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655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655년은 연호, 기년, 사건, 탄생, 사망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해이다. 주요 사건으로는 백제의 신라 공격, 당나라의 백제 침공, 교황 에우제니오 1세의 취임, 나바르의 산초 1세 암살 등이 있다. 또한, 신라의 설총, 김삼광 등이 태어났으며, 교황 마르티노 1세, 백제의 사택왕후 등이 사망했다. 일본에서는 사이메이 천황이 즉위하고, 견당사가 귀국하는 등의 사건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655년
655년 기본 정보
그레고리력655년
간지을묘년(乙卯年)
세기7세기
10년 단위650년대
주요 사건
사건655년 - 마이클 3세, 동로마 제국의 황제 (867년 사망)
사건655년 - 콘스탄스 2세, 리미니 전투에서 아랍 함대에 패배
사건655년 - 윈웨이드 전투: 노섬브리아의 오스위우 왕이 머시아의 펜다 왕을 격파하다.
사건655년 - 고토쿠 천황이 수도를 아스카에서 오사카로 옮기다.
탄생
탄생아브드 알 말리크 이븐 마르완, 우마이야 칼리파조의 칼리프 (705년 사망)
탄생이매뉴얼 2세, 동로마 제국의 황제 (695년 사망)
사망
사망펜다, 머시아의 왕
사망성 알베르
사망성 바울로스 1세,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총대주교
사망코날 코엘, 아일랜드의 왕
사망쿠브라, 볼가 불가르의 왕
사망클로비스 2세, 프랑크의 왕
사망에르멘힐다
사망아비드진, 에티오피아의 왕
추가 정보
추가 정보이 문서는 655년에 관한 것입니다.

2. 연호


  • 당(唐) 영휘(永徽) 6년
  • 일본 사이메이 천황 원년
  • 황기 1315년
  • 간지 을묘
  • 고구려 보장왕 14년
  • 백제 의자왕 15년
  • 신라 무열왕 2년
  • 단기 2988년

3. 기년

고종 6년

신라 태종무열왕 2년

고구려 보장왕 14년

백제 의자왕 15년

간지 을묘

일본 사이메이 천황 원년

황기 1315년

단기 2988년

4. 사건

음력 2월, 백제는 태자궁(太子宫)을 극히 사치스럽고 화려하게 손질하고 왕궁 남쪽에 망해정(望海亭)을 세웠다. 음력 5월에는 붉은 색의 말이 북악(北岳)의 오함사(烏含寺)에 들어가 울면서 불우(佛宇)를 돌다가 며칠만에 죽었다. 음력 7월, 백제는 마천성(馬川城)을 다시 고쳤다.

음력 8월, 백제 의자왕은 고구려, 말갈과 함께 신라의 30여 성을 공격하여 깨뜨렸다. 이에 신라 태종무열왕은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백제가 고구려, 말갈과 함께 신라 북쪽 경계를 침략하여 30여 성을 빼앗았다고 알렸다.

당나라백제를 침공했다.

8월 10일 - 교황 에우제니오 1세, 75대 로마 교황으로 취임.

나바르의 산초 1세가 아키텐 공작 펠리페에 의해 암살당했다.

예멘이 이슬람 칼리파국에 정복되었다.

수도원이 이르미니아에 세워졌다.

5월 15일교황 마르티노 1세는 케르소네소스 타우리카 (우크라이나)로 추방되었다. 그는 6년간의 재위 후 크림 반도에서 사망했으며, 에우제니오 1세교황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참고: 654년).

페아다는 피터버러 대성당 (캔터베리 관구)을 설립했다. 이곳은 잉글랜드에서 최초의 기독교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데우스데디트는 캔터베리 대주교로 서임되었다.

2월 14일 (사이메이 천황 원년 1월 3일) - 제37대 천황 사이메이 천황이 즉위 (중조)

8월 18일 (사이메이 천황 원년 7월 11일) - 사이메이 천황, 에미시와 백제인 등을 난파궁에서 환대.

9월 6일 (사이메이 천황 원년 8월 1일) - 견당사가 귀국.

겨울, 이타코노미야(아스카 이타코노미야)가 화재를 입어, 카와라노미야(아스카 카와라노미야)로 천도.

동로마 황제, 콘스탄스 2세, 마스트 전투에서 이슬람에 대패

4. 1. 한반도

음력 2월, 백제는 태자궁(太子宫)을 극히 사치스럽고 화려하게 손질하고 왕궁 남쪽에 망해정(望海亭)을 세웠다. 음력 5월에는 붉은 색의 말이 북악(北岳)의 오함사(烏含寺)에 들어가 울면서 불우(佛宇)를 돌다가 며칠만에 죽었다. 음력 7월, 백제는 마천성(馬川城)을 다시 고쳤다.

음력 8월, 백제 의자왕은 고구려, 말갈과 함께 신라의 30여 성을 공격하여 깨뜨렸다. 이에 신라 태종무열왕은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백제가 고구려, 말갈과 함께 신라 북쪽 경계를 침략하여 30여 성을 빼앗았다고 알렸다.

4. 2. 동로마 제국

콘스탄스 2세가 직접 비잔틴 함대(500척)를 지휘하며 아랍 해군에 도전하기 위해 출항하여 소아시아 남부 지역의 리키아(현재 터키)로 항해한다. 두 군대는 피닉스 산 해안, 피닉스(현대 피니케) 항구 근처에서 마스트 전투를 벌인다.[1] 압둘라 이븐 사드 휘하의 아랍군이 전투에서 승리하지만 양측 모두 막대한 피해를 입는다. 콘스탄스는 간신히 콘스탄티노폴리스로 탈출한다.

4. 3. 서유럽


  • 8월 10일 - 교황 에우제니오 1세가 75대 로마 교황으로 취임하였다.
  • 11월 15일 - 윈웨드 전투: 오스위 왕(버니시아)은 코크 벡 인근(후일 리즈 (요크셔)가 됨)에서 그의 경쟁자였던 펜다 왕을 격파하였다. 그위네드의 카다펠 카도메드 압 킨페드(Cadafael Cadomedd of Gwynedd)와 데이러의 에델왈드는 머시아의 동맹국으로서 전투가 시작되기 전에 군대를 철수시켰다. 이는 잉글랜드에서 마지막으로 믿을 만한 이교 세력이 패배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앵글로-색슨족이 가톨릭 교회를 받아들이게 되는 씨앗을 뿌린다.(추정 연도)
  • 오스위는 대부분의 그레이트 브리튼에 대한 최고 통치자(''브레트왈다'')가 되었다. 그는 스스로를 머시아의 왕으로 확립하고, 자신의 사위인 펜다의 아들 페아다를 미들 앵글리아에 대한 종속 왕으로 세웠다.

4. 4. 아시아

음력 2월, 백제는 태자궁(太子宫)을 극히 사치스럽고 화려하게 손질하고 왕궁 남쪽에 망해정(望海亭)을 세웠다. 음력 5월에는 붉은 색의 말〔騂馬〕이 북악(北岳)의 오함사(烏含寺)에 들어가서, 울면서 불우(佛宇)를 돌다가 며칠만에 죽었다. 음력 7월에는 마천성(馬川城)을 또다시 고쳤다.

음력 8월, 백제 의자왕고구려, 말갈과 더불어 신라의 30여 성을 공격하여 깨뜨렸다. 신라태종무열왕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배알하였고, 표(表)를 올려 “백제가 고구려·말갈과 함께 우리 북쪽 경계를 침략하여, 30여 성을 빼앗았습니다.”라 하였다.

고교쿠 천황이 일본의 왕위를 다시 계승하여 사이메이 천황으로 즉위하였다. 2월 14일 (사이메이 천황 원년 1월 3일) - 제37대 천황 사이메이 천황이 즉위 (중조)하였다. 8월 18일 (사이메이 천황 원년 7월 11일) - 사이메이 천황, 에미시와 백제인 등을 난파궁에서 환대하였다. 9월 6일 (사이메이 천황 원년 8월 1일) - 견당사가 귀국하였다. 겨울, 이타코노미야(아스카 이타코노미야)가 화재를 입어, 카와라노미야(아스카 카와라노미야)로 천도하였다.

아랍 군대가 호라산(이란)과 트란스옥시아나(중앙 아시아)를 따라 실크로드를 정복하였다.

찰루키아 왕조의 비크라마디티아 1세 왕(인도)이 형제들을 물리치고 왕국을 재통일하였다.

5. 탄생

동국18현 설총원효대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신라의 문신 김삼광이 태어났다. 요한 6세가 태어났다.

6. 사망

7. 기타

고교쿠 천황이 일본의 왕위를 다시 계승하여 사이메이 천황으로 즉위하였다. 2월 14일(사이메이 천황 원년 1월 3일) - 제37대 천황 사이메이 천황이 즉위 (중조)하였다.

8월 18일(사이메이 천황 원년 7월 11일) - 사이메이 천황이 에미시와 백제인 등을 난파궁에서 환대하였다.

9월 6일(사이메이 천황 원년 8월 1일) - 견당사가 귀국하였다.

겨울, 아스카 이타코노미야가 화재를 입어, 아스카 카와라노미야로 천도하였다.

7. 1. 일본

고교쿠 천황이 일본의 왕위를 다시 계승하여 사이메이 천황으로 즉위하였다. 2월 14일(사이메이 천황 원년 1월 3일) - 제37대 천황 사이메이 천황이 즉위 (중조)하였다.

8월 18일(사이메이 천황 원년 7월 11일) - 사이메이 천황이 에미시와 백제인 등을 난파궁에서 환대하였다.

9월 6일(사이메이 천황 원년 8월 1일) - 견당사가 귀국하였다.

겨울, 아스카 이타코노미야가 화재를 입어, 아스카 카와라노미야로 천도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