallanuoto femminile dell'Italia|이탈리아it | Nederlands waterpoloteam|네덜란드nl | Женская сборная России по водному поло|러시아ru | 8 |
2001 | 부다페스트, 헝가리 | Magyar női vízilabda-válogatott|헝가리hu | Nazionale di pallanuoto femminile dell'Italia|이탈리아it | Женская сборная России по водному поло|러시아ru | 8 |
2003 | 류블랴나, 슬로베니아 | Nazionale di pallanuoto femminile dell'Italia|이탈리아it | Magyar női vízilabda-válogatott|헝가리hu | Женская сборная России по водному поло|러시아ru | 8 |
2006 | 베오그라드, 세르비아 | Женская сборная России по водному поло|러시아ru | Nazionale di pallanuoto femminile dell'Italia|이탈리아it | Magyar női vízilabda-válogatott|헝가리hu | 8 |
2008 | 말라가, 스페인 | Женская сборная России по водному поло|러시아ru | Selección femenina de waterpolo de España|스페인es | Magyar női vízilabda-válogatott|헝가리hu | 8 |
2010 | 자그레브, 크로아티아 | Женская сборная России по водному поло|러시아ru | Εθνική Ελλάδας υδατοσφαίρισης γυναικών|그리스el | Nederlands waterpoloteam|네덜란드nl | 8 |
2012 | 아인트호벤, 네덜란드 | Nazionale di pallanuoto femminile dell'Italia|이탈리아it | Εθνική Ελλάδας υδατοσφαίρισης γυναικών|그리스el | Magyar női vízilabda-válogatott|헝가리hu | 8 |
2014 | 부다페스트, 헝가리 | Selección femenina de waterpolo de España|스페인es | Nederlands waterpoloteam|네덜란드nl | Magyar női vízilabda-válogatott|헝가리hu | 8 |
2016 | 베오그라드, 세르비아 | Magyar női vízilabda-válogatott|헝가리hu | Nederlands waterpoloteam|네덜란드nl | Nazionale di pallanuoto femminile dell'Italia|이탈리아it | 12 |
2018 | 바르셀로나, 스페인 | Nederlands waterpoloteam|네덜란드nl | Εθνική Ελλάδας υδατοσφαίρισης γυναικών|그리스el | Selección femenina de waterpolo de España|스페인es | 12 |
2020 | 부다페스트, 헝가리 | Selección femenina de waterpolo de España|스페인es | Женская сборная России по водному поло|러시아ru | Magyar női vízilabda-válogatott|헝가리hu | 12 |
2022 | 스플리트, 크로아티아 | Selección femenina de waterpolo de España|스페인es | Εθνική Ελλάδας υδατοσφαίρισης γυναικών|그리스el | Nazionale di pallanuoto femminile dell'Italia|이탈리아it | 12 |
2024 | 아인트호벤, 네덜란드 | Nederlands waterpoloteam|네덜란드nl | Selección femenina de waterpolo de España|스페인es | Εθνική Ελλάδας υδατοσφαίρισης γυναικών|그리스el | 16 |
2026 | 베오그라드, 세르비아 |
4. 1. 역대 메달 순위
순위 | 나라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1 | 16 | 12 | 12 | 40 | |
2 | 8 | 4 | 10 | 22 | |
3 | 7 | 4 | 4 | 15 | |
4 | 5 | 3 | 2 | 10 | |
5 | 5 | 1 | 1 | 7 | |
6 | 4 | 5 | 5 | 14 | |
7 | 3 | 3 | 4 | 10 | |
8 | 2 | 3 | 1 | 6 | |
9 | 2 | 1 | 0 | 3 | |
10 | 2 | 0 | 2 | 4 | |
11 | 1 | 7 | 4 | 12 | |
12 | 1 | 2 | 1 | 4 | |
13 | 0 | 4 | 1 | 5 | |
14 | 0 | 3 | 2 | 5 | |
15 | 0 | 3 | 0 | 3 | |
16 | 0 | 1 | 2 | 3 | |
17 | 0 | 1 | 0 | 1 | |
18 | 0 | 0 | 3 | 3 | |
19 | 0 | 0 | 1 | 1 |
4. 2. 참가국 현황
팀 | 1985 | 1987 | 1989 | 1991 | 1993 | 1995 | 1997 | 1999 | 2001 | 2003 | 2006 | 2008 | 2010 | 2012 | 2014 | 2016 | 2018 | 2020 | 2022 | 2024 | 참가 횟수 |
---|---|---|---|---|---|---|---|---|---|---|---|---|---|---|---|---|---|---|---|---|---|
벨기에 | 5위 | 6위 | 9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
불가리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위 | 1 |
크로아티아 | 유고슬라비아의 일부 | • | • | • | • | • | • | • | • | 8위 | • | • | 11위 | 11위 | 10위 | 8위 | 8위 | 6 | |||
체코 | 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 | 11위 | 10위 | 12위 | • | • | • | • | • | • | • | • | • | • | • | • | 12위 | 4 | |||
프랑스 | 7위 | 3위 | 3위 | 4위 | 5위 | 5위 | 8위 | 8위 | 8위 | • | • | 8위 | • | • | 7위 | 7위 | 7위 | 7위 | 7위 | 6위 | 16 |
독일 서독 | 3위 | 4위 | 5위 | 6위 | 6위 | 7위 | 6위 | 7위 | 7위 | 7위 | 7위 | 7위 | 8위 | • | 8위 | 8위 | 11위 | 10위 | 11위 | 19 | |
영국 | 6위 | 7위 | • | 8위 | 8위 | 8위 | 10위 | • | • | • | • | • | • | 7위 | 8위 | • | • | • | • | 7위 | 9 |
그리스 | • | • | 7위 | 7위 | 7위 | 4위 | 7위 | 5위 | 4위 | 5위 | 6위 | 6위 | 2위 | 2위 | 6위 | 5위 | 2위 | 6위 | 2위 | 3위 | 18 |
헝가리 | 2위 | 2위 | 2위 | 1위 | 3위 | 2위 | 5위 | 4위 | 1위 | 2위 | 3위 | 3위 | 5위 | 3위 | 3위 | 1위 | 4위 | 3위 | 5위 | 5위 | 20 |
이스라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위 | 9위 | 6위 | 9위 | 4 |
이탈리아 | • | • | 4위 | 3위 | 4위 | 1위 | 1위 | 1위 | 2위 | 1위 | 2위 | 4위 | 4위 | 1위 | 4위 | 3위 | 6위 | 5위 | 3위 | 4위 | 18 |
네덜란드 | 1위 | 1위 | 1위 | 2위 | 1위 | 3위 | 3위 | 2위 | 5위 | 4위 | 5위 | 5위 | 3위 | 6위 | 2위 | 2위 | 1위 | 4위 | 4위 | 1위 | 20 |
노르웨이 | 4위 | 5위 | 6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
포르투갈 | • | • | • | • | • | 11위 | 11위 | • | • | • | • | • | • | • | • | 10위 | • | • | • | • | 3 |
루마니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위 | 14위 | 2 |
러시아 | 소련의 일부 | 2위 | 6위 | 2위 | 3위 | 3위 | 3위 | 1위 | 1위 | 1위 | 4위 | 5위 | 6위 | 5위 | 2위 | DQ | DQ | 14 | |||
세르비아 | 유고슬라비아의 일부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유고슬라비아의 일부 | 8위 | • | • | • | • | 9위 | 9위 | 12위 | 9위 | 10위 | 6 |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유고슬라비아 | 유고슬라비아의 일부 | • | • | 9위 | • | • | • | 해체 | 1 | ||||||||||||
슬로바키아 | 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 | 12위 | • | • | • | • | • | • | • | • | • | • | • | • | 8위 | 12위 | 15위 | 4 | |||
슬로베니아 | 유고슬라비아의 일부 | • | • | • | • | • | 8위 | • | • | • | • | • | • | • | • | • | • | 1 | |||
소련 | • | • | • | 5위 | 해체 | 1 | |||||||||||||||
스페인 | • | • | • | • | 9위 | 9위 | 4위 | 6위 | 6위 | 6위 | 4위 | 2위 | 6위 | 5위 | 1위 | 4위 | 3위 | 1위 | 1위 | 2위 | 16 |
스웨덴 | 8위 | • | 8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스위스 | • | • | • | • | 10위 | 12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튀르키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위 | 12위 | • | • | 13위 | 3 |
분류:유럽 수구 선수권 대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