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란의 국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란의 국장은 고대 페르시아부터 현대 이란 이슬람 공화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상징과 문양을 거쳐왔다. 고대에는 샤바즈, 데라프쉬 카비아니, 파라바르와 같은 상징이 사용되었으며, 특히 파라바르는 조로아스터교의 중요한 상징으로 이란 민족주의에 영향을 미쳤다. 근대에는 사자와 해 문양이 국장으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천문학적, 점성학적 구성을 기반으로 하며 이란의 국기에 반영되기도 했다. 팔라비 왕조 시대에는 왕관과 팔라비 훈장을 결합한 국장이 사용되었으나, 이란 혁명 이후 현재의 이슬람 공화국 국장으로 대체되었다. 현재 국장은 여러 개의 별과 주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니코드에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란의 상징 - 샤하다
    샤하다는 "알라 외에는 신이 없고 무함마드는 알라의 사자이다"라는 이슬람의 기본적인 신앙고백으로, 이슬람의 5대 기둥 중 첫 번째 기둥이며 이슬람 문화 전반에 걸쳐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고, 시아파에서는 "알리는 알라의 왈리이다"라는 구절이 추가되기도 한다.
  • 이란의 상징 - 노루즈
    노루즈는 페르시아어로 '새로운 날'을 의미하며 춘분을 기념하는 새해 축제로, 고대 이란의 종교적 전통과 관련이 깊고 여러 국가에서 기념되며 유네스코에도 등재된 집안 대청소, 가족 방문, 특별한 음식 준비 등 다양한 전통과 풍습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축제이다.
  • 국장 - 기리몬
    기리몬은 오동나무를 문양화한 일본의 가문 문장으로, 세 개의 꽃차례와 잎으로 구성되며 꽃의 수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있고, 일본 정부 및 역사적 인물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나 국제적 인지도 부족으로 현재는 다른 상징으로 대체되기도 한다.
  • 국장 - 통가의 국장
    통가의 국장은 금색 테두리의 방패 안에 다윗의 별, 왕관, 비둘기, 세 개의 검을 배치하여 주요 섬, 왕정, 평화와 기독교, 세 왕가를 상징하며, 방패 아래에는 "신과 통가는 나의 유산"이라는 통가어 표어가 적혀 있다.
이란의 국장
국장 정보
이란의 국장
이란의 국장
이란 국기에 사용되는 붉은색 변형
붉은색 변형, 국기에 사용
국가이란
채택일1980년 5월 9일
문양알라의 이름
구성 요소칼과 4개의 초승달
상징
문양 의미칼: 힘과 용기
초승달: 이슬람교의 상징
전체 형태: 알라를 형상화
기타 정보
모토(알라)

2. 고대 페르시아의 상징

고대 페르시아에서는 다양한 상징들이 국가와 왕조를 대표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러한 상징들은 당시의 종교, 신화, 왕권 개념을 반영하며 페르시아의 풍부한 역사와 문화를 보여준다. 대표적인 예로는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의 왕권을 상징하는 샤바즈 깃발, 사산 제국 시대의 민족적 저항 정신을 담은 데라프쉬 카비아니, 그리고 조로아스터교의 주요 상징이자 현대 이란 민족주의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파라바하르 등이 있다. 이 상징들은 고대 페르시아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후대에 영향을 미쳤다.

2. 1. 샤바즈

키루스 대왕의 깃발과 아케메네스 왕조의 "매 깃발" 재구성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 특히 키루스 대왕 시대에는 왕의 형상을 본떠 만든 정사각형 모양의 제국 기를 사용했다. 이 기는 4개의 동일한 삼각형으로 나뉘었으며, 그중 두 개는 같은 색이었다. 페르세폴리스 발굴 현장에서는 날개를 펼친 샤바즈를 묘사한 깃발이 발견되기도 했다.

2. 2. 데라프쉬 카비아니

사산 제국의 깃발


'데라프쉬 카비아니'(درفش کاویانی|Derafš-e Kāviyānfa)라는 이름은 '카베의 깃발'을 의미한다.[5] 이는 이란 신화에 등장하는 대장장이이자 영웅인 대장장이 카베의 깃발과 동일시되는데, 그는 외국의 악마 같은 통치자 자하크에 맞서 민중 봉기를 이끌었다. 10세기 서사시 ''샤나메''는 이 전설을 다루고 있다. ''샤나메''에서 자하크는 사악하고 폭압적인 통치자로 묘사되며, 카베는 자신의 가죽 대장장이 앞치마를 깃발로 삼고 창을 깃대로 사용하여 사람들에게 무장 봉기를 촉구했다. 이야기 속에서 페레이둔의 왕위를 되찾기 위한 전쟁에서 승리한 후, 사람들은 카베의 앞치마에 보석을 달아 장식했다. 이후 이 깃발은 이란 민족주의와 외국의 폭정에 대한 저항의 상징이 되었다.

데라프쉬 카비아니의 상징은 연꽃이며, 이는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 이란의 신앙과 관련이 있다.

2. 3. 파라바하르

파라바하르


파라바하르는 조로아스터교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상징 중 하나이다. 이 종교-문화적 상징은 팔라비 왕조 시기에 이란 민족을 대표하는 상징으로 채택되었으며, 이란 혁명 이후 현대 이란 민족주의에서도 계속해서 사용되고 있다.[6][7]

날개 달린 원반은 근동중동 지역의 예술과 문화에서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역사적으로 이 상징은 청동기 시대 왕실 인장에 나타난 "날개 달린 태양" 아나톨리아 상형 문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이 문자는 히에로글리프 루비안으로 SOL SUUS라 불렸으며, 특히 왕의 권력을 상징했다. 이후 신 아시리아 시대에는 원반에 인간의 흉상이 추가되었는데, "깃털을 입은 궁수" 모습은 아슈르 신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리우스 1세 통치 시기부터 그 이후에 이르러서야 이 상징은 날개 위에 인간의 형상이 결합된 형태로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이는 아마도 다리우스 1세 자신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3. 근대 이란의 국장

근대 이란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문장은 오랫동안 사용된 사자와 태양 문양이다. 이 문양은 카자르 왕조 시대에 국가의 공식 문장으로 자리 잡았으며, 파트흐 알리 샤 카자르 통치 이후 형태와 상징적 의미에 변화를 겪었다.[9] 초기에는 점성술이나 시아파적 해석이 있었으나, 점차 왕권과 국가 수호, 이란 민족 정체성과 연결되었다.[9]

1906년 이란 입헌 혁명 이후, 새롭게 구성된 의회는 녹색, 흰색, 빨간색의 삼색기 중앙에 사자와 태양 문양을 넣은 형태의 국기와 국장을 공식 제정했다.[12][13] 이 디자인은 세부적인 규정을 거쳐 1979년까지 이란의 공식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1925년 팔라비 왕조가 들어서고 1932년, 레자 샤는 기존의 사자와 태양 문양과 더불어 왕조의 상징(다마반드 산과 떠오르는 태양), 고대 페르시아 및 이슬람 상징(파라바하르, 졸파가르, 시무르그) 등을 결합한 새로운 이란 제국 국장을 제정했다. 이 국장에는 팔라비 왕관과 왕가의 표어 مرا داد فرمود و خود داور است|마라 다드 파르무드 오 호드 다바르 아스트fa('그는 나에게 명령할 권한을 주었고, 그는 심판관이다')가 더해져 왕조의 권위를 강조했다.

그러나 1979년 이란 혁명으로 왕정이 폐지되면서, 사자와 태양 문양 및 팔라비 왕조의 국장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고, 현재 사용되는 새로운 국장으로 대체되었다. 혁명 직후 과도기에는 임시 정부에 의해 사자와 태양 문양이 잠시 사용되기도 했다.[14]

3. 1. 사자와 태양 문양 (1979년 이전)



1973년 이전 이란의 단순화된 사자와 해 문장


사자와 해 문양은 옛 페르시아 왕국의 널리 알려진 문장 중 하나로, 이스마일 2세 통치 시기인 1576년부터 1979년 이란 혁명 이전까지 이란의 국기에 사용되었다.[8]

이 문양은 고대 이란, 아랍, 튀르크, 몽골의 전통이 결합된 것으로, 12세기경 이란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9] 사자와 해 상징은 기본적으로 천문학점성술에서 유래했으며, 고대 황도12궁 중 사자자리에 태양이 위치하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9][10] 이는 바빌로니아 점성술과 근동 지역의 오랜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다.[10][11]

이 문양은 여러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처음에는 점성술과 황도12궁의 상징이었으나, 사파비 왕조와 초기 카자르 왕조 시대에는 시아파 이슬람의 관점에서 해석되기도 했다.[9] 사파비 시대에는 사자와 해가 사회, 국가, 종교라는 세 기둥을 상징했다. 카자르 시대에 이르러 국가의 공식 문장이 되었으며, 19세기에 카자르 왕궁을 방문했던 유럽인들은 이 문양이 매우 오래된 기원을 가진다고 생각했고, 이후 민족주의적인 해석이 더해졌다.[9]

파트흐 알리 샤 카자르와 그의 후계자들의 통치 기간 동안 문양의 형태는 상당히 변화했다. 이러한 변화는 사자와 태양의 모습에 영향을 미쳤고, 군주제를 상징하기 위해 문양 위에 왕관이 추가되었다.

파트흐 알리 샤 이후 시대에는 문양에서 이슬람적 요소의 중요성이 점차 약화되었다. 이에 따라 상징의 의미도 변화했다. 1979년 혁명 이전까지 사자는 시아파의 초대 이맘인 알리를 상징하거나, 외부의 적으로부터 국가를 수호하는 이란의 영웅, 또는 고대부터 이어져 온 왕권의 상징으로 해석되었다. 태양 역시 왕 자체, 이란 신화 속의 왕 잠시드, 혹은 조국을 의미하는 등 다양한 해석이 존재했다.

문장이 지닌 다층적인 역사적 의미는 이란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여러 상징들 사이의 경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1906년 입헌 혁명 이후, 의회는 새로운 국기와 국장을 제정했다.

20세기 들어 일부 정치인과 학자들은 사자와 해 문양 대신 데라프쉬 카비아니와 같은 다른 상징으로 교체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 문양은 이란 혁명 때까지 이란의 공식 상징으로 유지되었고, 혁명 이후 공공장소와 정부 기관에서 제거되고 현재의 이란의 국장으로 대체되었다.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치세 동안 사용된 이란 국장 중 하나. 짧은 기간 사용된 상징이다.


이란의 국기 (1907–1979). 이 깃발은 입헌 군주제 시대에 표준화되었지만, 주요 요소는 1907년 10월 7일자 이란 보충 기본법에 명시된 대로 유지되었다. 현재는 이란 국민위원회와 같은 친군주제 단체나 이란 인민 무자헤딘 기구 등 일부 반정부 망명 단체들이 사용하고 있다.


1973년부터 1979년까지 사용된 이란의 사자 및 태양 문장의 공식 디자인. 공식 문서 등에서는 팔라비 왕관과 함께 묘사되었다.


1925년 발행된 1000 이란 리알 지폐 뒷면. 레자 샤의 출생지인 마잔다란 주 알라쉬트와 다마반드 산, 그리고 떠오르는 태양을 묘사하고 있다. 이는 팔라비 왕조 배지의 기초가 되었고 제국 국장의 중심 요소를 형성했다.


현대 이란 삼색기의 첫 형태는 1906년 이란 입헌 혁명 이후 채택되었다.[12] 1907년 10월 7일에 제정된 보충 기본법은 국기를 녹색, 흰색, 빨간색의 삼색기로 규정하고 중앙에 사자와 태양 문장을 넣도록 명시했다.[13] 1910년 9월 4일의 법령에서는 사자 꼬리의 형태, 사자, 칼, 태양의 위치와 크기 등 문장의 세부 사항을 구체적으로 정했다.

1932년, 팔라비 왕조 건국 7년 후, 레자 샤는 왕조의 공식 문장(다마반드 산과 떠오르는 태양)을 포함한 팔라비 훈장을 제정했다. 이란 제국의 국장, 즉 (황제)의 개인 문장이기도 한 국가 국장은 이란의 국가 상징인 사자와 태양, 파라바하르, 졸파가르, 시무르그와 팔라비 왕조의 문장을 중앙에 배치하여 만들어졌다. 국장 꼭대기에는 1926년 레자 샤의 대관식을 위해 제작된 팔라비 왕관이 놓였고, 방패 아래에는 팔라비 훈장의 띠가 둘러져 있었다. 칼을 든 사자 두 마리가 방패를 지지하는 형상이었다. 제국의 표어는 '그는 나에게 명령할 권한을 주었고, 그는 심판관이다'(مرا داد فرمود و خود داور است|Marā dād farmud o khod dāvar astfa)였다. 1971년에는 이 국장의 일부 색상이 변경되었다.

청색과 금색은 팔라비 왕가를 상징하는 색이다.

이란 제국의 깃발은 1971년 초에 채택된 샤한샤(황제), 샤바누(황후), 그리고 황태자의 개인 공식 깃발이었다. 샤한샤의 깃발은 옅은 파란색 바탕의 왼쪽 상단에 이란 국기를 배치하고 중앙에 팔라비 국장을 넣었다. 샤바누와 황태자를 위한 문장도 별도로 만들어져 각자의 깃발 중앙에 사용되었다.

1979년 혁명 직후의 임시 정부도 새로운 국장이 공식 채택되기 전까지 과도기적으로 사자와 태양 문장을 사용했다.[14]

3. 2. 팔라비 왕조 시대 (1932년 ~ 1979년)



1932년, 이란 제국 건국 7년 후, 레자 샤팔라비 왕조의 공식 국장을 제정했다. 이 국장은 왕조의 상징성을 강화하기 위해 팔라비 훈장의 배지와 별 메달에도 사용되었다. 국장(군주의 개인 문장인 지배의 문장)은 이란의 국가적 상징과 팔라비 왕조의 상징을 결합하여 만들어졌다.

국장의 중심에는 다마반드 산과 떠오르는 해를 묘사한 팔라비 왕조 고유의 문장이 자리 잡았다. 이는 1925년 발행된 1000 이란 리알 지폐 뒷면 도안에서도 유사한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국장에는 이란의 전통적인 상징인 사자와 태양, 고대 페르시아의 상징 파라바하르, 시아파 이슬람의 상징인 졸파가르, 페르시아 신화 속 새 시무르그 등이 포함되었다. 국장 꼭대기에는 1926년 레자 샤의 대관식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팔라비 왕관이 올려졌고, 방패 아래에는 팔라비 훈장의 깃이 배치되었다. 방패의 양옆에는 칼을 든 사자가 지지자로 서 있었다. 제국의 모토는 مرا داد فرمود و خود داور است|마라 다드 파르무드 오 호드 다바르 아스트fa("정의를 행하도록 명하셨으니, 그분이야말로 심판자이시다")였다.

1971년에는 국장의 일부 세부적인 디자인과 색상이 변경되었다. 팔라비 왕가의 상징색은 청색과 금색이었다. 같은 해 초에는 샤한샤(황제), 샤바누(황후), 그리고 황태자를 위한 개인 공식 깃발과 문장이 별도로 제정되어 사용되었다. 샤한샤의 깃발은 옅은 파란색 바탕에 좌측 상단에 이란 국기를, 중앙에는 팔라비 국장을 배치한 형태였다. 샤바누와 황태자의 깃발에도 각자의 문장이 중앙에 들어갔다.

팔라비 왕조의 국장은 1979년 이란 혁명으로 왕정이 폐지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혁명 이후 들어선 임시 정부는 새로운 국장이 공식 채택되기 전까지 과도기적으로 사자와 태양 문장을 잠시 사용하기도 했다.[14] --

4. 이란 이슬람 공화국의 국장 (1980년 ~ 현재)

국장의 일부는 샤하다의 일부로 해석될 수 있다.


이란 혁명 이후,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는 1979년 3월 1일 연설에서 사자 및 해 문양의 폐지를 촉구했다.[15] 이 문장은 전통적으로 시아파에서 중요하게 여기며, 시아파의 첫 번째 이맘인 알리와 사자를 연관 짓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데그 타브리지가 디자인한 여러 개의 별과 주먹으로 구성된 이슬람 공화국의 첫 번째 국장은 1980년 1월 30일에 채택되었다.[16] 마침내 1980년 5월 9일에 현재 사용되는 국장이 채택되었다.

5. 역대 이란의 국장



사자와 해 문양은 페르시아의 가장 잘 알려진 상징 중 하나로, 이스마일 2세 통치 시기인 1576년부터 이란 혁명이 일어난 1979년까지 이란의 국기에 사용되었다.[8] 이 문양은 고대 이란, 아랍, 튀르크, 몽골의 전통이 결합된 것으로, 12세기경 이란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9] 사자와 해 상징은 기본적으로 천문학점성술에서 유래했으며, 사자자리에 태양이 위치하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9][10] 이는 고대 바빌로니아 점성술과 근동 지역의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다.[10][11]

이 문양은 시대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지녔다. 처음에는 점성술과 조디악의 상징이었으나, 사파비 왕조와 초기 카자르 왕조 시대에는 시아파 이슬람의 관점에서 해석되었다.[9] 사파비 시대에는 사회, 국가, 종교라는 세 기둥을 상징했고, 카자르 시대에는 국가의 공식 문장이 되었다. 19세기에 카자르 왕궁을 방문했던 유럽인들은 이 문양이 아주 오래된 것이라고 생각했으며, 이후 민족주의적인 의미가 더해졌다.[9]

파트흐 알리 샤 카자르와 그 후계자들의 통치 기간 동안 사자와 해 문양의 형태는 여러 차례 변경되었고, 군주제를 상징하는 왕관이 문양 위에 추가되었다. 파트흐 알리 샤 이후에는 문양의 이슬람적 요소가 약화되었고, 상징의 의미도 변화했다. 사자는 알리, 국가를 지키는 영웅, 또는 왕권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해는 왕, 신화 속 왕인 잠시드, 또는 조국을 의미하는 등 다양한 해석이 존재했다.

이처럼 다양한 역사적 의미는 이란 정체성을 둘러싼 여러 상징 해석의 바탕이 되었다. 1906년 입헌 혁명 이후, 의회는 새로운 국기와 국장을 디자인했다. 20세기에는 일부 정치인과 학자들이 사자와 해 문양 대신 데라프쉬 카비아니와 같은 다른 상징을 사용하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 문양은 이란 혁명 때까지 이란의 공식 상징으로 유지되었고, 혁명 이후 공공장소와 정부 기관에서 제거되어 현재의 이란 국장으로 대체되었다.

현대 이란 삼색기의 첫 번째 버전은 1906년 이란 입헌 혁명 이후 채택되었다.[12] 1907년 10월 7일의 보충 기본법은 국기를 녹색, 흰색, 빨간색의 삼색기로 규정하고, 중앙에 사자와 해 문장을 넣도록 했다.[13] 1910년 9월 4일 법령은 사자의 꼬리 모양, 사자, 칼, 태양의 위치와 크기 등 문장의 세부 사항을 명시했다.

1932년, 이란 제국 건국 7년 후, 레자 샤는 팔라비 훈장을 제정하면서 왕조의 공식 문장(다마반드 산과 떠오르는 해)을 훈장에 포함시켰다. 팔라비 왕조의 국장, 즉 지배의 문장은 이란의 국가 상징인 사자와 해, 파라바하르, 졸파가르, 시무르그와 팔라비 왕조의 상징을 결합하여 만들어졌다. 국장 중앙에는 팔라비 문장이 위치했고, 꼭대기에는 1926년 레자 샤의 대관식을 위해 제작된 팔라비 왕관이 올려졌다. 방패 아래에는 팔라비 훈장의 깃이 있었고, 칼을 든 사자가 양옆을 지지했다. 제국의 모토는 페르시아어로 'Marā dād farmud o khod dāvar ast'(مرا داد فرمود و خود داور است)였으며, 이는 '그는 나에게 명령할 권한을 주었고, 그는 심판관이다'라는 의미이다. 1971년에는 이 국장의 일부 색상이 변경되었다. 청색과 금색은 팔라비 왕가의 상징색이었다.

이란 제국 기는 1971년 초에 채택된 샤한샤, ''샤바누'', 그리고 황태자의 개인 공식 깃발이었다. 샤한샤의 깃발은 옅은 파란색 바탕에 왼쪽 상단에 이란 국기, 중앙에 팔라비 국장을 사용했다. ''샤바누''와 황태자를 위한 문장도 각각 만들어져 해당 깃발 중앙에 사용되었다.

1979년 임시 정부는 혁명 이후 과도기 동안, 현재의 국장이 채택되기 전까지 사자와 해 문장을 잠시 사용했다.[14]

이란 혁명 이후,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는 1979년 3월 1일 연설에서 사자와 해 문양을 폐지할 것을 촉구했다.[15] 이 문양이 전통적으로 시아파와 관련된 의미(특히 시아파 초대 이맘 알리와 사자의 연관성)를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군주제를 상징한다는 이유로 폐지되었다. 이후 사데그 타브리지가 디자인한 여러 개의 별과 주먹으로 구성된 이슬람 공화국의 첫 번째 문장이 1980년 1월 30일에 잠시 채택되었다.[16] 마침내 1980년 5월 9일, 현재 사용되는 국장이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6. 기타

이란의 국장은 유니코드에 포함되어 있으며, 코드 번호는 U+262B(☫)이다.

참조

[1] PDF Miscellaneous Symbols http://www.unicode.o[...] Unicode.org
[2] PDF 3.8 Block-by-block Charts https://www.unicode.[...] Unicode.org
[3] 웹사이트 UTN #27: Known anomalies in Unicode Character Names http://unicode.org/n[...] Unicode.org 2013-12-31
[4] 블로그 Every character has a story #5 (U+262b FARSI SYMBOL) https://web.archive.[...] Michael S. Kaplan 2005-01-19
[5] 백과사전 Derafsh-e Kāviyān http://www.iranicaon[...] Mazda
[6] 웹사이트 ایران باستان http://aryansland.bl[...] Aryansland.blogfa.com 2013-12-31
[7] 웹사이트 فروهر | نماد شناسی http://padena.wordpr[...] Padena.wordpress.com 2013-12-31
[8] 서적 Heaven on earth: Art from Islamic Lands : Works from the State Hermitage Museum and the Khalili Collection Prestel
[9] 백과사전 Flags http://www.iranicaon[...]
[10] 백과사전 Al-Asad
[11] 학술지 The Anatolian Lion God 1945
[12] 웹사이트 Flags of the World: Iranian Empire (Qajar dynasty, 1905–1925) https://www.fotw.inf[...] 2010-11-10
[13] 위키문헌 Iran Constitution of 1906
[14] 웹사이트 Old emblem http://www.crwflags.[...] 2013-12-31
[15] 기타 Fighting Corruption and Eliminating the Talents
[16] 뉴스 آرم جمهوری اسلامی به تصویب شورای انقلاب رسید https://www.farsnews[...] 1980-02-01
[17] 웹사이트 پرچم جمهوری اسلامی ایران چگونه طراحی شد؟ http://www.iribnews.[...] Islamic Republic of Iran Broadcasting 2022-03-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