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남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남군은 중국 역사상 여러 왕조에서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전한 시대에 처음 설치되었다. 진나라 시대에는 박양군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전한 시대에는 제북군의 치소였던 박현을 중심으로 제남군이 설치되었다가 제수 이남 지역을 의미하는 제남군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왕망 시기에는 낙안군으로 개칭되었고, 후한 시대에 다시 제남군으로 불리며 제남국이 설치되기도 했다. 이후 진, 남조 송, 북위, 수, 당나라를 거치며 여러 차례 명칭과 관할 구역이 변경되었으며, 수나라 때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둥성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산둥성의 군 - 제북군
    제북군은 진나라가 제나라를 멸망시킨 후 설치된 군으로, 전한 시대에는 제북나라로 바뀌었으며, 유흥거의 반란으로 폐지되었다가 제북군과 제남군으로 분리되기도 했다.
  • 진나라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진나라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서진의 군 - 낙랑군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 멸망 후 설치한 한나라의 군현으로, 주변 소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고구려에 의해 멸망했다.
  • 서진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제남군
지도
개요
濟南郡 (제남군)
속성중국의 옛 군
위치현재의 산둥 성 중서부 지역
역사
설치 시기전한 초기
폐지 시기서진 시기
변화전한: 치천국(菑川國)을 나누어 설치
후한: 낙안국(樂安國)을 합병
행정 구역
주요 현동평릉(東平陵)
박평(博平)
대(臺)
우(于)
토(蒩)
거평(鉅平)
익도(益都)
이(利)
질(秩)
추(鄒)
안구(安丘)
임치(臨菑)
창국(昌國)
고원(高苑)
노(盧)
인구
원시 2년 (2년)96만 8793명
호구19만 762호
태수
경감(? ~ ?)
손신(? ~ ?)
왕장(? ~ ?)
조함(? ~ ?)
양량(? ~ ?)
정홍(? ~ ?)
곽황(? ~ ?)
위량(? ~ ?)
신함(? ~ ?)
유사(? ~ ?)
공분(? ~ ?)
응봉(? ~ ?)
선우보(? ~ ?)
최림(? ~ ?)
좌웅(? ~ ?)
응소(? ~ ?)
원환(? ~ ?)
왕수(? ~ ?)
참고 자료
참고 문헌반고, 《한서》, 권28 상 지리지 제8 상.
사마표, 《속한서》, 지 제21 군국지 3.

2. 진

진나라 통일 당시의 36군에는 속하지 않으나, 유물을 통해 진나라에서 박양군이 존재했을 것이라 보기도 한다. 치소는 박양(博陽)현이라고도 하는 박성(博城)현 - 현재의 타이안 시 남동쪽이다.[18] 속현으로는 박성·동평릉(東平陵)·반양(般陽)·양추(梁鄒)·어릉(於陵)·태산(泰山)·평양(平陽)·역성(歷城)·영(嬴)이 있었다.[19]

3. 전한

진나라 통일 당시의 36군에는 속하지 않으나, 유물을 통해 진나라에서 박양군이 존재했을 것이라 보기도 한다. 치소는 박양(博陽)현이라고도 하는 박성(博城)현 - 현재의 타이안 시 남동이다.[18] 속현으로는 박성·동평릉(東平陵)·반양(般陽)·양추(梁鄒)·어릉(於陵)·태산(泰山)·평양(平陽)·역성(歷城)·영(嬴)이 있었다.[19]

《사기》에서는 한신에게 제나라를 거두었을 때 4군이 있었는데[20] 제도혜왕에게 제나라를 주었을 때 교서·교동·임치·제북·박양·성양 6군으로 늘어나기 때문에[21] 전한에서 박양군을 처음 설치했을 것이라 보기도 한다.[22] 박양군의 치소는 원래 제북군의 치소인 박양(博陽)현 즉 박(博)현이었으나, 어떤 이유에서인지 동평릉(東平陵)으로 옮겨지면서 군의 이름도 제수 이남이라는 의미로 제남군으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23] 제남군이란 이름은 고황후 치세에 여나라를 봉할 때 “제나라의 제남군 땅을 여나라 왕에게 봉토로 준다.”라는 구절에서 처음으로 등장한다.[24] 여나라는 이후 기원전 180년 여씨에게서 혜제의 아들 유태에게로 넘어갔고 이름도 제천나라로 바뀌었으나, 이해에 여씨 정권이 패망하면서 제후국은 폐지되고 예전처럼 제나라에 속했다.

기원전 178년 제북국을 설치하면서 제남군은 제나라에서 제북나라로 옮겨졌고, 제북왕 유흥거의 모반으로 제북나라가 폐지되면서 전한의 직할령이 됐다. 기원전 164년에 제나라 지역에 왕국을 재배치하면서 제남나라가 새로 설치됐고, 유벽광이 왕으로 봉해졌다. 유벽광은 오초칠국의 난에 가담했기에 난이 끝난 후 자결했고, 제후국도 폐지되어 전한의 직할령이 됐다. 원수 원년(기원전 122년) 무제제북나라에서 태산 일대를 받아 태산군을 신설하면서, 제남군의 박현 일대도 태산군으로 옮겨졌다.[23]

기원전 164년 (전한 문제 16년)에 유벽광이 제남왕이 되어 '''제남국'''이 설치되었다. 기원전 155년 (경제 2년)에 제남왕 유벽광이 오초칠국의 난에 참여하여 살해되자 제남국은 폐지되어 제남군으로 개명되었다[6]。제남군은 청주에 속했다.[7]

왕망 때 '''낙안군'''으로 개칭되었고[8], 대신 원래의 제군이 제남군으로 개칭되었다[9]

3. 1. 속현 목록 (전한)

西漢중국어 시기 청주자사부에 속했다.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4만 761호, 64만 2884명이 있었다.[25]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를 따른 것으로 원연·수화 지간(기원전 8년)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일반적으로 첫 현이 군의 치소이다. 대략 오늘날의 지난시 중부와 동부, 빈저우 시 쩌우핑 현, 쯔보 시 서부 일대에 해당한다.[25]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동평릉현東平陵縣지난시공관과 철관이 있었다.
추평현鄒平縣빈저우 시 쩌우핑 현
평대현平臺縣지난시 북동
양추현梁鄒縣빈저우 시 쩌우핑 현 북
토고현土鼓縣지난시 장추 시 동
어릉현於陵縣쯔보 시 서도위가 다스린다.
양구현陽丘縣지난시 장추 시 북
반양현般陽縣쯔보 시 남서
간현菅縣지난시 장추 시 북서
조양현朝陽縣빈저우 시 쩌우핑 현 북서
역성현歷城縣지난시철관이 있었다.
효현猇縣지난시 장추 시 북
저현著縣지난시 지양 현 서
의성현宜成縣지난시 상허 현 남?


4. 신

왕망을 세우면서 제남군의 이름을 낙안(樂安)으로 고치고, 일부 현의 이름을 아래와 같이 고쳤다.[25]

전한
평대(平臺)대치(臺治)
어릉(於陵)어륙(於陸)
반양(般陽)제남정(濟南亭)
조양(朝陽)수치(脩治)
유(猇)이성(利成)


5. 후한

후한이 건립되자 제남군은 원래의 명칭으로 돌아갔다. 광무제의 아들 유강이 39년(건무 15년)에 제남공이 되었고, 41년(건무 17년)에 제남왕이 되면서 제남국이 설치되었다.[10] 제남국은 동평릉, 저, 어릉, 태, 관, 토고, 양추, 추평, 동조양, 역성의 10현을 관할했다.[11]

후한 시대 제남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제남왕 (후한)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5. 1. 제남왕 (후한)

이름시호재위 기간
유강안(安)41년 ~ 99년
유착간(簡)99년 ~ 105년
유향효(孝)105년 ~ 125년
유현리(釐)125년 ~ 128년
유광도(悼)129년 ~ 153년
유강174년 ~ ?
유윤? ~ 207년
유개207년 ~ 220년


6. 진 (서진)

진나라 때 제남군은 평수, 하밀, 교동, 즉묵, 축아의 5현을 관할했다.[12]

7. 남조 송

남조 송 때 제남군은 역성, 조양, 저, 토고, 봉릉, 평릉의 6현을 관할했다.[13] 468년 (태시 4년), 북위의 모용백요가 역성을 점령하면서 제남군은 북위의 통치하에 들어갔다.[14]

8. 북위

468년 (태시 4년), 북위의 모용백요가 역성을 점령하면서 제남군은 북위의 통치 하에 들어갔다.[14]

북위 때 제남군은 제주에 속했으며, 역성, 저, 평릉, 토고, 봉릉, 조양의 6현을 관할했다.[15]

9. 수

583년(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제남군은 폐지되어 제주에 편입되었다. 607년(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자 제주가 제군으로 개칭되었다.[16]

10. 당

618년(무덕 원년), 에 의해 제군은 제주로 개칭되었다. 742년(천보 원년), 제주는 임치군으로 개칭되었다가 746년(천보 5재)에 제남군으로 다시 개칭되었다. 758년(건원 원년), 제남군은 다시 제주로 개칭되면서 제남군의 명칭은 사라졌다.[17]

11. 역대 군수·태수

이름시호재위 기간비고
유벽광기원전 164년–기원전 154년[25]
유강진안왕 안(安)41년–99년[25]
유착진안왕 간(簡)99년–105년[25]
유향진안왕 효(孝)105년–125년[25]
유현진안왕 리(釐)125년–128년[25]
유광진안왕 도(悼)129년–153년[25]
유강174년–?[25]
유윤?–207년[25]
유개207년–220년[25]
조개246년–265년[25]


11. 1. 전한

《사기》에서는 한신이 제나라를 거두었을 때 4군이 있었는데[20] 제도혜왕에게 제나라를 주었을 때 교서·교동·임치·제북·박양·성양 6군으로 늘어나기 때문에[21] 전한에서 박양군을 처음 설치했을 것이라 보기도 한다.[22] 박양군의 치소는 원래 제북군의 치소인 박양(博陽)현 즉 박(博)현이었으나, 어떤 이유에서인지 동평릉(東平陵)으로 옮겨지면서 군의 이름도 제수 이남이라는 의미로 제남군으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23] 제남군이란 이름은 고황후 치세에 여나라를 봉할 때 “제나라의 제남군 땅을 여나라 왕에게 봉토로 준다.”라 하여 처음으로 드러난다.[24] 여나라는 이후 기원전 180년 여씨에게서 혜제의 아들 유태에게로 넘어갔고 이름도 제천나라로 바뀌었으나, 이해에 여씨 정권이 패망하면서 제후국은 폐지되고 예전처럼 제나라에 속했다.

기원전 178년 제북국을 설치하면서 제남군은 제나라에서 제북나라로 옮겨졌고, 제북왕 유흥거의 모반으로 제북나라가 폐지되면서 전한의 직할령이 됐다. 기원전 164년에 제나라 지역에 왕국을 재배치하면서 제남나라가 새로 설치됐고, 유벽광이 왕으로 봉해졌다. 유벽광은 오초칠국의 난에 가담했기에 난이 끝난 후 자결했고, 제후국도 폐지되어 전한의 직할령이 됐다. 원수 원년(기원전 122년) 무제제북나라에서 태산 일대를 받아 태산군을 신설하면서, 제남군의 박현 일대도 태산군으로 옮겨졌다.[23]

청주자사부에 속했다.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4만 761호, 64만 2884명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를 따른 것으로 원연·수화 지간(기원전 8년)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일반적으로 첫 현이 군의 치소이다. 대략 오늘날의 지난시 중부와 동부, 빈저우 시 쩌우핑 현, 쯔보 시 서부 일대에 해당한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동평릉東平陵縣지난시공관과 철관이 있었다.
추평현鄒平縣빈저우 시 쩌우핑 현
평대현平臺縣지난시 북동
양추현梁鄒縣빈저우 시 쩌우핑 현 북
토고현土鼓縣지난시 장추 시 동
어릉현於陵縣쯔보 시 서도위가 다스린다.
양구현陽丘縣지난시 장추 시 북
반양현般陽縣쯔보 시 남서
간현菅縣지난시 장추 시 북서
조양현朝陽縣빈저우 시 쩌우핑 현 북서
역성현歷城縣지난시철관이 있었다.
효현猇縣지난시 장추 시 북
저현著縣지난시 지양 현 서
의성현宜成縣지난시 상허 현 남?

[25]

참조

[1] 서적 Book of Han
[2] 서적 Book of Han
[3] 서적 Book of Later Han
[4] 서적 Book of Song
[5] 서적 Book of Wei
[6] 서적 史記
[7] 서적 漢書 筑摩書房 1998
[8] 서적 漢書 筑摩書房 1998
[9] 서적 漢書 筑摩書房 1998
[10] 서적 後漢書
[11] 서적 後漢書
[12] 서적 晋書
[13] 서적 宋書
[14] 서적 魏書
[15] 서적 魏書
[16] 서적 隋書
[17] 서적 旧唐書
[18] 서적 秦代政区地理 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09-01-01
[19] 서적 秦代政区地理
[20] 서적 사기
[21] 서적 한서
[22] 서적 秦郡新考
[23] 서적 西汉政区地理 人民出版社 1987-08
[24] 서적 한서
[25] 서적 한서
[26] 서적 한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