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2012년 12월 16일에 치러졌다. 2009년 총선에서 민주당이 승리했으나, 집권 기간 동안 지지율이 하락하여 중의원 해산 및 총선 실시가 결정되었다. 선거에는 12개의 정당이 참여했으며, 자유민주당과 공명당의 연립 여당이 압승을 거두었다. 민주당은 참패했으며, 제3극 세력이 약진했다. 선거 결과에 대한 위헌 소송이 제기되었으나, 대법원은 선거 자체는 유효하다고 판결했다.
2009년 8월 30일에 실시된 제45회 총선거에서는 신헌법 시행 이래 처음으로 보수 정당(자유당→자유민주당) 계열이 아닌 정당인 민주당이 단독으로 과반수를 획득했다. 그러나 이 선거에서 당선된 중의원 의원의 임기가 2013년 8월 29일에 만료됨에 따라, 같은 해 10월 8일까지 다음 총선거를 실시해야 했다.
2. 선거 배경
2012년 노다 요시히코 내각총리대신 겸 민주당 대표는 사회보장과 세금의 일체개혁의 일환으로 소비세 증세 법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가까운 시일 내'에 중의원을 해산하고 국민의 신임을 묻겠다는 조건으로 자유민주당, 공명당의 협력을 얻어냈다. 그러나 국회 회기 중에는 중의원 해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후 9월에 민주당 대표 선거와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를 거쳐 10월 말에 제181회 국회가 소집되었지만, 해산될 기미는 보이지 않았다.
11월 14일, 노다 총리는 국가기본정책위원회 합동 심사회에서 열린 당수토론에서 "(중의원 의원정수 감축 법안에 찬성한다는) 결단을 내려주신다면, 저는 이번 주말인 (11월) 16일에 해산해도 좋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발언하며, 전격적으로 중의원 해산 의사를 밝혔다.[38][39][40] 아베 신조 자유민주당 총재도 이에 동조하면서, 그날 저녁 정부와 민주당 수뇌부가 총리대신관저에서 회의를 열고 총선거 일정을 12월 4일 공시, 12월 16일 투개표로 결정했다.
이러한 움직임에 따라 중의원 의원 운영 위원회는 11월 15일에 이사회를 개최하고, 11월 16일에 중의원 해산을 선언하기 위한 본회의 개최를 결정했다. 11월 16일 오후 3시 50분, 일본국 헌법 제7조에 따라 중의원이 해산되었다. 현행 헌법 시행 후 총선거 투표일이 12월로 설정된 것은 1983년 제37회 총선거 이후 29년 만이었다.
2. 1. 선거 전 정당 구도
2011년 12월부터 총선거를 앞두고 의원들이 기존 정당을 탈당하여 새로운 정당을 만드는 움직임이 활발해졌다.[41] 신당 대지·진민주, 신당 기즈나, 국민의 생활이 제일, 미도리노카제, 일본유신의회, 감세일본, 태양의 당(구 일어서라 일본) 등이 정당 요건을 충족하는 정당으로 결성되었다.
2012년 11월 15일 시점에는 국정 정당 수가 16개에 달했다.[41]
이에 대해 유권자들 사이에서는 정당이 너무 많아 알아보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또한 민주당 세력과 자민당·공명당 세력 이외의 제3극 세력이 너무 분산되어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41]
이후 제3극 정당들은 다음과 같이 분열과 통합을 반복했다.[41]
- “국민의 생활이 제일”과 “신당 기즈나”가 합병하여 “국민의 생활이 제일”이 존속.
- “일본유신의회”와 “태양의 당”이 합병하여 “일본유신의회”가 존속.
- “국민신당”을 탈당한 카메이 시즈카 전 중의원 의원과 “민주당”을 탈당한 야마다 마사히코 전 중의원 의원이 “반 TPP·탈 원전·소비세 인상 동결을 실현하는 당” 결당 선언( 총무성에 등록되지 않음).
- “감세일본”과 “반 TPP·탈 원전·소비세 인상 동결을 실현하는 당”이 합병을 선언하여 “감세일본·반 TPP·탈 원전을 실현하는 당” 결당 표명(총무성에 등록되지 않음).
- “국민의 생활이 제일”과 “감세일본·반 TPP·탈 원전을 실현하는 당”이 합병하고, “미도리노카제” 전 중의원 의원도 참가하여 “일본 미래의 당” 결성.
- “미도리노카제”의 소속 국회의원이 4명이 되어 정당 요건을 상실.
- “신당 대지·진민주”가 당명을 “신당 대지”로 개칭.
최종적으로 2012년 12월 4일까지 선거 출마를 표명한 정당은 12개였다.[41] 이는 소선거구 비례대표 병립제가 도입된 1996년 이후 최다였다.
2012년 12월 4일 공시되어 12월 16일에 투표가 실시된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의 선거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3. 선거 데이터
권역 | 의석 수 |
---|---|
홋카이도 블록 | 8 |
도호쿠 블록 | 14 |
키타칸토 블록 | 20 |
민난칸토 블록 | 22 |
도쿄 블록 | 17 |
호쿠리쿠 신에쓰 블록 | 11 |
도카이 블록 | 21 |
킨키 블록 | 29 |
츄고쿠 블록 | 11 |
시코쿠 블록 | 6 |
큐슈 블록 | 21 |
- 투표 방법: 비밀투표, 단기투표, 2표제 (소선거구, 비례대표)
- 선거권: 만 20세 이상 일본 국민
- 피선거권: 만 25세 이상 일본 국민
- 유권자 수: 103,959,866명 (남성: 50,204,503명, 여성: 53,755,363명)
- 유권자 상세:
구분 | 인원 수 |
---|---|
국내 | 103,854,030명 (남성: 50,153,855명, 여성: 53,700,175명) |
재외 | 105,836명 (남성: 50,648명, 여성: 55,188명) |
이전 제45회 총선거에서는 유권자 수가 최대 104,057,361명을 기록했지만, 이번 총선거에서는 처음으로 감소했다. 일본의 총인구는 2008년 128,080,000명을 정점으로 그 이후 감소 추세에 있다.
12월 4일은 후보자 등록 마감일, 공식 선거운동 시작일, 다음 날 조기 투표 시작일을 의미하는 공시일(公示日, ''kōji'')이었다. 정부는 대의원 해산 당시(11월 16일) 이미 얇았던 다수당 지위를 선거 후보자 배치 과정에서의 추가 탈당으로 상실했다.[17]
↓ | |||
139 | 107 | 1 | 233 |
자민당 & 공명당 | 기타 야당 | 결원 | 현 집권당 (민주당 & 국민신당) |
3. 1. 내각
선거 당시 내각은 노다 요시히코 총리가 이끄는 노다 제3차 개조내각으로, 민주당과 국민신당의 연립 정권이었다.[1] 선거 후에는 아베 신조 총리가 이끄는 제2차 아베 내각이 출범했으며, 자유민주당과 공명당의 연립 정권이었다.[2]3. 2. 해산일 및 해산명
2012년 11월 16일, 노다 요시히코 총리는 일본국 헌법 제7조에 따라 중의원을 해산하였다. 이에 따라 제37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이후 29년 만에 12월에 총선거가 치러지는 '12월 선거'가 되었다.[38][39][40]민주당 대표이자 총리였던 노다 요시히코는 당초 소비세 증세 법안 통과를 조건으로 자유민주당, 공명당과 협력하여 "가까운 시일 내에 국민 신임을 묻겠다"고 약속했으나, 국회 회기 중에는 해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11월 14일, 노다 총리는 당수 토론에서 중의원 정수 삭감 법안에 대한 찬성을 전제로 11월 16일에 중의원을 해산하겠다고 표명하였고, 아베 신조 자유민주당 총재도 이에 동조하면서 해산이 결정되었다.[35]
이러한 과정을 통해 중의원 해산이 이루어졌으며, 해산명은 "임박한 해산"(近いうち解散) 이었다.
3. 3. 공시일 및 투표일
2012년 11월 14일, 노다 요시히코 총리는 당수 토론에서 중의원 정수 삭감 법안에 대한 찬성을 조건으로 11월 16일에 중의원을 해산할 의향을 표명하였다. 아베 신조 자유민주당 총재도 이에 동조하여, 같은 날 저녁 정부와 민주당 수뇌부의 협의 결과 중의원 의원 총선거 일정을 2012년 12월 4일 공시, 12월 16일 투·개표로 결정하였다.[36]이에 따라, 중의원 의원 운영 위원회는 11월 15일에 이사회를 개최하여 16일에 중의원 해산을 위한 본회의 개최를 결정하였고,[37] 11월 16일 오후 3시 50분 일본국 헌법 제7조에 따라 중의원이 해산되었다.[38][39][40]
3. 4. 선거 제도
衆議院議員일본어의 정수는 480석으로, 소선거구 300석, 비례대표 180석으로 구성된다.[34]{| class="wikitable"
|-
! 선거 제도
| 중선거구 비례대표 병립제
|-
! 의석 수
| 480석 (소선거구 300석, 비례대표 180석)
|-
! 비례대표 권역별 의석 수
|
권역 | 의석 수 |
---|---|
홋카이도 블록 | 8 |
도호쿠 블록 | 14 |
키타칸토 블록 | 20 |
민난칸토 블록 | 22 |
도쿄 블록 | 17 |
호쿠리쿠 신에쓰 블록 | 11 |
도카이 블록 | 21 |
킨키 블록 | 29 |
츄고쿠 블록 | 11 |
시코쿠 블록 | 6 |
큐슈 블록 | 21 |
|-
! 투표 방법
| 비밀투표, 단기투표, 2표제 (소선거구, 비례대표)
|-
! 선거권
| 만 20세 이상 일본 국민
|-
! 피선거권
| 만 25세 이상 일본 국민
|-
! 유권자 수
| '''103,959,866명''' (남성: 50,204,503명, 여성: 53,755,363명)
|-
! 유권자 상세
|
구분 | 인원 수 |
---|---|
국내 | 103,854,030명 (남성: 50,153,855명, 여성: 53,700,175명) |
재외 | 105,836명 (남성: 50,648명, 여성: 55,188명) |
|}
이전 제45회 총선거에서는 유권자 수가 그때까지 최대인 104,057,361명을 기록했지만, 이번 총선거에서는 처음으로 감소했다. 참고로 일본의 총인구는 2008년 128,080,000명을 정점으로 그 이후 감소 추세에 있다.
3. 5. 동시 실시 선거
- 최고재판소 재판관 국민심사[42]
- 도쿄도지사 선거[43] - 국정선거와 수도의 지도자를 결정하는 도지사 선거를 동시에 실시한 것은 헌정 사상 처음이다.
- 이바라키현고가시 시장 선거[44]
- 지바현오미야마치 정장 선거[45]
- 홋카이도 의회 보궐선거(도베쓰시 선거구)[46]
- 도쿄도 의회 의원 보궐선거(가쓰시카구 선거구, 세타가야구 선거구[47], 하치오지시 선거구)
- 이바라키현 의회 의원 보궐선거(가스미가우라시 선거구, 모리야시 선거구)
- 가나가와현요코하마시 시의회 의원 보궐선거(니시구 선거구)
- 교토부우지시 시장 선거・동시 시의회 의원 보궐선거[48]
- 도야마현도야마현 의회 의원 보궐선거(도야마시 제1선거구)
- 후쿠이현후쿠이현 의회 의원 보궐선거(후쿠이시 선거구)
- 오사카부오사카시 시의회 의원 보궐선거(미나토구 선거구)
- 나라현나라현 의회 의원 보궐선거(야마베군・나라시 선거구)[49]
4. 주요 쟁점
5. 선거 결과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자유민주당이 압승하고 민주당이 참패한 선거였다. 투표율은 59.32%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51]
자유민주당은 단독 과반수를 훨씬 넘는 294석을 획득하여 압승했고, 공명당과 합쳐 중의원 전체 의석의 2/3를 넘는 325석을 확보하여 정권을 탈환했다.[111] 반면, 민주당은 기존 230석에서 57석으로 의석수가 대폭 감소하며 참패했다.[54][55] 일본유신회는 54석을 얻어 제3당으로 부상했고, 모두의 당은 18석을 얻어 약진했다. 일본미래당은 9석, 일본 공산당은 8석, 사회민주당은 2석, 신당대지와 국민신당은 각각 1석을 얻었다.
정당 | 소선거구 | 비례대표 | 총의석 | 전의석 | 증감 | |||||
---|---|---|---|---|---|---|---|---|---|---|
득표수 | 득표율 | 의석 | 득표수 | 득표율 | 의석 | |||||
여당 | 민주당 | 13,598,773 | 22.8% | 27 | 9,628,653 | 15.9% | 30 | 57 | 231 | ▼174 |
국민신당 | 117,185 | 0.1% | 1 | 70,847 | 0.1% | 0 | 1 | 2 | ▼1 | |
계 | 13,715,958 | 22.9% | 28 | 9,699,500 | 16.0% | 30 | 58 | 233 | ▼175 | |
야당 | 자유민주당 | 25,643,309 | 43.0% | 237 | 16,624,457 | 27.6% | 57 | 294 | 118 | △176 |
일본유신회 | 6,942,353 | 11.6% | 14 | 12,262,228 | 20.3% | 40 | 54 | 11 | △43 | |
공명당 | 885,881 | 1.4% | 9 | 7,116,474 | 11.8% | 22 | 31 | 21 | △10 | |
모두의 당 | 2,807,244 | 4.7% | 4 | 5,245,586 | 8.7% | 14 | 18 | 8 | △10 | |
일본 미래당 | 2,992,365 | 5.0% | 2 | 3,423,915 | 5.6% | 7 | 9 | 61 | ▼52 | |
공산당 | 4,700,289 | 7.8% | 0 | 3,689,159 | 6.1% | 8 | 8 | 9 | ▼1 | |
사회민주당 | 451,762 | 0.7% | 1 | 1,420,790 | 2.3% | 1 | 2 | 5 | ▼3 | |
신당대지 | 315,604 | 0.5% | 0 | 346,848 | 0.5% | 1 | 1 | 3 | ▼2 | |
신당일본 | 62,697 | 0.1% | 0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center"| | 0 | 1 | ▼1 | |
신당개혁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center"| | 134,781 | 0.3% | 0 | 0 | 0 | ±0 | |
계 | 44,801,504 | 74.8% | 267 | 50,264,238 | 83.2% | 150 | 417 | 239 | △178 | |
기타 | 무소속 | 1,006,468 | 1.6% | 5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center"| | 5 | 7 | ▼2 |
행복실현당 | 102,634 | 0.1% | 0 | 216,150 | 0.3% | 0 | 0 | 0 | ±0 | |
합계 | 59,626,566 | 100.0% | 300 | 60,179,888 | 100.0% | 180 | 480 | colspan=2| | ||
이번 선거에서 자민당이 압승을 거둔 것은 민주당 정권에 대한 국민들의 실망과 경제 불안, 중국과의 갈등 심화 등에 대한 우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민주당 정권의 매니페스토(공약) 미이행과 동일본 대지진 및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 대응 미흡, 외교 관계 악화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자민당의 아베 신조는 총리로 재취임하여 제2차 아베 내각을 출범시켰다. 이는 1948년 제2차 요시다 내각의 요시다 시게루 이후 64년 만의 총리 재취임이다.
한편, 이번 선거에서는 여러 신당들이 난립하면서 유권자들의 혼란을 야기하기도 했다. 특히, 일본미래당은 공시일 비례대표 후보자 명부 제출이 늦어지고, 일본유신회는 후보자 명단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등 혼란을 겪었다.[41]
5. 1. 분석 및 평가
2012年일본어 12월 16일 일본에서 실시된 총선거에서 자유민주당이 압승을 거두며 민주당은 3년 만에 집권당 자리를 내주었다. 이는 일본 역사상 여당이 당한 네 번째로 큰 참패였다.[8][9]자유민주당과 공명당의 연립 여당은 중의원 의석 3분의 2 이상을 확보하며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민주당은 현직 각료 8명이 낙선하는 등 참패를 면치 못했다. 특히 노다 요시히코 총리는 지역구에서 낙선하지는 않았지만, 비례대표로 간신히 당선되었다.
일본유신회와 모두의 당 등 제3극 세력이 약진했지만, 일본미래당은 참패하며 오자와 이치로 계열의 몰락을 가져왔다. 사회민주당, 일본공산당 등 좌파 및 중도좌파 정당은 제3극에 밀려 의석수가 감소했다.
자민당의 압승은 민주당에 대한 불만, 경제 불안, 중국과의 갈등 심화에 대한 우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낮은 투표율은 유권자들의 정치 불신과 무관심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자유민주당은 센카쿠 열도 분쟁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내세워 선거운동을 벌였고, 이는 새 정부가 이 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에 대한 추측을 불러일으켰다.[22] 아베 신조는 선거 직후 당의 입장을 분명히 밝히며, 섬의 소유권과 관련하여 중국의 도전을 막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23]
자유보수주의 성향의 자유민주당 재선은 외신의 우려를 낳았다. 이는 과거 자유민주당 총리들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의 전쟁범죄에 대한 당의 인식 부족, 그리고 자위대의 권한을 강화하기 위한 평화헌법 개정 의도 등을 고려했을 때, 중국과 한국과의 관계가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였다.[24][25][26] 아베는 또한 원자력 에너지 유지를 지지했다.[27]
선거 결과에 대한 반응으로, 닛케이 225 지수는 1% 상승했고, 엔은 미 달러당 84.48엔으로 20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28] 또한 20년 만기 일본 국채(JCBs) 수익률은 선거 다음 날 1.710%로 상승하여 거의 8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29]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아베에게 전화를 걸어 총선 결과를 축하하고, 양국 간 안보 협력 강화와 경제적 유대 심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논의했다.[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