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 막시밀리앙 라마르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 막시밀리앙 라마르크는 프랑스 혁명 전쟁, 나폴레옹 전쟁, 7월 혁명 시기에 활약한 프랑스의 군인이자 정치가였다. 그는 유력한 가문 출신으로 군에 입대하여 혁명 전쟁에 참여했고, 여러 전투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여단장으로 승진했다. 나폴레옹 전쟁 중에는 나폴리 침공과 이탈리아 원정에 참여했으며, 백일천하 기간에는 반란 진압을 지휘했다. 부르봉 왕정 복고 이후 좌익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7월 혁명 이후에는 정통왕당파 봉기를 진압했다. 자유주의를 옹호하며 폴란드와 이탈리아의 자유를 지지했으나, 1832년 콜레라로 사망했고, 그의 죽음은 6월 봉기의 도화선이 되었다. 빅토르 위고의 소설 『레 미제라블』에는 라마르크의 죽음과 6월 봉기에 대한 이야기가 묘사되어 있다. 그는 또한 저술 활동을 통해 자신의 군 경력과 정치적 사상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랑드주 출신 - 앙리 르페브르
    앙리 르페브르는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사회학자로서, 일상생활 비판, 공간의 사회적 생산, 도시에 대한 권리 등 도시, 공간 관련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랑드주 출신 - 빈첸시오 드 폴
    빈첸시오 드 폴은 프랑스의 가톨릭 사제이자 자선가로서, 가난한 이들을 위한 헌신적인 봉사로 '자선 사업의 아버지'로 불리며, 라자르회와 성 빈첸시오 아 바오로의 자비 수녀회를 창립하여 사회복지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고, 사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옥시타니아인 - 가브리엘 포레
    가브리엘 포레는 프랑스의 작곡가, 오르가니스트, 피아니스트, 음악 교육자로서, 프랑스 가곡의 거장으로 불리며 파반느, 레퀴엠, 펠레아스와 멜리장드, 야상곡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 옥시타니아인 - 칼 14세 요한
    칼 14세 요한은 프랑스 출신 군인으로 스웨덴 왕세자가 되어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국왕으로 즉위하여 동군 연합을 이루고 중립 외교와 근대화를 추진하며 국가 발전에 기여했다.
  • 프랑스의 나폴레옹 전쟁 참전 군인 - 도미니크 방담
    도미니크 방담은 프랑스 제1제정 시대의 장군으로, 나폴레옹에게 인정받은 군사적 재능과 잔혹한 성격, 그리고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의 공훈, 쿨름 전투 포로, 워털루 전투 이후의 추방 등 파란만장한 삶으로 기억되는 인물이다.
  • 프랑스의 나폴레옹 전쟁 참전 군인 - 스탕달
    스탕달(마리 앙리 베유)은 19세기 프랑스 소설가이자 비평가로, 나폴레옹 군대 참여와 이탈리아 생활을 통해 『적과 흑』, 『파르마의 수도원』 같은 심리 묘사와 역사적 배경이 뛰어난 작품을 남겼으며, 20세기 이후 재평가받아 프랑스 최고 작가 중 한 명으로 인정받고 '스탕달 증후군'이라는 용어를 남기기도 했다.
장 막시밀리앙 라마르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장 막시밀리앙 라마르크
출생일1770년 7월 22일
사망일1832년 6월 1일
출생지생트스베르, 프랑스 왕국
사망지파리, 7월 왕정
서명
군사 경력
소속프랑스 왕국
프랑스 제1공화국
프랑스 제1제국
7월 왕정
복무 기간1791년–1830년
최종 계급사단장
참전 전투프랑스 혁명 전쟁
나폴레옹 전쟁
수상양시칠리아 왕국 왕립 훈장
레지옹 도뇌르 훈장
기타
이후 활동정치가; 작가

2. 초기 생애 및 혁명 전쟁

라마르크는 프랑스 랑드 주의 생 세베르에서 유력한 가문 출신이다. 그의 아버지 피에르 조제프 라마르크(1733–1802)는 변호사이자 생 세베르의 세네샬이었다. 그의 삼촌 장자크 라마르크(1737–1809)는 신학 대학의 총장이었으며, 공포 정치 기간 동안 박해를 받았다. 라마르크의 아버지는 1789년 삼부회에서 제3신분 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테니스 코트의 선서에 참여했고, 국민제헌의회의 일원이었다.[1]

라마르크는 아버지와 함께 파리에 합류하여 1791년 군에 입대했다. 그는 초기 혁명 및 반성직자 활동에 참여했으며, 최근 살해된 장폴 마라의 기념비를 세우기 위해 대리석 제단을 제거한 후 바브르 대성당을 파괴하고 불태운 부대의 일원이었다.[1]

1792년 1월, 라마르크는 제4 랑데스 대대에 척탄병으로 입대하여 1793년 4월 3일에 중위로 진급했다. 5월에는 척탄병 대위가 되어, 서부 피레네 군에서 테오필 코레 드 라 투르 도베르뉴가 이끄는 "지옥의 열"에 참여했다.[2] 1794년 2월 6일 두 번 부상을 입었고,[1] 같은 해 7월에는 소규모 병력으로 1,700명이 방어하던 온다리비아를 점령하여 두각을 나타냈다.[3] 그는 다시 진급하여 라인 군으로 전속되었다. 그는 엥겐 전투(1800년 5월 3일), 메스키르히 전투(1800년 5월 4-5일), 비버라흐 전투(1800년 5월 9일), 회흐슈테트 전투(1800년 6월 19일) 및 호엔린덴 전투(1800년 12월 3일)에서 활약했다.[1] 호엔린덴 전투에서 큰 공을 세워 장 빅토르 마리 모로 장군이 그를 나폴레옹에게 추천하여 1801년 3월에 여단장 계급을 받게 되었다.[1][2]

3. 나폴레옹 전쟁

제3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이 발발하자, 라마르크는 대육군에 소속되어 아우스터리츠 전투에 참전했다.[1] 1806년에는 마세나 원수와 조제프 보나파르트를 따라 나폴리 침공에 참여하여 가에타 포위전에서 프라 디아볼로가 이끄는 반군과 싸웠다.[1] 1807년, 조제프 보나파르트가 나폴리 왕이 되자, 라마르크를 참모장으로 임명하고 사단장 계급을 부여했다. 조아생 뮈라가 조제프 보나파르트의 뒤를 이어 나폴리 왕이 되었을 때, 라마르크는 허드슨 로가 지휘하는 영국군으로부터 카프리 섬을 점령하여 그의 지위를 공고히 하라는 임무를 받았다. 라마르크는 과감한 공격을 감행하여 영국군을 기습했고, 치열한 전투 끝에 섬을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3]

이후 라마르크는 뮈라에 의해 참모장이 되었고 두 시칠리아 왕가 훈장을 받았다.[1] 1809년, 이탈리아 왕국으로 파견되어 나폴레옹의 양아들 외젠 드 보아르네 휘하 6개 군대 중 하나를 지휘했다. 그는 피아베 강 전투(5월 8일), 류블랴나 점령(5월 22일), 바그람 전투(7월 8일)에서 싸웠으며, 바그람 전투 중에는 그의 말이 4번이나 총에 맞아 쓰러졌다.[3] 이후 이탈리아 육군의 참모장으로 임명되었고, 안트베르펜 근처에서 국민 방위대의 예비 사단을 지휘했다.[1]

1810년, 라마르크는 제국 남작으로 임명되었다.[1] 그 후, 형에 의해 스페인 왕이 된 조제프 보나파르트를 지원하기 위해 스페인으로 전출되었으나, 반란을 일으킨 스페인군과 웰링턴 휘하의 영국군에 의해 서서히 후퇴를 강요받았다.

1814년 나폴레옹이 엘바 섬으로 유배되었을 때, 라마르크는 그에게 충성을 유지했으며, 백일천하 동안 황제의 곁으로 돌아왔다. 나폴레옹이 영국군 및 프로이센군과 대적하기 위해 벨기에로 진격하는 동안, 라마르크는 시몽 카뉘엘 장군 휘하의 방데에서 왕당파 반란에 맞서 1만 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사단을 지휘했다.[4] 라마르크는 로셰비에르 전투에서 반란을 진압했지만, 이 승리는 나폴레옹의 워털루 전투 패배로 무효화되었다. 나폴레옹은 나중에 라마르크의 노력을 높이 평가하며 "위기의 순간에 그곳으로 보낸 라마르크는 놀라운 활약을 펼쳤고, 심지어 내 기대를 뛰어넘었다."라고 언급했다.[5]

4. 부르봉 왕정 복고와 7월 혁명

워털루 전투 이후, 나폴레옹이 프랑스에서 추방되자 라마르크는 복고된 부르봉 왕가에 의해 추방되어 처음에는 브뤼셀, 그다음에는 암스테르담으로 망명했다.[1] 1818년 귀국이 허용되어 생세베르로 은퇴한 후 좌익 정치인으로 활동했다.[1] 이 기간 동안 그는 자신의 재산을 쏟아 랑드 지역의 토지를 매입하고 현대적인 농업 장비를 들여와 풍경을 "인간화"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농업 개혁과 경제를 지원하기 위한 전략적 투자를 강력하게 옹호했다. 1828년, 그는 랑드 지역을 대표하여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었다.[3] 그곳에서 라마르크는 부르봉 왕가와 그 지지자들(정통왕당파)에 반대하는 좌익 계파의 인기 있는 대표였다.[2]

1830년 7월 혁명 이후, 그는 루이 필리프의 새로운 7월 왕정에 반대하는 정통왕당파의 봉기를 진압하기 위해 군대를 지휘했다. 루이 필리프는 8월 21일 그에게 레지옹 도뇌르를 수여했다.[3] 그는 자신의 저술에서 옹호한 자유주의 대의를 계속 지지했다. 그는 또한 러시아가 폴란드의 헌법적 자유를 훼손하려는 시도에 대해 강력하게 비판한 것으로 유명했다. 폴란드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라마르크는 프랑스가 반군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831년 존 스튜어트 밀은 "라마르크 장군이 또다시 격렬하게 전쟁을 촉구했다"고 불평했다.[6] 라마르크의 폴란드와 이탈리아의 헌법적 자유 옹호는 프랑스에서 매우 인기가 높았다. C. A. Fyffe는 "프랑스 국민의 상당 부분"이 루이 필리프가 자유의 대의를 배신했다고 느꼈다고 주장했다. "폴란드와 이탈리아가 정복자에게 맞서 칼을 뽑지도 않고 굴복하도록 내버려 둔 것은 프랑스의 명예에 대한 루이 필리프의 용서받을 수 없는 죄였다."[7] 1830년 8월 21일, 라마르크는 레지옹 도뇌르 그랑크루아 훈장을 받았다.

5. 자유주의 옹호와 국제 문제

7월 혁명 이후, 라마르크는 루이 필리프의 7월 왕정에 반대하는 정통왕당파 봉기를 진압하기 위해 군대를 지휘했으며, 8월 21일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1] 그는 저술을 통해 자유주의를 옹호했으며, 러시아의 폴란드 헌법적 자유 훼손 시도를 비판했다. 폴란드 반란 당시 프랑스가 반군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1831년 존 스튜어트 밀은 "라마르크 장군이 또다시 격렬하게 전쟁을 촉구했다"고 불평했다.[6] 라마르크의 폴란드와 이탈리아 헌법적 자유 옹호는 프랑스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C. A. Fyffe는 "프랑스 국민의 상당 부분"이 루이 필리프가 자유를 배신했으며, "폴란드와 이탈리아가 정복자에게 굴복하도록 내버려 둔 것은 프랑스의 명예에 대한 용서받을 수 없는 죄"라고 느꼈다고 주장했다.[7] 1830년 8월 21일, 라마르크는 레지옹 도뇌르 그랑크루아 훈장을 받았다.

6. 사망과 6월 봉기

1832년, 프랑스에서 콜레라가 유행하던 중 라마르크가 이 병에 걸려 6월 1일에 사망했다.[3] 역사학자 마크 트로고트는 "인기 있는 라마르크가 이 질병으로 쓰러지자, 인구의 신체적, 경제적 안위에 대한 위협에 대한 두려움과 분노가 임계점에 도달했다"고 말했다.[8] 그의 죽음은 파리에서 폭동을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6월 5일, 많은 군중이 라마르크의 장례 행렬을 따랐다. 행렬은 방돔 광장에서 그랑 아르메를 기념하는 기둥에 경의를 표하고, 인근 대로를 따라 진행하며 "루이 필리프를 타도하라, 공화국 만세"라는 외침이 터져 나왔다.[9] 학생 그룹이 관을 실은 마차를 장악하고, 바스티유 광장으로 방향을 바꿔 공화국 지지 연설을 했다. 군중 중 한 명이 "자유 아니면 죽음"이라는 검은색 테두리의 붉은 깃발을 흔들자, 군중은 반란을 일으켰고 정부군과 총격전이 벌어졌다.[8] 라파예트 후작(길베르 뒤 모티에, 라파예트 후작)은 라마르크를 칭찬하는 연설을 했지만, 침착을 요구했으나 혼란은 확산되었다.[10]

이 5~6일의 폭동은 보나파르트주의자와 공화주의 모두에 의해 촉발되었으며, 6월 봉기로 알려진 반란 시도로 이어졌다. 프랑스군과 프랑스 국민 방위군에 의해 진압되었고, 약 800명이 사망하거나 부상당했다. 역사학자들은 라마르크의 죽음이 반란의 구실이었을 뿐, 실제로는 1830년 혁명 이후 쌓여온 불만이 폭발한 것이라고 분석한다. "특히 공화주의자들 사이에서 끓어오르는 불만이 있었는데, 그들은 1830년 바리케이드에서 피를 흘렸지만, 혁명이 루이 필리프를 왕으로 즉위시킨 기회주의자 무리에 의해 '도둑맞았다'고 느꼈다".[8] 봉기는 짧은 기간 동안 지속되었고 파리를 넘어 확산되지 못했다.[11]

빅토르 위고의 소설 『레 미제라블』에서는 라마르크의 죽음과 6월 봉기에 이르는 과정이 묘사되어 있다. 소설에 따르면, 1832년 파리에는 민중의 불만이 컸고, 라마르크는 민중에게 인기가 있어 그의 죽음이 봉기의 계기가 될 것을 정부는 두려워했다.[15][16]

7. 《레 미제라블》에서의 묘사

빅토르 위고의 소설 ''레 미제라블''에서 라마르크는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정부의 옹호자로 묘사된다.[12] 위고는 라마르크를 "미래가 제공하는 기회를 받아들였기 때문에 백성들에게 사랑받았고, 황제를 잘 섬겼기 때문에 군중들에게 사랑받았다"라고 묘사하며, 프랑스의 자긍심과 명예를 상징하는 인물로 그렸다.

위고는 1815년의 조약이 라마르크에게 개인적인 모욕처럼 느껴졌다고 썼다. 라마르크는 웰링턴을 공공연히 미워했고, 워털루 전투의 슬픔을 간직했다. 그는 죽는 순간 백일천하 장교들이 준 칼을 가슴에 안고, 나폴레옹이 "군대"라고 외치며 죽은 것처럼, "조국"이라고 외치며 죽었다.[12]

소설 속 봉기는 역사에서처럼 실패로 끝나지만, 소설, 영화, 라디오, 무대 등 다양한 각색을 통해 낭만적으로 그려진다.

『레 미제라블』에서 묘사된 라마르크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17]

라마르크는 명성이 높은 활동적인 인물이었다. 그는 제정과 왕정 복고 아래에서, 양 시대에 필요한 두 가지 용기를 연달아 보였다. 즉, 전장의 용기와 연단의 용기였다. 용감함과 동시에 웅변가였다. 그의 언론 속에는 칼날이 느껴졌다. 선배인 푸아처럼, 지휘권을 높이 든 뒤 자유를 높이 휘둘렀다. 좌파와 극좌파 사이에 자리를 잡고, 미래의 길흉을 고려하지 않아 민중에게 사랑받았으며, 과거 황제를 잘 섬겼기 때문에 군중에게 사랑받았다. 제라르 백작 및 드루에 백작과 함께 나폴레옹의 가슴속 원수 중 한 명이었다. 1815년 조약에는 스스로 모욕을 받은 것처럼 격앙되었다. 직접적인 증오를 웰링턴에게 향했다. 그 증오는 군중이 마음에 들어 하는 것이었다. 그 후 17년 동안, 그는 그 사이에 일어난 사건에는 거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워털루를 애도하는 마음을 엄숙히 지켰다. 마지막 순간에는, 임종의 고통 속에서, 백일[18]의 장교들로부터 받은 한 자루의 칼을 가슴에 품고 있었다. 나폴레옹은 군대라는 한마디를 남기고 죽었지만, 라마르크는 조국이라는 한마디를 남기고 죽었다.


8. 저술 활동

라마르크는 벨기에와 네덜란드에서 망명 생활을 하는 동안 문학에 전념하여 제임스 맥퍼슨의 오시안 시를 프랑스어 운문으로 번역했다. 그는 서문에서 고대 칼레도니아인들의 문화를 묘사하고, 낭만주의적 관점에서 오시안 시를 분석하며, 베르길리우스, 타소, 밀턴, 호메로스와 비교했다. 또한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는 ''장 막시밀리앙 라마르크 장군에 대한 변호''를 출판했다.[2]

농업 개혁을 추진하면서, 라마르크는 단기적인 이윤 추구를 비판하고 전략적 투자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아두르 강과 평행한 운하의 이점''(1825)에 관한 ''메모''를 출판했다. 그는 가론 강과 아두르 강을 연결하는 운하가 장기적인 경제적 이점을 가져올 것이라고 믿었다.

라마르크는 군 경력과 정치적 사상에 대한 기록도 출판했다. 1815년 방데 반란에 대한 시몽 카뉘엘의 글에 대해 상당한 분량의 답신을 썼는데, 카뉘엘은 라마르크가 격퇴하러 파견된 왕당파 군대를 지휘했다.[13] 그의 자서전인 ''회고록과 추억''은 1835년 가족에 의해 편집 및 출판되었다.[14] 영국 군대 편성에 대한 그의 분석인 ''영국 군대의 훈련에 대한 몇 가지 관찰''은 바론 쥐슈로 드 생 드니의 ''영국 군대: 보병 기동''(1828)에 게재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4e bataillon des Landes https://revolutionse[...] 2020-03-27
[2] 간행물 Lamarque, Maximilien https://books.google[...] Blackie & Son 1836
[3] Mullié
[4] EB1911
[5] 서적 Napoleon at St. Helena: Or, Interesting Anecdotes and Remarkable Conversations of the Emperor during the Five and a Half Years of His Captivity https://books.google[...] Harper 1855
[6] 서적 Mill on Nationali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
[7] 서적 A History of Modern Europe https://books.google[...] Henry Holt 1890
[8] 서적 The Insurgent Barricad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0
[9] 서적 Paris Between Empires – Monarchy and Revolution 1814–1852 St Martins Press 2003
[10] 서적 Memoirs of General Lafayette and of the French revolution of 1830 https://books.google[...] Richard Bentley 1832
[11] 서적 Barricades: The War of the Streets in Revolutionary Paris, 1830–1848 Palgrave 2002
[12] 서적 Les Miserables Random House 2010
[13] 서적 Réponse a M. le Lieutenant-Général Canuel https://books.google[...] Plancher 1818
[14] 서적 Mémoires et souvenirs du général Maximien Lamarque https://books.google[...] K. Fournier jeune 1835
[15] 서적 レ・ミゼラブル 岩波書店 1987
[16] 서적 レ・ミゼラブル 岩波書店 1987
[17] 서적
[18]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