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사크 바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사크 바벨은 우크라이나 오데사 출신의 러시아 작가이다. 상업 교육과 문학 수업을 받았으며, 1920년에는 종군기자로 활동하며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단편 소설들을 집필했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단편집 《오데사 이야기》와 《붉은 기병대》 등이 있으며, 희곡 《선셋》과 《마리아》, 영화 시나리오 《벤야 크릭》도 있다. 1930년대 스탈린 시대에 억압을 겪고 체포되어 1940년에 처형되었으나, 1954년 소련 정부에 의해 복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영화 각본가 - 예두아르트 우스펜스키
    예두아르트 우스펜스키는 러시아의 작가, 시나리오 작가, 방송인으로, 아동 문학 작품 《삼촌 표도르, 그의 개와 고양이》, 《악어 게나와 그의 친구들》 등을 집필하고 애니메이션 영화 제작에 참여했으며, 어린이 프로그램 제작에도 기여했다.
  • 소련의 영화 각본가 - 블라디미르 멘쇼프
    블라디미르 멘쇼프는 소련 및 러시아의 배우, 영화 감독, 각본가, 프로듀서이며, 《모스크바는 눈물을 믿지 않는다》로 아카데미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했고, 통합 러시아당에서 정치 활동을 하다가 코로나19 후유증으로 사망했다.
  • 유대계 소련인 - 지가 베르토프
    지가 베르토프는 러시아 혁명 시대 소비에트 영화 제작자이자 이론가이며 다큐멘터리 영화의 아버지로, 《키노 프라우다》와 《카메라를 든 사나이》 등의 작품과 "시네-아이" 이론을 통해 영화 언어의 혁신을 이끌었고 후대 영화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유대계 소련인 - 엘리야후 립스
    엘리야후 립스는 라트비아 출신의 수학자이자 반체제 운동가로, 성경 암호 연구를 진행했으며, 예루살렘 히브리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다가 2024년에 사망했다.
  • 소련의 극작가 - 막심 고리키
    막심 고리키는 '쓰다'라는 뜻의 필명을 사용한 러시아의 소설가, 극작가, 수필가로,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했으며 밑바닥 인생을 묘사한 작품과 《어머니》, 《밑바닥에서》 등의 대표작을 남겨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의 창시자로 평가받는다.
  • 소련의 극작가 - 세르게이 미할코프
    세르게이 미할코프는 소련 및 러시아 국가 가사를 작사하고 아동 문학 작가와 종군 기자로도 활동한 러시아의 시인이자 작가이며, 풍자극 제작과 영화 각본 집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이사크 바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사크 바벨
로마자 표기Isaak Emmanuilovich Babel
출생지러시아 제국 헤르손 현 오데사 (우크라이나 오데사 현재)
사망1940년 1월 27일
사망 장소소비에트 연방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모스크바 부티르카 감옥
국적러시아 제국
소비에트 연방
직업
직업저널리스트
단편 소설 작가
극작가
작품 활동
장르단편 소설
희곡
대표작기병대
오데사 이야기

2. 생애

1894년 지금의 우크라이나 오데사에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상업 교육과 유대 경전 교육을 받았으나 음악과 문학에 이끌렸다. 독일, 루마니아와의 전쟁에 참전했고, 1920년에는 종군기자로 세묜 부됸니 장군의 제1기병대에서 근무했다. 1920년 이후 이 시기의 경험을 바탕으로 ≪기병대≫(1926)에 수록될 단편들을 썼고, 오데사에서의 청년기 경험은 ≪오데사 이야기≫(1931)의 소재가 되었다.

산문 외에도 프랑스 문학 작품의 번역가로도 활동했고, 희곡 <일몰>(1928), <마리야>(1935), 그리고 시나리오와 수필, 논문을 다수 남겼다.

1939년 특별한 이유 없이 소련 당국에 체포되어 1940년 1월 총살되었다. 1954년 소련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복권되었다.[60]

2. 1. 탄생과 초기 성장

1894년, 현재 우크라이나 오데사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60] 어린 시절 니콜라예프에서 초등학교를 다니며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을 배웠다.[61] 집에서는 이디시어, 성경, 유대 율법 교육을 받았다.[62] 20세기 초 오데사의 중산층 사이에서는 아이들에게 음악을 가르치는 것이 유행이었고, 바벨도 아버지의 강요로 바이올린을 배웠다.[62]

1905년 초, 오데사 상업학교에 입학했고, 연말에 가족은 다시 오데사로 돌아왔다. 상업학교 재학 중 모파상플로베르프랑스 문학 작품에 심취하여, 프랑스어로 단편을 몇 편 쓰기도 했다.[63] 1911년 오데사 대학교에 입학하려 했으나, 유대인 입학 할당제로 인해 실패하고 키예프 재무·기업 활동 단과 대학(키예프 상과 대학)에 진학했다.[64] 1913년, 키예프의 잡지에 데뷔작 『늙은 슈로이메』를 발표했다.[65] 대학에서 첫 번째 부인이 되는 예브게니야 그론페인을 만났다.[61]

2. 2. 청년기와 문학적 성장

1915년 바벨은 정착 지역 밖에서의 유대인 거주를 제한하는 법을 어기고 페트로그라드로 이주했다.[64]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막심 고리키를 알게 되었고[66], 1916년 고리키는 자신이 편집하는 잡지 『연대기(연보)』 11호에 바벨의 단편 『일리야 이사크비치와 마르가리타 프로코피예브나』, 『엄마와 린마와 알라』를 게재했다.[61] 그러나 러시아 정부는 바벨의 소설을 공서 양속을 해치는 것으로 판단하여 처벌 직전에 놓였다.[66] 고리키의 조언에 따라 바벨은 인생을 알기 위해 창작 활동을 중단했다.[63][67]

2. 3. 종군기자 활동과 창작 재개

1920년, 바벨은 세묜 부됸니의 제1기병대에 배속되어 폴란드-소비에트 전쟁에 종군기자로 참전했다.[68] 그는 자신이 목격한 전쟁의 참상을 '1920년 일기'(러시아어: Конармейский Дневник 1920 года, 라틴 문자 표기: Konarmeyskiy Dnevnik 1920 Goda)에 기록했으며, 이 자료를 바탕으로 "즈브루츠 강을 건너며"와 "나의 첫 거위"와 같은 단편들을 모은 《붉은 기병대》(러시아어: Конармия, 라틴 문자 표기: Konarmiya)를 집필했다. 《붉은 기병대》에 묘사된 끔찍한 폭력은 바벨 본인의 온화한 성품과 극명한 대조를 이루는 듯했다.

바벨은 갈리치아, 볼린과 같은 유대인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을 전전했지만, 폴란드로부터의 해방을 기다리던 코사크 병이 저지른 잔혹한 행위를 목격하고 혁명 자체에 의문을 품게 되었다.[70]

바벨은 "1923년에 이르러서야 나는 명확하고 간결하게 내 생각을 표현하는 법을 배웠다. 그때 나는 다시 글을 쓰기 시작했다"라고 썼다.[67] 이후 《붉은 기병대》에 수록된 여러 단편들은 1924년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의 잡지인 《레프》(러시아어: ЛЕФ, 라틴 문자 표기: LEF)에 게재되었다.

2. 4. 작가적 명성과 작품 활동

1926년에 『기병대』가 간행되어 바벨은 작가로서의 명성을 확립했다.[6] 『오데사 이야기』와 『기병대』로 바벨의 명성은 최고조에 달했다.[74]

산문 외에도 프랑스 문학 작품의 번역가로도 활동했고, 희곡 <일몰>(1928), <마리야>(1935)를 발표했다.

2. 5. 스탈린 시대의 억압과 체포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바벨이 발표하는 작품 수는 급격히 줄어들었다.[60][77] 공산당은 문학에 대한 통제를 강화했고, 작가에게 '사회의 요구'를 수행할 것을 요구했다. 바벨도 이를 절충하려 했으나, 성과는 나타나지 않았다.[72] 당은 바벨에게 많은 보수를 제시하며 창작을 의뢰했지만, "궁전에서는 창작을 할 수 없다"며 거절했다.[72]

1920년대 후반부터 바벨은 "부르주아 인본주의", "개인적인 작풍"으로 비판받았고, 가족이 서방 세계로 망명한 것도 그의 입지를 위태롭게 만들었다.[78] 농업 집단화 등을 칭찬하는 작품 집필에 착수하기도 했지만, 실패로 끝났다.[74] 1930년대 소련 문학계의 억압적인 환경은 창작을 제한했고, 바벨은 정부로부터 동향을 의심받았다.[66] 이오시프 스탈린은 모든 작가와 예술가에게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수용하도록 명령했고, 바벨은 공적인 장소에 모습을 나타내지 않게 되었다. 형식주의에 대한 반대 운동 속에서 바벨은 비생산적인 작풍 때문에 공적으로 비판받았다. 일리야 에렌부르크에게 "6개월 안에 당은 형식주의와 화해하고, 다른 활동을 시작할 것이다"라고 털어놓았다.[79] 1934년 소비에트 연방 작가 동맹 첫 회의에서 바벨은 자신이 "침묵의 양식이라는 새로운 문학 양식의 제1인자"가 되어 있다고 빈정거렸다. 미국의 저술가 맥스 이스트만(Max Eastman)은 자서전 "Artists in Uniform"에서 문예가로서 바벨은 공적인 자리에서 침묵을 지키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고 언급했다.[80]

바벨은 내무인민위원회(NKVD) 장관 니콜라이 예조프의 아내 예브게니야의 문학 살롱에 드나들며 그녀와 불륜 관계를 맺었다.[81] 스탈린은 바벨의 "경솔한" 행동과 그의 작품 『붉은 기병대』의 내용을 불쾌하게 여겼다.[82]

2. 6. 처형과 사후 복권

1939년 5월 15일, 바벨은 '트로츠키주의', '테러리즘', 오스트리아와 프랑스 스파이 혐의로 체포되어 루비얀카 감옥과 에 8개월 동안 구금되었다.[60][83][85] 첫 심문에서 혐의를 부인했지만, 3일 후 "자백"하며 공모자를 언급했는데, 이는 감옥 내 폭행과 고문 때문으로 여겨진다.[85]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 솔로몬 미호엘스, 일리야 에렌부르크 등이 공모자로 지목되었고,[86] 바벨은 라브렌티 베리야에게 탄원했으나 미발표 원고 회수는 거부당했다. 1939년 10월, 바벨은 이전 증언을 부인하며 "감옥 안에서 몇몇 인간을 중상하는 죄를 범했으므로 심문에서 고려를 요청한다"라고 말했다.[87]

1940년 1월 16일, 스탈린은 바벨을 포함한 346명의 처형 명령서에 서명했다.[88] 1940년 1월 27일, 베리야의 집무실에서 열린 비밀 재판에서 바벨은 "프랑스 및 오스트리아 정보 기관의 스파이, '인민의 적'인 예조프의 아내와 간통" 혐의에 대해 무죄를 주장하며 "나는 무죄다. 스파이였던 적은 없다. 소련에 대해 반항적인 행동을 한 적은 전혀 없다. 나는 잘못 자아 비판을 했고, 자신과 타인에게 누명을 씌울 수밖에 없었다. 단 하나의 요구는, 자신의 일을 완성하는 것이다."라는 마지막 말을 남기고 총살되었으며, 유해는 소각되었다.[64][89][90]

바벨의 유해는 돈스코이 수도원 공동 묘지에 매장되었다.[91] 소련 붕괴 후, 묘지에는 "정치적 억압으로 숙청된 희생자들이 묻혀 있다. 그들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라는 기념비가 설치되었다.[92]

1954년 12월 23일, 소련 최고 법원 군사 법정은 1940년 1월 26일 바벨에게 내려진 판결이 무효라고 발표했다.[95] 1956년에 바벨의 명예가 회복되었고,[83] 1957년 국립 문학 출판소에서 작품집 신판이 간행되었다.[83]

3. 작품 세계

이사크 바벨은 러시아 문학의 전통적인 장편 소설보다는 서구식 단편 소설을 주로 썼으며, 만년에 자신은 단편 소설에 적합한 기질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했다.[96] 그는 소년 시절부터 프랑스어와 프랑스 문학, 특히 기 드 모파상에 경도되었고, 초기 에세이에서 모파상을 자신의 문학적 이상으로 꼽았다.[97] 무명 시절 에세이 《오데사》에서 바벨은 기존 러시아 문학에서 벗어나, 밝고 생명력 넘치는 세계를 구축할 수 있는 "러시아의 모파상"이 나타나 새로운 문학을 개척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자신이 그러한 존재가 되겠다고 선언했다.[98]

바벨의 문체는 화려하며, 상상력과 능숙한 비유, 기성 도덕에 얽매이지 않는 표현은 독자에게 강렬한 인상을 준다.[66] 그의 문체는 상징주의에서 비롯되어 알렉세이 레미조프, 예브게니 자먀틴 등의 작가에게 계승된 장식적 산문의 계보에 속한다고 여겨진다.[100] 그의 러시아어 문장에는 영어이디시어의 통사법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여러 언어에 둘러싸여 자란 유년기의 환경에 기인한다.[101] 그의 표현 방법은 종종 자연주의 문학의 기법과 관련지어지기도 하지만, 독자가 받는 인상은 자연주의 소설과는 전혀 다르다.[102] 이후 바벨은 자신의 수법에 한계를 느끼고, 1925년 발표한 자전적 단편 《나의 비둘기 집 이야기》 이후 문체를 크게 변화시켜 간결하고 정교한 고전적 문체로 인물의 심리와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 작품을 발표했다.[74]

바벨의 작품에는 섬세한 영혼과 거칠고 흉폭한 사건이 마주쳤을 때 나타나는 일종의 정적이 존재하며, 그 속에서 정신의 균형이 유지된다.[60] 유년 시절 유대인의 생활과 이디시 문화를 접한 바벨은 저술 활동에 그러한 경험을 활용했으며,[66] 작품 저변에는 유대인 박해(포그롬)에 직면한 경험, 박해가 가져온 유혈과 파괴의 충격이 자리 잡고 있다고 여겨진다.[60]

막심 고리키는 앙드레 말로에게 바벨은 "러시아가 제공할 수 있는 최고의 것"이라고 말했으며,[43] 동시대인 콘스탄틴 파우스토프스키는 회고록에서 "그는 우리에게 진정한 최초의 소련 작가였다"고 적었다.[43]

3. 1. 주요 주제와 특징

이사크 바벨은 혁명의 낭만과 폭력, 전쟁의 참상, 인간의 본성과 욕망을 예리하게 묘사한 작가이다. 특히 유대인의 정체성과 삶, 그중에서도 오데사 유대인 사회의 독특한 문화를 작품에 반영했다.[96] 소년 시절부터 프랑스어와 프랑스 문학, 특히 기 드 모파상에 경도되었으며, 초기 에세이에서 모파상을 자신의 문학적 이상으로 꼽았다.[97]

바벨의 문체는 화려하면서도 절제되어 있으며, 능숙한 비유와 기성 도덕에 얽매이지 않는 표현이 특징이다.[66] 그의 문체는 알렉세이 레미조프, 예브게니 자먀틴 등에게 계승된 장식적 산문의 계보에 속한다고 평가받는다.[100] 바벨은 러시아어 문장에 영어와 이디시어 통사법을 사용했는데, 이는 여러 언어에 둘러싸여 자란 유년기의 환경 때문으로 보인다.[101]

바벨의 작품에는 섬세한 영혼과 거칠고 흉폭한 사건이 마주쳤을 때 나타나는 일종의 정적이 존재하며, 그 속에서 정신의 균형이 유지된다.[60] 유대인이 받은 박해(포그롬)에 직면한 경험은 그의 작품 저변에 자리 잡고 있다.[60]

3. 2. 문학적 영향과 평가

이사크 바벨은 소년 시절부터 프랑스어와 프랑스 문학, 특히 기 드 모파상을 좋아했으며, 데뷔 시절 에세이에서 모파상을 자신의 문학적 이상으로 꼽았다.[97] 무명 시절 발표한 에세이 《오데사》에서 바벨은 기존 러시아 문학의 폐쇄성에서 벗어나, 밝고 빛나는 태양과 생명력 넘치는 세계를 구축할 수 있는 "러시아의 모파상"이 나타나 새로운 문학을 개척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자신이 그러한 존재가 되겠다고 선언했다.[98]

바벨은 러시아 문학의 전통적인 장르인 장편 소설 대신, 러시아에서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서구식 단편 소설을 주로 썼다. 만년에 진행된 대담에서 그는 자신이 단편 소설에 적합한 기질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했다.[96] 그의 문체는 화려하고, 상상력과 비유가 뛰어나며, 기존 도덕에 얽매이지 않는 표현으로 독자에게 강렬한 인상을 준다.[66] 상징주의에서 비롯되어 알렉세이 레미조프, 예브게니 자먀틴 등에게 계승된 '장식적 산문'의 계보를 잇는 작가로 평가받는다.[100]

바벨의 러시아어 문장에는 영어이디시어의 통사법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러시아어, 이디시어, 프랑스어 등 여러 언어에 둘러싸여 자란 유년기의 환경 때문으로 보인다.[101] 그의 표현 방법은 종종 자연주의 문학과 관련지어지기도 하지만, 독자가 받는 인상은 자연주의 소설과는 전혀 다르다.[102] 이후 바벨은 자신의 수법에 한계를 느끼고, 1925년 발표한 자전적 단편 《나의 비둘기 집 이야기》 이후 문체를 크게 변화시켜 간결하고 정교한 고전적 문체로 인물의 심리와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 작품을 발표했다.[74]

바벨의 작품에는 섬세한 영혼과 거칠고 흉폭한 사건이 마주쳤을 때 나타나는 일종의 정적이 존재하며, 그 속에서 정신의 균형이 유지된다.[60] 그는 인생 초기에 유대인의 생활과 이디시 문화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여 저술 활동에 활용했으며,[66] 작품의 저변에는 유대인이 받은 박해(포그롬)에 직면한 경험, 박해가 가져온 유혈과 파괴의 충격이 자리 잡고 있다고 여겨진다.[60]

20세기 러시아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한 명으로 인정받고 있다.

4. 대표 작품

바벨의 작품으로는 단편집, 20여 편의 단편 소설, 2편의 희곡, 몇 편의 영화 시나리오와 에세이가 있다[63]。 바벨은 장편 소설 집필을 생각하기도 했지만, 사후에 남겨진 작품은 영화 시나리오와 희곡을 제외하고는 단편 소설뿐이다[99]。 1939년 바벨이 체포되었을 때 소유하고 있던 원고, 서한, 일기 등의 자료는 내무인민위원회에 의해 몰수되었으며, 몰수된 자료의 행방은 밝혀지지 않았다[104]

유대계 작가가 많은 소비에트 문학계에서도 바벨의 작품은 유대색이 두드러진다[67]。 바벨은 『오데사』에서 밝고 생명력 넘치는 오데사 시를 찬양했으며, 에세이에서 묘사된 오데사 유대인의 모습은 『오데사 이야기』의 등장인물에 반영되었다[105]

1920년 종군 기자 시절에 썼던 일기는 키예프의 친구에게 맡겨져 몰수되지 않고 보관되어 오다가, 1990년에 완전한 형태로 출판되었다. 이 일기는 창작의 힌트로 삼을 의도로 쓴 것으로 보이며, 『기병대』의 토대가 되는 인물과 사건, 그리고 그 본질이 기록되어 있었다[104]


  • 단편집
  • * 『단편집』(1925년)
  • * 『오데사 이야기』(1925년[95]/1931년[109])
  • ** 나카무라 유이시 역, 군조사〈군조사 라이브러리〉, 1995년/제2판: 2022년.
  • * 『붉은 기병대』(1926년)
  • ** 키무라 쇼이치 역, 주오코론샤〈주코 문고〉, 1975년.
  • ** 나카무라 유이시 역, 쇼라이샤, 2022년. [110]
  • 단편
  • * 『오데사』(1916년)
  • * 『나의 비둘기 집 이야기』(1925년)
  • * 『기 드 모파상』(1932년)
  • 장편
  • * 『벨리카야 크리니차』 - 미완. 제1장에 해당하는 단편 『가파 구주바』가 1931년 잡지 『신세계』에서 발표되었다.
  • 희곡
  • * 『황혼』(1928년)
  • * 『마리야』(1935년)
  • 영화 시나리오
  • * 『베냐 크리크』(1926년)
  • 『자전』(1924년)

4. 1. 《붉은 기병대》 (1926)

세묫 부됤니의 제1기병대에 배속되어 폴란드-소비에트 전쟁에 종군했던 경험은 이사크 바벨의 대표작인 단편 연작 《붉은 기병대》(Конармия|Konarmiyaru)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1920년, 바벨은 전쟁의 참상을 '1920년 일기'(Конармейский Дневник 1920 года|Konarmeyskiy Dnevnik 1920 Godaru)에 기록했고, 이를 바탕으로 "즈브루츠 강을 건너며", "나의 첫 거위" 등의 단편들을 썼다. 《붉은 기병대》는 혁명과 전쟁의 폭력성, 그 속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잔혹함과 연약함을 생생하게 묘사했다. 특히 바벨 자신의 온화한 성품과 대비되는 끔찍한 폭력 묘사는 독자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바벨은 1923년에 이르러서야 "명확하고 간결하게 내 생각을 표현하는 법을 배웠다"고 회고하며, 다시 글을 쓰기 시작했다.[10] 이후 《붉은 기병대》에 수록된 여러 단편들은 1924년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의 잡지 《레프》(ЛЕФ|LEFru)에 게재되었다. 그러나 전쟁의 잔혹한 현실을 솔직하게 그린 바벨의 작품은 혁명적 선전과는 거리가 멀었고, 그에게 강력한 적들을 안겨주었다. 부됤니 원수는 바벨이 붉은 코사크의 약탈 행위를 가감 없이 묘사한 것에 격분하여 바벨의 처형을 요구하기도 했지만, 막심 고리키의 영향력 덕분에 바벨은 목숨을 부지하고 작품 출판을 보장받을 수 있었다.[10] 1929년, 《붉은 기병대》는 J. 할랜드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었고, 이후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11]

아르헨티나 작가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는 《붉은 기병대》의 문체와 내용의 극명한 대비를 지적하며, "소금"과 같은 단편은 시에서나 볼 수 있는 경지에 이르렀다고 극찬했다.[12]

4. 2. 《오데사 이야기》 (1924/1925)

1926년 동명의 영화에서 가 연기한 벤야 크릭


바벨은 오데사로 돌아와 오데사 게토인 몰다반카를 배경으로 한 단편 소설 시리즈인 ''오데사 이야기''를 쓰기 시작했다. 1921년부터 1924년까지 개별적으로 출판되었고 1931년에 책으로 묶여 출판된 이 이야기들은 10월 혁명 전후 유대인 갱스터들의 삶을 묘사하고 있다.[13] 그들 중 다수는 허구의 조직 보스 벤야 크릭을 직접적으로 등장시키는데, 이는 역사적 인물 미쉬카 야폰치크를 모델로 한다.[14] 벤야 크릭은 위대한 반영웅 중 한 명이다. 이 이야기들은 1927년 영화 ''벤야 크릭''과 벤야 크릭이 몰다반카의 잘못을 바로잡기 위해 자처한 임무를 중심으로 하는 연극 ''선셋''의 기반이 되었다. 그의 첫 번째 목표는 알코올 중독자이자 여성 편력을 하는 아버지 멘델을 단속하는 것이었다.

4. 3. 기타 작품


  • 희곡
  • * Закат|자카트|일몰ru (1928년)
  • * Мария|마리야|마리야ru (1935년)
  • 단편
  • * "나의 비둘기장 이야기" (История моей голубятни|이스토리야 모예이 골루뱟니ru, 1925년)
  • * "기 드 모파상" (Ги де Мопасса́н|기 데 모파산ru, 1932년)

5. 한국 사회에 대한 시사점

이사크 바벨의 삶과 작품은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군부독재 등 격동의 시대를 거치며 이념 갈등과 폭력을 경험한 한국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5. 1. 혁명과 이념, 폭력과 인간성

바벨의 작품은 혁명과 이념이 초래할 수 있는 폭력과 인간성 상실의 문제를 제기한다. 희곡 ''마리아''는 정치 부패와 암시장 거래 등 소련 사회의 어두운 면을 묘사하여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암묵적으로 거부한다는 비판을 받았다.[18] 막심 고리키는 바벨에게 "썩어가는 고기에 대한 보들레르적인 선호"를 가지고 있다고 비난하며, "정치적 추론"이 제기될 것이라고 경고했다.[18]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제자 칼 웨버는 2004년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마리아''를 연출하면서, 이 작품이 러시아 내전 양측의 이야기를 균형 있게 보여주며 볼셰비키 혁명 이후의 상황이 러시아에게 최선이 아니었을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20]

바벨은 트로츠키주의, 테러, 스파이 혐의로 체포되어 8개월간 수감된 후[31] 1940년 1월 27일 총살되었다.[35] 라브렌티 베리야스탈린에게 346명의 "인민의 적" 처형을 요청하는 편지를 보냈고, 스탈린은 "За" (긍정)이라고 썼으며, 바벨은 이 명단에 포함되어 있었다.[35]

바벨은 심문 과정에서 고문을 당하고 거짓 자백을 강요받았으며,[31] "저는 무죄입니다... 저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허위로 고발하도록 강요당했습니다... 저의 일을 끝내게 해 주십시오."라는 마지막 말을 남겼다.[36] 그의 유해는 돈스코이 묘지의 공동 묘지에 묻혔으며, 소련의 해체 이후 "정치적 억압의 무고하고 고문당하고 처형된 희생자들의 유해가 묻혀 있습니다. 그들을 잊지 않기를 바랍니다."라는 명판이 세워졌다.[37]

이러한 바벨의 삶과 작품은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군부독재 등 격동의 시대를 거치며 이념 갈등과 폭력을 경험한 한국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5. 2. 소수자의 정체성과 억압

바벨은 자신의 작품에서 유대인으로서의 정체성과 소련 사회 내 소수자로서 겪는 억압을 다루었다. 그의 희곡 ''마리아''는 정치 부패와 암시장 거래 등 소련 사회의 어두운 면을 솔직하게 묘사하여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암묵적으로 거부한다는 비판을 받았다.[18] 막심 고리키는 바벨의 작품에 대해 "썩어가는 고기에 대한 보들레르적인 선호"를 가지고 있다고 비난하기도 했다.[18]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제자인 칼 웨버는 2004년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마리아''를 연출하면서 이 작품이 러시아 내전 양측의 이야기를 균형 있게 보여주며, 볼셰비키 혁명 이후의 상황이 러시아에게 최선의 선택이 아니었을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20]

바벨은 트로츠키주의, 테러, 스파이 혐의로 체포되어 8개월간 수감된 후 1940년 1월 27일 총살되었다.[31][35] 그의 재판은 단 20분 만에 끝났으며, 사형 선고는 미리 결정되어 있었다.[35] 그는 죽기 전 "저는 무죄입니다. [...] 저는 저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허위로 고발하도록 강요당했습니다... 저의 일을 끝내게 해 주십시오."라는 말을 남겼다.[36]

5. 3. 예술가의 역할과 책임

막심 고리키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암묵적으로 거부하는 바벨의 희곡 《마리아》를 보고 "썩어가는 고기에 대한 보들레르적인 선호"를 가지고 있다고 비난하며, "정치적 추론"이 제기될 것이라고 경고했다.[18] 1935년 공연 예정이었던 《마리아》는 내무인민위원회(NKVD)에 의해 리허설 중에 취소되었다.[20]

1939년 5월, 바벨은 트로츠키주의, 테러리즘, 스파이 혐의로 체포되어 8개월 동안 수감되었다. 심문 과정에서 고문을 당했으며,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 솔로몬 미호엘스 등 많은 사람들을 공모자로 지목했다.[31][33] 1940년 1월, 라브렌티 베리야는 바벨을 포함한 346명의 '인민의 적'을 총살할 것을 스탈린에게 권고했고, 스탈린은 이를 승인했다. 바벨은 20분간의 재판 후 1940년 1월 27일 총살되었다.[35]

바벨은 마지막으로 "저는 무죄입니다. 저는 스파이가 된 적이 없습니다. 저는 소련에 반하는 어떠한 행동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저는 저 자신을 거짓으로 고발했습니다. 저는 저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허위로 고발하도록 강요당했습니다... 저는 단 한 가지를 요구합니다. 저의 일을 끝내게 해 주십시오."라는 말을 남겼다.[36]

그의 유해는 돈스코이 묘지의 공동 묘지에 묻혔으며, 소련의 해체 이후 "여기에 정치적 억압의 무고하고 고문당하고 처형된 희생자들의 유해가 묻혀 있습니다. 그들을 잊지 않기를 바랍니다."라는 명판이 놓였다.[37]

참조

[1] 간행물 Neither and Both: Anthology. The Jewish Daily Forward 2007-07-06
[2] 서적 Red Cavalry and Other Stories Penguin
[3] 문서 The Complete Works of Isaac Babel
[4] 서적 Исаак Эммануилович Бабель https://ruslit.traum[...] Vremya
[5] 웹사이트 Isaac Babel, Russian author https://www.britanni[...] 2021-06-11
[6] 문서 The Complete Works of Isaac Babel
[7] 웹사이트 babel son painter Ivanov http://www.pseudolog[...]
[8] 뉴스 Antonina Pirozhkova, Engineer and Widow of Isaac Babel, Dies at 101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10-09-22
[9] 서적 At His Side: The Last Years of Isaac Babel
[10] 서적 Stalin and His Hangmen
[11]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English Literature Ox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Selected Nonfictions
[13] 논문 The Underworld of Benia Krik and I. Babel's "Odessa Stories" https://www.jstor.or[...] 1994
[14] 서적 City of Rogues and Schnorrers: Russia's Jews and the Myth of Old Odessa http://www.iupress.i[...] Indiana University Press
[15] 문서 The Complete Works of Isaac Babel
[16] 서적 Boris Pasternak: Family Correspondence, 1921–1960 Hoover Press
[17] 문서 At His Side
[18] 문서 The Complete Works of Isaac Babel
[19] 서적 At His Side; The Last Years of Isaac Babel Steerforth Press
[20] 웹사이트 Maria's American Debut http://daily.stanfor[...]
[21] 서적 At His Side; The Last Years of Isaac Babel
[22] 서적 Memoirs, 1921–1941
[23] 서적 Artists in Uniform: A Study of Literature and Bureaucratism Alfred A. Knopf
[24] 문서 The Complete Works of Isaac Babel
[25] 문서 The Complete Works of Isaac Babel
[26] 문서 At His Side
[27] 문서 The Complete Works of Isaac Babel
[28] 문서 At His Side
[29] 서적 Hope Against Hope Modern Library
[30] 문서 The Complete Works of Isaac Babel
[31] 문서
[32] 서적 The KGB's Literary Archive
[33] 문서
[34] 문서 At His Side
[35] 서적 The KGB's Literary Archive
[36] 서적 The Complete Works of Isaac Babel
[37] 서적 Stalin: Court of the Red Tsar
[38] 서적 The Complete Works of Isaac Babel
[39] 서적 The Complete Works of Isaac Babel
[40] 웹사이트 Огонек: Перечитывайте заново http://www.ogoniok.c[...] 2010-01-14
[41] 서적 At His Side
[42] 서적 At His Side
[43] 간행물 Hide-and-Seek https://www.newyorke[...] 2023-10-05
[44] 서적 Isaac Babel Twayne Publishers, G.K. Hall & Co
[45] 서적 L'Homme et l'oeuvre Klincksieck
[46] 뉴스 Nathalie Babel Brown, 76, Dies; Edited Isaac Babel https://www.nytimes.[...] 2010-05-05
[47] 문서 Ibid
[48] 뉴스 Babel’s ‘Maria’ makes U.S. debut at Pigott http://www.stanfordd[...] The Stanford Daily 2004-02-27
[49] 웹사이트 Interview with George Saunders https://www.goodread[...] 2017-02-06
[50] 간행물 Crossing the Zbruch https://www.marxists[...] 2020-05-13
[51] 간행물 Isaac Babel, Screen Writer https://www.jstor.or[...] 1978
[52] 웹사이트 Jewish Luck https://www.jewishfi[...] 2023-10-05
[53] 웹사이트 Benya Krik https://jewishfilm.o[...] 2023-10-05
[54] 뉴스 Isaac Babel's Last Days in Lubyanka http://forward.com/t[...] 2015-12-09
[55] 서적 Vastas emoções e pensamentos imperfeitos Companhia das Letras
[56] 서적 The Archivist's Story Dial Press Trade Paperback 2008-04-29
[57] 뉴스 Review: Real Russians and Fake News in 'Describe the Night' https://www.nytimes.[...] 2023-03-26
[58] 웹사이트 Describe the Night https://atlanticthea[...] 2023-03-26
[59] 문서 バーベリにおけるモーパッサン像
[60] 서적 はじめて学ぶロシア文学史
[61] 서적 世界の文学
[62] 문서 オデッサとバーベリ
[63] 서적 世界の文学
[64] 서적 ロシア革命で活躍したユダヤ人たち 角川学芸
[65] 문서 1920年の日記とバーベリのユダヤ性
[66] 문서 バーベリ
[67] 문서 バーベリ
[68] 서적 世界の文学
[69] 문서 1920年の日記とバーベリのユダヤ性
[70] 문서 1920年の日記とバーベリのユダヤ性
[71] 간행물 1920年の日記とバーベリのユダヤ性
[72] 서적 世界の文学
[73] 논문 バーベリ『オデッサ物語』論
[74] 서적 オデッサ物語
[75] 서적 At His Side; The Last Years of Isaac Babel
[76] 서적 オデッサ物語
[77] 서적 世界の文学
[78] 서적 オデッサ物語
[79] 서적 Memoirs, 1921-1941
[80] 서적 Artists in Uniform: A Study of Literature and Bureaucratism Alfred A. Knopf
[81] 서적 スターリン 赤い皇帝と廷臣たち
[82] 서적 スターリン 赤い皇帝と廷臣たち
[83] 서적 世界の文学
[84] 서적 At His Side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At His Side
[88] 서적 スターリン 赤い皇帝と廷臣たち
[89] 서적 The Complete Works of Isaac Babel
[90] 서적 スターリン 赤い皇帝と廷臣たち
[91] 서적 スターリン 赤い皇帝と廷臣たち
[92] 서적 スターリン 赤い皇帝と廷臣たち
[93] 서적 The Complete Works of Isaac Babel
[94] 서적 The Complete Works of Isaac Babel
[95] 서적 世界の文学
[96] 간행물 バーベリにおけるモーパッサン像
[97] 간행물 バーベリにおけるモーパッサン像
[98] 간행물 バーベリにおけるモーパッサン像
[99] 간행물 バーベリにおけるモーパッサン像
[100] 논문 バーベリ『オデッサ物語』論
[101] 서적 オデッサ物語
[102] 논문 バーベリ『オデッサ物語』論
[103] 간행물 1920年の日記とバーベリのユダヤ性
[104] 간행물 1920年の日記とバーベリのユダヤ性
[105] 간행물 オデッサとバーベリ
[106] 논문 バーベリ『オデッサ物語』論
[107] 서적 世界の文学
[108] 논문 1920年の日記とバーベリのユダヤ性
[109] 논문 オデッサとバーベリ
[110] 서적 世界文学アンソロジー:いまからはじめる https://www.sanseido[...] 三省堂 201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