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일성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일성가는 김일성을 중심으로 그의 직계 가족과 조상들을 포함하는 북한의 통치 가문을 의미한다. 김일성은 1948년 북한 정권 수립을 주도하고, 그의 아들 김정일, 손자 김정은으로 이어지는 3대 세습을 통해 북한을 통치해왔다. 김씨 일가는 북한의 정치, 사회, 경제 전반에 걸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김정은의 딸 김주애가 후계자로 거론되는 등 권력 승계와 관련된 다양한 움직임이 관찰되고 있다. 김씨 일가의 통치는 개인 숭배, 인권 탄압, 핵 개발 등으로 국제 사회의 비판을 받고 있으며, 내부 권력 투쟁과 숙청 또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인숭배 - 주체사상
    주체사상은 자주, 자립, 자위를 핵심 원칙으로 하는 북한의 지배 이데올로기이자 마르크스-레닌주의에 대한 북한식 해석으로, 김일성-김정일주의로 이어지며 김씨 일가의 통치를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지만, 이념적 성격과 적용에 대해서는 다양한 평가와 비판이 존재한다.
  • 개인숭배 - 트럼프주의
    트럼프주의는 도널드 트럼프의 포퓰리즘 정치 운동으로, 민족주의적 해결책, 반이민, 외국인 혐오, 토착주의, 인종차별적 공격 등을 특징으로 하며, 기존 정치 질서에 대한 불신과 소외된 백인 노동자 계층의 지지를 기반으로 한다.
김일성가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형가문
다른 이름백두 혈통
국가북한
창립1948년 9월 9일
창립자김일성
현 수장김정은
칭호북한 최고 지도자
조선로동당 총비서
스타일위대한 령도자 (김일성)
친애하는 령도자 (김정일)
구성원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연결된 구성원김일성의 배우자:
김정숙
김성애
김일성의 아들:
김만일
김평일
김영일
김경진
김일성의 딸:
김경희
김정일의 배우자:
홍일천
고용희
김정일의 아들:
김정남 (암살)
김정철
김정일의 딸:
김여정
김설송
김혜경
김정은의 가족:
리설주 (배우자)
김주애 (딸)
모토주체사상
저택북한 지도자 관저
가계
혈통전주 김씨
기원만경대, 평양
이미지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왼쪽부터)
백두혈통
로마자 표기Baekdu-hyeoltong
관련 정보
정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

2. 가계도

김일성을 중심으로 한 김씨 일가의 주요 가계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36][37][38][39][40]

김일성의 증조부는 김응우(1848~1878)이며, 조부모는 김보현(1871~1955)과 리보익(1876~1959)이다. 부모는 김형직(1894~1926)과 강반석(1892~1932)이다. 김일성에게는 남동생 김철주(1916~1935)와 김영주(1920~2021)가 있었다.

김일성(1912~1994)은 첫 번째 부인 김정숙(1917~1949)과의 사이에서 김정일(1941?[41]~2011), 김만일(1944~1947), 김경희(1946~)를 낳았다. 김정숙 사후 두 번째 부인 김성애(1924~2014)와 결혼하여 김경진(또는 김경일, 1951/1953~), 김평일(1954~), 김영일(1955~2000?)을 낳았다.

김정일홍일천(1942~), 성혜림(1937~2002), 김영숙(1947~), 고용희(1952~2004), 김옥(1964~) 등 여러 배우자 및 동반자를 두었으며, 자녀로는 김혜경(1968~), 김정남(1971~2017), 김설송(1974~), 김춘송(1975~), 김정철(1981~), 김정은(1983?[42]~), 김여정(1987~) 등이 있다. 김경희장성택(1946~2013?)과 결혼하였다.

김정은김정일고용희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리설주(1986년경~)와 결혼하여 김주애(2012년경[43]~) 등 여러 자녀를 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정은의 형제로는 김정철김여정이 있으며, 이복형제로 김정남과 김설송 등이 있었다. 김정남의 아들로는 김한솔(1995~)이 있다.

김씨 가문의 각 세대 및 인물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조상

김일성의 친가는 전주 김씨이고, 외가는 신천 강씨이다.

북한의 공식적인 주장에 따르면 김일성의 가계는 11대조 김보준에서 시작하여 여러 대를 거쳐 조부 김보현과 부친 김형직으로 이어진다고 선전한다. 외가 쪽으로는 외조부 강돈욱과 어머니 강반석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계보는 북한 측의 일방적인 주장으로, 김일성 개인과 가계를 신격화하고 우상화하려는 의도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으며, 객관적인 역사적 근거는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김일성 가계의 상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1. 친가

전주 김씨이다.

김일성 직계 조상 및 친척
관계이름생몰년
11대조김보준? ~ ?
8대조김계상? ~ ?
7대조김차형1699년 ~ 1768년
7대조모라씨1703년 ~ 1744년
열조부김욱1744년 ~ 1796년
열조모도민숙1735년 ~ 1811년
현조부김민수1770년 ~ 1854년
현조모고송희1772년 ~ 1832년
고조부김송령1810년 ~ 1899년
고조모라현직1811년 ~ 1897년
증조부김응우1848년 ~ 1878년
증조모리씨? ~ ?
큰증조부김의국1854년 ~ 1947년
작은증조부김인석1863년 ~ 1952년
증고모할머니김종수1855년 ~ 1951년
조부김보현1871년 ~ 1955년
조모리보익1876년 ~ 1959년
부친김형직1894년 ~ 1926년
숙부김형록? ~ ?
숙부김형권1905년 ~ 1937년
고모김구일녀? ~ ?
고모김형복? ~ ?
고모김형실? ~ ?



아버지 김형직개신교 선교사가 세운 학교에 다녔으며, 17세에 아버지가 되었다. 한때 다녔던 학교에서 교사로 일했으며, 이후 한의사로 활동했다. 김형직은 일제강점기 당시 항일운동에 참여했으며, 이로 인해 여러 차례 체포되었다. 그는 1917년 한국국민회 창립 멤버였고, 1919년 3·1 운동에 참여했으며, 1920년에는 가족과 함께 만주로 망명했다. 평양에는 그의 이름을 딴 김형직사범대학이 있다.[47]

김형직의 부모, 즉 김일성의 조부모인 김보현과 리보익은 ''김일성 약전'' 편집위원회에 의해 "애국자"로 묘사되었다.[52]

2. 1. 2. 외가

김일성의 외가는 신천 강씨이다. 외증조부는 강병수로, 1840년대에서 1850년대 사이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외조부는 강돈욱(1871년~1938년)이고 외조모는 위돈신(1870년~?)이다. 김일성의 어머니는 강반석(1892년~1934년)이며, 외삼촌으로는 강진석과 강룡석(또는 강용석)이 있다. 강반석은 감리교 신자였으며, 15세에 두 살 연상인 김형직과 결혼했다.[47]

2. 2. 김일성 직계

영원한 주석 김일성


김일성은 만경대구역에서 감리교 신자인 부모에게서 태어났다.[47] 아버지 김형직은 15세에 두 살 위인 강반석과 결혼했다. 김형직은 개신교 선교사가 세운 학교에 다녔으며, 한때 교사로 일했고 이후 한의사로 활동했다. 그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참여하여 여러 차례 체포되었으며, 1917년 한국국민회 창립 멤버였고 1919년 3·1 운동에도 참여했다. 1920년 가족과 함께 만주로 이주했다.[47] 김형직의 부모는 김보현과 리보익이다.[47][52] 김일성의 어머니는 강반석(1892년~1932년)이다.

김일성에게는 남동생 김철주(1916년~1935년)와 김영주(1920년~2021년)가 있었다.[8] 또한 숙부로 김형록과 김형권(1905년~1937년)이 있었고, 외삼촌으로는 강진석과 강룡석(또는 강용석)이 있었다.

김일성은 두 번 결혼하여 여섯 명의 자녀를 두었다.

첫 번째 부인은 김정숙으로, 1936년에 만나 1940년에 결혼했다. 함경북도 회령 출신인 김정숙은 가족과 함께 1922년경 중국 지린성 옌지로 이주했다.[8] 김정숙은 아들 김정일(1941년 또는 1942년 출생), 김만일(1944년 출생, 유년기 사망), 딸 김경희(1946년 출생)를 낳았다. 1947년 평안남도에 전쟁 고아를 위한 만경대혁명학원 설립을 주도했으며, 1949년 딸을 사산하고 1949년 9월 19일 사망했다.[8]

두 번째 부인은 김성애로, 1948년 국방성 서기로 일하며 김일성을 만났다. 김정숙 사망 후 김일성의 가사를 돌보았으며, 1953년에 첫 아이를 낳은 것으로 알려졌다.[9] 김성애는 김일성과의 사이에서 김경진(1953년생)[8] 또는 김경일(1951년생)[56], 김평일(1954년생[8] 또는 1953년생[56]), 김영일(1955년생, 2000년 사망설[10])[56][8] 등 3명의 자녀를 두었다.

김일성의 딸 김경희는 북한 최초의 여성 4성 장군이 되었다.[7] 그녀의 남편 장성택은 한때 북한 2인자였으나 2013년 12월 부패 혐의로 처형되었다.[45] 그들의 딸은 2006년 파리에서 사망했다.[48]

김일성의 배우자와 자녀
배우자자녀비고
김정숙
(1940년 결혼, 1949년 사망)
김성애
(1950년대 초 결혼 추정, 2014년 사망)


2. 3. 김정일 직계

조선로동당 영원한 총비서이자 위원장 김정일


김정일은 공식적인 결혼과 비공식적인 관계를 통해 네 명의 주요 동반자를 두었으며,[45] 이들 중 세 명과의 사이에서 최소 여섯 명의 자녀를 둔 것으로 알려져 있다.[55]

첫 번째 부인은 홍일천으로, 1966년 아버지 김일성의 결정에 따라 결혼했다. 1968년 딸 김혜경을 낳았으나, 이듬해인 1969년에 이혼했다.[11] 이후 김정일은 당시 유명 영화배우였던 성혜림과 동거하며 1971년 장남 김정남을 낳았다. 성혜림은 이혼 경력이 있었기에, 김정일은 아버지 김일성에게 이 관계와 아들의 존재를 숨겼다고 전해진다.[12]

1974년에는 김영숙과 두 번째로 결혼하여 두 딸 김설송(1974년생)과 김춘송(1976년생)을 낳았다.[8] 그러나 1977년경 김정일의 관심이 식으면서 김영숙과의 관계는 소원해졌다.

1980년대 초반부터는 재일교포 출신 무용수였던 고용희와 사실혼 관계를 맺었다. 고용희는 2004년 사망할 때까지 사실상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부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김정일과의 사이에서 두 아들 김정철(1981년생)과 김정은(1982년 또는 1983년생), 딸 김여정(1987년생)을 낳았다.[56]

고용희가 사망한 후에는 개인 비서였던 김옥과 관계를 맺었으며, 김정일이 사망할 때까지 부부 관계를 유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둘 사이에 자녀는 없다.[45]

김정일의 자녀들은 후계 구도와 관련하여 주목받았다. 특히 이복형제인 김정은과 김정남은 잠재적 후계자를 분리하여 양성하는 북한 내부의 관행 때문에 서로 만난 적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57][58]

'''김정일의 배우자 및 자녀'''
배우자/동반자관계기간자녀비고
홍일천첫 부인1966년 결혼, 1969년 이혼김혜경 (딸, 1968년생)김일성의 결정으로 결혼
성혜림동거녀1970년대 초반 ~김정남 (아들, 1971년생)영화배우, 이혼 경력
김영숙두 번째 부인1974년 결혼, 1977년 이후 소원김설송 (딸, 1974년생)
김춘송 (딸, 1976년생)
고용희세 번째 부인 (사실상 영부인)1980년대 초반 ~ 2004년 사망김정철 (아들, 1981년생)
김정은 (아들, 1982/1983년생)
김여정 (딸, 1987년생)
재일교포 출신 무용수
김옥네 번째 부인고용희 사후 ~ 2011년 김정일 사망자녀 없음개인 비서 출신



장남 김정남은 한때 유력한 후계자로 거론되었으나, 북한 체제에 대한 개혁적인 발언 등으로 김정일의 신임을 잃은 것으로 보인다.[13] 그는 가족 내에서 '문제아'로 취급받았으며,[53] 2011년에는 김씨 일가의 3대 세습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판하기도 했다.[48] 결국 2017년 2월 13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VX 신경작용제에 의해 암살당했다.[14][15] 이 사건은 북한 공작원들의 소행으로 강력히 의심받고 있으며, 실행범으로 지목된 동남아시아 여성들은 속아서 범행에 가담했다고 주장하여 석방되었다.[16][17] 김정남에게는 아내와 여러 자녀가 있었으며, 아들 김한솔 역시 과거 인터뷰에서 북한 체제를 비판한 바 있다. 김정남이 암살되기 전 CIA의 정보원이었다는 사실이 뒤늦게 밝혀지기도 했다.[19]

차남 김정철은 유약한 성격 때문에 후계 구도에서 밀려난 것으로 알려졌다.[48] 그는 비교적 조용한 성격으로 알려져 있다.[53]

한편, 김정일은 1980년대 초부터 김씨 일가를 '중심가지'(김일성과 김정숙의 후손)와 '곁가지'(김일성과 김성애의 후손)로 구분하여 관리했는데, 이는 후계 구도를 명확히 하고 권력 기반을 다지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중심가지에는 김정일 자신과 여동생 김경희가 포함되었고, 곁가지에는 이복동생들인 김평일 등이 포함되었다.[8]

2. 4. 김경희 직계

김일성김정숙 사이의 딸인 김경희(1946년~)는 북한 최초의 여성 4성 장군이 되었다.[7] 김경희의 남편은 장성택(1946년~2013년)으로, 그는 김정일의 매제이기도 하다. 장성택은 한때 북한에서 두 번째로 강력한 권력자로 여겨졌으나, 2013년 12월 부패 혐의로 김정은에 의해 처형되었다.[45] 김경희와 장성택 사이에는 딸이 있었으나, 2006년 프랑스 파리에서 수면제를 과다 복용하여 29세의 나이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48]

2. 5. 김평일 직계

김평일(金平日, 1954년 ~ )은 김일성과 그의 두 번째 부인 김성애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8][56] 그는 1954년에 출생했다.[8]

2. 6. 김영일 직계

김영일김일성과 그의 두 번째 부인 김성애 사이에서 1955년에 태어난 아들이다.[8][56] 형제로는 김평일 등이 있다.[8] 독일에서 근무했으며, 2000년에 간경변으로 사망했다는 보도가 있다.[10]

2. 7. 김현 직계

(내용 없음)

2. 8. 김백연 직계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김백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3. 김씨 일가의 통치

김일성을 시작으로 하는 김씨 일가는 1948년부터[44] 3대에 걸쳐 북한을 통치해 왔다.[46] 이들의 통치는 강력한 개인 숭배와 주체사상을 기반으로 하며, 김일성은 '수령',[54] 그의 아들 김정일은 '친애하는 지도자'[54] 또는 '위대한 장군'[6] 등으로 불리며 신격화되었다. 김씨 일가에 대한 정보는 여전히 매우 제한적으로 공개되고 있다.[53]

북한 정권은 김씨 일가를 이른바 '백두 혈통' 백두혈통|Baekdu-hyeoltong한국어 이라 칭하며 신성시하고, 이를 통해 권력 세습의 정당성을 확보하려 한다. 백두산은 북한에서 "혁명의 성지"로 선전되지만, 김정일의 출생지로 알려진 백두산 밀영은 실제 출생지가 아니며 소련(현 러시아) 극동 지역이라는 것이 정설이다.[61][62] 김일성의 조상에 대해서도 사실과 다른 여러 전설이 만들어져 유포되고 있다. 또한, 북한의 헌법보다 상위에 위치하는 '''당의 유일사상 체계 확립의 10대 원칙'''에서도 2013년 개정 이후 공산주의 단어를 삭제하고, 그 대신 '''전 사회의 김일성-김정일주의화'''를 조선 노동당의 최고 강령으로 명시하여 김씨 일가 중심의 통치 이념을 강화했다.

북한은 명목상 민주주의 공화국을 표방하지만, 실제로는 최고 권력이 군주처럼 세습되며 최고 권력자의 일족이 왕족과 같은 특권을 누리는 절대 왕정과 유사한 정치 체제를 갖추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 때문에 외국에서는 김씨 일가를 "김씨 왕조"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일가의 동향은 북한 내부뿐 아니라 국제 사회에서도 큰 관심사이지만,[45] 최고 지도자의 이익에 반한다고 판단될 경우 친족이라도 숙청되거나 암살될 위험이 높으며, 실제로 이한영, 장성택, 김정남 등이 숙청되거나 암살되었다.

3. 1. 김일성 시대 (1948-1994)

김일성은 1930년대 일제의 한국 통치에 반대하는 활동에 참여했으며, 이로 인해 소련으로 망명하기도 했다.[44][46]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패망하고 한반도가 분단되자, 김일성은 소련의 지원을 받아 북조선 임시 인민 위원회를 이끌었다. 1948년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을 주도하고 초대 내각 수상으로 취임했다.[44]

1950년 6월 25일, 김일성은 한반도 전체를 무력으로 통일하려는 의도로 한국 전쟁을 일으켰다. 그러나 전쟁은 국제 연합군의 개입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지원 속에서 3년간 지속되다가 1953년 교착 상태로 마무리되어, 그의 목표는 실패로 돌아갔다.[49]

전쟁 이후 김일성은 약 46년간의 통치 기간 동안 독자적인 통치 이념인 주체사상을 확립하고 이를 강화했다. 이 과정에서 자신을 '수령'[54]으로 칭하며 절대적인 지도자로 내세우고, 어머니 강반석("조선의 어머니"), 동생 김영주("혁명 투사"), 첫 번째 부인 김정숙("혁명의 어머니") 등 가족까지 신격화하는 북한의 개인 숭배 체제를 구축했다.[51] 이러한 강력한 일인 지도체제는 주체사상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자리 잡았다.

김일성은 1994년 사망할 때까지 북한을 통치했으며, 그의 사후 북한은 헌법 개정을 통해 주석직을 폐지하고 그를 '공화국 영원한 주석'으로 추대하여 그의 영향력을 영구화하고자 했다.[49]

3. 2. 김정일 시대 (1994-2011)

김일성 사후[49] 그의 장남인 김정일이 권력을 승계했다.[49] 김정일은 아버지 김일성이 '수령'으로 불린 것과 달리,[54] 처음에는 '친애하는 지도자'[54]로, 이후에는 '위대한 장군'[6] 등으로 불렸으며, 총 50개 이상의 칭호를 가졌다.

김정일은 이미 1980년 10월 제6차 당 대회에서 정치국상무위원회, 비서국, 중앙군사위원회의 직책에 임명되어 후계자로서의 지위를 공식화했다.[49] 그는 1990년부터 군대를 이끌었고,[50] 아버지 사후 최고 지도자가 되기까지 약 14년의 준비 기간을 거쳤다.[51]

김정일에게는 여동생 김경희가 있었는데, 그녀는 북한 최초의 여성 4성 장군이었으며[7] 한때 북한 권력 서열 2위였던 장성택과 결혼했다.[45] 장성택은 2013년 12월 부패 혐의 등으로 숙청되었다.[45] 김정일은 4명의 배우자를 두었고,[45] 그중 3명과의 사이에서 최소 5명의 자녀를 둔 것으로 알려져 있다.[55] 그의 뒤를 이어 셋째 아들인 김정은이 권력을 승계했다.[45]

김정일 시대에도 김씨 일가의 세습 통치는 이어졌으며, 이는 일부 학자들로부터 "전체주의의 마지막 보루 중 하나이자 최초의 공산 왕조"라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북한은 공식적으로는 민주주의 공화국을 표방하지만, 실제로는 최고 권력이 세습되는 절대 왕정과 유사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김씨 일가는 '백두 혈통'으로 신격화되며 특권을 누리지만, 최고 지도자의 뜻에 반하는 인물은 친족이라도 숙청되거나 암살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한영, 장성택, 김정남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북한은 백두산을 "혁명의 성지"로 선전하며, 김정일이 태어났다고 주장하는 백두산 밀영을 성역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사실과 다르며, 실제 김정일의 출생지는 소련(현 러시아) 극동 지역이라는 것이 정설이다.[61][62] 또한 북한은 2013년 당의 유일사상 체계 확립의 10대 원칙을 개정하면서 '공산주의'라는 단어를 삭제하고, '전 사회의 김일성-김정일주의화'를 조선로동당의 최고 강령으로 명시하여 김씨 일가의 통치 이데올로기를 더욱 공고히 했다.

3. 3. 김정은 시대 (2011-)

김정은의 공식 사진. 그는 검은색 줄무늬 정장을 입고 깃발 앞에 서 있다.
현재 최고지도자이자 조선로동당 총비서 김정은


김정일의 셋째 아들인 김정은은 2011년 12월 29일 아버지의 사망 이후 북한의 최고지도자 자리를 계승했다.[45][56] 그는 2009년 또는 2010년에 리설주와 결혼했으며, 2012년에는 딸 김주애를 낳은 것으로 알려졌다.[45] 김정은은 아버지 김정일이나 형 김정남과는 다른 이미지를 구축하려 노력했으며, 자신을 남성적이고 외향적인 성격의 학자형 지도자로 선전했다.[53]

김정은 집권 이후 그의 여동생 김여정의 정치적 위상이 높아졌다. 한동안 오빠의 눈 밖에 났던 것으로 알려졌으나, 2017년 김정은에 의해 조선로동당의 핵심 기구인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의 일원으로 발탁되었다.[53]

2020년 4월, 김정은이 약 3주간 공개 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자 건강에 심각한 문제가 생겼거나 사망했다는 추측이 확산되었다.[20][21] 그러나 건강 문제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나오지 않았으며, 이후 몇 달 동안에도 건강 문제나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이유로 공개 활동 빈도를 줄였다.[22] 같은 해 8월에는 김정은이 여동생 김여정에게 대한민국미국과의 관계를 포함한 일부 국정 운영 권한을 위임하여 사실상 2인자 역할을 맡겼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23]

북한은 공식적으로는 민주주의 공화국을 표방하지만, 실제로는 최고 권력이 김씨 가문 내에서 세습되는 절대 왕정과 유사한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외국에서는 김씨 가문을 "김씨 일가", "김 패밀리", "로열 패밀리"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북한 내에서는 이들을 신성시하는 '''백두 혈통'''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이 혈통은 북한 정치에서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한다. 그러나 최고 지도자의 친족이라 할지라도 지도자의 이익에 반한다고 판단되면 가차없이 숙청되거나 암살될 위험에 처하며, 실제로 김정은의 고모부 장성택이나 이복형 김정남 등이 이러한 방식으로 제거되었다.[45]

북한 정권은 '백두 혈통'의 신성성을 강조하기 위해 백두산을 "혁명의 성지"로 선전하고, 김정일이 백두산 밀영에서 태어났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며 실제 김정일의 출생지는 소련 (현 러시아) 극동 지역이다.[61][62] 또한 김일성의 조상에 대해서도 역사적 사실과 다른 여러 전설을 만들어 유포하고 있다. 북한의 통치 이념 역시 변화를 보여, 헌법보다 상위에 있는 '''당의 유일사상 체계 확립의 10대 원칙'''에서는 2013년 개정 이후 '공산주의'라는 단어를 삭제하고, 대신 '''전 사회의 김일성-김정일주의화'''를 조선노동당의 최고 강령으로 명시하고 있다.

'''김씨 일가 3대 지도자'''

  • --
  • --
  • --

4. 잠재적 후계자

김정은의 후계 구도는 명확히 정해지지 않았으나, 몇몇 인물들이 잠재적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김주애김정은과 그의 부인 리설주의 딸로,[24] 2022년 11월 미사일 발사 현장에 처음으로 공개적으로 모습을 드러냈다.[24][30] 초기 북한 관영 매체는 그녀를 김정은의 "사랑하는" 딸이라고 칭했으나, 이후 북한 사회에서 김정은 부부 등 최고 존경의 대상에게만 사용하는 "존경하는"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25] 이러한 변화와 공개 활동 증가는 김주애가 아버지의 후계자로 선택되었을 가능성에 대한 추측을 낳고 있으며, 만약 현실화된다면 북한 최초의 여성 최고지도자가 될 수 있다.[25][27][28][29] 일부 분석가들은 김주애의 등장이 김씨 일가를 전통적인 군주제처럼 보이게 하려는 의도이거나, 북한 내부 권력 경쟁에 대한 대응일 수 있다고 본다.[26]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여정을 맞이하고 있다.


김여정김정은의 여동생으로, 북한 정치에서 영향력을 키우며 "떠오르는 별"로 평가받는다.[30][59] 그녀는 2018년 동계 올림픽 당시 북한 대표단을 이끌고 대한민국을 방문하여 김씨 일가 구성원으로는 한국 전쟁 이후 처음으로 남한 땅을 밟았으며,[30][59] 2018년에는 당시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와 만나기도 했다.[59] 김여정은 오빠인 김정은을 보좌하며 배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0][59] 2020년 8월에는 김정은으로부터 일부 권한을 위임받아 대남 및 대미 관계를 총괄하며 사실상 2인자의 위치에 올랐다는 보도도 있었다.[23]

김평일은 북한을 건국한 김일성의 생존해 있는 마지막 아들이자 김정일의 이복동생이다.[31] 그는 김정일과의 후계 경쟁에서 밀려난 뒤 수십 년 동안 여러 유럽 국가의 대사로 근무하다가 2019년에 북한으로 돌아왔다.[31] 일각에서는 남성이라는 점 때문에 김여정보다 유리할 수 있다는 시각도 있으나, 오랜 해외 생활로 북한 내 권력 기반이 약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31] 김평일에게는 성인 자녀로 아들 김인강과 딸 김은송이 있다.

김정철김정은의 친형이지만, 정치에는 별다른 관심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0] 그는 "야망이 부족하다"는 평가와 함께[30] 여성스러운 성격 때문에 일찍이 후계 구도에서 배제된 것으로 전해진다.[48] 에릭 클랩튼의 팬으로 알려져 있으며 기타 연주 등에 더 관심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후계자가 될 가능성은 매우 낮게 평가된다.[30]

이 외에도 김정은에게는 김주애 외에 다른 자녀가 더 있다는 설도 존재한다.[32][33][34] 북한의 후계 구도는 백두 혈통으로 불리는 김씨 일가 내에서 이루어지는 경향이 강하며, 최고 지도자의 결정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5. 비판 및 논란

김씨 일가는 1948년부터[44] 3대에 걸쳐 북한을 통치해 왔으며,[46] 이러한 권력 세습은 국제 사회의 비판을 받고 있다. 학자 버지니 그젤치크는 김씨 일가가 "전체주의의 마지막 보루 중 하나이자 아마도 '최초의 공산 왕조'"를 대표한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북한은 명목상 민주 공화국을 표방하지만, 실제로는 최고 권력이 세습되며 최고 권력자의 일족이 특권을 누리는 절대 왕정과 유사한 정치 체제를 갖추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러한 통치 가문을 외국에서는 "김씨 일가", "김 패밀리", "로열 패밀리" 등으로 부른다.

김씨 일가의 통치는 강력한 개인 숭배를 기반으로 유지된다. 김일성은 약 46년간의 통치 기간 동안 자신뿐만 아니라 어머니 강반석, 형제 김영주, 첫 부인 김정숙 등 가족 구성원까지 우상화하는 개인 숭배 체제를 구축했다.[51] 김일성 사후에는 헌법 개정을 통해 그를 공화국 영원한 주석으로 지정하여[49] 개인 숭배를 더욱 공고히 했다. 그의 아들 김정일 역시 '친애하는 지도자',[54] '위대한 장군'[6] 등 50개 이상의 칭호로 불리며 개인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개인 숭배는 북한의 통치 이념인 주체사상과 결합되어 있으며, 2013년 개정된 '''당의 유일사상 체계 확립의 10대 원칙'''에서는 공산주의 대신 '''전 사회의 김일성-김정일주의화'''를 최고 강령으로 명시하고 있다.

김씨 일가 내부의 권력 암투와 숙청은 북한 체제의 불안정성과 잔혹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지적된다. 최고 지도자의 친족이라 할지라도 권력 유지에 방해가 된다고 판단되면 숙청되거나 암살될 위험에 처한다. 실제로 김정일의 여동생 김경희의 남편이자 당시 북한 권력 2인자로 평가받던 장성택이 2013년 12월 부패 혐의로 처형되었으며,[45] 김정일의 조카 이한영과 장남 김정남 역시 해외에서 피살되었다.

또한, 김씨 일가에 대한 정보는 극도로 통제되어 있으며,[53] 일가의 신성성을 강조하기 위한 역사 왜곡도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백두산은 "혁명의 성지"로 선전되며 김정일의 출생지로 알려진 백두산 밀영이 보존되어 있지만, 실제 그의 출생지는 소련 극동 지역이라는 것이 정설이다.[61][62] 김일성의 조상에 대해서도 사실과 다른 신화적인 이야기들이 북한 내부에 유포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When friends become enemies — Understanding left-wing hostility to the DPRK https://web.archive.[...] Korea-DPR.com 2005-05
[2] 서적 North Korea: The Politics of Regime Survival M. E. Sharpe, Inc. 2006
[3] 서적 The Socie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2
[4] 서적 A history of the Korean reunification movement: its issues and prospects Research Committee on Korean Reunification,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 Bradley University 1984
[5] 서적 The Psychology of Radical Social Change: From Rage to Revolu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
[6] 서적 Kim Jong Il's North Korea 2008
[7] 뉴스 Mystery deepens over Kim Jong-un's once-powerful aunt and key aide as fears grow she's "critically ill" in hospital https://www.mirror.c[...] Daily Mirror 2020-04-30
[8] 웹사이트 Kim Family http://www.nkleaders[...]
[9] 웹사이트 Kim Song Ae (Kim Song Ae) http://www.nkleaders[...] 2020-10-25
[10] 뉴스 The Life and Execution of Kim Hyun http://www.dailynk.c[...] Daily NK 2014-06-16
[11] 웹사이트 Hong Il-ch'o'n (Hong Il Chon) {{!}} North Korea Leadership Watch http://www.nkleaders[...] 2021-03-03
[12] 웹사이트 Song Hye Rim (So'ng Hye-rim) {{!}} North Korea Leadership Watch http://www.nkleaders[...] 2021-03-03
[13] 웹사이트 Kim Jong-nam Says N.Korean Regime Won't Last Long http://english.chosu[...] 2021-03-03
[14] 뉴스 North Korean leader's half brother killed in Malaysia https://www.reuters.[...] Reuters 2017-02-14
[15] 뉴스 Kim Jong-un's half-brother 'assassinated with poisoned needles at airport'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17-02-14
[16] 뉴스 Kim Jong-nam: Vietnamese woman freed in murder case https://www.bbc.com/[...] BBC News 2019-05-03
[17] 뉴스 Kim Jong-nam death: suspect Siti Aisyah released after charge dropped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9-03-11
[18] 뉴스 Kim Han Sol,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Un's estranged nephew, tired of life on the run: Reports http://www.straitsti[...] The Straits Times 2020-04-30
[19] 웹사이트 Kim Jong-nam, half-brother of North Korean leader, 'was a CIA informant' http://www.theguardi[...] 2021-10-09
[20] 뉴스 Kim Jong-un Resurfaces, State Media Says, After Weeks of Health Rumor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0-05-02
[21] 뉴스 Amid health rumors, Kim Jong Un absent for two consecutive three-week periods https://www.nknews.o[...] NK News 2020-05-22
[22] 뉴스 Amid all-time appearance lows, Kim Jong Un absent for another three-week period https://www.nknews.o[...] NK News 2020-06-29
[23] 웹사이트 Kim Yo-jong, sister of North Korea's Kim Jong-un, now 'de facto second in command' https://www.theguard[...] 2020-08-21
[24] 뉴스 Kim Jong-un Takes His Daughter to Missile Test Launch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3-02-09
[25] 뉴스 Succession questions raised by presence of Kim's daughter https://www.bbc.com/[...] BBC News 2023-02-09
[26] 뉴스 Kim Jong-un 'signalling that daughter Ju-ae will succeed him' https://www.thetimes[...] The Times 2023-02-09
[27] 뉴스 Kim Jong-un's daughter Ju-ae appears for North Korean military parade https://www.thetimes[...] The Times 2023-02-09
[28] 웹사이트 Kim Jong-un gives strongest hint yet about his successor at key military event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23-02-09
[29] 웹사이트 Kim Jong Un puts daughter front and center at lavish military banquet https://www.cnn.com/[...] CNN 2023-02-09
[30] 웹사이트 How Kim's sister could be next in line to rule North Korea https://www.ft.com/c[...] 2020-04-28
[31] 웹사이트 Kim Jong Un's uncle suddenly relevant after four decades abroad https://www.straitst[...] 2020-04-30
[32] 뉴스 North Korea leader Kim Jong-un married to Ri Sol-ju https://www.bbc.co.u[...] BBC 2013-12-04
[33] 웹사이트 Keeping up with the Kims: North Korea's elusive first family https://www.bbc.com/[...] 2020-05-02
[34] 웹사이트 Kim Jong-un 'has fathered his third child' after wife disappeared from public eye https://www.telegrap[...] 2020-05-02
[35] 뉴스 Kim Yong Ju https://www.nytimes.[...] 1972-07-05
[36] 문서 To keep the tree of manageable size, it omits five out of the seven known legitimate children of Kim Il Sung. Other children not shown in the tree are: [[Kim Man-il]] (1944-1947; child of [[Kim Jong Suk]]), Kim Kyong-jin (1952-; child of [[Kim Song-ae]]), Kim Yong-il (1955-2000; child of Kim Song-ae), and Kim Kyong Suk (1951-; child of Kim Song-ae). A stillborn daughter is also omitted. Kim Il Sung was reported to have had other children with women who he was not married to; they included Kim Hyŏn-nam (born 1972). Also, only some of the descendants of Kim Jong Il and Kim Jung Un (Kim Il Sung's successors) are included.
[37] 문서 Korean names often have a variety of transliterations into English, which can be confusing. For example, "Kim Jong-chul" may also be written "Gim Jeong-cheol" or "Kim Jŏng-ch'ŏl" among many other variations. See [[Korean romanization]] for more information.
[38] 웹사이트 North Korea's First Family: Mapping the personal and political drama of the Kim clan http://www.msnbc.msn[...] msnbc.com 2013-01-20
[39] 뉴스 The world's most mysterious family tree: Kim Jong Un's secretive dynasty is full of drama, death http://edition.cnn.c[...] CNN 2017-02-16
[40] 서적 The Sister: The extraordinary story of Kim Yo Jong, the most powerful woman in North Korea Macmillan Publishers 2023
[41] 문서 Official North Korean biographies of Kim Jong Il list his birth year as 1942. The [[Korean calendar]] is based upon the [[Chinese zodiac]] which is believed to characterize one's personality. The year 1942 (Year of the Horse), in addition to being 30 years since Kim Il Sung's birth may be viewed as a better year than others, thus creating a motive to lie about a birth year.
[42] 문서 Official North Korean biographies of Kim Jong Un list his birth year as 1982. The [[Korean calendar]] is based upon the [[Chinese zodiac]] which is believed to characterize one's personality. The year 1982 (Year of the Dog), in addition to being 70 years since Kim Il Sung's birth, may be viewed as a better year than others, thus creating a motive to lie about a birth year.
[43] 문서 Birth year for Kim Ju-ae is not publicly known. She may have been born in either late 2012 or early 2013.
[44] 웹사이트 Kim tells N Korean army to ready for combat http://www.aljazeera[...] Al Jazeera Media Network 2013-12-27
[45] 웹사이트 North Korea's secretive 'first family' https://www.bbc.co.u[...] BBC 2013-12-27
[46] 웹사이트 Dennis Rodman tells of Korea basketball event, may have leaked Kim child's name http://www.cnn.com/2[...] CNN 2013-12-27
[4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Pyongyang https://books.google[...] Anthem Press
[48] 뉴스 Inside North Korea's First Family: Rivals to Kim Jong-un's Power http://www.thedailyb[...] The Newsweek Daily Beast Company 2013-12-27
[49] 웹사이트 Kim Il-Sung (president of North Korea)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3-12-29
[50] 웹사이트 Kim Jong Il (North Korean political leader)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3-12-29
[51] 뉴스 Next of Kim http://www.economist[...] 2013-12-27
[52] 서적 Kim Il Sung: short biography https://books.google[...]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53] 웹사이트 Dynamics in the Kim Jong Family and North Korea's Erratic Behavior https://www.huffingt[...] AOL 2013-12-27
[54] 웹사이트 Following Dear Leader, Kim Jong-un Gets Title From University: Dr. Leader https://www.nytimes.[...] 2013-12-29
[55] 웹사이트 North Korea's Heir Apparent Remains a Mystery https://www.nytimes.[...] 2013-12-29
[56] 간행물 The Kim Family Tree https://content.time[...] Time Inc. 2014-01-02
[57] 뉴스 Kim Jong-nam received 'direct warning' from North Korea after criticising regime of half-brother Kim Jong-un https://www.telegrap[...] 2017-02-20
[58] 뉴스 North Korea's ruling family: Who is Kim Jong Nam? http://www.cnn.com/2[...] CNN 2017-02-20
[59] 서적 The Sister: The extraordinary story of Kim Yo Jong, the most powerful woman in North Korea Macmillan Publishers 2023
[60] 뉴스 南北首脳 白頭血統登ったわけは… 観光開発狙い、正恩氏が誘う 朝日新聞 2018-09-18
[61] 웹사이트 「脱北者ビラ」を見てしまった北朝鮮軍人の残酷な末路 https://www.zakzak.c[...] 2020-10-02
[62] 뉴스 【秘録金正日(14)】旧日本軍から逃走中「できちゃった婚」 物心つけば、独りで「軍人ごっこ」 https://www.sankei.c[...] 産経新聞社 2020-05-01
[63] 뉴스 North Korea's Kim dynasty: the making of a personality cult http://www.theguardi[...] 2015-0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