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세대 여성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4세대 여성주의는 1990년대 후반부터 미디어와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발전한 여성주의의 한 흐름이다. 이전 물결과 달리 단일 이념이나 집단으로 정의되지 않으며, 여성에 대한 폭력 종식과 상호 지지를 목표로 한다. 스페인에서는 아나 오란테스 살해 사건 이후 가정 폭력 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했으며, 소셜 미디어의 확산을 통해 #MeToo 운동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주요 개념으로는 성희롱, 여성 폭력, 차별, 교차성, 온라인 페미니즘 등이 있으며, 남성성의 재정의와 남성 페미니스트의 참여를 강조한다. 디지털 기술 의존, 온라인 혐오, 세대 간 갈등, 주류 페미니즘의 한계 등 여러 비판과 과제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성주의사 - 대한민국의 여성주의
대한민국의 여성주의는 1890년대 찬양회 설립을 시작으로 여성 교육과 성차별 철폐를 목표로 전개되었으며,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참여, 해방 이후 가족법 개정 노력, 2000년대 이후 온라인 중심의 새로운 운동 등장과 함께 여성 혐오에 대한 반발 및 다양한 논쟁과 갈등을 겪으며 경제, 고용, 사회, 정치적 영역에서 여성 차별 해소를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 여성주의사 - 마리안 베버
마리안 베버는 독일의 사회학자이자 여성 운동가로, 가부장적 사회에서 여성의 역할과 경험을 연구했으며,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과 권리 신장을 위해 노력하고, 독일 여성 연합 회장을 역임했다. - 여성주의 운동과 이념 - 생태여성주의
생태여성주의는 여성 억압과 환경 파괴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이원론적 사고, 가부장제, 남성 중심주의를 비판하며 여성 해방과 환경 보전을 동시에 추구하는 이론 및 운동이다. - 여성주의 운동과 이념 - 제2세대 여성주의
제2세대 여성주의는 1960년대부터 여성들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불평등과 차별에 대한 문제 의식에서 시작된 여성 해방 운동의 한 흐름으로, 성차별 철폐, 동일 노동 동일 임금, 낙태의 자유 등 다양한 이슈를 제기하며 사회 변혁을 주도했지만, 백인 중산층 여성의 시각에 치중되어 이후 제3세대 여성주의로 이행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는 비판도 있다.
제4세대 여성주의 | |
---|---|
개요 | |
명칭 | 제4세대 여성주의 |
시기 | 2010년대 – 현재 |
특징 | |
주요 특징 | 온라인 활동의 강화 성희롱 및 성폭력에 대한 인식 제고 교차성 강조 소셜 미디어 활용 |
주요 관심사 | 성차별 성폭력 성희롱 몸 긍정주의 트랜스젠더 여성 포함 성매매 사이버 성차별 온라인 괴롭힘 |
온라인 활동 | |
주요 플랫폼 | 트위터 텀블러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
해시태그 운동 | #미투 #타임즈업 #예스올위민 #와이아이스테이드 #브링백아워걸스 |
비판 | |
비판 내용 | 배타성 온라인 활동 과잉 지나친 분열 정체성 정치 치중 남성 혐오 |
관련 정보 | |
관련 운동 | 여성주의 미투 운동 교차성 페미니즘 |
2. 역사와 정의
4차 여성주의는 이전의 여성주의 물결들과 마찬가지로 여성의 권리 신장을 목표로 하지만, 특히 온라인 공간에서의 활동과 교차성 페미니즘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여성주의의 물결은 대략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물결 | 시기 | 주요 특징 |
---|---|---|
1차 여성주의 | 19세기 중반 ~ 1965년 | 서프러제트 운동으로 대표되며, 여성 참정권 획득을 목표로 함. |
2차 여성주의 | 1965년 ~ 1975년 | 동일 임금, 성적 해방, 사회의 성별 이중 잣대에 대한 저항 등 사회적·개인적 권리에 초점. |
3차 여성주의 | 1975년 ~ 2012년 | 퀴어 및 비백인 여성의 어려움을 우선시하는 등 더 포괄적인 여성주의를 추구. |
4차 여성주의 | 1990년대 중반 ~ 현재 (스페인 기준) | 온라인 공간에서의 활동과 교차성 페미니즘의 영향을 많이 받음. |
각 여성주의 물결은 별도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지만, 활동가와 학자 간의 논쟁으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구별하고 명확하게 정의하기가 어려워진다.
국제적으로는 물결 간 비교가 어려울 수 있다. 앵글로스피어의 1차 여성주의는 유럽과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2차 여성주의이고, 2차 미국 및 영국 여성주의는 유럽과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3차 여성주의이기도 하다.[33] 스페인 여성주의는 프랑코 시대에 여러 물결을 겪었다.[34] 아멜리아 발카르셀과 같은 스페인어 사용 여성주의자들의 작업과 관련하여 물결을 정리할 때, 스페인의 4차 물결은 때때로 국제적인 5차 물결을 나타낼 수 있다.[38]
2. 1. 1, 2, 3차 페미니즘과의 관계
마거릿 대처와 로널드 레이건 같은 보수적인 인물들이 1980년대에 여성주의자들이 이룬 성과에 도전했다는 주장이 있다.[5] 북미, 라틴 아메리카, 유럽의 여성주의자들은 여성의 권리 증진을 위한 국가 기관 창설 등의 목표를 달성했지만, 이러한 기관들이 여성주의 운동을 약화시키기도 했다.[6]유럽과 라틴 아메리카의 3차 여성주의는 1990년대에 시작되었으며, ''립스틱 여성주의''와 ''소비자 여성주의''의 종말과 퀴어 이론에 대한 거부와 함께 나타났다.[7][8][9][10][11][12] 4차 여성주의는 미디어와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발전했다.[13][12] 이 물결은 이전의 여성주의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새로운 세대로부터 생겨났다. 이들은 비공식적으로 지식을 얻고, "개인적인 것이 정치적이다"라는 것을 배운 가상 아카데미를 발전시켰다.[13] 4차 여성주의는 단일 이데올로기가 아니라, 여성에 대한 폭력 종식이라는 공동 목표를 위해 집단적으로 모여 서로를 지원하는 것에 관한 것이었다.[14][15]

스페인에서는 아나 오란테스 살해 사건 이후 4차 여성주의가 시작되었다. 그녀는 가정 폭력을 공개적으로 말한 후 남편에 의해 살해당했다.[14][7] 초기 스페인 4차 여성주의는 텔레비전과 신문을 주요 소셜 네트워크로 사용했다.[14][7] 오란테스의 죽음은 가정 폭력을 전국적인 문제로 만들었고, RTVE의 보도 방식을 변경시켰다.[18][19][14] 스페인 TV에서는 가정 폭력에 대한 농담이 더 이상 용납되지 않았다.[18][17] ''El Mundo|엘 문도es'', ''El País|엘 파이스es'' 등의 언론인들은 성차별적 폭력과 성별 임금 격차 문제를 다루며 4차 여성주의에 참여했다.[20]
라틴 아메리카와 폴란드에서도 이 시기에 여성주의 운동이 시작되었다.[21] 1995년 세계 여성 회의는 이러한 움직임에 영향을 주었다.[22]
소셜 미디어는 4차 여성주의 운동의 성장에 증폭 효과를 가져왔다.[16][23] 2018년 스페인, 아르헨티나, 칠레, 브라질에서 여성들은 대규모로 거리로 나섰다.[17][24][23] 이들은 사법부의 정당성에 도전했으며, 스페인에서는 복스와 같은 극우 정당의 등장으로 도전에 직면했다.[24][17] 아르헨티나에서는 낙태 권리 문제가 정점에 달했다.[23][25]
앵글로스피어 여성주의 맥락에서 2005년 사회 정의와 시민권을 강조하며 4차 물결이 시작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고,[26] 2011년에는 제니퍼 바움가드너가 2008년을 4차 물결의 시작으로 보았다. 트위터는 여성주의를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고 "해시태그 여성주의"를 낳았다.
2013년, 텍사스 주 민주당 상원의원 웬디 데이비스는 반 낙태 법안에 반대하며 필리버스터를 벌였다. 여성들은 #StandWithWendy 해시태그를 통해 지지를 표명했다. #askhermore 해시태그는 여성 유명인들에게 던져지는 성차별적인 질문에 항의하는 데 사용되었다.[28]
2014년 엠마 왓슨의 "HeForShe" 캠페인을 비롯하여, 델리 집단 강간 사건, 지미 새빌 혐의, 빌 코스비 성폭행 사건, 이슬라 비스타 살인 사건, 지안 고메시 재판, 하비 와인스타인 혐의 및 미투 운동, 웨스트민스터 성 스캔들, 라 마나다 집단 강간 사건 등 여러 사건들이 4차 여성주의 운동을 활성화시켰다.[30][31]
여러 여성주의 물결(2차, 3차, 4차)이 동시에 존재하기 때문에 물결 비유의 사용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지만, 여전히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4차 여성주의는 이전 물결과의 관계에서 정의를 찾기 때문에, 다른 물결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32]
국제적으로 물결 간 비교는 어려울 수 있다. 앵글로스피어의 1차 여성주의는 유럽과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2차 여성주의이다. 2차 미국 및 영국 여성주의는 유럽과 라틴 아메리카에게는 3차 여성주의이기도 하다.[33] 스페인 여성주의는 프랑코 시대에 여러 물결을 겪었다.[34]
1차 여성주의는 19세기 중반부터 1965년까지, 2차 여성주의는 1965년부터 1975년까지, 3차 여성주의는 1975년부터 2012년까지 진행되었다.[35][36][37] 스페인의 4차 여성주의는 1990년대 중반에 시작되었다.[14][7] 아멜리아 발카르셀과 같은 스페인어 사용 여성주의자들의 작업과 관련하여, 스페인의 4차 물결은 때때로 국제적인 5차 물결을 나타낼 수 있다.[38]
각 여성주의 물결은 별도의 정체성을 가지지만, 앵글로스피어 여성주의 맥락에서 1차 여성주의는 서프러제트 운동으로 특징지어지며 여성 투표를 합법화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32] 2차 여성주의는 동일 임금, 신체 문제에 대한 선택, 성적 해방 및 사회의 성별 이중 잣대에 대한 저항과 같은 사회적 및 개인적 권리에 초점을 맞췄다.[32] 3차 여성주의는 퀴어 및 비백인 여성의 어려움을 우선시하는 등 더 포괄적인 여성주의를 추구했다. 나타샤 사제는 "[그것은] 여성의 색깔과 '2차 여성주의'의 몸을 구성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것에 실망한 젊은 여성들의 이론화를 포함한다"고 썼다.[39][32]
2. 2. 스페인, 라틴 아메리카, 영미권의 4차 페미니즘
스페인의 4차 여성주의는 1997년 12월 17일 아나 오란테스가 남편에게 살해당한 사건에서 비롯되었다.[14][7] 그녀는 카날 수르 방송에서 남편에게 학대받은 사실을 공개적으로 이야기했고, 이로 인해 남편은 그녀를 그라나다의 집에서 불태워 죽였다.[16][17] 이 사건은 가정 폭력 문제를 전국적인 관심사로 만들었으며,[18][19] RTVE는 젠더 기반 폭력에 대한 보도 방식을 변경하게 되었다. 다른 텔레비전 네트워크와 미디어 기관에서도 비슷한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텔레비전에서 가정 폭력에 대한 농담은 더 이상 용납되지 않았다.[18][17] ''엘 문도'', ''엘 파이스'', ''인포리브레'' 언론인들은 성차별적 폭력과 그 묘사를 중심으로 한 여러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며 스페인의 4차 여성주의에 참여했다. 이들은 나중에 성별 임금 격차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고 가상 공간으로의 행동주의를 장려했다.[20]라틴 아메리카에서 4차 여성주의 운동의 시작은 1995년 세계 여성 회의에서 비롯된 부분이 있었다.[21][22] 2018년 스페인, 아르헨티나, 칠레, 브라질에서 여성들은 대규모로 동원되어 거리로 나섰다.[17][24][23] 이들의 동원은 스페인 사법부의 정당성에 처음으로 도전했으며, 이전의 물결에서는 정치 지도력과 입법 행위에 더 초점을 맞췄다.[24] 스페인의 물결은 복스와 같은 극우 정당의 등장으로 도전에 직면했는데, 복스는 젠더 폭력에 대한 종합 보호 조치에 관한 유기법에 반대했다.[17] 아르헨티나에서는 수천 명의 여성들이 녹색 스카프를 두르고 거리로 나선 낙태 권리 문제가 정점에 달했다.[23][25]
앵글로스피어 여성주의 맥락에서, 언론인 파이티아 페이는 2005년에 사회 정의와 시민권을 강조하며 4차 물결의 존재를 주장했고,[26] 2011년에는 제니퍼 바움가드너가 4차 물결의 시작을 2008년으로 보았다. 2006년에 만들어진 트위터는 여성주의를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고 "해시태그 여성주의"를 낳았다. 2013년, 텍사스 주 민주당 상원의원 웬디 데이비스는 반 낙태 법안 통과를 막기 위해 13시간 동안 필리버스터를 벌였다. 다른 여성들은 텍사스 주 의사당 주변에서 집회를 열어 지지했으며, #StandWithWendy 해시태그를 사용했다. 여성들은 여성 유명인들에게 자주 던져지는 성차별적인 질문에 항의하기 위해 #askhermore 해시태그를 트윗했다.[28] 2014년 엠마 왓슨의 UN 여성 연설과 "HeForShe" 캠페인도 4차 물결에서 발생했다.[29] 델리 집단 강간 사건, 지미 새빌 혐의, 빌 코스비 성폭행 사건, 이슬라 비스타 살인 사건, 지안 고메시 재판, 하비 와인스타인 혐의 및 미투 운동, 웨스트민스터 성 스캔들, 라 마나다 집단 강간 사건 등이 이 운동을 활성화시켰다.[30][31]
2. 3. 한국의 4차 페미니즘
2016년 강남역 살인사건 이후, 한국 사회에서는 여성혐오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4차 페미니즘이 본격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30][31] 이 사건은 여성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이후 여성들은 "강남역 10번 출구" 추모 운동을 통해 여성혐오 범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자 했다.온라인에서는 해시태그를 이용한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예를 들어, 여성들은 "#StandWithWendy" 해시태그를 통해 텍사스 주 민주당 상원의원 웬디 데이비스의 반 낙태 법안 반대 필리버스터를 지지했다.[28] 또한, "#askhermore" 해시태그를 통해 여성 유명인에게 집중되는 외모나 연애 관련 질문 등 성차별적인 질문에 대한 문제 제기가 이루어졌다.[28]
2014년 엠마 왓슨의 UN 여성 연설과 "HeForShe" 캠페인은 4차 페미니즘 운동의 확산에 기여했다.[29] 이 외에도 델리 집단 강간 사건 (인도, 2012), 지미 새빌 혐의 (영국, 2012), 빌 코스비 성폭행 사건 (미국, 2014), 이슬라 비스타 살인 사건 (미국, 2014), 지안 고메시 재판 (캐나다, 2016), 하비 와인스타인 혐의 (미국, 2017) 및 그에 따른 미투 운동 및 와인스타인 효과, 웨스트민스터 성 스캔들 (전 세계 및 영국, 2017), 스페인의 라 마나다 집단 강간 사건 (2018) 등은 4차 페미니즘 운동을 촉발시킨 주요 사건들이다.[30][31]
이러한 흐름 속에서 더불어민주당은 여성의 권리 신장과 성평등 사회 실현을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4차 페미니즘 운동에 참여했다.
3. 주요 개념과 의제
4세대 페미니즘은 성희롱(길거리 성희롱 포함), 여성 폭력, 직장 내 차별과 괴롭힘, 외모 비하, 미디어의 성차별적 이미지, 온라인 여성 혐오, 캠퍼스 성폭력, 대중교통에서의 폭행 및 강간 문화 등 여성의 정의에 초점을 맞춘다.[40][41][42] 4세대 페미니즘은 "특정 태도가 여전히 존재할 수 있다는 불신"을 본질로 한다.[42]
4세대 페미니즘과 관련된 사건 및 단체로는 Everyday Sexism Project, 영국 페미니스타, Reclaim the Night, One Billion Rising, "Lose the Lads' mags protest" 등이 있다.[40] 관련 서적으로는 레베카 솔닛의 ''나를 설명하는 남자들''(2014), 리아논 루시 코슬렛과 홀리 벅스터의 ''The Vagenda''(2014), 제시카 발렌티의 ''Sex Object: A Memoir''(2016), 로라 베이츠의 ''Everyday Sexism''(2016) 등이 있다.
1990년대 3세대 페미니스트들이 남성 특권 개념을 도입하기 시작한 이래, 4세대 페미니스트들은 학계와 소셜 미디어에서 이 개념을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있다.[45] 페기 매킨토시는 1988년 특권 현상을 "특수 조항, 지도, 여권, 암호집, 비자, 의류, 도구 및 백지 수표의 보이지 않는 무중력 배낭"이라고 묘사했다.[46] 4세대 페미니스트들은 특권 및 비특권 집단에 대한 인식을 높여 이러한 "배낭"을 줄이고 없애기 위한 조치를 취해왔으며, 얼라이언스를 통해 남성과 다른 특권 집단이 사회 변화를 위해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믿는다.[47]
런던 작가 니키 반 데르 가그는 소년에게 특권을 부여하는 경향이 책임감을 가르치지 않고, 기대치를 명확히 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45] 리제 엘리엇은 유아기 작은 차이가 성격 차이와 성 고정관념 강화로 이어진다고 경고한다.[48] 4세대 페미니스트들은 성 중립적 양육 등 해결책을 장려한다.
4세대 페미니스트들은 강화된 성 역할 고정관념이 남녀 모두에게 압력을 가하며, 이는 직장과 사회 전반의 성차별로 이어진다고 주장한다.[49] 퓨 리서치(Pew Research)에 따르면, 남성 지배적 직장 여성 대다수는 성희롱을 문제로 인식한다.[50]
3. 1. 교차성 페미니즘
킴벌리 윌리엄스 크렌쇼가 1991년에 제시한 교차성은, 인종, 계급, 젠더 등 사회적 정체성 구조가 상호 작용하여 삶의 경험, 특히 특권과 억압의 경험을 어떻게 만들어 내는지 설명한다.[51] 이는 다양한 억압 시스템이 상호 작용하고 중첩되는 복잡성을 다루며, 젠더 연구 및 페미니즘 외의 연구 분야로 확장되었다.[52] 페미니즘 운동 내에서 교차성은 주변부로 밀려난 사람들, 즉 유색 인종 여성과 퀴어에게 목소리와 권력을 부여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53]1990년대부터 페미니즘에서 널리 사용되었지만, 제4세대 여성주의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소외된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의 목소리가 더 쉽게 들릴 수 있게 되면서 이 개념에 새로운 중요성을 부여한다. 교차성은 흑인 페미니즘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교차성'이라는 용어가 흑인 페미니스트의 작품을 통해 처음 사용되기 시작했기 때문에 인종차별과 성차별이라는 억압적인 시스템 하에서 활동하는 커뮤니티로 간주된다. 어떤 사람들은 "흑인 페미니스트는 교차성의 구현으로 간주된다"고 말한다.[52]
흑인 여성의 교차성 경험을 옹호하는 데 사용된 구문 중 하나는 "나는 그것을 경험한다"는 것이다. 이는 비평가들이 종종 흑인 여성 자신이 경험하지 않았거나 허위로 입증할 근거가 없는 삶의 경험을 부인하려 한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 교차성에 대한 추가적인 비판으로는 백인, 중산층 페미니즘 지도자들을 공격하기 위해 이 용어를 사용하고, 모든 억압 시스템이 아닌 젠더 억압만을 본질화한다는 점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영국의 라디오 4 프로그램 'Women's Hour'의 제4세대 여성주의에 관한 2013년 에피소드에서, 백인 페미니스트 지도자 캐롤라인 크리라도-페레즈는 "문제의 큰 부분은 일부 여성들이 저명한 백인 페미니스트를 학대하기 위해 교차성을 이용하는 방식"이라고 말했다. 이는 흑인 페미니스트인 레니 에도-로지가 현대 페미니즘 내의 인종차별에 대해 제기한 비판에 대한 응답이었다. 다른 한편, 교차성은 소외된 공동체에 목소리를 부여하지만, 억압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 특히 흑인 여성에게 이 용어에 대해 설명하고 다른 사람들을 교육하는 책임을 종종 부과한다.[52]
제4세대 여성주의에서 활동하는 활동가들의 상당수는 스스로를 교차 페미니스트로 정의하지만, 현재 시점에서 교차성은 주로 학계의 영역에 존재한다.[52]
라틴 아메리카 제4세대 여성주의에서 교차성과 유사한 개념은 ''횡단성''이다.[59][60] 이는 "사회의 이질성을 대표하기 위해 광범위한 문제를 다루는 형태의 페미니즘"을 설명한다.[59] 횡단성은 식민주의, 인종차별, 경제적 주제, LGBTQ 문제 등을 다룬다.[71][59]
3. 2. 온라인 페미니즘
키라 코크란은 제4세대 여성주의가 "기술에 의해 정의"되며, 특히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튜브, 텀블러와 같은 소셜 미디어와 페미니스팅과 같은 블로그를 사용하여 여성 혐오에 도전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주장했다.[40][95][96]이전의 페미니즘 물결들은 경직된 사회 정치 구조와 접근 가능한 소통 채널의 부족과 같은 어려움에 직면했지만,[90] 제4세대 여성주의자들은 디지털 미디어를 광범위한 플랫폼으로 활용한다.[91][32][40] 이들은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연결하고, 관점을 공유하며, 경험한 억압에 대한 더 넓은 시각을 만들고, 과거의 페미니즘 물결을 비판한다.[91][32][40] 어떤 이들은 제4세대 페미니즘에서 기술의 사용이 포스트 페미니즘과 학문적 논의의 독점을 벗어나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92] 소셜 미디어는 전 세계 여성들이 자신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게 하며, 사람들이 변화를 위해 결집할 수 있는 공간이다.[93] 이는 더 광범위한 사람들이 페미니즘 논의, 토론 및 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한다. 과거에는 이러한 논쟁이 종종 학계에서만 존재하여 이전 운동을 제한하는 더 좁은 범위의 관점을 초래했다.[94] 인터넷을 통해 가능해진 글로벌 참여로 인해 제4세대 페미니즘은 온라인에 존재한다고 주장되어 왔다.[92]
소통의 속도와 "바이럴"이라는 개념은 현대 페미니스트 캠페인의 성공에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여 "비난 문화"와 같은 디지털 현상을 촉진했다. 사이버 페미니즘의 세계에서, 비난 문화는 선택적 익명성과 광범위한 지원의 가능성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성범죄자를 비난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해시태그 페미니즘 캠페인은 종종 이러한 문화의 결과이다.[92]
소셜 미디어 활동은 미디어에서 인식된 트랜스포비아를 비판하는 트위터 스레드와 #MeToo,[30] #YesAllWomen, #bringbackourgirls, #NotYourAsianSidekick 및 #SolidarityIsForWhiteWomen과 같은 이른바 "해시태그 페미니즘" 캠페인으로 나타났다.[98] 아만다 드 카데넷이 시작한 Girlgaze는 기업, 회사 및 브랜드와 여성 및 논바이너리 창의적 인재를 직접 연결하는 온라인 다면 플랫폼으로, 창의적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성, 포용 및 대표성의 필요성을 홍보한다.[99] ''타임''은 #MeToo 운동에서 두각을 나타낸 활동가 그룹을 "침묵을 깨는 사람들"로 칭하며 2017년 올해의 인물로 선정했다.[100][101][102]
다른 제4세대 페미니스트 캠페인에는 페미니스트 연합, 일상적 성차별 프로젝트, 노 모어 페이지 3, Ni una menoses, 스톱 ''Bild'' 성차별, 프리 더 니플, 걸즈 워크, 2017년 및 2018 여성 행진 행진, 타임스 업 및 원 빌리언 라이징이 포함된다. 예술적 노력에는 ''매트리스 퍼포먼스'' 및 ''10시간 동안 뉴욕 시에서 여성으로 걷기''가 포함된다.[103]
페미니스트 작가 로라 베이츠가 2012년에 설립한 일상적 성차별 프로젝트는 온라인에서 시작되어 인터넷을 매체로 사용하여 여성들이 해시태그와 트위터 및 블로그와 같은 사이트를 통해 직면한 성차별과 성폭력에 대한 이야기를 공유하는 제4세대 페미니스트 캠페인의 한 예이다. 이 프로젝트는 종종 일상에서 낙인 찍히는 주제인 구조적으로 내재된 성차별과 성적 폭력의 만연한 본질에 대한 인식을 높였다.[104]
소셜 미디어 페미니즘에 대한 한 가지 비판은 적극적인 리더와 참가자에게 무보수 노동의 한 형태로 정신적 고통을 안겨주고, 종종 온라인 괴롭힘과 학대 형태로 가혹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92][94]
메릴랜드 대학교의 사하르 카미스 교수는 소셜 미디어가 페미니스트에게 사회 운동에서 연대의 순간을 강조하여 강력한 에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독특한 길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105] 소셜 미디어는 상호 연결된 그룹과 개인들이 서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젊은 세대의 페미니스트들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자신의 신념과 의견을 형성하고 운동에 대한 지지를 발전시킬 가능성이 더 높다.[105]
3. 3. 남성성과 페미니즘
제4세대 페미니스트들은 강화된 성 역할 고정관념이 남성은 생계를 책임져야 하고, 여성은 가정주부 역할을 해야 한다는 압력을 가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이러한 사회적 순응 압력이 직장과 사회 전반에서 성차별을 야기할 수 있다고 본다.[49] 퓨 리서치(Pew Research)에 따르면, 남성이 지배적인 직장에서 일하는 여성 대다수는 성희롱이 해당 업계의 문제라고 생각한다.[50]국제 여성 개발 기구에 따르면, 페미니즘은 "모든 성별이 동등한 권리와 기회를 갖는 것"이다.[106] 미국 아버지의 70% 이상이 육아 휴직을 사용하지만, 자녀 출산 후 2주 미만의 휴가를 받는다.[107] 미국에서는 여성보다 남성이 4배 더 자살하며, 이는 정신 건강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도움을 구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 때문이다.[107]
엠마 왓슨은 UN 여성을 위한 HeForShe 캠페인을 시작하는 2014년 연설에서 "남성도 평등의 혜택을 누리지 못한다"고 지적했다.[108] 그녀는 "사회가 아버지의 역할을 덜 중요하게 여기는 것"과 남성 친구들이 감정을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을 목격했다고 언급했다.[108] HeForShe는 모든 사람을 위한 성 평등을 달성하기 위해 "여성과 연대하기 위한 남성과 모든 성별의 사람들을 위한 초대"이다.[109]
사회의 압력과 유해한 남성성의 이상은 남성이 페미니즘을 지지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110] 많은 사회에서 '남성적'으로 여겨지기 위해서는 "강하고, 활동적이며, 공격적이고, 강인하며, 대담하고, 이성애적이며, 감정을 표현하지 않고 지배적"이어야 한다.[110] 이러한 특성에는 전 세계적으로 많은 문화에서 남성이 "종종 여성에 대한 남성 지배를 포함한다"는 생각이 존재한다.[107]
제4세대 여성주의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이전 시대보다 더 많은 청중에게 다가갈 수 있었다.[111] 2023년 5월, 연구자들은 소셜 미디어의 페미니스트 콘텐츠가 밀레니얼 세대 남성과 Z세대 남성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했다.[112] 그 결과는 엇갈렸는데, 한 참가자는 소위 '해시태그' 페미니즘이 "[남성이] 항상 인식하지 못하고 때로는 전혀 인식하지 못하는 여성의 고군분투에 대한 진정한 인식을 확산시킨다"고 말했다.[112] 또한 참가자들은 해시태그 페미니즘이 남성이 참여하기 어렵다고 느꼈으며, 한 남성은 "적대적인 방식으로 보이지 않게 참여하는 방법을 모르겠다"고 말했다.[112]
최근 몇 년 동안, 페미니즘을 공개적으로 지지하는 남성들이 늘어났다. 저스틴 발도니, 테리 크루즈, 맷 맥고리, 앨런 커밍과 같은 유명 인사들이 이 운동을 지지하는 발언과 행동을 했다.[113] 발도니의 TED 강연 "나는 왜 더 이상 남자답게 보이려고 노력하지 않는가"는 "당신은 취약해질 만큼 용감한가?", "당신은 섬세해질 만큼 강한가?"와 같은 질문을 던진다.[114] 이 강연은 특권을 인식하고, 여성의 목소리를 증폭시키며, 남성들이 함께 진정한 어려움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남성 우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114] 2014년, 테리 크루즈는 자서전 ''남성다움: 더 나은 남자가 되는 법 - 또는 그냥 함께 사는 법''을 출판하여 "좋은 남편, 사랑스러운 남편, 책임감 있는 아버지"가 되는 방법을 논했다.[115] 크루즈는 인터뷰[116]와 Twitter 계정에서 젠더 평등에 대한 지지를 공개적으로 표명했다.[113]
유명 인사 외에도, 전 대통령 버락 오바마는 "이것이 페미니스트의 모습입니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작성하여 젠더 역할과 모든 사람이 성차별에 맞서 싸워야 할 필요성에 대해 논했다.[117] 오바마는 젠더 고정 관념이 "우리 자신이 될 수 있는 능력을 제한"하며, 21세기 페미니즘은 "모두가 평등할 때, 우리 모두가 더 자유롭다는 생각"이라고 주장한다.[117]
2014년 9월, 오바마-바이든 백악관은 잇츠 온 어스를 설립했는데, 이는 미국 대학 캠퍼스에서 성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헌신하는 가장 큰 비영리 단체가 되었다.[118]
2015년, 제니퍼 시벨 뉴섬이 감독한 다큐멘터리 영화 ''당신이 사는 가면''이 선댄스 영화제에서 초연되었다.[119] 이 다큐멘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의 분석과 경험담을 사용하여 젠더 역할이 소년과 남성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면서, 미국에서 소년들이 자라나는 환경과 기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120]
2017년, 알렉 볼드윈, 마이클 무어, 이안 맥켈런, 루퍼스 웨인라이트, 존 레전드는 수많은 여성 공인들과 함께 전국 여성 행진에 참여했다.[121]
4. 주요 운동과 사건
4차 페미니즘은 다양한 운동과 사건을 통해 사회적 영향력을 확대해왔다. 특히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여 여성 혐오에 맞서고, 연대와 지지를 확산시키는 특징을 보인다.
2022년 6월 24일, 미국 대법원은 돕스 대 잭슨 여성 건강 기구 사건에서 로 대 웨이드 판결을 뒤집는 판결을 내렸다.[82] 이는 미국 헌법이 낙태할 권리를 보장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판결로 인해 미국 전역에서 낙태권 옹호 시위가 확산되었다.[86]
키라 코크란은 4차 페미니즘이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튜브, 텀블러와 같은 소셜 미디어와 블로그를 사용하여 여성 혐오에 도전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주장했다.[40][95][96]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주요 운동으로는 #YesAllWomen, #bringbackourgirls, #NotYourAsianSidekick, #SolidarityIsForWhiteWomen과 같은 해시태그 캠페인이 있다.[98] ''타임''은 #MeToo 운동에 참여한 활동가들을 "침묵을 깨는 사람들"로 칭하며 2017년 올해의 인물로 선정하기도 했다.[100][101][102]
아만다 드 카데넷이 시작한 Girlgaze는 기업, 회사 및 브랜드와 여성 및 논바이너리 창의적 인재를 직접 연결하는 온라인 플랫폼으로, 창의적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성, 포용 및 대표성의 필요성을 홍보한다.[99]
로라 베이츠가 2012년에 설립한 일상적 성차별 프로젝트는 온라인에서 시작되어 여성들이 직면한 성차별과 성폭력에 대한 이야기를 공유하는 제4세대 페미니스트 캠페인의 한 예이다.[104]
이 외에도 페미니스트 연합, 노 모어 페이지 3, Ni una menoses, 스톱 ''Bild'' 성차별, 프리 더 니플, 걸즈 워크, 2017년 및 2018 여성 행진 행진, 타임스 업 및 원 빌리언 라이징과 같은 캠페인과 ''매트리스 퍼포먼스'' 및 ''10시간 동안 뉴욕 시에서 여성으로 걷기''와 같은 예술적 노력들이 있었다.[103]
4차 페미니즘의 주요 운동과 사건은 다음과 같다.
날짜 | 사건/캠페인 |
---|---|
2001년 | 여성들을 모으다(Gather the Women) |
2010년 | 홀라백 캠페인(Hollaback Campaign) |
2011년 1월 | 국제 슬럿워크(The International Slutwalk) |
2011년 3월 | #March4Women |
2011년 10월 | 언브레이커블 프로젝트(Project Unbreakable) |
2012년 | 페이지 3 폐지 운동(No More Page 3) |
2012년 4월 | 일상적 성차별 프로젝트(Everyday Sexism Project) |
2013년 | 페이스북 강간 캠페인(The Facebook Rape Campaign) |
2017년 1월 | 여성 행진(Women's March) |
2017년 10월 | 미투 운동(MeToo Movement) |
2022년 5월 | 미국 낙태 반대 시위(United States abortion protests) |
4. 1. 미투 운동 (#MeToo)
미투 운동은 2017년 미국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로 확산된 성폭력 및 성희롱 고발 운동이다. 각 지역 정부의 반응은 달랐지만, 다른 국가들도 비슷한 목표를 가지고 자체적인 해시태그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전 세계 미투 운동과 관련된 해시태그는 다음과 같다.
국가 | 해시태그 |
---|---|
캐나다 | #AndNow 또는 NowWhat[61] |
중국 | [62] |
프랑스 | #BalanceTonPorc|돼지를 고발하라프랑스어[63] |
인도 | #NotinMyName[64] |
이탈리아 | #QuellaVoltaChe|그때it[65] |
파키스탄 | #BoycottAliZafar, #BoycottTeefainTrouble, #TeefaisTrouble |
필리핀 | #BabaeAko|나는 여자다fil[66] |
스페인 | #YoTambien|미투es[65] |
남아프리카 공화국 | #AmINext[67] |
예를 들어, 캐나다에서는 2017년 10월 #MeToo 해시태그가 유행하기 시작한 후 수백 명의 사람들이 이 운동의 공로를 4차 물결 페미니스트에게 돌리기 시작했다.[69] 저스틴 트뤼도 총리의 지지로 또 다른 해시태그인 #AndNow가 캐나다에서 인기를 얻었다. #AndNow는 직장 내 성희롱이나 학대에 대한 해결책을 논의하여 모든 사람의 평등을 위해 싸우는 사람들을 돕는 것을 지지했다.[61]
4. 2. 기타 운동
4차 페미니즘은 여성에 대한 폭력, 성차별, 성희롱 등에 맞서 싸우는 다양한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소셜 미디어의 발달은 이러한 운동의 확산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미투(#MeToo) 운동'''은 2017년 미국에서 시작된 이후 전 세계로 확산되었으며, 각 나라별로 다양한 해시태그 운동이 전개되었다.
- '''Ni una menos''' 운동: 아르헨티나에서 시작되어 라틴 아메리카 전역으로 확산된 여성 폭력 반대 운동이다.[71][72] 국제 여성 파업 등 여성 파업에 참여했다.[71][72]
- '''Ele Não (그는 안 된다) 운동''': 2018년 브라질에서 자이르 보우소나루의 여성 차별적 발언에 반대하며 시작된 시위이다.[74][75][76][77] 마돈나 등 유명 인사들도 참여했다.[78]
- '''돕스 대 잭슨 여성 건강 기구 사건 판결 반대 시위''': 2022년 미국 대법원이 로 대 웨이드 판결을 뒤집자 미국 전역에서 낙태권 옹호 시위가 벌어졌다.[86]
- '''기타 캠페인''': 페미니스트 연합, 일상적 성차별 프로젝트, 노 모어 페이지 3, 스톱 ''Bild'' 성차별, 프리 더 니플, 걸즈 워크, 2017년 및 2018 여성 행진 행진, 타임스 업, 원 빌리언 라이징 등이 있다.
- '''예술적 노력''': ''매트리스 퍼포먼스'', ''10시간 동안 뉴욕 시에서 여성으로 걷기''[103] 등이 있다.
4차 페미니즘은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튜브, 텀블러 등 소셜 미디어와 블로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여성 혐오에 맞서고 있다.[40][95][96] 키라 코크란은 4차 페미니즘이 "기술에 의해 정의"된다고 주장했다.[40][95][96]
#YesAllWomen, #bringbackourgirls, #NotYourAsianSidekick, #SolidarityIsForWhiteWomen 등 다양한 해시태그 캠페인이 전개되었다.[98] ''타임''은 #MeToo 운동에 참여한 활동가들을 "침묵을 깨는 사람들"로 칭하며 2017년 올해의 인물로 선정했다.[100][101][102]
5. 사회적 영향
4차 페미니즘은 여성의 권리 신장과 성평등 사회 실현에 기여하고 있으며,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6. 비판과 과제
제4세대 여성주의는 디지털 기술과 소셜 미디어를 기반으로 활동하면서 다양한 비판과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낸시 마우로-플루드는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적 관점을 통합하는 선구적인 연구를 통해 디지털 도구 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했지만,[122] 라그나 뢰크 욘스는 디지털 미디어 접근성의 불균형이 계급주의와 장애인 차별을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124] 특히 사회적 불의가 만연한 지역에서는 소셜 미디어의 성장이 더디게 진행된다는 한계가 존재한다.[125]
아만다 E. 빅커리는 4차 물결 페미니즘이 유색 인종 여성을 소외시키고 그들이 겪는 특정한 불의를 무시한다고 비판한다.[126] 도브와 같은 대기업이 광고를 통해 운동을 이용하려는 시도는 자본주의에 비판적인 4차 물결 페미니즘에 해로울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127][128]
보수 진영에서는 4차 물결 페미니즘이 여성들에게 남성과 경쟁하는 대신 모든 노력을 포기하게 만들 수 있다고 비판한다. 작가 조안나 윌리엄스는 ''아메리칸 컨서버티브''에 기고한 글에서 4차 물결 페미니즘이 여성들에게 "국가 및 혐오스러운 정체성 정치를 통해 외부의 도움을 요청하여 좋은 남자를 밀어내도록" 장려한다고 주장하며, 이 운동을 "퇴행적 좌파"와 연결시키기도 한다.[129]
사람들이 인터넷 활동에만 집중하고 다른 노력을 소홀히 할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130] 이러한 유형의 활동은 슬랙티비즘이라는 용어로 설명되는데, 이는 온라인에서 발언하지만 실제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 경향을 의미한다.[132]
미투 운동과 같이 유명인을 중심으로 한 사회 캠페인은 특권층의 목소리만 대변하여 페미니즘의 교차성을 확장하려는 노력을 무효화한다는 비판을 받는다.[135]
물결 서술 자체는 서구 페미니스트 운동에만 포함된다는 인식[32]과 4차 물결 자체가 종종 다른 지역의 여성들의 투쟁을 무시하면서 글로벌 북부에서 일어난다는 인식 때문에 비판을 받는다.[58] 비평가들은 또한 페미니즘의 시기를 정의하기 위해 물결을 사용하는 것이 더 이상 유용하지 않다고 주장한다.[136] 그들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고 혼란스러울 수 있다고 믿는다.[137] 물결 서술은 또한 페미니즘 물결의 중첩적 특성과 학자와 활동가들 사이의 불일치로 인해 물결이 각각 무엇을 포함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가 부족하여 논쟁을 벌인다.[138]
6. 1. 온라인 혐오와 공격
4차 페미니즘 운동가들은 온라인에서 다양한 형태의 공격에 노출되어 있다. 허핑턴 포스트의 제니퍼 심킨스는 2014년에 4차 물결 페미니즘이 여성이 서로를 깎아내리는 적대적인 분위기를 조성했다고 주장했다.[134] 이는 여성이 자신의 의견을 표현했을 때, 다른 여성들로부터 개인적인 취향과 의견에 대한 공격을 받는 경우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또한, 비판 문화는 사소한 의견 불일치로 인해 사람들이 서로를 소외시키고 분리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125]
일각에서는 모든 문제를 다루어야 하지만, 페미니스트 운동이 작은 문제를 더 높은 수준으로 부풀려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맷 데이먼은 하비 와인스타인 사건에 대해 "행동에는 스펙트럼이 있다"라며, "엉덩이를 토닥거리는 것과 강간 또는 아동 성학대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라고 말했다.[139]
6. 2. 과제
제4세대 여성주의는 여러 과제를 안고 있다. 우선, 디지털 및 신기술에 대한 의존은 디지털 도구 접근성이 낮은 소외된 공동체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된다. 라그나 뢰크 욘스는 "이 '4차 물결'이 직면하게 될 주요 문제는 디지털 미디어 기기에 대한 불균형적인 접근 및 소유권일 것"이라고 언급하며, 이는 "본질적인 계급주의와 장애인 차별"을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24] 사회적 불의가 만연한 지역에서는 소셜 미디어의 성장이 더디게 진행된다는 한계도 존재한다.[125]포용성과 관련하여, 북미 사회학자 아만다 E. 빅커리는 4차 물결 페미니즘이 유색 인종 여성을 소외시키고, 그들이 직면한 특정한 불의를 무시한다고 비판한다.[126] 도브와 같은 대기업이 광고를 통해 운동을 이용하려는 시도는 자본주의에 비판적인 4차 물결 페미니즘에 해로울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127][128]
보수 진영에서는 4차 물결 페미니즘이 여성들에게 남성과 경쟁하기보다 모든 노력을 포기하게 만들 수 있다고 비판한다. 작가 조안나 윌리엄스는 ''아메리칸 컨서버티브''에서 4차 물결 페미니즘이 여성들에게 "국가 및 혐오스러운 정체성 정치를 통해 외부의 도움을 요청하여 좋은 남자를 밀어내도록" 장려한다고 주장하며, 이 운동을 "퇴행적 좌파"와 연결시키기도 한다.[129]
인터넷 활동에만 치중하여 다른 노력을 소홀히 할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130] 이러한 현상은 슬랙티비즘이라는 용어로 설명되는데, 이는 온라인에서 발언하지만 실제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 경향을 의미한다.[132]
허핑턴 포스트의 제니퍼 심킨스는 4차 물결 페미니즘이 여성들 간의 적대적인 분위기를 조성했다고 주장하며,[134] 영국 학자 엘레이사이드 문로는 비판 문화가 사소한 의견 불일치로 사람들을 소외시킬 수 있다고 지적한다.[125]
미투 운동과 같은 유명인 중심의 사회 캠페인은 특권층의 목소리만 대변하여 교차성을 확장하려는 노력을 무효화한다는 비판을 받는다.[135] 또한, 물결 서술 자체가 서구 중심적이며, 다른 지역 여성들의 투쟁을 간과한다는 지적도 있다.[32][58]
4차 물결 페미니즘에 대한 또 다른 비판으로는 소셜 미디어 사용에 대한 명확한 증거 부족, 작은 문제를 과장하는 경향 등이 있다.[139]
참조
[1]
웹사이트
The waves of feminism, and why people keep fighting over them, explained
https://www.vox.com/[...]
2020-06-27
[2]
서적
The Fourth Wave of Feminism and the Lack of Social Realism in Cyberspace
[3]
웹사이트
Holdback!: the role of storytelling online in a social movement organization
https://www.research[...]
2023-03-07
[4]
웹사이트
Four Waves of Feminism
https://www.pacificu[...]
2023-05-25
[5]
웹사이트
La cuarta ola feminista ha llegado y esto es lo que debes saber
https://www.codigonu[...]
2019-04-25
[6]
간행물
Comentarios al Dossier: "Nuevas voces feministas en América Latina: ¿continuidades, rupturas, resistencias?"
https://biblat.unam.[...]
2019-04-26
[7]
웹사이트
Ana de Miguel: "Considerar que dar las campanadas medio desnuda es un acto feminista es un error garrafal"
https://smoda.elpais[...]
2019-04-25
[8]
학위논문
El sentido de ser víctima y la víctima como sentido: tecnologías de enunciación de la violencia de género
http://isonomia.uji.[...]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2019-04-25
[9]
웹사이트
Estudio sobre la recuperación integral de las mujeres víctimas de violencia de género en Cantabria
http://mujerdecantab[...]
2019-04-25
[10]
웹사이트
Somos la Cuarta Ola; el feminismo estratégico
https://www.kamchatk[...]
2019-04-26
[11]
웹사이트
Entrevista a Beatriz Gimeno
https://elcuadernodi[...]
2019-04-26
[12]
웹사이트
¿Qué significa que somos la Cuarta Ola feminista?
https://lasgafasviol[...]
2019-04-26
[13]
웹사이트
La cuarta ola del movimiento feminista
https://www.estrella[...]
2019-04-25
[14]
웹사이트
Pepa Bueno: 'Estamos en una cuarta ola imparable de feminismo'
https://www.elperiod[...]
2019-04-25
[15]
웹사이트
Yolanda Besteiro defiende un 8-M que se sienta "en cada uno de los rincones del planeta", también en los pueblos
https://www.lanzadig[...]
2019-04-26
[16]
웹사이트
Juicio a 'la Manada', segunda parte
https://www.elperiod[...]
2019-04-25
[17]
웹사이트
Lo que Vox no te cuenta sobre la Ley contra la violencia de género
https://www.cuartopo[...]
2019-04-25
[18]
웹사이트
Nuria Coronado, periodista y activista de género: "Sin feminismo, no hay democracia"
http://www.concienci[...]
2019-04-25
[19]
웹사이트
FEMINISMO AL PODER
http://www.que-leer.[...]
2019-04-25
[20]
서적
Las narrativas de Twitter sobre violencia machista
https://ddd.uab.cat/[...]
2019-04-25
[21]
웹사이트
Cinzia Arruzza: "Las mujeres son las que están enfrentando el ascenso de la extrema derecha en todo el mundo"
https://www.infobae.[...]
2019-04-26
[22]
웹사이트
Czwarta Fala Feminizmu
http://nowaorgiamysl[...]
2019-04-26
[23]
웹사이트
Las feministas reivindican la Cuarta Ola del movimiento y estos son sus motivos
https://www.elperiod[...]
2019-04-26
[24]
웹사이트
40 años de igualdad en la Constitución: "Nos creímos que seríamos iguales, pero no valía solo con eso"
https://www.abc.es/f[...]
2019-04-26
[25]
웹사이트
La cuarta ola feminista: mujeres al poder, pañuelos verdes y la lucha por el fin del patriarcado
https://www.clarin.c[...]
2019-04-26
[26]
간행물
Feminism's Fourth Wave
http://www.utne.com/[...]
Ogden Publications
2017-10-07
[27]
웹사이트
Twitter
https://www.britanni[...]
2022-11-21
[28]
웹사이트
How Social Media is Changing the Feminist Movement
https://www.msnbc.co[...]
2016-04-21
[29]
논문
UN celebrity 'It' girls as public relations-ised humanitarianism
2018-04
[30]
웹사이트
You Said #MeToo. Now What Are We Going To Do About It?
http://www.huffingto[...]
The Huffington Post
2017-10-17
[31]
뉴스
Behold the Power of #Hashtag Feminism
https://time.com/331[...]
2016-04-21
[32]
논문
Critical Waves: Exploring Feminist Identity, Discourse and Praxis in Western Feminism
https://research-inf[...]
2015-07
[33]
웹사이트
¿Podemos hablar de una cuarta ola en el movimiento feminista?
https://www.homonosa[...]
2019-04-25
[34]
웹사이트
Spain - Franco's Spain, 1939–75
https://www.britanni[...]
2022-11-21
[35]
웹사이트
El Movimiento feminista en Salamanca después de la muerte de Franco
http://www.mujeresen[...]
Universidad de Salamanca
2019-03-29
[36]
서적
"Movimientos femeninos", en "Enciclopedia Madrid S.XX"
[37]
웹사이트
The fourth wave of feminism: from sisterhood and social networking towards a new citizenship?
http://www.iisj.net/[...]
2018-01-24
[38]
학술
Apropiación ideológica y feminismo mediático: una aproximación crítica al caso Weinstein y el #MeToo en las ediciones digitales de S Moda y Mujerhoy
2018
[39]
학술
Then What Is the Question?
1995
[40]
뉴스
The Fourth Wave of Feminism: Meet the Rebel Women
https://www.theguard[...]
2013-12-10
[41]
뉴스
Everything you wanted to know about fourth wave feminism—but were afraid to ask
https://www.prospect[...]
2017-08-14
[42]
웹사이트
"#FemFuture: Online Revolution"
http://bcrw.barnard.[...]
Barnard Centre for Research on Women
2013-04-15
[43]
웹사이트
Letter from the Editor
http://vagendamagazi[...]
The Vagenda
2012-01-19
[44]
뉴스
Laura Bates Interview: 'Two Years Ago, I Didn't Know What Feminism Meant'
https://www.theguard[...]
2014-01-24
[45]
서적
Feminism and Men
Zed Books
2014
[46]
뉴스
White Privilege: Unpacking the Invisible Knapsack
https://files.eric.e[...]
1989-07
[47]
서적
Systems of privilege: intersections, awareness, and applications
Wiley-Blackwell
2012
[48]
서적
Pink brain, blue brain: how small differences grow into troublesome gaps—and what we can do about it
Mariner Books
2010
[49]
학술
Effects of masculinity–femininity on quality of work life
2014-05-27
[50]
웹사이트
Gender discrimination more common for women in mostly male workplaces
https://www.pewresea[...]
2018-03-07
[51]
학술
Intersectionality 101
https://www.jstor.or[...]
2013
[52]
학술
beyond 'talking' and 'owning' intersectionality
https://www.jstor.or[...]
2014
[53]
학술
Intersectionality and Global Gender Inequality
https://www.jstor.or[...]
2012-02
[54]
학술
Feminism's fourth wave: a research agenda for marketing and consumer research
2015
[55]
학술
Feminism's fourth wave: a research agenda for marketing and consumer research
2015-10-13
[56]
학술
Soliciting strain: examining both sides of street prostitution through General Strain Theory
2015
[57]
학술
"'But He Can't Be Gay': The Relationship between Masculinity and Homophobia in Father–Son Relationships"
2014
[58]
학술
What does the 'Fourth Wave' Mean for Teaching Feminism in Twenty-First Century Social Work?
https://www.pure.ed.[...]
2014-02-21
[59]
웹사이트
"#NiUnaMenos: countering hegemonies in Argentina"
https://blogs.lse.ac[...]
2020-02-10
[60]
학술
The Latin American Green Tide: Desire and Feminist Transversality
2018-10-02
[61]
웹사이트
Après #MoiAussi, #EtMaintenant
https://quebec.huffi[...]
2018-01-14
[62]
뉴스
China's women break silence on harassment as #MeToo becomes #WoYeShi
https://www.theguard[...]
2018-01-09
[63]
뉴스
A global primal scream: #MeToo (#YoTambien #QuellaVoltaChe #גםאנחנו أنا_كمان#)
https://www.latimes.[...]
2017-10-18
[64]
웹사이트
"#MeToo Campaign Brings the Rise of 'Fourth-Wave' Feminism in India"
https://thewire.in/g[...]
[65]
뉴스
How #MeToo has spread like wildfire around the world
https://www.newsweek[...]
2017-12-15
[66]
잡지
How President Duterte Sparked an Uprising of Filipina Women
https://time.com/534[...]
2019-07-23
[67]
잡지
The Death of Uyinene Mrwetyana and the Rise of South Africa's "Am I Next?" Movement
https://www.newyorke[...]
2019-09-12
[68]
학술
Feminism Resurgent? Mapping Contemporary Feminist Activisms in Europe
2015-07-04
[69]
웹사이트
"#MeToo Movement in Canada"
https://www.thecanad[...]
[70]
웹사이트
"#StopThisShame, #GirlsAtDhaba, #WhyLoiter and more: women's fight against sexual harassment didn't start with #MeToo"
http://theconversati[...]
2019-03-07
[71]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Transformative Global Stud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6-09
[72]
뉴스
Women Strike in Latin America and Beyond
https://nacla.org/ne[...]
North American Congress on Latin America
2021-10-04
[73]
웹사이트
A Women's Strike Organizer on Feminism for the 99 Percent
https://broadly.vice[...]
Broadly. Vice Media
2021-10-04
[74]
웹사이트
Mulheres lideram multidão contra Bolsonaro em São Paulo, Rio e Recife
https://brasil.elpai[...]
El País
2018-09-30
[75]
웹사이트
15 imagens que resumem os atos a favor e contra Jair Bolsonaro pelo Brasil
https://exame.abril.[...]
Exame
2018-09-30
[76]
간행물
Um protesto histórico, menos na tevê
http://piaui.folha.u[...]
2018-09-30
[77]
간행물
Mulheres quebram o jejum das ruas no Brasil com manifestações contra Bolsonaro
https://brasil.elpai[...]
2018-09-30
[78]
간행물
"#EleNão: Madonna adere à campanha contra Bolsonaro e pede o fim do fascismo"
https://www.correiob[...]
2018-09-28
[79]
문서
Latin American Feminism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9-05-03
[80]
웹사이트
El sujeto político feminista en la 4ª ola
https://www.eldiario[...]
2019-04-26
[81]
웹사이트
Un movimiento, muchos feminismos: mapa de ideas para orientarse en las trincheras
https://www.playgrou[...]
2019-04-26
[82]
뉴스
The Christian Legal Army Behind the Ban on Abortion in Mississippi
https://www.thenatio[...]
2024-03-05
[83]
문서
Remote Oral Arguments to Continue for April Session of Court
https://www.supremec[...]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2022-05-03
[84]
웹사이트
More states are expected to pass anti-abortion bills targeting Roe v. Wade {{!}} CNN Politics
https://www.cnn.com/[...]
2024-03-05
[85]
웹사이트
Abortion Policy in the Absence of Roe {{!}} Guttmacher Institute
https://www.guttmach[...]
2024-03-05
[86]
뉴스
Women's March draws thousands across US after Roe v Wade overturned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4-03-05
[87]
간행물
Overturning Roe v. Wade: consequences for midlife women's health and well-being
2023-01-06
[88]
문서
The spread of misinformation and fake news: Impact on public health during a pandemic
https://www.thelance[...]
The Lancet American Health
2022
[89]
간행물
Women's Mental Health and Well-being 5 Years After Receiving or Being Denied an Abortion
https://jamanetwork.[...]
2017
[90]
서적
The Biopolitics of Feeling: Race, Sex, and Science in the Nineteenth Century
Duke University Press
2018
[91]
간행물
Redoing feminism: digital activism, body politics, and neoliberalism
2016-01-02
[92]
간행물
The Fourth Wave of Feminism and the Lack of Social Realism in Cyberspace
https://doi.org/10.2[...]
2019-07
[93]
간행물
"#Intersectionality: The Fourth Wave Feminist Twitter Community"
https://journals.msv[...]
2017-06-09
[94]
간행물
Social Media as a Feminist Tool
https://0-search-ebs[...]
2012
[95]
뉴스
The Blogger and Author on the Life of Women Onlin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11-13
[96]
웹사이트
Feminism's Fourth Wave is the Shitlist
https://nowtoronto.c[...]
2016-04-21
[97]
문서
Feminisms in Leisure Studies
Routledge
[98]
뉴스
"#SolidarityIsForWhiteWomen: women of color's issue with digital feminism"
http://www.theguardi[...]
The Guardian
2022-11-21
[99]
웹사이트
girlgaze.com
https://girlgaze.com
[100]
문서
The Silence Breakers
https://time.com/tim[...]
Time magazine
2017-12-06
[101]
문서
"#MeToo movement named Time magazine's Person of the Year"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7-12-06
[102]
문서
"What now for Britain's new-wave feminists – after page 3 and £10 note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3-07-27
[103]
Youtube
10 Hours of Walking in NYC as a Woman
https://www.youtube.[...]
2014-10-28
[104]
간행물
Fourth-wave feminism and postfeminism: Successes and failures
https://eprints.leed[...]
2018
[105]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Contemporary Feminism
Routledge
2019
[106]
웹사이트
What Is Feminism? {{!}} IWDA
https://iwda.org.au/[...]
2024-03-06
[107]
웹사이트
Feminism is for Men, Too
https://feminist.org[...]
2023-12-12
[108]
웹사이트
Emma Watson: Gender equality is your issue too
https://www.unwomen.[...]
2014-09-20
[109]
웹사이트
Home Page
https://www.heforshe[...]
2024-02-29
[110]
웹사이트
"'Toxic masculinity': what does it mean, where did it come from – and is the term useful or harmful?"
http://theconversati[...]
2022-09-21
[111]
웹사이트
The Social Media Revolution is Reshaping Feminism - National Organization for Women
https://now.org/blog[...]
2023-05-04
[112]
논문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Men's Perspectives on Hashtag Feminism
http://journals.sage[...]
2023-10
[113]
웹사이트
Five Feminist Men We Are Thankful For
https://therepprojec[...]
2019-11-25
[114]
웹사이트
Why I'm done trying to be "man enough" - Justin Baldoni
https://ed.ted.com/l[...]
2024-02-27
[115]
웹사이트
Manhood: How to Be a Better Man - or Just Live with One
https://www.goodread[...]
2024-02-27
[116]
Youtube
Terry Crews Speaks Out Against Toxic Masculinity
https://www.youtube.[...]
2020-01-22
[117]
웹사이트
Exclusive: President Barack Obama Says, "This Is What a Feminist Looks Like"
https://www.glamour.[...]
2016-08-04
[118]
웹사이트
It's On Us {{!}} Our Story
https://itsonus.org/[...]
2024-02-27
[119]
간행물
The Mask You Live In
https://www.imdb.com[...]
The Representation Project, The Annenberg Foundation, The Brin Wojcicki Foundation
2015-01-25
[120]
웹사이트
THE MASK YOU LIVE IN
https://therepprojec[...]
2024-02-27
[121]
웹사이트
Celebrities attend Women's Marches around the world
https://www.cbsnews.[...]
2017-01-23
[122]
논문
Writing the Feminist Internet: a Chthonian Feminist Internet Theory for the twenty first century
https://www.tandfonl[...]
2021-10-15
[123]
웹사이트
you will _KNOW how_ : interview with Nancy Mauro-Flude
https://mastersofmed[...]
2011-10-31
[124]
웹사이트
Is the '4th Wave' of Feminism Digital?
http://bluestockings[...]
2013-08-19
[125]
논문
Feminism: A Fourth Wave?
2013-09
[126]
논문
After the March, What? Rethinking How We Teach the Feminist Movement
2018
[127]
웹사이트
Dove Invented 'Femvertising' But Its Latest Stunt Didn't Wash With Consumers
https://www.forbes.c[...]
2017-05-11
[128]
논문
Which way is feminism leaning? A critique of Sandberg's 'Feminist Manifesto'
https://www.library.[...]
2016
[129]
웹사이트
Fourth Wave Feminism: Why No One Escapes
https://www.theameri[...]
2018-09-04
[130]
서적
Fourth Wave Feminism, Social Media and (Sl)Activism
Kitaab
2020
[131]
웹사이트
Hashtag Activism: The Benefits and Limitations of #Activism
http://www.newuniver[...]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2015-03-03
[132]
논문
Is feminism trending? Pedagogical approaches to countering (Sl)activism
2016-07-28
[133]
논문
Digital activism: After the hype
http://urn.kb.se/res[...]
2017-09-19
[134]
뉴스
"'You Can't Sit with Us!' – How Fourth-Wave Feminism Became 'Mean Girls'"
http://www.huffingto[...]
2014-01-20
[135]
논문
"#girlgaze: photography, fourth wave feminism, and social media advocacy"
2017-11-02
[136]
논문
Keepin' It Real: A Generational Commentary on Kimberly Springer's "Third Wave Black Feminism?"
https://www.jstor.or[...]
2002
[137]
웹사이트
The waves of feminism, and why people keep fighting over them, explained
https://www.vox.com/[...]
2022-11-21
[138]
논문
Affective temporality: towards a fourth wave
https://www.tandfonl[...]
2016-04-15
[139]
논문
Between the Desire for Law and the Law of Desire: #MeToo and the Cost of Telling the Truth Today
2018
[140]
웹인용
"#FEMFUTURE: Online revolution"
http://bcrw.barnard.[...]
2013-04-15
[141]
웹인용
FEMINISM’S FOURTH WAVE IS THE SHITLIST
https://nowtoronto.c[...]
2015-09-16
[142]
웹인용
Feminism: A Fourth Wave?". Political Insight.
https://journals.sag[...]
2013-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