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명진 (당나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명진은 수말 당초 두건덕 휘하에서 활동하다 당나라에 귀순한 인물이다. 당나라에 귀순한 후 유흑달 토벌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으며, 고구려 원정에서 수군으로 활약하며 비사성을 함락시키는 등 뛰어난 무공을 세웠다. 영주도독 겸 동이도호까지 올랐으며, 명장으로 평가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62년 사망 - 임아상
임아상은 당나라의 장수이자 재상으로, 소정방의 돌궐 정벌과 서돌궐 정벌에 공을 세웠으며, 참지정사로 재상직을 수행하며 장손무기의 옥사를 처리하고 고구려 원정에도 참전했으나 원정 중 사망한, 공정한 인사 관리를 중시한 인물이다. - 662년 사망 - 고백자 막시모스
고백자 막시모스는 7세기 비잔틴 제국의 신학자이자 수도사로, 단의론에 맞서 양의론을 옹호하며 기독교 교리를 수호했고, 플라톤주의 영향을 받아 인간의 신성화 과정을 강조했으며, 정교회와 가톨릭 교회 모두에서 교회 교부로 추앙받는다. - 당나라의 군공 - 성덕왕
신문왕의 아들인 성덕왕은 36년간 신라를 다스리며 당과의 외교, 구휼 사업, 관료 기구 정비, 국방 강화 등 국내외 정세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였다. - 당나라의 군공 - 설인귀
설인귀는 당나라 초기의 무장으로, 태종의 고구려 원정에서 시작해 고종 때까지 활약하며 공을 세웠고, 고구려 멸망 후 안동도호부 책임자가 되어 유민을 다스렸으나, 토번과의 전투 패배와 모함으로 유배되는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으며, 그의 용맹함과 지략은 후대에 널리 알려져 민간 설화와 연극의 소재가 되었고 한국에서는 감악산 산신으로 숭배받기도 한다. - 당나라의 장군 - 흑치상지
흑치상지는 백제 부흥 운동에 참여했다가 당나라에 투항하여 당나라 장군으로 활약하며 티베트, 돌궐과의 전쟁에서 공을 세웠으나, 모함으로 옥사 후 명예를 회복한 인물이다. - 당나라의 장군 - 부여융
부여융은 백제 의자왕의 아들이자 당나라 장수로, 백제 멸망 후 당나라 웅진도독으로 임명되어 백제 유민을 다스렸으나 신라와의 관계 악화로 축출되어 낙양에서 사망했으며, 백제 마지막 태자 여부 논쟁과 엇갈린 행적으로 평가가 나뉜다.
정명진 (당나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정명진(程名振) |
로마자 표기 | Jeong Myeongjin |
출생지 | 명주 평은 |
사망일 | 662년 |
국적 | 당나라 |
별칭 | 시호는 열(烈) |
경력 | |
주요 경력 | 보락현령 영년현령 영주도독부장사 명주자사 우효위장군 영주도독 겸 동이도호 진주·포주자사 우위대장군(추증) |
계급 | 장군 |
작위 | |
작위명 | 동평군공 |
관련 활동 | |
관련 활동 | 유흑달 진압 여당전쟁 |
2. 생애
정명진은 수나라 말 당나라 초에 두건덕 밑에서 보락현령(普樂―)을 지냈으며, 유능하다는 평판을 얻었다.[1] 621년 당나라에 귀순하여 영년현령(永年―)이 되었고, 업현을 야습하여 많은 사람들을 사로잡았으나 젖이 나오는 부인들은 돌려보내어 자비로움을 보였다.[2]
유흑달이 거병하여 명주가 함락되자, 정명진은 장안으로 피신하였다. 이 과정에서 정명진의 어머니와 처는 유흑달에게 사로잡혔다.[1] 이세민의 유흑달 토벌에 참여한 정명진은 622년 군량 수송로를 타격하여 큰 피해를 입혔고, 분노한 유흑달은 정명진의 어머니와 처를 죽였다.[3] 623년 유흑달이 붙잡히자, 정명진은 직접 유흑달을 참수하여 어머니에게 제사지냈다.[4]
645년 제1차 여당전쟁에서 장량의 수군에 평양도행군총관으로 참전하여 비사성 함락에 공을 세우고 8,000명을 생포했으며 독산진(獨山陣)도 격파하였다.[5]
655년 소정방과 함께 요수를 넘어 고구려를 습격하여 큰 승리를 거두었다.[6] 658년에는 설인귀와 함께 고구려의 적봉진(赤烽鎭)을 공략하고, 두방루의 3만 군사를 격파하였다.[7] 661년 제2차 여당전쟁에 누방도행군총관(鏤方道行軍總管)으로 참전하였다.[8]
2. 1. 초기 활동과 당나라 귀순
정명진은 수나라 말 당나라 초에 두건덕 밑에서 보락현령(普樂―)을 지냈는데, 유능하다는 평판이 있어 적들이 감히 침범하지 않았다. 621년(무덕 4년) 3월[1] 당나라에 귀순하여 영년현령(永年―)[2]이 되었다. 영년현은 아직 두건덕의 지배하에 있었으므로, 정명진은 병사를 이끌고 하북을 공격하였다. 업현을 야습하여 남녀 천여 명을 사로잡아 돌아왔는데, 젖이 나오는 부인 90여 명은 돌려보내니 업현 사람들이 그 자비로움에 감격하였다. 5월[1] 두건덕이 평정되면서 비로소 영년현에 부임하였다.2. 2. 유흑달 토벌
두건덕의 잔당 유흑달(劉黑闥)이 다시 거병하여 섣달에는[1] 명주가 함락되는 바람에 그곳 자사 진군빈(陳君賓)과 함께 장안으로 피하였다. 정명진의 어머니 반씨(潘氏)와 처 이씨(李氏)는 유흑달에게 사로잡혔다. 이세민(훗날 태종)의 유흑달 토벌에 참여하였다. 622년 3월[3] 유흑달이 기주(冀州), 패주(貝州), 창주(滄州), 영주(瀛州) 등지로부터 군량을 조달받고 있었는데, 정명진이 천여 명으로 그 수송로를 타격하여 배와 수레를 몽땅 부쉈다. 유흑달이 대노하여 정명진의 어머니와 처를 죽였다. 623년 유흑달이 붙잡혀 명주에 있던 태자 이건성에게 보내졌다.[4] 정명진은 직접 유흑달을 참수하길 청하여 그 머리로 어머니에게 제사지냈다.2. 3. 고구려 원정과 활약
645년(정관 19년) 제1차 여당전쟁이 일어나 장량의 수군에 평양도행군총관(平壤道行軍總管)으로 소속되었다. 밤중에 비사성(혹은 사비성) 서쪽으로 진입하여 함락에 공을 세우고 8,000명을 생포했으며 독산진(獨山陣)도 격파하였다.[5]655년(영휘 6년) 5월 좌위중랑장 소정방과 적은 병사로 요수를 넘어 고구려를 습격했다. 고구려군이 얕보고 귀단수(貴端水)를 건너와 역공하기에 분전하여 천여 명을 죽이거나 사로잡고, 그 외곽과 촌락을 불태우고 돌아왔다.[6]
658년(현경 3년) 우령군중랑장(右領軍―) 설인귀를 데리고 고구려의 적봉진(赤烽鎭)을 공략하여 400여 명을 참수하고 100여 명의 포로를 획득했다. 3만 명으로 맞서온 두방루도 거란병을 활용해 대파하고 2,500명의 목을 베었다.[7]
661년(용삭 원년) 제2차 여당전쟁에 누방도행군총관(鏤方道行軍總管)으로서 여섯 부대 중 한 부대로 참전하였다.[8]
3. 평가
두건덕 휘하에 있을 때부터 유능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644년 11월 태종은 명주자사 정명진이 용병을 잘한다는 말을 듣고 고구려 정벌에 대한 방략을 물었다. 정명진의 답변이 매우 재민했으므로 장수나 재상이 될 만한 그릇이라고 격려하며 곧 일을 맡기겠다고 하였다. 그런데 정명진이 감사의 예를 표하는 것을 깜박하였다. 태종이 이를 엄하게 꾸짖자 “신은 광야에만 있느라 황제의 질문을 한 번도 받아본 적이 없었습니다. 오직 그 대답에만 온 신경을 집중하다가 그만 예를 표하는 것을 잊고 말았습니다.”라 태연하면서도 재치있게 답하였다. 태종은 “짐이 타인을 견책할 때마다 20여 년을 곁에 있어온 방현령은 늘 안색을 주체하지 못했는데, 정명진은 평생 짐을 보지 못했는데도 무서워서 떠는 기색도 없이 말의 조리를 잃지 않았다. 참으로 뛰어난 자로구나!”라며 감탄하였다.[9] 여당전쟁 때에는 누차 적은 병력으로도 많은 적을 상대했기에 명장이라는 소리까지 들었다.
4. 가계
관계 | 이름 |
---|---|
아들 | 정무정 |
아들 | 정무충 |
손자 | 정제지(程齊之) |
참조
[1]
서적
자치통감 189권 당기 제5 고조 무덕 4년
[2]
문서
영녕현(永寧縣)은 오기이다.
[3]
서적
자치통감 190권 당기 제6 고조 무덕 5년
[4]
서적
구당서 55권 열전 제5 유흑달, 신당서 86권 열전 제11 유흑달
[5]
서적
신당서 220권 열전 제145 동이 고려
[6]
서적
자치통감 199권 당기 제15 고종 영휘 6년
[7]
서적
자치통감 200권 당기 제16 고종 현경 3년
[8]
서적
신당서 3권 본기 제3 고종 용삭 원년
[9]
서적
자치통감 197권 당기 제13 태종 정관 18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