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도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도류는 두 개의 무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군사 역사에서 드물게 나타나지만 무술과 펜싱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대 로마의 검투사, 중세 및 르네상스 시대의 유럽,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 그리고 아시아의 다양한 무술 유파에서 이도류 기술이 존재했다. 특히 일본의 니텐 이치류와 같은 검술, 필리핀의 에스크리마, 중국 무술 등이 대표적이다. 현대 검도에서도 이도류가 사용되지만, 한국 검도에서는 학생들의 이도류 사용이 금지되기도 했다. 이 외에도 야구의 지명타자 제도와 같이 두 가지 역할을 겸하는 경우에도 비유적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검술 - 오륜서
    미야모토 무사시가 밀교의 오륜 사상을 바탕으로 자신의 유파인 니텐이치류의 검술과 전략, 철학을 담아 저술한 병법서인 오륜서는 땅, 물, 불, 바람, 공의 다섯 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 일본 검술 - 총검도
    총검도는 일본군이 프랑스군을 모방하여 도입한 총검술에서 유래되어 창술을 참고하여 발전한 일본 고유의 무도로, 소총에 착검한 총검을 사용하여 찌르는 기술을 겨루는 무도이다.
  • 검도 - 성동고등학교
    성동고등학교는 1906년 황성기독교청년회학관으로 설립되어 일제강점기 경성영창학교를 거쳐 1949년 성동공립중학교로 개교한 후 1951년 성동고등학교로 분리되었으며, 현재는 교과교실제, 고교학점제 운영 및 서울시교육청 인공지능 교육 선도학교로 선정되는 등 꾸준히 발전하며 학생 성장을 지원하는 서울특별시 성동구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이다.
  • 검도 - 배정고등학교
    1952년 배정학원으로 설립되어 1955년 배정고등학교로 인가받은 사립 고등학교는 부산에 위치하며, 1967년 중학교와 분리되어 독립 운영되고 있다.
  • 야구 용어 - 퍼펙트 게임
    퍼펙트 게임은 야구에서 투수가 9이닝 이상 동안 상대팀 타자 전원을 범타 처리하고 단 한 명도 출루시키지 않는 극히 드문 경기를 의미하며, MLB와 NPB에서는 각각 24차례와 16차례 기록되었으나 KBO에서는 아직 없다.
  • 야구 용어 - 메이크도라마
    메이크도라마는 일본 프로 야구에서 극적인 역전 우승을 묘사하는 신조어로, 1995년 나가시마 시게오 감독이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우승 의지를 담아 처음 사용했으며, 1996년 요미우리의 센트럴 리그 우승을 통해 사회적 유행어가 되었고, 2016년에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가 퍼시픽 리그에서 역전 우승을 달성하며 재조명되었다.
이도류
개요
종류무기술, 전투 기술
사용 목적훈련, 전투
특징양손에 각각 무기를 들고 사용
역사 및 문화
기원고대부터 다양한 문화권에서 존재
일본미야모토 무사시에 의해 발전된 검도의 유파인 니텐이치류 (二天一流)가 대표적임.
대중 문화다양한 소설, 만화, 게임 등에서 묘사됨.
기술적인 측면
장점공격과 방어의 다양성 증가, 상대방에게 혼란을 줄 수 있음.
단점높은 수준의 숙련도 요구, 균형 감각 및 양손 협응력 필요.
훈련 방법기본적인 무기 사용법 숙지 후 양손을 이용한 기술 연마.
현대적 응용
무술일부 현대 무술에서 응용되기도 함.
자기 방어특정한 상황에서 자기 방어 기술로 사용될 수 있음.

2. 역사

검은 조끼에 흰 셔츠, 검은 모자를 쓴 어린 소년이 오른손으로 권총을 높이 들고 왼손에 다른 권총을 늘어뜨리고 있다.
외젠 드라크루아의 그림 ''자유의 여신''에서 도시 프롤레타리아 소년이 권총을 이도류로 사용하고 있다.


이도류는 군사 역사에서 거의 사용되거나 언급되지 않았지만, 무기 기반 무술과 펜싱에서 나타난다.[2]

==== 서양 ====

고대 로마의 검투사 중에는 시카나 글라디우스 두 자루를 사용하는 디마카이루스(Dimachaerus)가 있었다.[3][4] 디마케루스는 근접 전투를 위해 장비를 갖추었다.[5] 디마케루스는 한 쌍의 시카 (굽은 검) 또는 글라디우스를 사용했으며, 방패 없이 무기를 사용하여 공격과 방어를 모두 하는 전투 스타일을 사용했다.[5][6]

비잔틴 시대,[7] 중세 시대, 르네상스 시대 동안 서유럽의 근접 전투에서 양손에 무기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언급되었다.[8] 레이피어와 함께 페링 대거 (메인 고쉬)를 사용하는 것은 역사적인 유럽 무술에서 흔하다.[9]

북아메리카 대서양 북동부의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은 주 손에는 토마호크를, 보조 손에는 나이프를 사용하는 형태를 사용했다. 오늘날에는 현대 크리족 무술 오키치타우의 일부로 수련된다.

위에 언급된 모든 예는 하나의 긴 무기와 하나의 짧은 무기 또는 두 개의 짧은 무기를 사용한다. 두 개의 사브르를 이도류로 사용하는 예는 우크라이나 코사크 댄스 호팍이다.

==== 아시아 ====

전통적인 일본 무술 유파에는 이도류 기술이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미야모토 무사시가 고안한 것으로, 카타나와 와키자시를 사용하는, 두 개의 검을 사용하는 검술 기술인 ''니텐 이치류''가 있다.

근대 중국 무술의 무기 나비 쌍칼


에스크리마는 필리핀의 전통 무술로, 두 개의 등나무 막대를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도블레 바스톤'' 기술과 에스파다 이 다가 또는 검/막대와 단검을 가르친다. 오키나와 무술에는 두 개의 ''사이''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중국 무술에는 한 쌍의 호접도와 구련환도의 사용이 포함된다.

가트카는 펀자브 지역의 무기 기반 무술로, 한 번에 두 개의 막대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태국의 무기 기반 무술 크라비 크라봉은 각 손에 별도의 ''크라비''를 사용하는 것이 포함된다.

칼라리파야투는 숙련된 학생들에게 두 개의 막대기 (다양한 크기) 또는 두 개의 단검 또는 두 개의 검을 동시에 사용하는 법을 가르친다.

==== 대한민국 ====

현대 검도에서는 성인이 이도류를 공식 시합에서 사용하는 것이 인정되지만, 사용자는 적다. 쇼와 초기에 학생들 사이에서 단체전에서 이도류 선수를 방어 일변도의 무승부 요원으로 활용하는 수단이 횡행했기 때문에, 일부 학생 대회에서는 이도류를 금지하게 되었다. 태평양 전쟁 후에 발족한 전일본검도연맹도 전례에 따라 학생의 이도류를 금지했고, 이도류를 배우는 사람은 매우 적어졌다.

2. 1. 서양

고대 로마의 검투사 중에는 시카나 글라디우스 두 자루를 사용하는 디마카이루스(Dimachaerus)가 있었다.[22] 바이킹은 검 두 자루 외에도 도끼와 검, 과 검처럼 서로 다른 종류의 무기를 양손에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이는 정식 기술이라기보다는 긴급 상황에서의 예외적인 사용법으로 여겨진다.[22] 중세 시대의 관련 문헌은 적어 불분명하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이도류 기술이 정식으로 연구되었지만, 검 두 자루를 휴대하는 것은 드물었고, 특수한 결투나 도장 훈련에서만 사용되었다는 설이 있다. 유럽의 서양 검술에서 레이피어와 만고슈(메인 고쉬)를 함께 사용하는 것은 매우 대중적이었다.[22] 이는 검은 오른손, 왼손은 방패로 방어한다는 개념에서 왼손의 방패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에서는 펜싱 기술로서 주 손으로 레이피어, 반대 손으로 단검을 다루는 방어 전문 기술이 있었는데, 이는 방패에 가까운 용도였다.[22] 컴패니언 웨폰은 레이피어나 검을 든 손과 반대편 손에 드는 방패나 패링 대거 등의 무기를 말한다. 만고슈에는 대형 가드가 달려 있거나 십수처럼 가드가 갈고리 모양으로 되어 있어 상대의 검을 막고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었다. 한손에 단검을 든 이도류는 장단 두 가지의 사거리를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

우크라이나의 전통 춤 호팍에는 두 개의 검을 사용하는 동작이 있다.

2. 2. 아시아

6세기에서 7세기 서기 동안의 무슬림 정복 시기에, 라시둔 칼리파조의 장군 할리드 이븐 알왈리드는 전투 중 양손에 하나씩 두 개의 넓은 검을 휘두르는 것을 선호했다고 전해진다.[10]

전통적인 일본 무술 유파에는 이도류 기술이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미야모토 무사시가 고안한 것으로, 카타나와 와키자시를 사용하는, 두 개의 검을 사용하는 검술 기술인 ''니텐 이치류''가 있다.

일본 검술의 이도류는 주로 주된 손에 혼사를, 반대쪽 손에 와키자시를 든 형태가 가장 많다. 이도를 중심으로 하는 유파는 적다. 이도류를 중시하는 유파로는 미야모토 무사시가 창시한 니텐이치류가 가장 유명하다.

이도검법의 기술은 많은 고무도에서 계승되고 있지만, 형태는 다양하며, 왼손에 타치(打刀)를 드는 경우나, 역수로 다루는 경우 (한쪽만 역수인 경우도 있으며, 당연히 다른 한쪽은 순수로 다룬다), 드물게는 두 자루의 와키자시를 사용하는 이도 코다치술 (야규 신간류, 텐도류 등)이나 이정 짓테, 이정 낫 등도 존재한다. 수리검술에서는 한 손에 칼을 쥐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다른 손으로 수리검을 던지는 기술도 있다. 한 손으로 하는 검술에 숙달하는 방법으로, 먼저 이도를 연습하여 익숙해지면 한 손으로 되돌리는 방법이 행해지기도 했다.

에스크리마는 필리핀의 전통 무술로, 두 개의 등나무 막대를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도블레 바스톤'' 기술과 에스파다 이 다가 또는 검/막대와 단검을 가르친다. 오키나와 무술에는 두 개의 ''사이''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중국이나 동남아시아의 영향을 많이 받은 류큐 고무술에서는 사이나 톤파 등의 무기를 양손에 하나씩 들고 사용한다.

중국 무술에는 한 쌍의 호접도와 구련환도의 사용이 포함된다.

|thumb|근대 중국 무술의 무기 나비 쌍칼]]

중국 검술에서는 쌍검, 쌍도, 동남아시아에서는 실랏, 에스크리마, 크라비 크라봉 등의 무술에서 이도류(동남아시아나 중국에서는 짧은 봉 2개, 단검 2개, 장단검 등 이도류의 다양한 변형이 많다)가 행해졌다.

엄청난 힘으로 유명한 전위는 중국 후한 말기 군벌 조조 휘하의 장군으로, 각각 40''근''으로 추정되는 한 쌍의 ''극''(할버드와 유사한 무기)을 휘두르는 데 뛰어났다.

진나라와 오호 십육국 시대에 살았던 군벌 진안은 각각 7''척''과 1''장'' 8''척''의 검과 사모를 양손에 휘둘렀다고 한다.

염위-후조 전쟁 동안, 중국의 단명한 염위 제국의 황제 염민은 양손에 각각 하나의 무기를 들고, 유명한 말 주룡("붉은 용")을 타고 맹렬하게 싸우며 선비족 병사들에게 많은 사상자를 냈다.

가트카는 펀자브 지역의 무기 기반 무술로, 한 번에 두 개의 막대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태국의 무기 기반 무술 크라비 크라봉은 각 손에 별도의 ''크라비''를 사용하는 것이 포함된다.

칼라리파야투는 숙련된 학생들에게 두 개의 막대기 (다양한 크기) 또는 두 개의 단검 또는 두 개의 검을 동시에 사용하는 법을 가르친다.

중동 이슬람권에서는 9세기의 아바스 왕조 시대에, 현재의 이란에서 반독립 정권 타히르 왕조를 수립한 무장 의 이름이 거론된다. 타히르는 애꾸눈의 무인으로 쌍칼을 즐겨 사용했으며, "두 개의 오른손을 가진 자"라는 별명으로 불렸다고 한다.

  • 니텐이치류(二天一流) (이도(二刀)가 주류)
  • 무사엔메이류(武蔵円明流)
  • 덴신쇼덴 카토리 신토류(天真正伝香取神道流)
  • 신카게류(新陰流)
  • 신교토류(心形刀流)
  • 류고류(柳剛流)
  • 카게야마류(影山流)
  • 오이시 신카게류(大石神影流)
  • 토쿠나가 소류(徳永双流)
  • 시부카와류(渋川流) (현존하는 히로시마 번(広島藩) 전래의 시부카와류에는 이도 검술이 전해지고 있다)
  • 신토무소류(神道夢想流杖術) (우치다치(打太刀)가 이도(二刀)의 형태가 있다)
  • 코마가와 카이신류(駒川改心流) (소도(小太刀)와 띠에 찬 상태의 태도(太刀)의 이도(二刀)로 료토 이아이즈메(両刀居合詰)라고 칭한다)
  • 다이토류 아이키 주주츠(大東流合気柔術)의 아이키 니토류(合気二刀流) (다이토류는 유술을 주체로 한 유파)
  • 야규 신간류(柳生心眼流) (갑주(甲冑) 쿠미우치(組討)를 주체로 한 종합 무술, 소도(小太刀)의 이도, 태도(太刀)와 칼집을 이용한 이도 등)
  • 텐도류(天道流) (소도(小太刀)의 이도(二刀)를 사용하는 기술이 있다)
  • 잇카쿠류 쥬주츠(一角流十手術) (짓테(十手)와 텟센(鐵扇)의 이도(二刀) 기법)
  • 아사야마 이덴류(浅山一伝流) (진가마술(陣鎌術)에 이정 가마(二丁鎌)를 사용하는 기술이 있다)
  • 니시오카 제신류(西岡是心流) (통상은 나가타치(長太刀)를 든 오른손에 소도(小太刀)를 든 특수한 이도류)
  • 니토 텟진류(二刀鉄人流)
  • 닛타 요시사다 - 태평기에서는 양손에 든 태도로 화살을 잇달아 쳐내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 야마구치 보쿠신사이 - 에도 시대 초기의 무예가.
  • 미야모토 무사시 - 에도 시대 초기의 검객. 엔메이류와 니텐이치류의 창시자.
  • 카사이 츄자에몬 - 이도류의 사용자로서 번 밖에도 알려진 히코네번 최고의 검호. 사쿠라다몬 밖의 변에서 분전했다.
  • 카츠라 하야노스케 - 교토 견회조의 일원으로 오미야 사건에 관여했다고 한다. 니시오카 제심류.
  • 핫토리 타케오 - 신선조 대원. 이후 고료에지. 아부라코지 사건에서는 두 칼로 분전했다.
  • 타카하시 센지로 - 막부 말기부터 메이지 시대의 검객. 타미야 신켄류.
  • 오쿠무라 사콘타 - 막부 말기부터 메이지 시대의 검객. 오쿠무라 이도류의 창시자.
  • 미츠하시 칸이치로 - 막부 말기부터 메이지 시대의 검객. 무사시류. "게의 미츠하시"라는 이명을 얻었다.
  • 오쿠무라 토라키치 - 오쿠무라 사콘타와 미츠하시 칸이치로로부터 이도류 면허개전을 받았다.

2. 2. 1. 대한민국

현대 검도에서는 성인이 이도류를 공식 시합에서 사용하는 것이 인정되지만, 사용자는 적다. 쇼와 초기에 학생들 사이에서 단체전에서 이도류 선수를 방어 일변도의 무승부 요원으로 활용하는 수단이 횡행했기 때문에, 일부 학생 대회에서는 이도류를 금지하게 되었다. 태평양 전쟁 후에 발족한 전일본검도연맹도 전례에 따라 학생의 이도류를 금지했고, 이도류를 배우는 사람은 매우 적어졌다. 전통의 단절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어, 1992년 (헤이세이 4년)에 대학 검도에서는 해금되었다. 현재는 도쿠시마현 경찰의 야마나 노부유키가 이도류의 사용자로서 알려져 있다[20]

시합에서는 기본적으로는 소태도로 적의 공격을 흘려내고, 대도로 친다. 대도는 일반적인 것보다 짧은 죽도를 사용한다. 소태도는 방어와 자세 무너뜨리기가 중심이며, 완벽한 형태로 이루어지면 소태도의 타격도 유효타가 되는 경우도 있지만, 간격이 짧은 소태도로 완벽한 타격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며, 대도에서의 타격에 비해 판정 자체도 엄격해지므로, 사실상 유효타로 인정되지 않는다는 인식이 일반적이다. 과거에는 이도류 상대에 대해서는 가슴 찌르기가 인정되었던 시기가 있었지만, 1995년의 규칙 개정 이후에는 인정되지 않는다.

3. 대중문화

닌자 거북이에서는 레오나르도가 두 개의 카타나로, 라파엘이 두 개의 사이로, 미켈란젤로가 두 개의 눈차크를 사용하는 이도류를 선보인다. 때때로, 그들의 숙적인 슈레더는 다양한 무기로 이도류를 사용한다. 원령공주에서는 에보시 부인이 카타나와 비녀를 사용해 이도류를 구사한다.

마블 코믹스에서는 데드풀이 두 개의 카타나, 나이트크롤러가 두 개의 사브르, 엘렉트라가 두 개의 사이, 블랙 위도우가 두 개의 권총과 두 개의 배턴을 사용해 이도류를 선보인다. DC 코믹스에서는 딕 그레이슨바바라 고든이 두 개의 배턴으로 이도류를 사용한다.

스타워즈 프랜차이즈에서는 아나킨 스카이워커, 아소카 타노, 그리버스 장군을 포함한 많은 등장인물이 두 개 이상의 광선검으로 이도류를 사용한다. 스타워즈: 클론 전쟁에서는 팰퍼틴과 그의 전 제자인 다스 몰이 각각 두 개의 광선검으로 이도류를 사용한다. 또한, 장고 펫과 보-카탄 크라이즈를 포함한 캐릭터들이 두 개의 블래스터 권총으로 이도류를 구사한다.

헤일로 프랜차이즈는 헤일로 2헤일로 3부터 이도류 무기를 허용한다. 나니아 연대기: 사자, 마녀, 그리고 옷장에서는 고귀한 켄타우로스 장군인 오레이우스가 두 개의 장검으로 이도류를 사용하고, 압제적인 하얀 마녀 또한 같은 방식으로 이도류를 사용한다. 또한, 미노타우로스 장군 오트민은 팔치온 검과 전투 도끼로 이도류를 사용한다.

엽문 3에서는 엽문과 장진지가 나비칼로 이도류를 사용한다. 호빗반지의 제왕에서는 덕망있는 마법사 간달프가 마법 지팡이와 신비로운 장검으로 이도류를 사용한다.

미이라 2에서는 모험심 넘치는 이집트학자인 에블린 오코넬과 배신적인 안크-수-나문이 두 개의 사이로 이도류를 사용한다. 캐리비안의 해적에서는 잭 스패로우, 윌 터너, 엘리자베스 스완을 포함한 캐릭터들이 두 개의 검으로 이도류를 사용한다.

무술 영화 와호장룡에서는 양자경이 유슈리엔 역을 맡아 두 개로 갈라지는 도 검과 두 개의 갈고리 검으로 이도류를 구사한다. 삼총사에서는 많은 등장인물이 레이피어단검으로 이도류를 구사한다.

마이티 몰핀 파워 레인저스에서는 토미 올리버가 검과 단검으로 이도류를 사용한다. 로빈 훗에서는 두 개의 스치미터로 이도류를 사용하는 사라센 암살자인 나시르가 등장한다.

아바타: 아앙의 전설에서는 주코가 두 개의 도 검, 제트가 두 개의 갈고리 검, 수키가 두 개의 전투 부채, 소카마체테와 클럽 또는 부메랑으로 이도류를 사용한다. 트랜스포머에서는 옵티머스 프라임옵티머스 프라이멀을 포함한 많은 등장인물이 두 개의 검으로 이도류를 사용한다.

쿵푸 허슬에서는 돼지촌의 겸손한 재단사가 쇠고리로 이도류를 사용한다. 파워레인저 정글 퓨리에서는 케이시 로데스가 두 개의 눈차크와 두 개의 도 검 테마의 샤크 세이버, 테오 마틴이 두 개의 톤파와 두 개의 테산 테마의 정글 팬, 카밀이 두 개의 사이로 이도류를 사용한다.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무술 영화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에서는 텐 링즈가 원우, 즉 만다린의 MCU 버전과 그의 아들인 샹치에 의해 이도류로 사용된다. 뮤지컬 버전의 라이온 킹에서는 무파사와 그의 아들 심바가 두 개의 아크라페나 검으로 이도류를 사용하여 싸운다.

툼 레이더 프랜차이즈의 여주인공인 라라 크로프트는 두 개의 권총으로 이도류를 사용한다. 데빌 메이 크라이 시리즈의 주인공인 단테는 에보니 & 아이보리라는 두 개의 권총으로 이도류를 사용한다. 소드 아트 온라인의 주인공인 키리토는 비슷한 길이의 검 두 자루를 동시에 휘두르는 것으로 유명하다.

4. 비유적 표현

야구에서 지명타자 제도를 사용하는 경우 투수와 야수(또는 지명타자)를 겸임하는 선수를 '이도류'(Two-way player)라고 부른다. 부터 오타니 쇼헤이의 도전이 일본과 미국 양국에서 화제를 모았다.


  • 서부극 등에서 동시에 두 정의 권총을 다루는 것을 "쌍권총"이라고 부른다.
  • 속어, 은어로는 양성애자(주로 남성)를 이도류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 술과 단맛을 모두 좋아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 유도나 가라테, 복싱 등에서 좌우 양쪽의 자세나 굳히기로 싸울 수 있는 선수, 즉 스위치 히터를 지칭한다. 노니토 도네어는 미야모토 무사시를 존경하여 이도류로 활약하고 있다.
  • 축구에서는 필드 플레이어와 골키퍼의 겸임을 지칭하기도 하지만, 통상적인 국제 경기에서는 겸임이 인정되지 않는다.
  • 야구의 플레잉 코치도 이도류라고 할 수 있다.
  • 히라노 아유무하시모토 세이코 등 여름과 겨울의 전혀 다른 경기에 출전하는 선수도 이도류라고 불린다.
  •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알파인 스키 슈퍼대회전과 스노보드 평행대회전에서 모두 금메달을 획득한 에스테르 레데츠카는 "스노보드와 스키의 이도류"라고 보도되기도 했다.
  •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프리스타일 스키 모굴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하라 다이치는 이후 경륜 선수가 되었지만, 모굴 경기도 병행했다.
  • 하시모토 세이코, 세키 나츠에는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이지만, 자전거 경기에서도 올림픽에 출전했다.
  • 노자와 히사시각본가이자 소설가로 활동했다.
  • 마츠시타 나오배우와 피아니스트 활동을 동시에 하고 있다.
  • 스즈키 다이스케는 쇼기 기사이자 프로 마작사이다.
  • 이치리키 료바둑 기사이자 실업가이다.


오타니 쇼헤이의 영향으로 두 가지 직업이나 스포츠 등을 겸하는(두 개의 짚신을 신는) 의미로도 사용하게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Why Dual Wielding Doesn't Work in Real Life https://www.youtube.[...]
[2] 서적 Schools and Masters of Fencing: From the Middle Ages to the Eigh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2012-06-19
[3] 서적 The Power of Spectacle in Ancient Rome: Gladiators and Caesars Berkeley and Los Angeles 2000
[4] CIL CIL 13
[5] 서적 Gladiator: Rome's bloody spectacle Osprey
[6] 서적 The Power of Spectacle in Ancient Rome: Gladiators and Caesars Berkeley and Los Angeles 2000
[7] 서적 Byzantine Infantryman: Eastern Roman Empire C.900-1204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10
[8] 서적 Spirit Of The Sword: A Celebration of Artistry and Craftsmanship https://books.google[...] Adams Media 2013-06-12
[9] 서적 The Oxford Encyclopaedia of Medieval Warfare and Military Techn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6-12
[10] 서적 The Sword of Allah: Khalid Bin Al-Waleed, His Life and Campaigns Adam Publishers & Distributors, India
[11] 서적 The Old West in Fact and Film: History Versus Hollywood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3-06-12
[12] 서적 The Life of John Wesley Hardin: As Written By Himself Smith & Moore 2011-03-30
[13] 서적 Legal Executions in the Western Territories, 1847-1911: Arizona, Colorado, Idaho, Kansas, Montana, Nebraska, Nevada, New Mexico, North Dakota, Oklahoma, Oregon, South Dakota, Utah, Washington and Wyoming McFarland 2005
[14] 웹사이트 Texas Gunslinger, Outlaw and Lawman http://www.ccchaney.[...]
[15] 서적 Dallas Stoudenmire: El Paso Marshal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79
[16] 웹사이트 The Spell of the West: Captain Jonathan R. Davis http://www.jcs-group[...] 2016-03-04
[17] 서적 Gun Digest Buyer's Guide to Concealed-Carry Handguns https://books.google[...] F+W Media, Inc 2013-06-12
[18] episode Wheel of Mythfortune 2011-11-23
[19] 웹사이트 Hollywood gunslingers http://dsc.discovery[...] Mythbusters - Discovery 2013-06-13
[20] 뉴스 スポーツ好奇心 平成の武蔵!? 二刀流にかける http://www.asahi.com[...] 2014-07-17
[21] 웹사이트 得物と種目(「スポチャン教本」より) http://www.internati[...] 2019-04-07
[22] 서적 続・中世ヨーロッパの武術 新紀元社
[23] 뉴스 二刀流・ドネア「勝って武蔵になる」…世界Sバンタム級王座統一戦 2012-10-13
[24] 웹사이트 自由奔放な踊れる二刀流ガールズバンド“凸凹凸凹”:木下ひなこインタビュー https://tokyogirlsup[...] 2016-06-08
[25] 뉴스 スノボ本職選手がアルペンで金、チェコの二刀流快挙 https://www.nikkansp[...] 2018-02-18
[26] 뉴스 固定観念打ち破った二刀流=レデツカ、史上初の「2冠」 https://www.jiji.com[...] 2018-0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