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윤취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취지는 1583년에 태어나 1644년에 사망한 조선 시대의 문신이다. 윤두수의 손자이자 윤흔의 아들로,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원종공신에 녹훈되었으며, 광해군과 인조 재위 기간 동안 여러 관직을 역임했다. 생원시에 합격하고 음서로 관직에 나아가 형조좌랑, 삼척부사, 안성군수, 연안부사 등을 지냈다. 인조 반정 이후 삼척부사로 부임했으며, 정묘호란 때 인조를 호종했다. 1644년 사망했으며, 윤치호, 윤보선 등의 선조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44년 사망 - 숭정제
    숭정제는 명나라의 마지막 황제로, 내우외환 속에서 명나라 멸망의 책임을 지고 자결했으며, 그의 죽음은 명나라 멸망을 상징하고 청나라의 중국 지배의 계기가 되었다.
  • 1644년 사망 - 도이 도시카쓰
    도이 도시카쓰는 에도 막부 초기에 도쿠가와 이에야스, 히데타다, 이에미쓰 3대 쇼군을 섬기며 막부의 정치, 행정, 재정 등 여러 분야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막번 체제 확립과 외교, 통화 제도 개혁에 기여했으나, 후반에는 정치적 영향력이 약화된 인물이다.
  • 1583년 출생 - 알브레히트 폰 발렌슈타인
    알브레히트 폰 발렌슈타인은 30년 전쟁 당시 신성 로마 제국 황제를 위해 활약한 보헤미아 출신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막대한 부와 권력을 축적했으나 독자적인 행보로 인해 암살당했다.
  • 1583년 출생 - 악셀 옥센셰르나
    악셀 옥센셰르나는 스웨덴의 정치가이자 외교관으로, 칼 9세, 구스타프 2세 아돌프, 크리스티나 여왕 시대를 거치며 스웨덴의 정치, 군사, 행정, 외교에 기여했으며, 덴마크와의 칼마르 전쟁 종식, 30년 전쟁에서의 스웨덴 지도, 베스트팔렌 조약 체결에 영향을 미쳤다.
  • 원종공신 - 윤호 (평정공)
    윤호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성종의 계비 정현왕후의 아버지이며 영원부원군에 봉해졌고, 우의정까지 올랐으나 결단력 부족으로 비판받기도 했으며, 아들 윤탕로와 함께 『파천집』과 『구급간이방』을 편찬했고 시호는 평정이다.
  • 원종공신 - 이수광
    이수광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실학자로, 문과 급제 후 여러 관직을 거치며 외교에도 참여했고, 『지봉유설』을 저술하여 실학의 선구자로 평가받았으며, 인조반정 후 이조판서를 역임하고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윤취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출생일1583년 2월 24일
사망일1644년 2월 18일 (향년 61세)
국적조선
가족 관계
아버지윤흔
어머니전주 이씨
형제여동생 해평 윤씨, 이복남동생 윤태지, 이복여동생 해평 윤씨
배우자전주 이씨
자녀아들 윤채
친척
조부윤두수
조모황씨
손자윤세겸
증손자윤발
현손자윤득실
내손자윤취동
곤손자윤영렬
잉손자윤치소
운손자윤보선

2. 생애

윤취지는 1592년부터 1593년 할아버지 윤두수와 숙부 윤간 등이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할 때 일가를 따라 의주를 다녀왔다. 1623년 인조 반정으로 관직에 복귀하였다. 1644년 2월 18일에 사망했다.

2. 1. 가계 배경

1583년(선조 16년) 윤 2월 24일 윤두수의 손자이자 병자호란, 정묘호란 때 호성공신인 도제 윤흔과 부인 전주 이씨의 아들로 태어났다. 선조의 부마 윤신지는 사촌으로, 백부 윤방의 아들이다. 종조부는 보국숭록대부 윤근수였고, 평안도 관찰사를 지낸 윤훤은 숙부였다. 어머니 전주 이씨는 도정 이혜의 딸로, 세조의 손자 월산대군의 4대손이다.

2. 2. 관직 생활

1604년(선조 37년) 호성원종공신(扈聖原從功臣) 3등에 책록되었다.

1610년(광해군 2년) 생원시에 입격하여 생원이 되고 이듬해 음서로 출사하였다. 1614년(광해군 6년) 8월 27일 위성원종공신 3등(衛聖原從功臣三等)에 책록되었다. 여러 벼슬을 거쳐 1617년(광해군 9년) 형조좌랑(刑曹佐郞)으로 승진했으나, 아버지 윤흔의 첩이 계축옥사의 칠서지변 관련자 서양갑의 누이라는 이유로 체차되었다. 1617년 11월 인목대비 폐모론에 반대하다가 파직당했으나, 후에 복직하여 1619년 9월 호조정랑이 되었다.

1623년(광해군 15년) 3월 인조 반정 후 다시 복직, 1623년 1월 삼척부사(三陟府使)로 부임하였다. 1625년(인조 3년) 2월 4일 평창군수(平昌郡守)로 부임했다가 그해 11월 23일 사복시첨정으로 돌아왔다. 그해 지방관에서 해임되어 중앙으로 온 관료들은 해임 사유를 보고해야 했으나, 중도 면직이 아닌 임기 만료로 잘못 기록한 일과 광해군 때 권신에게 아첨한 일로 정언 성여관(成汝寬)의 탄핵을 받고 면직되었다. 이어 성여관은 그가 탐관오리라며 다시 탄핵했으나, 인조가 이를 무마시켰다.

1631년 1월 다시 삼척부사에 재임명되어 부임했으며, 1632년(인조 10년) 사헌부가 음서로 관직에 오른 음관(蔭官)으로 지방관이 된 자들이 무능하다며 탄핵했으나, 인조가 그의 실적이 있음을 들어 거부하였다. 그해 6월 안성군수로 부임하였다. 1635년(인조 13년) 가의대부 행용양위부호군, 1637년 행사과(司果)로 정묘호란 당시 인조의 어가 피난을 호종하였다. 1637년 연안부사로 발령되었으나, 임지에 늦게 도착하여 비변사로부터 탄핵을 받았다.

그 뒤 동지중추부사로 승진, 가의대부가 되었다. 1640년 다시 연안부사가 되었다가 다시 동지중추부사로 전임되었다. 1642년 이천부사(利川府使)로 발령되었다. 1643년 봄과 여름의 인사고과에서 낮은 점수를 받아 해임되었다가, 그해 10월 16일 인조의 특명으로 춘하등 포폄(春夏等褒貶)에서 근무 성적 저조자의 직책을 돌려줄 때, 직첩을 돌려받았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할아버지윤두수
아버지윤흔
어머니전주 이씨월산대군의 4대손 도정 이혜의 딸
동생윤태지(尹泰之)관상감직장
계모영월 신씨부제학 신응시의 딸
부인전주 이씨
아들윤채(尹埰)1603년 - 1668년
손자윤세항(尹世恒)1652년 - ?
손자윤세정(尹世鼎)1660년 - ?
손자윤세겸1668년 6월 18일 - 1749년 9월 24일, 계몽사상가 윤치호의 5대조, 독립운동가 윤치영의 5대조, 서울시장, 4대 대통령 윤보선, 서울대 총장 윤일선의 6대조


4. 기타

윤영렬인조 때 안성군수를 지낸 윤취지의 5대손으로, 고종 때 안성군수를 지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