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럽 수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럽 수구 선수권 대회는 유럽 수영 연맹(LEN)이 주최하는 수구 대회로, 1926년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남자부 경기는 1926년부터, 여자부 경기는 1985년부터 시작되었다. 헝가리가 남자부에서 13회, 여자부에서 16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헝가리와 네덜란드는 남녀부 모두 가장 많은 대회에 참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구 대회 - 올림픽 수구
    올림픽 수구는 하계 올림픽의 정식 종목으로 남자 경기는 1900년, 여자 경기는 2000년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7명의 선수로 구성된 두 팀이 4쿼터 동안 공을 상대팀 골대에 넣어 득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헝가리와 미국이 각각 남자와 여자 수구에서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했다.
  • 유럽의 스포츠 -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는 유럽 유도 연맹 주관으로 시작되어 남자 개인전 위주로 진행되다가 여자부 경기와 혼성 단체전이 추가되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종목과 연령대별 대회를 통해 유럽 유도 발전에 기여하는 유럽 최고 권위의 유도 대회이다.
  • 유럽의 스포츠 - 유럽 수영 선수권 대회
    유럽 수영 선수권 대회는 유럽 국가들이 참가하는 국제 수영 대회로, 수구 종목이 분리된 후 수영, 다이빙, 아티스틱 스위밍, 오픈 워터 스위밍, 하이 다이빙 등의 종목으로 구성되며, 동독, 헝가리, 러시아, 이탈리아 등이 메달 순위에서 강세를 보인다.
  • 1926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혼바쇼
    혼바쇼는 스모의 공식 토너먼트를 지칭하며 에도 시대부터 주요 도시에서 개최되어 일본 스모 협회 설립 후 연간 6회 홀수 달에 15일간 진행되고 각 등급별 우승자를 가린다.
  • 1926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유럽 수영 선수권 대회
    유럽 수영 선수권 대회는 유럽 국가들이 참가하는 국제 수영 대회로, 수구 종목이 분리된 후 수영, 다이빙, 아티스틱 스위밍, 오픈 워터 스위밍, 하이 다이빙 등의 종목으로 구성되며, 동독, 헝가리, 러시아, 이탈리아 등이 메달 순위에서 강세를 보인다.
유럽 수구 선수권 대회
대회 정보
종목수구
창설1926년
관할유럽 수영 연맹(LEN)
최근 시즌2024년
최다 우승남자: 헝가리 수구 국가대표팀(13회)
현재 챔피언남자: 스페인 수구 국가대표팀(1회)

2. 역사

유럽 수구 선수권 대회의 역사는 1926년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첫 대회로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헝가리가 1926년부터 1938년까지 5회 연속 우승하며 독보적인 강세를 보였다. 1947년에는 이탈리아가 첫 우승을 차지하며 헝가리의 독주를 막았다.

1950년대부터 1991년까지는 헝가리, 유고슬라비아, 소련이 번갈아 가며 우승하는 경쟁 구도가 이어졌다. 소련은 1966년, 1970년, 1983년, 1985년, 1987년에 우승하며 강팀으로 부상했다. 서독은 1981년과 1989년에 우승했다. 1991년 대회에서는 유고슬라비아가 금메달을 획득하며 이 시기의 경쟁은 막을 내렸다.

1991년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등 여러 국가들이 독립하여 대회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헝가리, 이탈리아, 스페인 등이 강세를 이어갔으며, 세르비아는 2006년부터 2018년까지 5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새로운 강자로 떠올랐다.

2. 1. 초기 (1926~1947)

European Water Polo Championship영어의 초기 역사는 1926년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시작되었다. 첫 대회에서는 헝가리가 금메달, 스웨덴이 은메달, 독일이 동메달을 차지했다.[1] 1927년 이탈리아 볼로냐에서 열린 두 번째 대회에서도 헝가리가 금메달을 획득했고, 프랑스벨기에가 각각 은메달과 동메달을 차지했다.

초기 대회는 헝가리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헝가리는 1926년부터 1938년까지 5회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초기 유럽 수구계를 지배했다. 1947년 모나코 몬테카를로에서 열린 대회에서는 이탈리아가 첫 우승을 차지하며 헝가리의 독주를 막았다.

1926년

(4)
1927년

(12)
1931년

(7)
1934년

(10)
1938년

(7)
1947년

(10)
align=left|6위3위10위
align=left|4위3위4위3위4위3위
align=left|7위5위8위9위
align=left|2위6위6위6위7위

3위5위2위2위2위
align=left|8위7위6위
align=left|1위1위1위1위1위4위
align=left|12위10위5위1위
align=left|11위9위3위5위
align=left|10위7위
align=left|2위4위7위4위2위
align=left|9위5위8위


2. 2. 헝가리, 유고슬라비아, 소련의 경쟁 (1950~1991)

1950년 에서 열린 대회에서는 네덜란드가 금메달, 스웨덴이 은메달, 유고슬라비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1] 1954년 토리노 대회에서는 헝가리가 금메달, 유고슬라비아가 은메달, 이탈리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1] 1958년 부다페스트 대회에서는 헝가리가 다시 금메달을 차지했고, 유고슬라비아가 은메달, 소련이 동메달을 획득했다.[1]

1962년 라이프치히 대회에서 헝가리는 또다시 금메달을 차지했고, 소련과 유고슬라비아가 공동 은메달을 획득했다.[1] 1966년 위트레흐트 대회에서는 소련이 금메달, 동독이 은메달, 유고슬라비아가 동메달을 차지했다.[1] 1970년 바르셀로나 대회에서는 소련이 다시 금메달을 획득했고, 헝가리가 은메달, 유고슬라비아가 동메달을 차지했다.[1]

1974년 대회에서는 헝가리가 금메달, 소련이 은메달, 유고슬라비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1] 1977년 옌셰핑 대회에서 헝가리는 다시 금메달을 차지했고, 유고슬라비아가 은메달, 이탈리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1] 1981년 스플리트 대회에서는 서독이 금메달, 소련이 은메달, 헝가리가 동메달을 차지했다.[1]

1983년 로마 대회에서는 소련이 금메달, 헝가리가 은메달, 스페인이 동메달을 획득했다.[1] 1985년 소피아 대회에서 소련은 다시 금메달을 차지했고, 유고슬라비아가 은메달, 서독이 동메달을 획득했다.[1] 1987년 스트라스부르 대회에서는 소련이 또다시 금메달을 획득했고, 유고슬라비아가 은메달, 이탈리아가 동메달을 차지했다.[1]

1989년 대회에서는 서독이 금메달, 유고슬라비아가 은메달, 이탈리아가 동메달을 차지했다.[1] 1991년 아테네 대회에서는 유고슬라비아가 금메달, 스페인이 은메달, 소련이 동메달을 획득하며 이 시기의 경쟁 구도가 마무리되었다.[1]

연도금메달은메달동메달
1950 네덜란드 스웨덴 유고슬라비아
1954 헝가리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1958 헝가리 유고슬라비아 소련
1962 헝가리 소련
유고슬라비아
-
1966 소련 동독 유고슬라비아
1970 소련 헝가리 유고슬라비아
1974 헝가리 소련 유고슬라비아
1977 헝가리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1981 서독 소련 헝가리
1983 소련 헝가리 스페인
1985 소련 유고슬라비아 서독
1987 소련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1989 서독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1991 유고슬라비아 스페인 소련


2. 3.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1991~현재)

1993년
(12)
1995년
(12)
1997년
(12)
1999년
(12)
2001년
(12)
2003년
(12)
2006년
(12)
2008년
(12)
2010년
(12)
2012년
(12)
2014년
(12)
2016년
(16)
2018년
(16)
2020년
(16)
2022년
(16)
2024년
(16)
크로아티아5위4위4위2위4위2위7위4위1위9위5위7위3위4위1위2위
조지아12위14위13위10위8위10위
독일9위3위10위8위9위6위8위6위6위5위9위11위9위9위13위12위
그리스7위9위7위4위7위8위6위6위11위9위6위4위5위7위5위5위
헝가리2위2위1위1위3위3위2위3위4위3위2위3위8위1위2위4위
이스라엘12위16위
이탈리아1위1위6위3위2위9위5위5위2위4위3위6위4위6위4위3위
몰타15위16위16위14위15위
몬테네그로세르비아 몬테네그로/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1]1위5위2위4위2위6위3위7위6위
네덜란드8위10위9위12위10위11위10위10위12위10위15위11위11위
북마케도니아8위12위11위
루마니아4위11위9위11위10위4위9위7위8위8위10위11위11위10위8위
러시아6위6위3위5위5위4위9위10위11위11위8위7위8위DQDQ
세르비아세르비아 몬테네그로/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1위2위3위1위1위1위1위5위9위7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2위7위1위1위해체
슬로바키아10위8위10위8위7위11위12위13위14위14위15위13위
슬로베니아11위12위12위16위14위
스페인3위5위5위6위6위5위3위7위7위8위7위5위2위2위3위1위
튀르키예10위12위16위15위12위
우크라이나11위7위11위

[1] 몬테네그로는 2006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가 해체된 후 처음으로 대회에 참가했다.

3. 남자부 경기 결과

순위선수국가시작종료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필리프 필리포비치Филип Филиповић|필리프 필리포비치sr[1]200320186118
2슬로보단 니키치Слободан Никић|슬로보단 니키치sr[1]200320165117
두스코 피예틀로비치Душко Пијетловић|두스코 피예틀로비치sr[1]200620185117
안드리야 프를라이노비치Андрија Прлаиновић|안드리야 프를라이노비치sr[1]200620185117
5지브코 고치치Живко Гоцић|지브코 고치치sr[1]200320165016
6밀란 알렉시치Милан Алексић|밀란 알렉시치sr[1]201020184015
스테판 미트로비치Стефан Митровић|스테판 미트로비치sr[1]201020184015
8밀로시 추크Милош Ћук|밀로시 추크sr[1]201220184004
머턴 호몬나이Homonnai Márton|머르톤 홈모너이hu192619344004
알로요스 케세뢰Keserű Alajos|얼라요시 케세뤼hu192619344004
브라니슬라브 미트로비치Бранислав Митровић|브라니슬라브 미트로비치sr[1]201220184004
요제프 베르테시Vértesy József|요제프 베르테시hu192619344004



3. 1. 역대 메달 순위

wikitext



'''각주'''

3. 2. 참가국 현황

참가 횟수년도
오스트리아91931, 1947, 1950, 1954, 1958, 1974, 1995
벨기에111926, 1927, 1931, 1934, 1938, 1947, 1954, 1958, 1962, 1966, 1970
불가리아71958, 1966, 1985, 1987, 1989, 1991, 1995
크로아티아16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2022, 2024
체코슬로바키아71927, 1931, 1934, 1947, 1966, 1989, 1991
덴마크11991
핀란드11970
프랑스191927, 1931, 1934, 1938, 1947, 1950, 1954, 1958, 1970, 1974, 1987, 1989, 1991, 2001, 2014, 2016, 2018, 2020, 2024
조지아62014, 2016, 2018, 2020, 2022, 2024
독일
서독
331926, 1927, 1931, 1934, 1938, 1954, 1958, 1966, 1970, 1974, 1977,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2022, 2024
동독31958, 1962, 1966
영국101927, 1938, 1947, 1954, 1958, 1962, 1966, 1991, 1993, 2012
그리스201970, 1985,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2022, 2024
헝가리351926, 1927, 1931, 1934, 1938, 1947, 1954, 1958, 1962, 1966, 1970, 1974, 1977,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2022, 2024
아일랜드21966, 1970
이스라엘22022, 2024
이탈리아341927, 1934, 1938, 1947, 1950, 1954, 1958, 1962, 1966, 1970, 1974, 1977,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2022, 2024
몰타52016, 2018, 2020, 2022, 2024
몬테네그로9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2022, 2024
네덜란드301927, 1934, 1938, 1947, 1950, 1954, 1958, 1962, 1966, 1970, 1974, 1977,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12, 2016, 2018, 2020, 2022, 2024
북마케도니아32008, 2010, 2012
폴란드41958, 1962, 1989, 1991
루마니아261954, 1962, 1966, 1970, 1974, 1977, 1981, 1983, 1987, 1989, 1991, 1993, 1995, 1999, 2001, 2003,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2022, 2024
러시아13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6, 2010, 2012, 2016, 2018, 2020, 2022
세르비아10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2022, 2024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41997, 1999, 2001, 2003
슬로바키아121993, 1997, 1999, 2001, 2003, 2006, 2008, 2016, 2018, 2020, 2022, 2024
슬로베니아51997, 2003, 2006, 2022, 2024
소련131954, 1958, 1962, 1966, 1970, 1974, 1977,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스페인301927, 1934, 1954, 1958, 1970, 1974, 1977,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2022, 2024
스웨덴101926, 1927, 1931, 1934, 1947, 1950, 1962, 1966, 1977, 1989
스위스11950
튀르키예71966, 1991, 2010, 2012, 2016, 2018, 2020
우크라이나31993, 1995, 1997
유고슬라비아171927, 1934, 1947, 1954, 1958, 1962, 1966, 1970, 1974, 1977,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4. 여자부 경기 결과

연도개최지금메달은메달동메달참가 팀 수
1985 오슬로, 노르웨이Nederlands waterpoloteam|네덜란드nlMagyar női vízilabda-válogatott|헝가리huDeutsche Wasserballnationalmannschaft der Frauen|독일de8
1987 스트라스부르, 프랑스Nederlands waterpoloteam|네덜란드nlMagyar női vízilabda-válogatott|헝가리huÉquipe de France féminine de water-polo|프랑스프랑스어7
1989 , 서독Nederlands waterpoloteam|네덜란드nlMagyar női vízilabda-válogatott|헝가리huÉquipe de France féminine de water-polo|프랑스프랑스어9
1991 아테네, 그리스Magyar női vízilabda-válogatott|헝가리huNederlands waterpoloteam|네덜란드nlNazionale di pallanuoto femminile dell'Italia|이탈리아it8
1993 리즈, 영국Nederlands waterpoloteam|네덜란드nlЖенская сборная России по водному поло|러시아ruMagyar női vízilabda-válogatott|헝가리hu12
1995 비엔나, 오스트리아Nazionale di pallanuoto femminile dell'Italia|이탈리아itMagyar női vízilabda-válogatott|헝가리huNederlands waterpoloteam|네덜란드nl12
1997 세비야, 스페인Nazionale di pallanuoto femminile dell'Italia|이탈리아itЖенская сборная России по водному поло|러시아ruNederlands waterpoloteam|네덜란드nl12
1999 프라토, 이탈리아Nazionale di pallanuoto femminile dell'Italia|이탈리아itNederlands waterpoloteam|네덜란드nlЖенская сборная России по водному поло|러시아ru8
2001 부다페스트, 헝가리Magyar női vízilabda-válogatott|헝가리huNazionale di pallanuoto femminile dell'Italia|이탈리아itЖенская сборная России по водному поло|러시아ru8
2003 류블랴나, 슬로베니아Nazionale di pallanuoto femminile dell'Italia|이탈리아itMagyar női vízilabda-válogatott|헝가리huЖенская сборная России по водному поло|러시아ru8
2006 베오그라드, 세르비아Женская сборная России по водному поло|러시아ruNazionale di pallanuoto femminile dell'Italia|이탈리아itMagyar női vízilabda-válogatott|헝가리hu8
2008 말라가, 스페인Женская сборная России по водному поло|러시아ruSelección femenina de waterpolo de España|스페인esMagyar női vízilabda-válogatott|헝가리hu8
2010 자그레브, 크로아티아Женская сборная России по водному поло|러시아ruΕθνική Ελλάδας υδατοσφαίρισης γυναικών|그리스elNederlands waterpoloteam|네덜란드nl8
2012 아인트호벤, 네덜란드Nazionale di pallanuoto femminile dell'Italia|이탈리아itΕθνική Ελλάδας υδατοσφαίρισης γυναικών|그리스elMagyar női vízilabda-válogatott|헝가리hu8
2014 부다페스트, 헝가리Selección femenina de waterpolo de España|스페인esNederlands waterpoloteam|네덜란드nlMagyar női vízilabda-válogatott|헝가리hu8
2016 베오그라드, 세르비아Magyar női vízilabda-válogatott|헝가리huNederlands waterpoloteam|네덜란드nlNazionale di pallanuoto femminile dell'Italia|이탈리아it12
2018 바르셀로나, 스페인Nederlands waterpoloteam|네덜란드nlΕθνική Ελλάδας υδατοσφαίρισης γυναικών|그리스elSelección femenina de waterpolo de España|스페인es12
2020 부다페스트, 헝가리Selección femenina de waterpolo de España|스페인esЖенская сборная России по водному поло|러시아ruMagyar női vízilabda-válogatott|헝가리hu12
2022 스플리트, 크로아티아Selección femenina de waterpolo de España|스페인esΕθνική Ελλάδας υδατοσφαίρισης γυναικών|그리스elNazionale di pallanuoto femminile dell'Italia|이탈리아it12
2024 아인트호벤, 네덜란드Nederlands waterpoloteam|네덜란드nlSelección femenina de waterpolo de España|스페인esΕθνική Ελλάδας υδατοσφαίρισης γυναικών|그리스el16
2026 베오그라드, 세르비아


4. 1. 역대 메달 순위

역대 메달 순위
순위나라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16121240
2841022
374415
453210
55117
645514
733410
82316
92103
102024
1117412
121214
130415
140325
150303
160123
170101
180033
190011


4. 2. 참가국 현황

19851987198919911993199519971999200120032006200820102012201420162018202020222024참가 횟수
벨기에5위6위9위3
불가리아16위1
크로아티아유고슬라비아의 일부8위11위11위10위8위8위6
체코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11위10위12위12위4
프랑스7위3위3위4위5위5위8위8위8위8위7위7위7위7위7위6위16
독일
서독
3위4위5위6위6위7위6위7위7위7위7위7위8위8위8위11위10위11위19
영국6위7위8위8위8위10위7위8위7위9
그리스7위7위7위4위7위5위4위5위6위6위2위2위6위5위2위6위2위3위18
헝가리2위2위2위1위3위2위5위4위1위2위3위3위5위3위3위1위4위3위5위5위20
이스라엘10위9위6위9위4
이탈리아4위3위4위1위1위1위2위1위2위4위4위1위4위3위6위5위3위4위18
네덜란드1위1위1위2위1위3위3위2위5위4위5위5위3위6위2위2위1위4위4위1위20
노르웨이4위5위6위3
포르투갈11위11위10위3
루마니아11위14위2
러시아소련의 일부2위6위2위3위3위3위1위1위1위4위5위6위5위2위DQDQ14
세르비아유고슬라비아의 일부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유고슬라비아의 일부8위9위9위12위9위10위6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유고슬라비아유고슬라비아의 일부9위해체1
슬로바키아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12위8위12위15위4
슬로베니아유고슬라비아의 일부8위1
소련5위해체1
스페인9위9위4위6위6위6위4위2위6위5위1위4위3위1위1위2위16
스웨덴8위8위2
스위스10위12위2
튀르키예12위12위13위3





분류:유럽 수구 선수권 대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