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잉글랜드 국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잉글랜드 국왕은 잉글랜드 왕국을 통치했던 군주를 의미한다. 757년 이후 메르시아의 오파가 '잉글랜드 왕' 칭호를 사용했다는 주장이 있지만, 10세기 위조된 헌장에 근거한다. 웨섹스 왕조의 에그버트 이후 잉글랜드 전역에 군주권이 행사되었고, 알프레드 대왕은 데인족의 침입을 막아내고 잉글랜드 남부를 통합하여 '앵글로색슨인의 왕' 칭호를 사용했다. 1066년 노르만 왕조가 시작되었고, 1707년 연합법으로 잉글랜드는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으로 대체되었다. 잉글랜드 국왕의 왕호는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그레이트브리튼 국왕'이 공식 왕호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주 목록 - 바르셀로나 백작
    바르셀로나 백작은 카탈루냐 지역을 다스린 역사적 작위로, 프랑크 왕국에서 시작하여 세습 작위로 독립적인 발전을 이루었고 아라곤과의 결혼을 통해 아라곤 연합왕국 형성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스페인 국왕이 계승하는 작위이다.
  • 군주 목록 - 이집트 국왕
    1922년부터 1953년까지 이집트 왕국을 통치한 군주는 푸아드 1세, 파루크 1세, 푸아드 2세이며, 이들의 통치 기간은 영국의 영향력 아래에서 이루어졌고, 파루크 1세의 부패와 사치, 1952년 쿠데타로 왕정이 폐지, 푸아드 2세는 짧은 기간 동안 명목상의 왕으로 남았다.
잉글랜드 국왕
잉글랜드 군주
왕국잉글랜드
잉글랜드의 왕실 문장
초대 군주애설스탠
마지막 군주앤 여왕
성립927년
폐지1707년 5월 1일
호칭폐하
왕위
첫 번째 군주앨프레드 대왕
마지막 군주
시작약 886년 (9세기 후반)
종료1707년 5월 1일
거주지세인트 제임스 궁전
칭호
라틴어
기타
참고에드워드 3세는 14세에 왕이 되었다.
루들란 법령
왕실 및 의회 명칭법 (1927년)에

2. 앵글로색슨 잉글랜드

829년 에그버트가 잉글랜드를 통일한 후, 1066년 노르만 정복 이전까지 앵글로색슨 왕조가 잉글랜드를 다스렸다. 이 시기 잉글랜드는 웨섹스 왕조와 덴마크 왕조가 번갈아 왕위를 차지하며 복잡한 왕위 계승 분쟁을 겪었다.


  • 웨섹스 왕조 (829-1013): 에그버트를 시작으로 알프레드 대왕, 에드워드 1세 등 웨섹스 가문이 왕위를 계승했다. 에텔스탠은 927년 잉글랜드 전체를 통일하고 최초의 잉글랜드 왕이 되었다.
  • 덴마크 왕조 (1013-1014, 1016-1042): 1013년 덴마크의 스베인이 잉글랜드를 침공하여 에텔레드 2세를 몰아내고 왕위에 올랐으나 곧 사망했다. 이후 크누트 대왕이 아산둔 전투에서 에드먼드 2세를 격파하고 잉글랜드 전체를 통치했다. 크누트 대왕은 '북해 제국'을 건설하고 잉글랜드에 안정과 번영을 가져왔다.
  • 웨섹스 왕조 복위 (1014-1016, 1042-1066): 스베인 1세 사후 에텔레드 2세가 잠시 복위했다. 크누트 대왕 사후에는 하롤드 1세와 하르데크누트가 차례로 왕위를 이었으나, 하르데크누트가 사망하면서 덴마크 왕조의 잉글랜드 지배는 막을 내리고 에드워드 참회왕이 즉위하며 웨섹스 왕조가 복위되었다.
  • 고드윈 가문 (1066): 에드워드 참회왕이 후사 없이 사망하자 해럴드 2세가 귀족들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었으나, 노르망디 공작 윌리엄이 잉글랜드 왕위를 주장하며 침공,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해럴드 2세를 전사시키고 잉글랜드를 정복했다.
  • 분쟁 (1066): 헤이스팅스 전투 이후 위텐은 에드가 에셀링을 왕으로 선출했으나, 이미 노르만족이 잉글랜드를 장악하여 제대로 통치하지 못하고 윌리엄에게 항복했다.

2. 1. 웨섹스 왕조 (886–1013)

이름초상화출생혼인사망계승권
알프레드 대왕[4]
849년
웨섹스의 에텔울프와 오스부르의 아들
게인즈버러의 엘스위스
868년
자녀 5명
899년 10월 26일
약 50세
웨섹스의 에텔울프의 아들
웨드모어 조약
에드워드[5]
874년경
알프레드 대왕와 엘스위스의 아들
(1) 에크윈
893년경
자녀 2명
(2) 엘플레드
900년경
자녀 8명
(3) 켄트의 에드기푸
919년경
자녀 4명
924년 7월 17일
약 50세
알프레드 대왕의 아들


2. 2. 분쟁 (924)

에드워드 1세 사후, 그의 아들 앨프워드( Ælfweard영어)가 왕위에 올랐으나 즉위식을 치르지 못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6] 12세기 왕 목록에는 그의 재위 기간을 4주로 기록하고 있지만, 《앵글로색슨 연대기》의 한 사본에는 아버지 사후 16일 만에 사망했다고 기록되어 있다.[6]

앨프워드의 통치 기간과 정통성에 대해서는 역사학자들 사이에 이견이 존재한다.[7] 앨프워드가 왕으로 선포되었을 경우 왕국 전체를 통치했는지, 웨섹스만 통치했는지도 불분명하다. 에드워드가 죽었을 때 앨프워드는 웨섹스에서, 에텔스탠은 머시아에서 국왕으로 선포되었다는 해석도 존재한다.[7]

2. 3. 웨섹스 왕조 (924–1013)

에드워드의 아들 에텔스탠은 924년부터 잉글랜드의 왕으로 즉위하여 939년까지 통치했다.[12] 그는 927년에 잉글랜드 전체를 통일하고 최초의 잉글랜드 왕이 되었다.

에드워드 1세와 그의 이복형제 에텔스탠 사이인 924년에 앨프워드가 국왕이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증거가 있으나, 즉위식은 치르지 않았다. 12세기 왕 목록에는 그의 재위 기간을 4주로 기록하고 있지만, 《앵글로색슨 연대기》의 한 사본에는 아버지 사후 16일 만에 사망했다고 기록되어 있다.[6] 그러나 그가 통치했다는 사실은 모든 역사가들에게 받아들여지고 있지는 않다. 또한 앨프워드가 국왕으로 선포되었을 경우 왕국 전체를 통치했는지, 웨섹스만 통치했는지 불분명하다. 모호한 증거에 대한 한 가지 해석은 에드워드가 죽었을 때 앨프워드가 웨섹스에서, 에텔스탠이 머시아에서 국왕으로 선포되었다는 것이다.[7]

이름초상화출생혼인사망주장
앨프워드[8][9]
에드워드 1세와 앨플래드의 아들[10]자녀 없음924년 8월 2일[3]
약 23세
에드워드 1세의 아들
에텔스탠[12]
올 소울스 칼리지 예배당의 에텔스탠 왕
894년
에드워드 1세와 에크윈의 아들
미혼939년 10월 27일
약 45세
에드워드 1세의 아들
에드먼드 1세[13]
에드먼드 대왕
에드워드 1세와 켄트의 에드기푸의 아들샤프츠베리의 앨프기푸
2명의 아들
데머햄의 에텔플래드
자녀 없음
946년 5월 26일
퍼클처치
싸움 도중 살해당함, 약 25세
에드워드 1세의 아들
에드레드[14]
에드워드 1세와 켄트의 에드기푸의 아들미혼955년 11월 23일
프롬
약 32세
에드워드 1세의 아들
에드위[15]
에드위 훌륭한 자
알려지지 않은 화가의 작품을 바탕으로 알려지지 않은 판화가가 제작한 에드위의 판화
에드먼드 1세와 샤프츠베리의 앨프기푸의 아들앨프기푸
확인된 자녀 없음
959년 10월 1일
약 19세
에드먼드 1세의 아들
에드가 평화왕[16]
잉글랜드의 에드가 왕
에드먼드 1세와 샤프츠베리의 앨프기푸의 아들에텔플래드
1명의 아들
앨프스리스
2명의 아들
975년 7월 8일
윈체스터
31세
에드먼드 1세의 아들
에드워드 순교자[17]
성 에드워드 순교자
에드가 평화왕과 에텔플래드의 아들미혼978년 3월 18일
코프 성
살해당함, 약 16세
에드가 평화왕의 아들
에텔레드 2세[19]
(첫 번째 통치 기간)
삽화 원고 "애빙던 연대기"에 나오는 과장된 칼을 든 에텔레드의 이미지
에드가 평화왕과 앨프스리스의 아들요크의 앨프기푸
9명의 자녀
노르망디의 에마
3명의 자녀
1016년 4월 23일
런던
약 48세
에드가 평화왕의 아들


2. 4. 덴마크 왕조 (1013–1014)

1013년, 덴마크의 스베인이 잉글랜드를 침공하여 에텔레드 2세를 몰아내고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스베인 1세는 즉위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사망했고, 에텔레드 2세가 잠시 복위했다.[124]

2. 5. 웨섹스 왕조 (복위, 1014–1016)

스베인 1세 사후 에텔레드 2세는 망명에서 귀국하여 1014년 2월 3일 다시 왕위에 올랐다.[119] 에텔레드 2세의 아들은 잉글랜드 왕관을 빼앗으려는 덴마크인들과 대립하는 런던 시민들과[121] 위텐(賢人会議)[121]에서 선출된 후 아버지의 뒤를 이었다.

이름초상화출생결혼사망
에텔레드 2세
(Æþelræd Unræd)
1014년–1016년 (재위)[120]
968년
에드가와 엘프리다의 아들[114]
(1) 엘프기푸
4명의 자녀
(2) 알레기프
991년
6명의 자녀
(3) 에마 드 노르망디
1002년
3명의 자녀[115]
1016년 4월 23일
런던
약 48세[113]
에드먼드 2세
(Eadmund)
1016년 4월 24일 –
11월 30일[121]
Edmund Ironside
993년
에텔레드 2세와 엘프기푸의 아들[121]
에디스
2명의 자녀[122]
1016년 11월 30일
글래스턴베리
약 23세[121][122]



1016년 10월 18일, 아산둔 전투(Battle of Assandun)의 결과 에드먼드 2세는 크누트 대왕이 웨섹스를 제외한 잉글랜드 전역을 지배하는 것을 인정하는 조약에 서명했다.[123] 11월 30일 에드먼드 2세가 사망하자 크누트 대왕은 잉글랜드 전토를 통치하는 유일한 왕이 되었다.

2. 6. 덴마크 왕조 (복위, 1016–1042)

Knútrda 크누트 대왕(1016년–1035년)은 아산둔 전투(1016년 10월 18일)에서 에드먼드 2세를 무찌르고 잉글랜드의 왕이 되었다.[123] 에드먼드 2세가 사망하면서 크누트는 잉글랜드 전체를 통치하게 되었다. 크누트 대왕은 잉글랜드, 덴마크, 노르웨이를 아우르는 '북해 제국'을 건설하고 잉글랜드의 안정과 번영을 이끌었다.[124][125]

이름초상화탄생결혼사망
크누트 대왕
(Knútrda)
1016년 11월 30일–1035년[124][125]
995년
스벤과 곤힐드의 아들[124]
(1) 엘프기프 오브 노샘프턴
자녀 2명
(2) 노르망디의 에마
1017년
에드셀레드 2세의 미망인[124]
1035년 11월 12일[125]
샤프츠베리
약 40세[124]
하롤드 1세
(Haraldla)
1035년 11월 13일–1040년[126]
1016/1017년
크누트 대왕과 엘프기프 오브 노샘프턴의 아들[126]
엘기후
아들 1명[127]
1040년 3월 17일
옥스퍼드
23 또는 24세[126]
하르데크누트
(Hardeknudda)
1040년 6월 18일–1042년[128]
1018년
크누트 대왕과 노르망디의 에마의 아들[127]
불명1042년 6월 8일
램베스
약 24세[127]



크누트 대왕의 사후, 왕위는 아들 하롤드 1세와 하르데크누트에게 차례로 계승되었다.

2. 7. 웨섹스 왕조 (복위, 1042–1066)

이름초상화출생혼인사망주장
해럴드 2세[29]
고드윈과 기타 토르켈스도티르의 아들에디스 스와네샤 (자녀 5명)1066년 10월 14일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44세의 나이로 사망에드워드 참회왕이 지명한 상속자이자 매부, 위테나게모트에 의해 선출됨



하르다크누트가 사망하면서 덴마크 왕조의 잉글랜드 지배는 막을 내렸다. 에드워드 참회왕이 즉위하면서 웨섹스 왕조가 복위되었다. 에드워드 참회왕은 신앙심이 깊었으나, 후계자를 남기지 못하고 사망하여 왕위 계승 분쟁이 발생했다.[29]

2. 8. 고드윈 가문 (1066)

에드워드 참회왕 사후, 잉글랜드 귀족들은 해럴드 2세를 왕으로 추대했다.[29] 그러나 노르망디 공작 윌리엄이 잉글랜드 왕위를 주장하며 침공해 왔고,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해럴드 2세를 전사시키고 잉글랜드를 정복했다.

이름초상화출생혼인사망주장
해럴드 2세[29]웨섹스의 고드윈과 기타 토르켈스도티르의 아들에디스 스와네샤
자녀 5명
엘드기스
아들 2명
1066년 10월 14일
헤이스팅스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44세의 나이로 사망
에드워드 참회왕이 지명한 상속자
에드워드 참회왕의 매부
위테나게모트에 의해 선출됨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해럴드 왕이 전사한 후, 위텐은 에드가 에셀링을 왕으로 선출했지만, 그때는 이미 노르만인들이 영국을 장악하고 있었고 에드가는 결코 통치하지 못했다. 그는 정복왕 윌리엄에게 항복했다.

2. 9. 분쟁 (1066)

Harold Godwinson영어 해럴드 2세헤이스팅스 전투에서 전사한 후, 위텐은 에드가 에셀링을 왕으로 선출했다.[30] 그러나 이미 노르만족이 잉글랜드를 장악하고 있었기 때문에 에드가는 제대로 통치하지 못했다. 그는 결국 정복왕 윌리엄에게 항복했다.[31]

이름초상화출생사망주장
에드가 에셀링[30]
망명자 에드워드와 아가타의 아들1125년 또는 1126년
약 75세
아이언사이드 에드먼드의 손자
위테나게모트에 의해 선출됨


3. 노르만 왕조 (1066–1135)

1066년 노르망디 공국의 윌리엄이 잉글랜드를 침공하여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승리하고 잉글랜드 왕위에 올랐다.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하롤드 고드윈손이 사망한 후, 앵글로색슨 위테나게모트는 에드워드 망명자의 아들이자 에드먼드 아이언사이드의 손자인 에드가 애설링을 왕으로 선출했지만, 에드가 애설링은 저항을 하지 못하고 왕관을 쓰지 못했다.[32] 윌리엄은 1066년 크리스마스에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잉글랜드 왕 윌리엄 1세로 즉위했으며, 오늘날 윌리엄 정복자로 알려져 있다. 윌리엄 1세는 수도를 윈체스터에서 런던으로 이전하였다.

윌리엄 1세의 아들 윌리엄 2세[33]와 헨리 1세[34]가 차례로 왕위를 계승했다. 헨리 1세는 딸 마틸다를 후계자로 지명했으나, 그의 사후 조카 스티븐[35]이 왕위를 찬탈하면서 내전(무정부 시대)이 발발했다.

이름초상화출생혼인사망주장
윌리엄 1세[32]
매슈 파리스가 그린 영국 연대기 요약본에 묘사된 윌리엄 정복자.
팔레즈 성플랑드르의 마틸다
노르망디
1053년
9명의 자녀
1087년 9월 9일
루앙
약 59세
1052년 에드워드 참회왕에 의해 상속인으로 지명됨
정복권
윌리엄 2세[33]
스토우 사본에 묘사된 윌리엄 루퍼스.
노르망디미혼1100년 8월 2일
뉴포리스트
44세
윌리엄 1세의 아들
헨리 1세[34]
헨리 1세.
1068년 9월
셀비
스코틀랜드의 마틸다
웨스트민스터 사원
1100년 11월 11일
2명의 자녀

루방의 아델라이드
윈저 성
1121년 1월 29일
자녀 없음
1135년 12월 1일
생드니앙리옹
67세
윌리엄 1세의 아들
왕위 찬탈


4. 블루아 왕조 (1135–1154)

헨리 1세는 적장자인 아들 윌리엄 아델린이 1120년 화이트십호 난파 사건으로 사망하면서, 잉글랜드의 노르망디 왕조가 단절되었다. 헨리 1세는 장녀 마틸다를 상속자로 지명했지만, 헨리가 죽자 그의 조카 스티븐이 쿠데타를 일으켜 왕위를 차지했다. 이로 인해 잉글랜드는 무정부 시대라고 불리는 약 20년간의 내전에 돌입했다.[35]

이름초상화출생혼인사망주장
스티븐
(블루아의 스티븐)
1135년 12월 22일
~ 1154년 10월 25일
스티븐
블루아
스티븐 2세와 노르망디의 아델의 아들
부룬의 마틸다
웨스트민스터
1125
6명의 자녀
1154년 10월 25일
도버 성
약 58세
윌리엄 1세의 손자
임명 / 선위
'마틸다'
(마틸다 황후)
1141년 4월 7일
~ 1141년 11월 1일
마틸다
1102년 2월 7일
서튼 쿠르트네이 저택
헨리 1세와 에디스의 딸
신성 로마 제국의 헨리 5세
마인츠
1114년 1월 6일
자녀 없음
앙주의 제프리 5세
르망 대성당
1128년 5월 22일
아들 3명
1167년 9월 10일
루앙
65세
헨리 1세의 딸
왕위 찬탈



마틸다는 아버지 헨리 1세에 의해 왕위 계승 추정 상속인으로 선포되었으나, 헨리 1세 사후 사촌 스티븐에게 왕위를 찬탈당했다. 무정부 시대 동안 마틸다는 1141년 몇 달간 잉글랜드를 통치했지만, 왕위에 오르지는 못했다.[36]

스티븐의 아들 외스타스 4세는 1152년 공동 국왕으로 임명되었으나, 교황과 교회의 반대로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1153년 사망했다.[37]

5. 플랜태저넷 왕조 (1154–1485)

플랜태저넷 왕가는 앙주 백작 제프리 플랜태지넷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헨리 2세 이후의 잉글랜드 국왕들에게 소급 적용되었다. 현대 역사가들은 헨리 2세와 그의 아들들을 "앙주 왕가"라고 부르기도 한다.[43]

루이 8세는 제1차 바런 전쟁이 끝난 1216년 5월부터 1217년 9월까지 잠시나마 잉글랜드 영토의 3분의 2를 장악하고 잉글랜드의 루이 왕으로 선포되기도 하였으나, 1217년 9월 램버스 조약을 통해 잉글랜드 왕위 주장을 포기하였다.[43] "루이 왕"은 잉글랜드의 상당 부분을 지배했던 국왕들 중 가장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 중 하나이다.[44]

이름초상화문장출생혼인사망주장
'루이'[45]
1187년 9월 5일
파리
프랑스의 필립 2세와 헤노의 이자벨의 아들
카스티야의 블랑슈
포르모르
1200년 5월 23일
13명의 자녀
1226년 11월 8일
몽쁘니에
39세
정복권
바론들에 의해 제안됨



플랜태저넷 가문은 잉글랜드의 왕실 문장을 제정했는데, 이것은 왕국을 장악하거나 요구하는 자 또는 그 후계자에 의해 사용되었다.

이름초상화출생혼인사망주장
헨리 2세
(Henry II) | -- | 1133년 3월 5일
르 망 | 엘레오노르
1152년 5월 18일
8명의 자녀 | 1189년 7월 6일
시농
56세 | 헨리 1세의 손자
젊은 헨리
(Henry the young)
(공동 통치) | -- | 1155년 2월 28일 | 마르그리트
1172년 8월 27일
자녀 없음 | 1183년 6월 11일
리무주
28세 | 헨리 2세의 아들
리처드 1세
(Richard I) | -- | 1157년 9월 8일
보몽 궁전 | 베렝가리아
리마솔
1191년 5월 2일
자녀 없음[132] | 1199년 4월 6일
샤토 드 샬뤼
41세 | 헨리 2세의 아들

(John) | -- | 1166년 12월 24일
보몽 궁전 | (1) 이자벨
말보룬 성
1189년 8월 29일
자녀 없음
헨리 3세
(Henry III) | -- | 1207년 10월 1일
윈체스터 성 | 엘레오노르
캔터베리 대성당
1236년 1월 14일
9명의 자녀[133] | 1272년 11월 16일
웨스트민스터 궁전
65세 | 존의 아들
에드워드 1세
(Edward I) | -- | 1239년 6월 17일
웨스트민스터 궁전 | (1) 엘레오노르
1254년 10월 18일
17명의 자녀
에드워드 2세
(Edward II) | -- | 1284년 8월 25일
카나번 성 | 이사벨라
1308년 1월 25일
5명의 자녀 | 1327년 9월 21일
버클리 성
43세 | 에드워드 1세의 아들
에드워드 3세
(Edward III) | -- | 1312년 11월 13일
윈저 성 | 필리파
1328년 1월 24일
14명의 자녀 | 1377년 6월 21일
셰인 궁전
64세 | 에드워드 2세의 아들
리처드 2세
(Richard II) | -- | 1367년 1월 6일
보르도 | (1) 앤
1382년 1월 14일
자녀 없음



랭커스터 왕조는 에드워드 3세의 넷째 아들 랭커스터 공 존 오브 곤트의 후손이다.

이름초상화출생혼인사망주장
헨리 4세
(Henry IV) |
| 1366년/1367년 4월 3일
보링브룩 성 | (1) 메리
1380년 7월 27일
7명의 자녀
헨리 5세
(Henry V) |
| 1386년 9월 16일 또는
1387년 8월 9일[134]
몽머스 성 | 캐서린
트루아 성
1420년 6월 2일
1명의 자녀 | 1422년 8월 31일
뱅센느 성
35세 | 헨리 4세의 아들
헨리 6세
(Henry VI) |
| 1421년 12월 6일
윈저 성 | 마거릿
1445년 4월 22일
1명의 자녀 | 1471년 5월 21일
런던 탑
49세 | 헨리 5세의 아들



요크 가는 에드워드 3세의 다섯째 아들 요크 공작랭커스터의 에드먼드의 후손이다.

이름초상화출생혼인사망주장
에드워드 4세
(Edward IV) | -- | 1442년 4월 28일
루앙 | 엘리자베스
1464년 5월 1일
10명의 자녀 | 1483년 4월 9일
웨스트민스터 궁전
40세 | 에드워드 3세의 증손자



1470년 헨리 6세가 잠시 복위하였다.

이름초상화출생결혼사망주장
헨리 6세
(Henry VI) | | 1421년 12월 6일
윈저 성 | 마거릿트 앙주
1445년 4월 22일
1명의 자녀 | 1471년 5월 21일
런던 타워
49세 | 헨리 5세의 아들



1471년, 에드워드 4세가 다시 왕위를 되찾았다.

이름초상화출생혼인사망주장
에드워드 4세
(Edward IV) | -- | 1442년 4월 28일
루앙 | 엘리자베스
1464년 5월 1일
10명의 자녀 | 1483년 4월 9일
웨스트민스터 궁전
40세 | 에드워드 3세의 현손
에드워드 5세
(Edward V) | -- | 1470년 11월 2일
웨스트민스터 | 미혼 | 1483년
런던
약 12세 | 에드워드 4세의 아들
리처드 3세
(Richard III) | -- | 1452년 10월 2일
파더링게이 성 | 앤 네빌
1472년 6월 12일
1명의 자녀 | 1485년 8월 22일
보스워스 평원
32세 | 에드워드 3세의 현손


5. 1. 앙주 제국 (1154–1216)

스티븐 왕은 1153년 11월 월링포드 조약을 통해 마틸다와 합의하여 헨리를 상속자로 인정했다. 마틸다와 제프리 5세로부터 이어진 왕가는 앙주 가문 또는 플랜태지넷 가문으로 알려져 있다.

앙주 왕가는 12세기와 13세기에 앙주 제국을 통치했다. 존 왕이 대륙 영토 대부분을 상실할 때까지 잉글랜드는 그들의 주요 본거지였다. 헨리 2세의 직계 장자 계승자들은 대륙 영토 대부분을 상실한 후 플랜태지넷 가문으로 불린다. 장미 전쟁 중에 랭커스터 가문과 요크 가문으로 알려진 방계 가문도 이 계보에 포함된다.

앙주 왕가는 잉글랜드 왕실 문장을 만들었으며, 이 문장은 그들이 소유하거나 주장한 다른 왕국을 보여주었다. ''Dieu et mon droit''는 리처드 1세가 1198년 지소르 전투에서 프랑스의 필리프 2세의 군대를 물리쳤을 때 처음으로 전투 구호로 사용되었다.[39][38] 에드워드 3세가 채택한 이후로 잉글랜드 군주의 모토로 사용되어 왔다.[39]

{| class="wikitable"

|-

! 문장 !! 이름 !! 초상화 !! 출생 !! 혼인 !! 사망 !! 주장

|-

|
|| '''헨리 2세'''[40]
'''헨리 짧은 망토'''
1154년 12월 19일[40]–1189년 7월 6일

|


| 1133년 3월 5일
르망
앙주의 제프리 5세와 마틸다 황후의 아들

| 엘레오노르 아키텐
보르도 대성당
1152년 5월 18일
자녀 8명

| 1189년 7월 6일
시농
56세

| 헨리 1세의 손자
월링포드 조약
에드먼드 아이언사이드의 증손자

|-

| colspan=6 | 헨리 2세는 아들 '''젊은 왕 헨리''' (1155–1183)를 공동 통치자로 임명했지만, 젊은 헨리는 아버지보다 먼저 사망하여 스스로 통치하지 않았으므로 왕으로 계산되지 않는다.

|-

| rowspan=2 |
|| '''리처드 1세'''[41]
'''사자왕 리처드'''
1189년 9월 3일[41]–1199년 4월 6일

|


| 1157년 9월 8일
보몽 궁전
헨리 2세와 엘레오노르 아키텐의 아들

| 나바라의 베렌가리아
리마솔
1191년 5월 12일
자녀 없음

| 1199년 4월 6일
샤뤼
석궁 발사체에 맞아 41세 사망

| 헨리 2세의 아들
장자 상속

|-

| || '''존'''[42]
'''존 랭클랜드'''
1199년 5월 27일[42]–1216년 10월 19일

|


| 1166년 12월 24일
보몽 궁전
헨리 2세와 엘레오노르 아키텐의 아들

|

(1) 글로스터의 이사벨
말버러 성
1189년 8월 29일
자녀 없음
(2) 앙굴렘의 이사벨
보르도 대성당
1200년 8월 24일
자녀 5명



| 1216년 10월 19일
뉴어크온트렌트
49세

| 헨리 2세의 아들
지명
혈연의 근접성

|}

프랑스의 루이 8세(루이 왕세자)는 제1차 바런 전쟁이 끝난 1216년 5월부터 1217년 9월까지 잠시 잉글랜드의 3분의 2를 자신의 편으로 만들었다. 1217년 9월 램베스 조약에 서명하면서 루이는 1만 마르크를 받고 자신이 합법적인 잉글랜드 국왕이 아니었음을 인정했다.[43]

5. 2. 앙주 왕조 (1216-1399)

존 왕 사후, 그의 아들 헨리 3세가 즉위했다.[46] 헨리 3세의 치세 동안 귀족들의 권한이 강화되었고, 1264년 시몽 드 몽포르가 이끄는 귀족 반란이 일어나 잉글랜드 최초의 의회가 소집되기도 했다. 헨리 3세의 아들 에드워드 1세는 웨일스를 정복하고, 스코틀랜드를 복속시키려 시도하는 등 잉글랜드의 영토 확장에 힘썼다.[47] 에드워드 1세의 아들 에드워드 2세는 무능한 통치로 귀족들의 반발을 샀고, 결국 폐위당하고 살해되었다.[48] 그의 아들 에드워드 3세는 프랑스 왕위를 주장하며 백년전쟁을 일으켰다.[50] 백년전쟁 초기에는 잉글랜드가 우세했으나, 장기화되면서 국력 소모가 심화되었다. 에드워드 3세의 손자 리처드 2세는 전제적인 통치로 귀족들의 반발을 샀고, 결국 폐위당했다.[51]

헨리 3세 시대 이후, 플랜태저넷 가문이 대륙 영토의 대부분을 상실하면서 그들은 본격적으로 영국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다. 랭커스터 가문과 요크 가문은 플랜태저넷 가문의 방계이다.

문장이름초상화출생혼인사망주장
--헨리 3세[46]
헨리 오브 윈체스터
1216년 10월 28일 – 1272년 11월 16일
1207년 10월 1일 윈체스터 성
존 왕과 앙굴렘의 이사벨라의 아들
프로방스의 엘레오노르
캔터베리 대성당
1236년 1월 14일
자녀 5명
1272년 11월 16일 웨스트민스터 궁전
65세
존 왕의 아들
장자 상속
에드워드 1세[47]
에드워드 롱샹크스
1272년 11월 20일 – 1307년 7월 7일
1239년 6월 17일 웨스트민스터 궁전
헨리 3세와 프로방스의 엘레오노르의 아들
(1) 카스티야의 엘레오노르
라스 웨가스의 산타 마리아 라 레알 수도원
1254년 10월 18일
자녀 16명
(2) 프랑스의 마가레트
캔터베리 대성당
1299년 9월 10일
자녀 3명
1307년 7월 7일 버그 바이 샌즈
68세
헨리 3세의 아들
장자 상속
에드워드 2세[48]
에드워드 오브 카나본
1307년 7월 8일 – 1327년 1월 20일
1284년 4월 25일 카나본 성
에드워드 1세와 카스티야의 엘레오노르의 아들
프랑스의 이사벨라
불로뉴 대성당
1308년 1월 24일
자녀 4명
1327년 9월 21일 벌클리 성
43세에 암살됨
에드워드 1세의 아들
장자 상속
--
에드워드 3세[50]
에드워드 오브 윈저
1327년 1월 25일 – 1377년 6월 21일
1312년 11월 13일 윈저 성
에드워드 2세와 프랑스의 이사벨라의 아들
헤이노의 필리파
요크 대성당
1328년 1월 25일
자녀 14명
1377년 6월 21일 쉰 궁전
64세
에드워드 2세의 아들
장자 상속
리처드 2세[51]
리처드 오브 보르도
1377년 6월 22일 – 1399년 9월 29일
1367년 1월 6일 보르도 대주교궁
흑태자 에드워드와 켄트의 조앤의 아들
(1) 보헤미아의 앤
1382년 1월 14일
웨스트민스터 사원
자녀 없음
(2) 발루아의 이사벨
칼레의 성 니콜라스 교회
1396년 11월 4일
자녀 없음
1400년 2월 14일 폰트프랙트 성
33세
에드워드 3세의 손자
장자 상속


5. 3. 랭커스터 왕조 (1399–1461, 1470–1471)

에드워드 3세의 세 번째 아들인 존 오브 곤트에서 유래한 가문이다. 헨리 4세는 리처드 2세로부터 권력을 빼앗았고, 왕위 계승 순위에서 에드워드 3세의 두 번째 아들인 라이오넬의 후손인 에드먼드 모티머를 밀어냈다.[52]

이름초상화출생혼인사망주장
헨리 4세1366년/1367년 4월 3일
보링브룩 성
1413년 3월 20일
웨스트민스터 사원
45세 또는 46세
에드워드 3세의 손자
헨리 5세1386년 9월 16일 또는
1387년 8월 9일[134]
캐서린: 트루아 성, 1420년 6월 2일 (1명의 자녀)1422년 8월 31일
뱅센느 성
35세
헨리 4세의 아들
헨리 6세1421년 12월 6일
윈저 성
마거릿: 1445년 4월 22일 (1명의 자녀)1471년 5월 21일
런던 탑
49세
헨리 5세의 아들



장미 전쟁(1455년–1485년)에서 왕위는 랭커스터 가문과 요크 가 사이를 오갔다. 1470년, 헨리 6세가 잠시 복위했다.

이름초상화출생결혼사망주장
헨리 6세1421년 12월 6일
윈저 성
마거릿트 앙주: 1445년 4월 22일 (1명의 자녀)1471년 5월 21일
런던 타워
49세
헨리 5세의 아들


5. 4. 요크 왕조 (1461–1470, 1471–1485)

루앙엘리자베스
1464년 5월 1일
10명의 자녀1483년 4월 9일
웨스트민스터 궁전
40세에드워드 3세의 증손자[55]1470년 헨리 6세가 잠시 복위하였다.헨리 6세(Henry VI)1421년 12월 6일
윈저 성마거릿트 앙주
1445년 4월 22일
1명의 자녀1471년 5월 21일
런던 타워
49세헨리 5세의 아들1471년, 에드워드 4세가 다시 왕위를 되찾았다.에드워드 4세
(Edward IV)--1442년 4월 28일
루앙엘리자베스
1464년 5월 1일
10명의 자녀1483년 4월 9일
웨스트민스터 궁전
40세에드워드 3세의 현손에드워드 5세
(Edward V)--1470년 11월 2일
웨스트민스터미혼1483년
런던
약 12세에드워드 4세의 아들리처드 3세
(Richard III)--1452년 10월 2일
파더링게이 성앤 네빌
1472년 6월 12일
1명의 자녀1485년 8월 22일
보스워스 평원
32세에드워드 3세의 현손


6. 튜더 왕조 (1485–1603)

House of Tudor|튜더 왕조영어는 1485년 헨리 7세가 리처드 3세를 물리치고 왕위에 오르면서 시작되었다.[58] 헨리 7세는 요크 가문의 엘리자베스와 결혼하여 장미 전쟁을 끝내고 왕권을 강화했다.

이름초상화출생결혼사망주장
헨리 7세
(Henry VII)
헨리 7세, 1505년 미셸 시토 작
1457년 1월 28일
펜브로크 성
엘리자베스
1486년 1월 18일
자녀 8명
1509년 4월 21일
리치몬드 궁전
52세
에드워드 3세의 7대손
헨리 8세
(Henry VIII)
헨리 8세, 한스 홀바인 작, 1536년경
1491년 6월 28일
그리니치 궁전
헨리 7세의 아들
캐서린
1509년 6월 11일
자녀 1명
1547년 1월 28일
화이트홀 궁전
55세
헨리 7세의 아들
앤 불린
1533년 1월 25일
자녀 1명
제인 시모어
1536년 5월 30일
자녀 1명
앤 오브 클리브
1540년 1월 6일
캐서린 하워드
1540년 1월 28일
캐서린 파
1543년 6월 12일
에드워드 6세
(Edward VI)
--1537년 10월 12일
험프턴 코트 궁전
헨리 8세의 아들
미혼1553년 6월 6일
그리니치 궁전
15세
헨리 8세의 아들



;대립 왕위 계승자

이름초상화출생결혼사망주장
'제인 그레이'
칭호의 대립
1537년 10월
브래드게이트 파크
길포드 더들리
1553년 5월 21일
미혼
1554년 2월 12일
런던탑
16세 (참수형)
헨리 7세의 증손녀



에드워드 6세는 '''제인 그레이'''를 자신의 예상 상속자로 지명했다. 에드워드 6세 사후 4일 동안 제인은 여왕으로 선포되었다. 선포 9일 후, 에드워드 6세의 이복 누이이자 가톨릭 신자였던 메리 1세는 충분한 지지를 얻으려고 노력했고, 7월 19일에 제인을 체포하여 런던탑에 가두었다. 제인은 16세에 처형되었다. 오늘날 영국 왕실은 제인을 정통한 군주로 여기고 있다.


이름초상화출생결혼사망주장
메리 1세
(Mary I) |
메리 1세, 안토니우스 모르 작, 1554년
1516년 2월 18일
그리니치 궁전
필리프 2세
1554년 7월 25일
자녀 없음
1558년 11월 17일
세인트 제임스 궁전
42세
헨리 8세의 딸
필리프 1세
(Philipe I) |
잉글랜드 왕 필립
1527년 5월 21일
발라돌리드
(2) 메리 1세
1554년 7월 25일
자녀 없음
1598년 9월 13일
엘 에스코리알
71세
메리 1세의 남편



1554년~1558년의 문장


필리프 2세와 메리 1세의 결혼 계약에 따라, 필리프 2세는 메리 1세의 칭호를 누렸고, 명성은 결혼 기간만큼 지속되었다. 의회 법률을 포함한 공문서에는 두 사람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으며, 의회는 부부의 권위 명의로 소집되었다.[135] (하지만 모든 곳의 의결에서 메리 1세가 "유일한" 여왕으로 명시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리프 2세는 메리 1세와 공동 통치를 했다.[136] 새로운 잉글랜드 왕은 영어를 할 줄 몰랐기 때문에, 모든 사항을 기록한 문서는 라틴어 또는 스페인어로 작성해야 했다.[136][137][138] 화폐에는 메리 1세와 필리프 2세의 얼굴이 새겨졌고, 잉글랜드의 문장(오른쪽)은 필리프 2세의 문장에 부부의 공동 통치를 나타내는 합쳐진 문장으로 만들어졌다.[139][140] 필리프 2세의 왕권에 치우친 반역죄 법령은 잉글랜드[141]와 아일랜드에 시행되었다.[142] 1552년 교황 파울루스 5세는 필리프 2세와 메리 1세를 정통한 아일랜드의 왕과 왕비로 하는 교황 칙서를 발표했다.

이름초상화출생결혼사망주장
엘리자베스 1세
(Elizabeth I) |
엘리자베스 1세, 단리 작
1533년 9월 7일
그리니치 궁전
미혼1603년 3월 24일
리치몬드 궁전
69세
헨리 8세의 딸



헨리 8세가 로마 가톨릭 교회와 단절하면서 잉글랜드의 군주는 잉글랜드 국교회와 아일랜드 국교회의 최고 수장이 되었다. 엘리자베스 1세의 칭호에는 잉글랜드 국교회 최고 수장이 추가되었다.

7. 스튜어트 왕조 (1603–1649)

1603년 엘리자베스 1세가 후계자 없이 서거하면서 스튜어트 왕조가 시작되었다. 엘리자베스 1세의 사촌이자 스코틀랜드의 왕 제임스 6세가 잉글랜드의 왕위를 계승하여 제임스 1세가 되었다. 제임스 1세는 헨리 7세의 장녀인 마가렛 튜더의 고손자였다.[62] 제임스 1세는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를 동군연합 형태로 통치했지만, 두 왕국은 별개의 국가로 남아 있었다. 1604년, 제임스 1세는 "그레이트 브리튼 왕"이라는 칭호를 채택했다.

제임스 1세의 아들 찰스 1세는 의회와의 갈등 끝에 잉글랜드 내전을 일으켰고, 결국 패배하여 1649년에 참수형을 당했다.[63]

이름초상화탄생결혼사망주장
제임스 1세
James I, by Paulus van Somer
1566년 6월 19일
에든버러 성

1589년 11월 23일
7명의 자녀
1625년 3월 27일
시어볼즈 궁전
58세
헨리 7세의 현손
찰스 1세--1600년 11월 19일
던퍼름린 궁전
헨리에타
1625년 6월 13일
9명의 자녀
1649년 1월 30일
화이트홀 궁전
48세 (참수형)
제임스 1세의 아들


8. 잉글랜드 공화정 (1649–1660)

1649년 찰스 1세의 처형[143]부터 1660년 찰스 2세에 의한 왕정복고까지 잉글랜드에는 군주가 없었다. 대신 1653년에 보호국주가 설치되었고, 이 기간은 보호국 시대로 알려져 있다.

이름초상화출생결혼사망
올리버 크롬웰
Oliver Cromwell
1599년 4월 25일
헌팅던
엘리자베스 보처
1620년 8월 22일
9명의 자녀
1658년 9월 3일
화이트홀
59세
리처드 크롬웰
Richard Cromwell, c.1650
1626년 10월 4일
헌팅던
도로시 메이어
1649년 5월
9명의 자녀
1712년 7월 12일
체샤ント
85세


9. 스튜어트 왕조 (복위, 1660–1707)

(Charles II)--1630년 5월 29일
세인트 제임스 궁전캐서린
1662년 5월 21일
3명의 적자를 두다1685년 2월 6일
화이트홀 궁전
54세찰스 1세의 자녀제임스 2세
(James II)--1633년 10월 14일(1) 앤 하이드
1660년 9월 3일
8명의 자녀
(2) 메리
1673년 11월 21일
7명의 자녀1701년 9월 16일
생제르맹앙레
67세찰스 1세의 자녀메리 2세
(Mary II)

1662년 4월 30일
세인트 제임스 궁전세인트 제임스 궁전
1677년 11월 4일
3명의 자녀1694년 12월 28일
켄싱턴 궁전
32세제임스 2세의 딸 부부윌리엄 3세
(William III)--1650년 11월 4일
헤이그1702년 3월 8일
켄싱턴 궁전
51세
(Anne)--1665년 2월 6일조지
1683년 7월 28일
17명의 자녀 (모두 요절)1714년 8월 1일
켄싱턴 궁전
49세제임스 2세의 자녀


10. 연합법 (1707)

앤 여왕의 통치하에 스코틀랜드 왕국과의 통합이 이루어졌다.[144]

연합법은 1706년 7월 22일 양국 의원 대표 위원 간 협상에서 합의된 연합 조약을 발효시키기 위해 잉글랜드 의회와 스코틀랜드 의회에서 1706년부터 1707년 사이에 통과된 의원 입법이다.[144] 이 법은 잉글랜드 왕국과 스코틀랜드 왕국(과거에는 별개의 주권 국가이자 입법부였으나, 공통의 군주를 가졌던)이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으로 하나의 왕국이 된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두 나라는 1603년 스코틀랜드 왕 제임스 6세가 엘리자베스 1세로부터 잉글랜드 왕위를 계승한 이래 100년 동안 군주를 공유해 왔다(「왕관의 연합」). 그러나 1707년 이전에는 사실상 두 개의 분리된 왕관이 같은 머리 위에 놓여 있었다. 1607년, 1667년, 1669년에 두 나라의 연합이 시도되었지만, 18세기 초까지 실행되지 못했다. 이는 양국의 정치 체제의 이해관계가 얽혀 있었고, 그 외에도 여러 가지 이유가 있었기 때문이다.

11. 왕호

애설스탠부터 실지왕 존까지 모든 잉글랜드 군주는 "잉글랜드인의 왕(King of the English영어, Rex Anglorumla)"을 왕호로 사용했다. 노르만인의 잉글랜드 정복 이전의 왕들은 다음과 같은 왕호를 병용하기도 했다.



노르만 왕조 시기에도 "잉글랜드인의 왕(Rex Anglorumla, King of the English영어)"이라는 표현이 계속 사용되었으나 "잉글랜드 국왕(Rex Angliela, King of England영어)"도 사용되기 시작했다. 신성로마황후 마틸다는 스스로를 "잉글랜드인의 대부인(Domina Anglorumla, Lady of the English영어)"이라고 칭했다.

실지왕 존 이후로는 "잉글랜드 국왕" 이외의 다른 칭호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1603년 잉글랜드 왕위를 상속받은 스코트인의 왕 제임스 6세는 그 이듬해인 1604년 "그레이트브리튼 국왕(King of Great Britain영어)"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양 의회가 모두 이 칭호를 인정하지 않아 법적 근거는 없었다. 1707년 연합법으로 잉글랜드 국왕위와 스코트인의 왕위가 완전히 통폐합된 앤 여왕 대에 가서야 "그레이트브리튼 국왕"이 공식 왕호가 되었다.[146]

참조

[1] 서적 A Brief History of British Kings and Queens: British Royal History from Alfred the Great to the Present Running Press 2003
[2] 백과사전 Offa Blackwell Publishing 1999
[3] 서적 The Blackwell Encyclopaedia of Anglo-Saxon England 2001
[4] 웹사이트 Kings and Queens of England http://www.britroyal[...]
[4] 웹사이트 Alfred 'The Great' (r. 871–899) https://www.royal.uk[...]
[4] 서적 The political thought of King Alfred the Gre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5] 웹사이트 Edward 'The Elder' (r. 899–924) https://www.royal.uk[...]
[6] 서적 Bishop Æthelwold: His Career and Influence Woodbridge 1988
[7] 서적 The Blackwell Encyclopaedia of Anglo-Saxon England 2001
[8] 서적 Bishop Æthelwold: His Career and Influence Woodbridge 1988
[8] PASE Ælfweard 4
[9] 서적 The Blackwell Encyclopaedia of Anglo-Saxon England 2001
[10] 서적 Edward, King of the Anglo-Saxons Routledge 2001
[11] 서적 Edward the Elder Routledge 2001
[12] 웹사이트 Aethelstan http://www.archontol[...]
[12] 웹사이트 Athelstan (r. 924–939) https://www.royal.uk[...]
[13] 웹사이트 Eadmund (Edmund) http://www.archontol[...]
[13] 웹사이트 Edmund I (r. 939–946) https://www.royal.uk[...]
[14] 웹사이트 Eadred (Edred) http://www.archontol[...]
[14] 웹사이트 King Edred http://www.britroyal[...]
[14] 웹사이트 Edred (r. 946–55) https://www.royal.uk[...]
[15] 웹사이트 Eadwig (Edwy) http://www.archontol[...]
[15] 웹사이트 Edwy http://www.newadvent[...]
[15] 웹사이트 Edwy (r. 955–959) https://www.royal.uk[...]
[16] 웹사이트 Eadgar (Edgar the Peacemaker) http://www.archontol[...]
[16] 웹사이트 Edgar (r. 959–975) https://www.royal.uk[...]
[17] 웹사이트 Eadweard (Edward the Martyr) http://www.archontol[...]
[17] 웹사이트 Edward II 'The Martyr' (r. 975–978) https://www.royal.uk[...]
[18] 웹사이트 Aethelred (the Unready) http://www.archontol[...]
[19] 웹사이트 Ethelred II 'The Unready' (r. 978–1013 and 1014–1016) https://www.royal.uk[...]
[20] 웹사이트 Sweyn (Forkbeard) http://www.archontol[...]
[20] 서적 The Viking King's Golden Treasure. About the Curmsun Disc, the discovery of a lost manuscript, Harald Bluetooth's grave and the location of the fortress of Jomsborg https://books.google[...] Rivengate AB 2021
[21] 웹사이트 Eadmund (Edmund the Ironside) http://www.archontol[...]
[22] 웹사이트 Edmund II 'Ironside' (r. Apr – Nov 1016) https://www.royal.uk[...]
[23] 웹사이트 Edmund II (king of England) https://www.britanni[...]
[24] 웹사이트 Cnut (Canute) http://www.archontol[...]
[24] 웹사이트 Canute 'The Great' (r. 1016–1035) https://www.royal.uk[...]
[25] ODNB Harold I
[25] 웹사이트 Harold Harefoot (r. 1035–1040) https://www.royal.uk[...]
[26] 웹사이트 Harold (Harefoot) http://www.archontol[...]
[27] ODNB Harthacnut
[27] 웹사이트 Harthacnut http://www.archontol[...]
[27] 웹사이트 Hardicanute (r. 1035–1042) https://www.royal.uk[...]
[28] 웹사이트 Edward III 'The Confessor' (r. 1042–1066) https://www.royal.uk[...]
[29] 웹사이트 Harold II (r. Jan – Oct 1066) https://www.royal.uk[...]
[30] 웹사이트 Edgar Atheling (r. Oct – Dec 1066) https://www.royal.uk[...]
[31] 웹사이트 Eadgar (the Ætheling) http://www.archontol[...]
[32] 웹사이트 William I 'The Conqueror' (r. 1066–1087) https://www.royal.uk[...]
[32] Harvnb 1996
[33] 웹사이트 William II (Known as William Rufus) (r. 1087–1100) https://www.royal.uk[...]
[33] Harvnb 1996
[34] 웹사이트 Henry I 'Beauclerc' (r. 1100–1135) https://www.royal.uk[...]
[34] Harvnb 1996
[35] 웹사이트 Stephen and Matilda (r. 1135–1154) https://www.royal.uk[...]
[36] 웹사이트 Matilda (the Empress) http://www.archontol[...] 2007-10-27
[37] 서적 The Mammoth Book of British Kings and Queens Robinson Publishing Ltd 1999
[38] 서적 Medieval Costume and Fashion https://books.google[...] Courier Dover Publications 1999
[39] 서적 A Dictionary of motto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83
[40] 웹사이트 Henry II 'Curtmantle' (r. 1154–1189) https://www.royal.uk[...] 2018-01-16
[41] 웹사이트 Richard I Coeur de Lion ('The Lionheart') (r.1189–1199) https://www.royal.uk[...] 2018-01-16
[42] 웹사이트 John Lackland (r. 1199–1216) https://www.royal.uk[...] 2018-01-16
[43] 웹사이트 England: Louis of France's Claim to the Throne of England: 1216–1217 http://www.archontol[...] Archontology.org 2012-05-30
[44] 웹사이트 The Only Two Louis in British History https://thecrownchro[...] TheCrownChronicles.co.uk 2018-05-02
[45] 서적 Louis: The French Prince Who Invaded England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6
[46] 웹사이트 Henry III (r. 1216–1272) https://www.royal.uk[...] 2018-01-16
[47] 웹사이트 Edward I 'Longshanks' (r. 1272–1307) https://www.royal.uk[...] 2018-01-16
[48] 웹사이트 Edward II (r. 1307–1327) https://www.royal.uk[...] 2018-01-16
[49] 서적 The Perfect King: The Life of Edward III, Father of the English Nation Penguin Random House 2008
[50] 웹사이트 Edward III (r. 1327–1377) https://www.royal.uk[...] 2018-01-16
[51] 웹사이트 Richard II (r. 1377–1399) https://www.royal.uk[...] 2018-01-16
[52] 간행물 Henry IV's date of birth and the royal Maundy 2007
[53] 웹사이트 Henry V (r. 1413–1422) https://www.royal.uk[...] 2018-01-16
[54] 뉴스 Henry VI (r.1422–1461 and 1470–1471) https://www.royal.uk[...] 2018-01-16
[55] 웹사이트 Edward IV (r. 1461–1470 and 1471–1483) https://www.royal.uk[...] 2018-01-16
[56] 웹사이트 Edward V (Apr–Jun 1483) https://www.royal.uk[...] 2018-01-16
[57] 웹사이트 Edward V http://www.archontol[...] 2007-10-25
[58] 웹사이트 Richard III http://www.archontol[...] 2007-10-25
[59] 서적 The King's Mother: Lady Margaret Beaufort, Countess of Richmond and Derb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60] 서적 The Rise of the Tudors: The Family That Changed English History St.Martin's Press 2013
[61] 간행물 Beaufort, John (1373?-1410)
[62] 웹사이트 Henry VII (r. 1485–1509) https://www.royal.uk[...] 2018-01-16
[63] 웹사이트 Henry VIII (r.1509–1547) https://www.royal.uk[...] 2018-01-16
[64] 웹사이트 Edward VI (r.1547–1553) https://www.royal.uk[...] 2018-01-16
[65] 웹사이트 Lady Jane Grey: Marriage http://www.britannia[...] 2007-10-25
[66] 웹사이트 Lady Jane Grey (r. 10–19 July 1553) https://www.royal.uk[...] 2018-01-16
[67] 웹사이트 Mary I (r.1553–1558) https://www.royal.uk[...] 2018-01-16
[68] 웹사이트 Act for the Marriage of Queen Mary to Philip of Spain (1554) http://rbsche.people[...] Document Discovery Project 2009-06-14
[69] 서적 The subject of Elizabeth: authority, gender, and representa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6
[70] 서적 The History of England From the Accession of Edward VI to the Death of Elizabeth (1547–1603) Read Books 2007
[71] 서적 The Seventh Window: The King's Window Donated by Philip II and Mary Tudor to Sint Janskerk in Gouda (1557) Uitgeverij Verloren 2005
[72] 서적 British heraldry from its origins to c. 1800 British Museum Publications Ltd. 1978
[73] 서적 The Numismatist American Numismatic Association 1971
[71] 서적 Ireland in the age of the Tudors: the destruction of Hiberno-Norman civilisation Taylor & Francis 1977
[72] 웹사이트 Elizabeth I (r.1558–1603) https://www.royal.uk[...] 2018-01-16
[73] 위키소스 Act of Union 1707
[74] 웹사이트 James I (r. 1603–1625) https://www.royal.uk[...] 2018-01-16
[75] 웹사이트 Charles I (r. 1625–1649) https://www.royal.uk[...] 2018-01-16
[76] 웹사이트 Oliver Cromwell 1599–1658 http://www.british-c[...] 2007-10-25
[77] 웹사이트 Oliver Cromwell – Faq 1 https://web.archive.[...] 2007-10-25
[78] 웹사이트 History of St Giles' without Cripplegate http://www.stgilescr[...] 2007-10-25
[79] 웹사이트 Richard Cromwell, Lord Protector, 1626–1712 http://www.british-c[...] 2007-10-25
[80] 웹사이트 Cromwell, Richard https://web.archive.[...] 2007-10-25
[81] 웹사이트 Charles II (r. 1660–1685) https://www.royal.uk[...] 2018-01-16
[81] 웹사이트 Oliver Cromwell (1649–1658 AD) https://web.archive.[...] 2008-11-28
[82] 웹사이트 James II (r.1685–1688) https://www.royal.uk[...] 2018-01-16
[83] 웹사이트 William III (r. 1689–1702) and Mary II (r. 1689–1694) https://www.royal.uk[...] 2018-01-16
[84] 웹사이트 William III http://www.archontol[...] 2007-10-25
[85] 웹사이트 Anne (r. 1702–1714) https://www.royal.uk[...] 2018-01-16
[85] 웹사이트 Anne (England) http://www.archontol[...] 2007-10-25
[86] 웹사이트 Welcome https://web.archive.[...] 2008-10-07
[87] 문서 Croft, p. 67; Wilson, pp. 249–252.
[88] 서적 The Blackwell Encyclopedia of Anglo-Saxon England Blackwell 1999
[89] 서적 The Anglo-Saxons Phaidon 1982
[90] 서적 The Earliest English Kings https://books.google[...] 2014-09-00
[91] 웹사이트 Burke's Peerage & Gentry http://www.burkes-pe[...] 2007-09-07
[92] 웹사이트 thePeerage.com – Æthelbald, King of Wessex and others http://www.thepeerag[...] 2007-10-24
[93] 웹사이트 King Egbert http://www.britroyal[...] 2007-10-24
[94] 서적 Britain's Royal Family: A Complete Genealogy The Bodley Head 1999
[95] 웹사이트 Alfred (the Great)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7-03-15
[96]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Alfred the Great http://www.newadvent[...] 2007-03-14
[97] 웹사이트 Alfred the Great https://web.archive.[...] 2007-03-14
[98] 웹사이트 EADWEARD (Edward the Elder)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7-03-15
[99] 웹사이트 Anglo-Saxons.net : Edward the Elder http://www.anglo-sax[...] 2007-03-15
[100] 웹사이트 English Monarchs – Kings and Queens of England – Edward the Elder http://www.englishmo[...] 2007-01-21
[101] 서적 Bishop Æthelwold. His Career and Influence Woodbridge 1988
[102] 문서 Textus Roffensis
[103] 웹사이트 Aethelstan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14-09-00
[104] 웹사이트 EADMUND (Edmund)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7-03-17
[105] 웹사이트 English Monarchs – Kings and Queens of England – Edmund the Elder http://www.englishmo[...] 2007-03-17
[106] 웹사이트 EADRED (Edred)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7-03-17
[107] 웹사이트 BritRoyals – King Edred http://www.britroyal[...] 2007-03-17
[108] 웹사이트 EADWIG (Edwy)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7-03-17
[109]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Edwy http://www.newadvent[...] 2007-03-17
[110] 웹사이트 EADGAR (Edgar the Peacemaker)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7-03-17
[111] 웹사이트 The Ætheling http://www.geocities[...] 2007-03-17
[112] 웹사이트 EADWEARD (Edward the Martyr)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7-03-17
[113] 웹사이트 AETHELRED (the Unready)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7-03-17
[114] 웹사이트 Schoolnet Spartacus: Ethelred http://www.spartacus[...] 2007-03-17
[115] 웹사이트 English Monarchs – Kings and Queens of England – Ethelred II, the Redeless http://www.englishmo[...] 2007-03-17
[116] 웹사이트 English Monarchs http://www.englishmo[...] 2007-10-27
[117] 웹사이트 Sweyn (Forkbeard)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7-10-27
[118] 웹사이트 thePeerage.com – Person Page 10242 http://www.thepeerag[...] 2007-10-27
[119] 웹사이트 thePeerage.com – Person Page 102175 http://thepeerage.co[...] 2010-03-25
[120] 웹사이트 AETHELRED (the Unready)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7-03-17
[121] 웹사이트 EADMUND (Edmund the Ironside)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7-03-17
[122] 웹사이트 English Monarchs – Kings and Queens of England – Edmund Ironside http://www.englishmo[...] 2007-03-17
[123] 웹사이트 Edmund II (king of England) @ Britannica.com http://www.britannic[...] 2010-03-25
[124] 웹사이트 CNUT (Canute)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7-03-21
[125] 웹사이트 thePeerage.com – Person Page 10219 http://thepeerage.co[...] 2010-03-25
[126] 웹사이트 Harold (Harefoot)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7-10-27
[127] 웹사이트 thePeerage.com – Person Page 10220 http://www.thepeerag[...] 2007-10-27
[128] 웹사이트 Harthacnut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7-10-28
[129] 웹사이트 thePeerage.com – Person Page 10218 http://www.thepeerag[...] 2007-10-26
[130] 웹사이트 Eadgar (the Ætheling)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7-10-26
[131] 웹사이트 thePeerage.com – Person Page 9 http://www.thepeerag[...] 2007-10-26
[132] 웹사이트 thePeerage.com – Person Page 10202 http://www.thepeerag[...] 2007-10-25
[133] 웹사이트 thePeerage.com – Person Page 10193 http://www.thepeerag[...] 2007-10-25
[134] 웹사이트 Biography of HENRY V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9-11-28
[135] 웹사이트 1 Mar. stat. 2 c. 2 http://rbsche.people[...]
[136] 서적 The subject of Elizabeth: authority, gender, and representa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6
[137] 서적 The History of England – From the Accession of Edward VI. to the Death of Elizabeth (1547–1603) READ BOOKS 2007
[138] 서적 The Seventh Window: The King's Window Donated by Philip II and Mary Tudor to Sint Janskerk in Gouda (1557) Uitgeverij Verloren 2005
[139] 서적 British heraldry from its origins to c. 1800 British Museum Publications Ltd. 1978
[140] 간행물 The Numismatist American Numismatic Association 1971
[141] 문서 Treason Act 1554
[142] 서적 Ireland in the age of the Tudors: the destruction of Hiberno-Norman civilisation Taylor & Francis 1977
[143] 웹사이트 Oliver Cromwell 1599–1658 http://www.british-c[...] 2007-10-25
[144] 웹사이트 Welcome http://www.parliamen[...] 2008-10-07
[145] 문서 After the personal union of the three crowns, James was the first to style himself ''King of Great Britain'', but the title was rejected by the English Parliament and had no basis in law. The Parliament of Scotland also opposed it.
[146] 문서 Croft, p67; Wilson, pp249–252.
[147] 웹사이트 Aethelstan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7-03-15
[148] 웹사이트 EADMUND (Edmund)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7-03-17
[149] 웹사이트 EADRED (Edred)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7-03-17
[150] 웹사이트 EADGAR (Edgar the Peacemaker)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7-03-17
[151] 웹사이트 EADWEARD (Edward the Martyr)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7-03-17
[152] 웹사이트 AETHELRED (the Unready)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7-03-17
[153] 웹인용 English Monarchs http://www.englishmo[...] 2007-10-27
[154] 웹인용 Sweyn (Forkbeard)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7-10-27
[155] 웹사이트 EADMUND (Edmund the Ironside)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7-03-17
[156] 웹사이트 CNUT (Canute)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7-03-21
[157] 웹인용 Harold (Harefoot)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7-10-27
[158] 웹인용 Harthacnut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7-10-28
[159] 웹인용 STEPHEN (of Blois)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7-10-25
[160] 웹인용 EDWARD V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7-10-25
[161] 웹인용 Oliver Cromwell 1599–1658 http://www.british-c[...] 2007-10-25
[162] 웹인용 Richard Cromwell, Lord Protector, 1626–1712 http://www.british-c[...] 2007-10-25
[163] 웹인용 Oliver Cromwell (1649-1658 AD) http://www.britannia[...] 2017-06-11
[164] 웹인용 Anne (England)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2007-10-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